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반가속도의 초당 최대값은 최근 제정된 지진재해대책법에 따라 지진기록계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방재청으로 실시간 제공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PGA를 기반으로 한 신속한 지진피해통보 용도로만 고려되고 있는 지반가속도의 초당 최대값의추가적인 활용성을 검토하고자, 국내외 강진자료 및 중소규모 지진자료에 대한 초당 100 샘플링된 지반가속도 자료의 1초 구간내 최대절대값을 30초 동안 적산한 결과(BSPGAk)를 CAV(Cumulative Absolute Velocity) 및 진도 등과 비교하였다. CAV는 진도와의 높은상관성으로 지진발생시 원자력발전소의 운전초과기준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계산시 초당 100 샘플링 이상의 많은 양의 지진파형 디지털자료를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비교 결과 BSPGAk는 지진규모에 따른 지진동 수준과 상관없이 CAV와 전 범위에서 높은 상관성을나타내었으며, 다수의 관측소가 연계된 지진관측망 운영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신속 지진피해평가 지진동 파라미터로 확인되었다.국내 중소규모 유감지진자료에 대한 지진진도 자료와의 비교결과, BSPGAk-진도 상관식을 이용한 진도추정 오차는 CAV-진도 상관식의진도추정 오차와 유사하였으며, PGA-진도 상관식보다 진도를 신뢰성 있게 추정하였다.
In this study, a high energy ball milling process was employed in order to improve the densification of direct nitrided AlN powder. The densification behavior and the sintered microstructure of the milled AlN powder were investigated. Mixture of AlN powder doped with 5 wt.% as a sintering additive was pulverized and dispersed up to 50 min in a bead mill with very small beads. Ultrafine AlN powder with a particle size of 600 nm and a specific surface area of 9.54 was prepared after milling for 50 min. The milled powders were pressureless-sintered at for 4 h under atmosphere. This powder showed excellent sinterability leading to full densification after sintering at for 4 h. However, the sintered microstructure revealed that the fraction of yitttium aluminate increased with milling time and sintering temperature and the newly-secondary phase of ZrN was observed due to the reaction of AlN with the impurity.
본 연구에서는 코골이 방지 베개의 효율성을 검증하기 위해 수면다원검사 측정 결과를 이용한 분석 방법 및 총 수면 시간과 코골이 시간 등의 효율성 평가에 유용한 변수를 제안하는 것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사용된 코골이 방지 베개는 두 개의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진동 센서와 펌프, 밸브, 공기주머니로 구성되어있다. 두 진동센서를 통해 코골이 신호를 정확하게 검출하고, 코골이 판정 시 제시된 알고리즘에 따라 베개 내부에 부착된 공기 주머니를 팽창시켜 목을 들어줌으로써 좁아진 기도를 확보하게 해 코골이를 경감시키도록 베개가 설계되었다. 베개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수면다원검사를 실시하였고, 실험에는 두 명의 피실험자가 참여하였으며 코골이 베개의 사용 유무에 따라 실험이 진행되었다. 수면다원검사로부터 다양한 변수값을 측정하여 분석하였고, 이 결과 값들로부터 베개의 유효성을 판단하였다. 두 피실험자 모두 총 수면시간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총 코골이 시간과 가장 긴 코골이 시간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코골이방지 베개가 코골이를 효율적으로 경감하도록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코골이 방지 베개의 유효성을 확인하였으며 측정된 각 변수들과 수면의 질과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많은 연구에 활용될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TEMPOⓇ STA automated most probable number (MPN) system for the enumeration of Staphylococcus aureus (S. aureus) in comparison with a standard culture method. Artificially inoculated food products with S. aureus - triangle kimbap, sliced spring onion, dried filefish fillet, danpatjuk (sweet red-bean porridge with small rice dumplings)- were tested in this study. Twenty-five grams of each of food samples were added into 225 ㎖ of sterilized phosphate buffered saline in a TEMPOⓇ stomacher bag followed by stomaching for 2 min. One milliliter of the stomached sample was added to a bottle of culture medium. Cards were filled and sealed in the automated filler and then were incubated for 24 h at 37℃. After incubation, the cards were placed in the automated TEMPOⓇ reader and MPN results were generated. For comparison with a culture method, decimal dilutions were prepared from the same homogenized samples described above, transferred onto Baird Parker and Baird Parker-Rabbit Plasma Fibrinogen (BP-RPF) agar plates, and then incubated at 37℃ for 24 h. The performance of TEMPOⓇ STA method is equivalent to the culture method using Baird Parker or BP-RPF agar count plate for the enumeration of S. aureus in foods, eliminating a time-consuming and laborious proces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method of conservation for traditional Korean settlements, based on the field surveys on the representative traditional settlements in Korea and China. The method is approached from grasping the conservation mechanism in which non-physical aspects deeply influence physical ones. The study has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in the current methods of conservation for the traditional settlements, through comparing conservation practices at the World Heritage-class settlements such as Yangdong, Hahoi, and Oeam villages in Korea and Xidi-cun, Hong-cun, and Dangjia-cun in China. As a consequence of the study, the conservation method for the traditional Korean settlements is established as follows; Firstly, the conservation targets are classified into 4 types in terms of the relations of elements; individual, correspondent, sequential, and network elements. Secondly, the conservation strategies include the structuralizations of targets, by means of sequencing and networking. Thirdly, the conservation programs are made in consideration of the sustenance, transformation, replacement, and extinction of traditional use patterns.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termine refusal differences of people from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while using English.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ree groups of subjects - Americans, Koreans, and Japanese - to compare the ways they perform refusals in terms of three dimensional approaches in semantic formulas: order, semantic contents, and frequency. DCT (Discourse Completion Test) was given in conditions where the subjects had a different status such that the refuser is lower, equal, or higher to the refugee in social status. The research proved that differences in recognizing speech acts of refusals in different cultures could posit problems to L2 learners when producing speech acts in English. The result of the research shows that the refusals depending on the subjects from different cultures had a different order of semantic formula, semantic context, and frequency of apologies, excuses and thanks in refusal contexts. In conclusion, the research suggests that L2 teachers need to teach students to enhance their knowledge of the proper use of speech acts in English. Having enhanced speech acts in the target language in terms of sociolinguistic competence is necessary for avoiding communication errors as well as for establishing a productive ground for various interactions between native and non-native interlocutors of English.
본 연구는 경제가 가진 성장의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도약의 계기를 마련하기 위해 새로운 성장동력산업의 발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미래성장동력으로서의 잠재력을 평가하기 위한 수단으로 한국미래기술지수(Korea Future Technology Index: KOFTI)를 개발하였다. 한국미래기술지수는 미래성장동력의 선정과 관련한 선행연구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미래 성장동력 발굴의 객관성과 신뢰성 제고에 기여할 수 있는 종합지수이다. 본 연구는 경제성, 미래전략성, 기술영향력이라는 세 개별지수를 통합하는 한국미래기술지수를 설계하고, 이의현장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정부에서 추진 중인 신성장동력 사업의 62개 스타브랜드를 대상으로 실제 분석을 실시하여 13개 대표 스타브랜드를 도출하였다.
I assessed the B(a)P content from the Ginseng extract, Red ginseng extract, and Ssangwha extract which have high viscosities. It wasn`t easy to extract oil from these samples, consequently measuring of B(a)P was difficult. In order to know the exact detecting contents, I injected standard material of B(a)P to the above extractions and pre-treated for measurement but it was also difficult to measure of contents exactly. To improve of detecting method, I removed mucinous materials using a 85% phosphoric acid solution or 10% citric acid solution and then processed continuously with 60℃ hot water. The analysis revealed that extracting the samples contained B(a)P determined the rate of each 70%, 55%, 67% could increase. As a result the detecting method of B(a)P contents could be improved.
본 실험은 자생식물인 서향의 실내 분화로의 도입을 위해 대량 번식 및 광, 토양 조건 구명 실험을 수행하였다. 서향의 대량 번식을 위해 적합한 삽목 상토, 발근촉진제의 농도, 삽목 시기를 찾는 실험을 하였고, 실내로 도입하기 위해 인공광 처리(100, 1000, 2500lux)와 분화상토처리(원예용 혼합상토(바로커), 펄라이트 + 원예상토(1 : 1), 송이 + 원예상토(1 : 1), 마사토 + 원예상토(1 : 1), 모래 + 원예상토(1 : 1))를하였다. 삽목 상토 선발하기 위해 펄라이트, 버미큘라이트, 펄라이트와 버미큘라이트 혼용(1 : 1), 원예용상토 처리를 한 결과에서는 펄라이트와 버미큘라이트 혼용(1 : 1)처리 구에서 발근율이 93.3% 가장 우수하였다. 발근촉진제를 농도별로는 루톤과 IBA 100ppm 처리에서 뿌리 생육이 가장 양호하였다. 녹지삽 시기는 7월에 하는 것이 발근율이 96.7%로 우수하였다. 화분 이식 후 1000lux 이상의 광 조건에서 생육이 가장 좋았으며, 분화용 상토로는 제주 송이와 원예용 상토를 혼합한 토양에서 생육이 가장 좋았다.
 ,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effects of fire intensity and recovery methods on coleopteran communities in three burned forests, Goseong, Gangneung, and Samcheok in Gangwon province, Korea. Four sampling sites were selected in each study area according to disturbance degree (DD) caused by fire intensity and recovery methods. DD in the study sites were categorized as 0 (no fire), 1 (weak fire), 2 (strong fire), and 3 (strong fire followed by human disturbance). Beetles collected by pitfall traps were classified into 3 functional guilds: detritivore, herbivore, and carnivore. Diversity and abundance were slightly higher in the burned sites (DD = 1-3) than in the unburned sites (DD = 0), although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Coleopteran communities differed according to fire intensity and recovery method. This suggests that recovery of burned forests using both natural recovery and reforestation may increase the diversity of coleopteran communities.
품종 저항성 조사방법별로병원균과 버섯품종을 다르게 하여 품종간의 차이점이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푸른곰팡이 균과 품종별 대치배양시험에서 대치라인 형성, over growth, Lysis 증상이 나타났으며, 공시품종 중에 ASI 2183, ASI2504, ASI 2477 균주가 병저항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배양여액을 이용한 방법에서는 ASI 2240, ASI 2479, ASI 2181들이 저항성을 나타냈으며, 대치배양에서는 다른 경향을 보이는 경우도 있었으나, ASI 2479, ASI 2240 균주는 대치배양, 배양여액 시험결과에서 모두 저항성을 보였다. 배양후 접종법에서는 저항성을 보이는 버섯균주는 ASI 2479, ASI 2333, ASI 2181 등이었으며, 가장 감수성 품종은 큰느타리버섯인 ASI 2302 균주로 나타났다. 푸른곰팡이균주 같은 균주에서도 품종에 따라 각기 다른 특성을 나타냈으며, 동일품종에서 푸른곰팡이균주에 따라 각기 다른 병원성을 나타냈다. 느타리버섯과 푸른곰팡이균의 상호관계에서 다양한 증상이 발생하며 느타리버섯 품종에 대한 저항성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하지만 처리량이 많은 경우 동일 처리 내의 반복처리에서도 병징의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는 시험에 사용한 버섯균과 병원균의 접종원의 활력의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므로 주의해야하며, 저항성 균주로는 붉은느타리종, 감수성균으로 ASI 2302 균을 대조 균으로 적용하면 효과적으로 저항성 검정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소규모 병재배 농가는 대규모 농가에 비하여 생산비가 많이 소요되므로 가격경쟁력이 낮다. 소규모 농가에서 인력의 존도가 높은 점을 활용하여 주 생산품목과 유사한 조건에서 동시에 재배가 가능한 다품목의 생산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큰느타리와 버들송이의 재배조건이 유사함을 토대로 공통의 배지를 선발하였다. 병재배용 자동입병기를 사용하여 배지를 충진하였을 때, 배지재료의 종류 및 혼합비율에 따라서 병내의 고상비율은 20~25% 범위로 차이가 있고, 배지의 수분함량 65%에서 액상비율은 38~45, 기상비율은 31~41까지 차이가 많았다. 배지의 최적 수분함량은 버섯 종류와 배지의 조성에 따라서 다른 경향이었다. 큰느타리의 경우 미송톱밥+미강 또는 미송톱밥+건비지 배지는 수분함량 70%, 미송톱밥+밀기울 배지는 65%, 미송톱밥+밀기울+건비지 배지는 67%에서 수량이 많았다. 버들송이는 공시배지 모두 수분함량 70%에서 수량이 많았다. 공시배지중 큰느타리는 미송톱밥+밀기울+건비지 75:20:5(v/v,%), 수분 67%; 버들송이는 미송톱밥+밀기울 75:25(v/v,%), 수분 70% 배지에서 자실체 수량이 많았다. 그리고 미송톱밥+미강+건비지 75:20:5(v/v,%), 수분함량 70% 배지에서 큰느타리와 버들송이는 배양기간, 버섯 발생 및 생육 환경이 비슷하여 공통의 재배용 배지로 사용하기에 알맞았다. 따라서 큰느타리가 주 품목인 소규모농가에서 큰느타리용 배지의 일부에 버들송이 종균도 접종하여 동일한 재배환경에 안정적인 동시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Customers are generally requiring a variety of products, earlier due date, and lower price. A manufacturing process needs the efficient scheduling to meet those customer's requirements. This study proposes the novel algorithm named MJA(Minimum Job completion time and AGV time) that increases the performance of machines and AGV(Automated Guided Vehicles) in many kinds of job types. MJA optimizes the bottleneck of machines and efficiency of AGV with considering two types of dispatching at the same time. Suggested algorithm was compared with existing heuristic methods by several simulations, it performed better for reducing the time of tardines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n in situ ruminal degradation of feed protein sources (soybean meal, P-SBM; dried distillers grain with solubles, P- DDGS; wheat bran, P-WB) treated with protease as compared with conventional feed protein sources (soybean meal, SBM; dried distillers grain with solubles, DDGS; wheat bran, WB).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amino acid profiles of enzyme treatment protein sources compared with the non-treated groups (p<0.05). But for treatment groups, the solid content and total amino acids were reduced by increasing the moisture content due to proteolytic conditions. On the entire incubation time in situ ruminal degradation rate of dry matter appeared higher in treatment groups compared to control groups (p<0.05), and that of the treatment groups suspended during 48 hours were in the order of P-SBM (97.70%), P-WB (74.26%) and P- DDGS (72.39%). In particular, DM degradation rate of enzyme treated DDGS significantly increased to 43.62%, 45.99%, 55.97%, 69.87% and 72.39%, respectively, incubated during 3, 6, 12, 24 and 48 hours in rumen (p<0.05). Also protein degradation rate of P-WB and P-SBM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ir respective non-treated sources; however, by contrast, in DDGS it was increased. For P-SBM, protein degradation rate significantly decreased at 6 and 12 hours, and for P-DDGS it was increased at 3 and 6 hours of suspension times in rumen (p<0.05). In particular, protein degradation rate of enzyme treated group suspended for 48 hours were in the order of P-SBM (91.81%), P-WB (86.36%) and P-DDGS (58.87%). This result suggests that protease treatment of feed protein sources might be utilized to increase the bypass ratio into post-rumen for wheat bran, soybean meal, and to improve the utilization of feed protein.
대형 예술품이나 지도 등에 대한 양질의 디지털 콘텐츠를 얻기 위해 대형 스캐너의 개발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대형 스캐너의 개발에 있어서 색상 보정은 원작의 사실적인 재현에 큰 영향을 주는 요소이다. 스캐닝 성능이 뛰어나더라도, 스캐너에 사용되는 카메라나 출력에 사용되는 LCD 등의 특성에 따라 원작의 색을 정확히 재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경우 장치 특성화를 이용하여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의 관계를 정의한 LUT(Look-UpTable)를 생성하여 색을 보정하게 된다. 하지만 장치 특성화가 잘 되더라도 대형 스캐너의 경우 주사 위치에 따른 조명의 광량의 차이가 크게 존재하므로 주사 영역 전체에 균일한 색 재현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주사 영역 전체에 균일한 색 재현을 위해서는 주사 위치에 따른 조명의 차이에 대한 보정 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대형 스캐너의 색 재현에 있어서 조명의 주사 위치에 관계없이 균일한 색 재현을 위해 휘도와 색도 보상을 통한 색보정 방법을 제안하였다. 실험을 통해 대형 스캐너의 색재현에 있어서 균일성을 높이면서 기존의 장치 특성화만 수행했을 때보다 더 작은 오차 범위에서 원작의 색을 재현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safety at this study is investigated by flow or stress analyses due to configuration or installation direction of fuel tank in the existing CNG bus. In case of the lower ceiling with sharp type, the equivalent stress due to the explosion of fuel tank is less than the type of flat or arc. it becomes safer on passenger. In case of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fuel tank in the existing CNG bus, the stress applied on the lower ceiling at transverse direction becomes less than at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more stable on the safety of passenger. The harm on the explosion accident can be prevented by use of the analysis result at this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