The lower trapezius muscle is an important stabilizer and primary mover of the scapula. The potential use of ultrasound imaging to evaluate scapular muscle function warrants investig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se ultrasound imaging for determining the effectiveness of 4 different isometric exercises for maximally activating the lower trapezius muscles in healthy subjects. Twenty-eight (14 men and 14 women) volunteers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Thickness measurements of the lower trapezius muscles were recorded during 4 exercises: latissimus pulldown (LP), prone V-raise (PV), prone row (PR), and modified prone cobra (MP). Lower trapezius muscle thickness was measured 3 times by 2 investigators at a point 3 cm lateral to the lateral edge of the T8 spinous process. The order of 4 exercise execution was randomized for each participant. To identify statistical significance, one-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was used with the significance level of .05.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for intra-reliability was .86~.98 and inter-rater reliability .83~.96 for the lower trapezius, respectively (p<.01). Thickness changes in the lower trapezius muscles between the relaxed and contracted states in men were as follows: LP (, 182%), MP (, 167%), PV (, 149%), and PR (, 133%). In women the values were as follows: LP (, 163%), MP (, 131%), PV (, 129%), and PR ( mm, 100%). Thickness of the lower trapezius muscles significantly differed between exercises in both the gender (p<.01). The LP was the most effective exercise for increasing the activation of the lower trapezius muscle in both the gender. We recommend performing the LP exercise for strengthening the lower trapezius muscles.
건전성 예측은 구조물의 고장이 발생될 때까지 남은 시간인 잔존유효수명을 예측하는 것으로, 이는 안전 및 정비 계획과 직접적으로 연관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건전성 예측방법에는 물리모델 기반방법, 데이터 기반방법과 두 방법의 장점 을 통합하는 방법이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잔존수명 예측의 정확도가 모델변수 추정과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물리모델 기 반 건전성 예측에 초점을 맞춘다. 물리모델기반 건전성 예측에서는 모델변수 추정을 통해 시스템 상태의 장기 예측이 가능 하지만, 대부분의 실제 구조물들의 상태모델은 여러 개의 모델변수를 포함함은 물론이고, 그 변수들이 서로 상관되어 있기 때문에 모델변수를 추정하는 일은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 본 연구에서는 물리모델 기반 건전성 예측을 위한 세 가지 변수 추정방법들의 차이를 논한다. 이 세 가지 방법들은 파티클 필터, 전반적인 베이지안 접근법, 그리고 순차적인 베이지안 접 근법으로 모두 베이지안 추론이라는 하나의 이론적 바탕에 기반하지만, 샘플링 방법이나 갱신 절차 등에서 차이가 있다. 균열성장을 표현하는 Paris 모델의 변수 추정을 통해 세 가지 방법의 차이점이 논해지고, 건전성 예측 메트릭을 이용하여 정량적 차이를 표현한다. 파티클 필터방법이 건전성 예측 메트릭 측면에서 가장 높은 성능을 나타내었지만, 전반적인 베이 지안 방법은 파티클 필터방법과 근소한 차이를 보이면서도 데이터가 집단으로 존재할 때에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나 타났다.
모듈러 강교량 제작, 조립, 설계, 시공단계에서 상부모듈의 부품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고 교환하기 위하여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프로젝트에서 정보교환을 위하여 사용하는 국제표준인 IFC 모델을 활용한 부품정보 라이 브러리 구축방법을 제시하였다. 모듈러 강교량의 상부모듈을 구성하는 부품정보를 IFC 모델로 표현하기 위하여 의미론적 인 관점에서 기존 IFC 모델에서 부품정보를 표현할 수 있는 엔티티와 모듈러 강교량의 구성요소를 매칭하여 적용하였으 며, 구성요소의 역할을 구분하기 위하여 매칭한 엔티티의 타입을 적용하거나 사용자정의 타입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부품 정보 라이브러리에서 부품 및 조립품의 정보를 해당단계에서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조립체계를 네 단계의 상세수준 (LoD)으로 구분하여 정의하였으며, 이를 IFC 모델로 표현하기 위하여 새로운 속성정보를 정의하였다. 마지막으로, IFC 모 델과 매칭하여 정의한 정보를 실제 모듈러 강교량 상부모듈에 적용하여 IFC 기반의 시범 라이브러리 정보를 생성하였다.
최근 시장의 글로벌화가 가속되고, 기업경쟁이 심화되는 환경에서 R&D는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에 중요한 경영요소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성공적인 R&D 활동을 위한 프로세스 및 세부활동들을 제안하고 검증하는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고 있으며 기업의 R&D 프로세스를 평가하고 개선하고자 하는 노력 또한 지속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기존 연구에서는 R&D 프로세스의 평가에 대한 구체적인 평가체계가 부재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프로세스의 성숙도 평가 모델로 개발된 CMMI 평가체계를 기반으로 R&D 프로세스에 적합한 평가체계를 개발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R&D 프로세스를 3가지 유형-신제품, 서비스, 원천기술 개발을 위한 R&D로 구분하여 유형별 맞춤화된 프로세스 평가체계를 제안한다. 이를 위해 첫째, 유형 별 R&D 활동의 특징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R&D 프로세스를 정의하고, 문헌 연구를 통해 각 유형에 적합한 R&D 프로세스별 세부활동을 도출한다. 그 후 CMMI 평가기법을 기반으로 한 R&D 프로세스 평가방법을 제안하며, 마지막으로 제안된 평가체계가 적용된 시스템을 구현하는 순서로 진행된다. 본 연구결과는 기업의 R&D 프로세스를 평가하고 개선하기 위한 구체적인 지침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술의 수명주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분석하고, 기존 표준모델에서 활용되고 있는 평가지표를 근거로 개별기술의 수명에 영향을 미칠 평가지표를 분석해 이를 정량화하여, 피인용특허수명(CLT)을 기반으로 개별기술의 속성이 반영된 기술 수명주기를 산출하는 개선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론은 기존 표준모델의 기술수명주기 산출방법인 한계점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으로 평가대상기술 관계자들에게 도출결과에 대한 설득의 용이성과 기존에 비해 보다 합리적인 기준을 제시함으로서 기술수명주기 도출결과의 타당성 및 활용성을 배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types and cooking methods of Soondae (Korean Traditional Sausage) as recorded in 12 books of the Joseon dynasty (1392-1909). The ingredients used in Soondae during the Joseon dynasty were dog meat, beef, pork, lamb, and fish. There were no recorded mentions of Soonda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but by the middle period there were three different dishes recorded. By the late era of the Joseon dynasty that number had increased to twelve. During the middle era of the Joseon dynasty, one kind of Soondae was prepared using dog meat, one using beef, and one using pork. By the late Joseon dynasty, there were six types of Soondae prepared using beef. They also had three kinds of Soondae prepared using lamb and two using fish, one using pork by that time. The frequency of the Soondae ingredients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order were beef (46.7%), lamb (20%), pork (13.3%), fish (13.3%), and dog meat (6.7%). Further study will be conducted on recipes and ingredients recorded in these old books to develop a standardized recipe in order to make Soondae appealing to a global palate.
본 연구는 포장방법과 저장기간에 따른 국산대두와 연해주 대두의 이화학적인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TBA test, 산가, POV, fluorescence spectrum test를 실시하였다. 저장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TBA test는 국산대두와 연해주 대두 모두 실험기간 내 포장방법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있었으나 전체적인 경향은 차이가 없었다. 산가는 국산 대두에서 16일차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20일차에서는 모두 유의차를 보이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해주 대두의 경우 저장기간 동안 포장방법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POV의 경우 국산대두에서 저장 16일차까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진공포장 20일차에서 1.85 meq/kg oil로 값이 증가하였다. 연해주 대두에서는 초기값과 저장 20일차의 측정값이 10%내의 변화를 보이고 함기포장과 진공포장, 질소충진포장과의 유의차를 나타내지 않아 포장법에 의한 산패도의 차이를 찾아내지 못하였다. Fluorescence spectrum test를 이용한 측정에서는 국산 대두의 경우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연해주 대두의 경우도 저장방법 별 산패도 값의 차이는 존재하였지만 같은 경향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fluorescence spectrum test를 이용하여 산패도를 측정하는데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요오드가, 검화가, 비중 측정을 통해 포장방법과 저장기간을 통한 변화를 측정하였으나 유의할 만한 차이를 나태내지 못하였다. 결과적으로 국산대두와 연해주대두의 저장기간 20일 동안의 산패도의 증가는 나타나지 않았고 포장방법에 따른 산패도의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연해주산 대두를 수입할 경우 유통기한 중 질소충진과 같은 고비용의 포장법을 적용하지 않더라도 수입 시에 품질변화가 거의 이루어 지지 않음을 보여 주어 실질적으로 국내 소비자에게 연해주산 non-GMO 대두를 경제적으로 공급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또한 20일의 저장기간 동안 변화가 매우 적음은 현재 대두의 분말가공에 시도되고 있는 집결지 최소가공방식의 최소가공량을 2-3배 확장하여 집결지에서 보다 많은 양을 가공 저장하여 수송함이 가능함을 보여 주고 있다. 이는 연해주대두의 경제적 활용가능성을 보다 높여 줄 것이라 판단된다.
Jean Renaudie was an French architect who designed many urban social housing in France, especially in the city of Ivry-sur-Seine, near Paris, with Renee Gailhoustet, co-responsible as the architect of this city, communist city from long time. He was formed as an architect by the influence of Auguste Perret and Marcel Lods, two french architects, great specialist of the structure of concrete. He formed the Atelier Montrouge with Pierre Riboulet, Gerard Thurnauer, Jean-Louis Verret, and proposed many innovative projects, based on geometrically pure forms and masses. After he joined Renee Gailhoustet, the architect of the City of Ivry-sur-Seine, as a co-responsible for the redevelopment of this ideologically communist city. His urban housing concept approached to take the function as a space to welcome the urban life of the resident, not to offer the physical provision of housing repeating the simple housing unity. He accentuated the social role of Housing project not only as the level of a personal home but also as that of an urbanism. He offered divers choice opportunity to the citizen by the urban functional complex through his efforts to make characteristic complex of urban housing, and by the consequence, the innovative result was done which ameliorated the quality of life for resident. This is an exceptional example, not only in France but even in whole over the world. But the maintenance of building against the oldness and the closing shop of inside commercial zone of Jeanne Hachette became a problem, not only that of physical amelioration but also that of spiritual conservation of the works of Jean Renaudie.
This study aims to find methodical similarities between pop art and Robert Venturi's works. Pop art and Robert Venturi's works gave attention to periodical changes and wanted to communicate with the public. This study approaches a topic from psychological viewpoints, especially visual dissona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Manufactured Products ; Commercial Ornaments → Character Changes in Experienced Stimulation 2. Daily Elements ; Traditional Elements(Classic) → Contextual Effect of Canonic Representation In these cases, visual dissonance attracted a lot of public attention, and people would develop new meanings of objet. Pop art and Robert Venturi's works indicated value change in post-industrial society, therefore, this study can help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
This study examines the construction method of lime tomb of royal tombs in the Choseon Dynasty based on reference. This was primarily published as 『The Five Manners and Courtesy of the Annals of Sejong』as examples, which were followed by the influence of Koryo's culture in the beginning foundation of Choseon, were organized in the time of Sejong; and later, in the time of Sungjong, 『The National Five Manners and Courtes y』was published. Such old reference explains the stone materials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royal tomb's pit yet there were not many studies regarding the pit of royal tomb in the Choseon Dynasty. And there exists no historical research or reference study in regard to the pit of royal tomb which is formed as a lime tomb. This is believed to be impossible to excavate the royal tomb since ancestral ritual formalities are still given by the descendants and because of our country's culture of giving ancestral ritual formalities which value formalities and filial duty. However, the current excavation of Guhui Tomb, which was the early burial site, was important since it gives an opportunity to look at the shape and structure of lime tombs in the Choseon Dynasty. Thus, this study, based on the excavation of Guhui Tomb, will look into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it of lime tomb and will examine the structure, shape, construction method, etc. of the lime tomb which was formed after the time of Sejo in a way with reference history. This is an important data to learn the construction method of limb tomb of royal tombs in the Choseon Dynasty and is believed to have a very important value as historical materials as to understanding the structure of the pit of royal tombs in the Choseon Dynasty which yet has not been excavated.
This study developed a rapid egg-salting method using a temperature change in NaCl solution under pressure. The permeation effects(PEs) of NaCl into eggs at ambient pressure were analyzed 1) after soaking them in 20, 30, or 40%(w/v) NaCl solution at 50℃ and 2) after soaking in 20~40% concentrations(w/v) of NaCl solution at 4℃ immediately after soaking at 50°C for 1 hr(temperature change method; TCM). Under permeation conditions(40% NaCl solution with TCM), the PE of NaCl into eggs at various pressures(4.0~7.0 MPa) was determined. The PE improved with increasing NaCl concentration and pressure. In 40%(w/v) NaCl solution, the PE was more rapid with TCM(0.70% for 2 hr) than without TCM(0.60% for 2 hr). At 7.0 MPa pressure, the PE was more rapid with TCM(1.66% for 15 min) than without TCM(1.40% for 15 mi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CM-induced contraction of the egg membrane improved the PE. Therefore, we believe that the development of a rapid salting method for seasoning eggs is possible with the TCM.
에너지 생성에 따른 탄소배출문제로 국제 에너지 기구는 세계 주요국의 에너지 효율을 15~30[%]이상 향상시키도록 권고하고 있으며, 국내 에너지 정책 동향도 에너지 절감 및 탄소 배출에 대해 정부에서 인센티브 및 페널티 프로그램을 제고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 각국의 산업 현장에서 유체 이송용 펌프가 전기에너지의 20[%]를 소비하고 있는 실정으로, 주요 에너지 낭비 요인으로는 장시간 운전에 따른 효율 저하, 부적절한 설계 및 설비 등이 있다. 이러한 낭비를 줄이기 위해 펌프의 효율을 측정하여 펌프의 운전 상태를 진단하고자, 본 논문에서는 열역학적 방법으로 온도와 압력센서만을 활용하여 펌프의 최고 효율점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실제 펌프의 효율을 계산하여 펌프제조사에서 제공한 성능곡선과 비교한 결과 유사한 성능곡선을 얻어 그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The biggest difficulty the small and small business currently face is not to have the effective cusomer management system that is the computerization of management. This suggests their will to introduce data marketing in order to differentiate 'Customer Marketing' and 'One to One Marketing'. The potential needs as well as visible needs of customer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research and analyze the customer data. At this point mayor enterprises are paying much attention to Customer Segmentation and their related markets are expanding rapidly. I'll give a brief introduction to the Multi Criteri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and go into the problems that should be considered and which phase to emphasize when building this system.
This study focus on what methods of MOT are needed and utilized to solve a technical problem in the MOT leading company. We first classified the MOT methods by project life cycle and R&D job quality based on the several discussion with working group. In o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fostering talented workers has become a core activity as well as an important resource leading to manufacturing enterprises’ innovative activities, which has come to the fore as one of the biggest success factors for innovat
In this study, effective gene extraction methods were compared to identify raw materials of processed meat products through molecular biological methods. Species specific primers were used to identify ingredients of processed foods and, as a sample, 13 kinds of processed meat products including beef, pork and chicken. According to the type of sample, 13 kinds of samples were classified into liquid type, source type and powder type. The samples were pre-treated (centrifugation) and (or) performed Whole Gene Amplification (WGA) kit for amplification of the extracted DNA.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raw material of products through the centrifugation of sample 1 ml for liquid type of processed meat products. For source type of products after gene extraction, it was required to perform WGA for the identification of ingredients. For powder type products did not required any further pre-treatment and WGA. In this study, it was an opportunity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identification of raw material from the gene extraction of processed meat products and this method could be used to examine the authenticity of raw material of products.
This study conducted comparison and data analysis of evaluation results from three kinds of monitoring methods for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which are Korean Official test method for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method by gas analyzer, and continuous measurement by using sensor. NO2, one of indoor air pollutants, was selected as a evaluation factor for this study because it is commonly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potable gas range. Monitoring results of NO2 concentration from three subjected methods show that background concentration of NO2, before operation of portable gas range, was 43.05~50.22ppb. On the other hand, NO2 concentration for four and half hours (4½) after gas range operation was 64.31~69.89ppb in average. Average concentration of NO2 during first thirty (30) minutes was increased about 33.85~49.39% than the concentration of NO2 before operation of gas range. </br>In general, monitoring results by utilizing NO2 gas analyzer was 8.1% higher than the results by continuous measurement using sensor method. In case of monitoring method using sensor, the results was lower about 6.1% than Korean official test method, and lower about 11.7~3.2% than NO2 gas analyzer. Especially, change rate of concentration for first thirty (30) minutes measured by Korean official test method was 50ppb/hr, which is 44.4% lower than the change rate from NO2 gas analyzer, 90ppb/hr, and 43.2% lower than results from sensor, 88ppb/hr. </br>In accordance with this study, it is concluded that monitoring frequency for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must be shorten during the time period having significant change rate of NO2 concentration. In other words, air quality monitoring must be considered characteristics of concentration changes as well as accuracy of measurement.
본 연구는 무용영재 판별 시, 보다 신뢰가 높고 타당하게 평가할 수 있는 평가방법은 무엇인 지 선행연구와 문헌을 통해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무용은 신체를 통해 표현하는 예술로서, 무용영재성을 판별하기 위해서는 신체골격이 완성되기 이전에 조기선발 되어야 한다. 하지만 조 기선발은 선발시기의 특성상, 무용영재로서의 잠재된 능력을 100% 판별해내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으므로 무용영재성 판별은 매우 신중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일반 영재성 평가방법을 살펴보면, 학생의 영재성을 평가하는 교사평가방법과 자녀의 영재성 을 관찰하는 부모관찰방법, 그리고 자신을 평가하는 자기진단평가방법 등 다양하게 적용하고 있 다. 다양한 평가방법을 동원하여 영재성을 판별하는 이유는 단일한 평가방법에서 나타나지 않았 던 잠재된 영재성을 판별해 내고, 판별결과에 대한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서이다. 이에 따라 일 반 영재성 평가도구는 평가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으며, 예술분야에서도 예 술영재성 평가도구 개발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무용영재성 판별에 관한 선행연구 중에서 도 무용영재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개발(이진효, 2010)하여, 보다 신뢰가 높 고 타당하게 무용영재를 선발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였다. 하지만 앞서 언급하였듯이, 무용영 재는 조기선발이라는 선발시기를 고려해볼 때, 잠재되어 있는 능력을 다차원적으로 평가하기 위 해서는 선행연구에서 개발된 교사평가도구만으로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반영재성 판별 방법을 통해 무용영재성 판별의 타당성을 높이는 평가 방법을 모색하고, 국내·외 영재기관에서 는 어떤 평가도구를 통해 무용영재를 선발하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분석된 무용영재성 판별 방법은 추후 무용영재성 평가도구를 개발하고자 할 때, 유용한 자료로서 제공될 뿐만 아니라 무용영재로서 선발된 이후, 후천적인 노력을 통해 발현 되는 무용영재성 요인에 대해서도 보다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평가기준을 제공할 것이다.
본 논문은 비정형의 정확한 형상 설계와 구조해석을 위해 넙스 기저함수를 기반으로 한 변수들로 생성된 평연의 등기하 해석법과 해석 결과에 대한 후처리 방법을 제시한다. 제어점, 매듭값, 차수들로 구성되는 변수들을 인터페이스 기법을 통해 변화시킴으로써 다양한 기하 형상을 구축할 수 있다. 등기하 해석에 사용되는 기저함수는 기하형상 구축에 사용되는 함수와 동일하여 형상의 정확한 설계와 해석이 가능하다. 등기하 해석을 위한 요소망 생성을 위해 h-p-k refinement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기존 형상의 변형없이 요소망을 생성하여 구조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에 의한 결과값인 제어점의 변위에 대한 시각화를 위해 IGES 포맷과 넙스기반 3D 설계 프로그램 라이노와의 인터페이스 과정을 수행하여 최종 변형 형상 표현을 위한 후처리 방법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