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587

        1061.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중금속이 낙엽의 분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충남 청양의 폐금광의 광미에 분포하는 쑥(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과 쇠뜨기(Equisetum arvense)를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광미는 높은 중금속 함량과 낮은 유기물 함량을 가지고 있었다. 광미의 중금속 함량은 대조구 토양에 비해 비소(As)는 약 13배, 카드뮴(Cd)은 약 28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크롬(Cr), 니켈(Ni) 및 아연(Zn)은 약 3배에서 6배 높게 측정되었다. 광미와 대조구 토양에서 채집한 식물체내의 중금속 함량은 광미에서 채집한 식물에서 현저히 높게 나타났으며, 쑥 잎의 경우 As는 약 23배, Cd은 25배 높게 나타났으며, 쇠뜨기 지상부의 경우 As는 58배, Cd은 11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조구에서 분해 결과 중금속 농도가 높은 쑥의 잎과 대조구에서 채취한 잎이 각각 50.4%, 65.7%가 분해되었다. 또한 광미에서 진행된 분해 결과 쑥의 잎은 폐광지역에서 채취한 잎과 대조구에서 채취한 잎이 각각 31.6%, 57.5%가 분해되었다. 쑥의 줄기의 분해결과도 잎의 분해율과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쇠뜨기의 지상부의 분해는 대조구에서 분해된 결과 광미에서 채집된 쇠뜨기와 대조구에서 채집한 쇠뜨기가 각각 77.8%와 89.3%가 분해되었으며, 광미지역에서 분해 결과 각각 67.6%와 82.1%가 분해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광미에서 생육하는 식물체의 중금속의 함량이 높을수록 분해가 느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중금속이 낙엽의 분해에 영향을 미친 것이라고 판단된다.
        4,000원
        1063.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춘파 야생화초지의 생육특성, 계절개화분포 및 식생비율을 구명하고자 시험하였다. 공시초종은 기본초종인 잔디형 목초로 Sheep fescue (Azure), 야생화 초종으로는 국내산 야생화 4종과 외국산 야생화 29종 등 총 34종을 공시하였다. 시험은 충남대학교 초지시험 포장에서 2008년 3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수행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야생화의 초장은 8~60 cm 범위로 상하 공간배치는 양호한 편이었으며, 꽃색은 9
        4,000원
        1064.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무선 인터넷의 확산에 따라 WiFi Access Points(AP)의 활용이 급속하게 증가하고 보편화되었다. WiFi 무선통신은 표준 무선랜 기술(IEEE 802.11)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통신 네트워크로서 건물의 실내만이 아닌 도심의 실외 환경까지 사용범위가 확대되어 가고 있다. 이와 함께, WiFi의 활용영역은 단순한 인터넷 통신만이 아니라 이동성을 활용한 마이크로 스케일의 위치기반 서비스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무선 AP의 공간분포 및 무선랜 활용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상업지역과 거주지역을 사례지역으로 하여 무선 AP의 밀도, 보안, 공간범위 등의 특징을 중심으로 WiFi 네트워크를 비교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표준 무선랜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의 현황과 유비쿼터스 공간의 위치인식 서비스를 위해 증가하고 있는WiFi 공간분포를 검토하였다.
        4,000원
        1067.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제주도 지역 화구호를 비롯한 담수습지 24곳 습지에 서식하고 있는 수서곤충의 분포와 군집의 특성에 대해 분석한 결과 총 7목 31과 68속 92종 3327개체가 출현하였다. 조사지 중 가장 다양한 종이 출현한 장소는 동백동산못 50종이었다. 국내 최대형종 수서곤충이며 멸종위기동물인 물장군은 저지대 6곳에서 출현하였고 한국미기록과 곤충인 Hydrochidae의 Hydrochus japonicus Sharp는 이번에 조사지 6곳에서 확인되었다. 이와 함께 지금까지 국내에 보고 되지 않았던 노린재목의 Omaniidae Corallocoris의 1개체가 1100습지에서 확인되었다. 조사지간 유사도를 분석한 결과 유사도가 0.19인 사라악과 백록담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고 유사도지수가 1이내에서는 크게 12개의 군집으로 구별되었는데 대다수가 해발고도가 유사한 조사지별로 유사한 그룹을 형성하고 있었다. 한편 걸월이못 등 5개 지점은 다른곳과는 거리가 멀게 나타나 독자적인 수서곤충군집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점도 등 군집지수에 대해 강, 하천, 계곡, 늪, 농경지 등 그 동안 이루어져 왔던 다른 곳의 습지와 비교하여 본 결과 우점도는 다소 낮은편이었고 종 풍부도는 아주 높은 편이었으며 균등도 지수는 높은 편이었다. 반면에 종 풍부도와 상대 밀도는 비교 자료가 없었다.
        1068.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갈색여치는(Paratlanticus ussuriensis) 메뚜기목 여치과에 속하는 곤충으로 2001년 충북 충주 및 단양 지역의 과수농가에 피해가 보고된 이후로, 충북 영동 지역을 중심으로 해마다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2006년 및 2007년 충북 영동지역에 대발생하여 과수농가에 많은 피해를 주었다. 갈색여치와 같은 메뚜기목 곤충들이 대발생하여 농작물에 피해를 준 사례는 국내에서는 흔치 않아 갈색여치 방제에 어려움이 많기 때문에, 최근 국내에서 갈색여치의 생태 및 방제 방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갈색여치의 과거 및 현재 분포 정보를 제공하고, 향후 갈색여치 분포를 예측함으로 해서 갈색여치 방제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2001년도까지 보고된 자료에 따르면 갈색여치는 전국 41개 시군에서 발생이 보고되었다. 2006년부터 2009년까지 갈색여치 분포 조사 결과 경기도, 강원도, 충북, 경북 북부 지방을 중심으로 11개 시군에서 갈색여치 발생이 새롭게 확인되었다. 이 중 충북 영동, 옥천, 전북 무주, 전남 구례, 경북 문경, 강원 홍천 대관령 일대에서 많은 개체가 확인되어, 이들 지역은 갈색여치 피해위험 지역으로 판단할 수 있다. 갈색여치 분포는 활엽수 분포 지역과 상당히 밀접한 관계를 보였으며, 향후 지구 온난화에 따라 활엽수 분포 지역이 넓어질 것으로 예측되기 때문에 갈색여치의 분포 지역 또한 넓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1069.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한라산국립공원에 분포하는 나방의 종 다양성 및 분포 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2009년 5월부터 10월까지 8개의 조사지점을 고도별로 선정하였다. 조사는 UV Light 트랩을 이용하여 매월 1회씩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총 13과 321종 4462 개체가 채집되었다. 과별로는 자나방과 120종 2490개체, 밤나방과 123종 1102 개체, 재주나방과 17종 219개체가 채집되었다. 월별로는 6월이 163종 2882개체, 7월이 121종 593개체, 8월이 102종 357개체가 채집되었다. 종별로는 털뿔가지나방 (Alcis angulifera) 1322개체, 넓은띠담흑수염나방(Hydrillodes morosa) 395개체, 아지랑이물결가지나방(Aethalura ignobilis) 160개체 순으로 우점하였다. 고도별로는 636m지점이 116종 1038개체, 499m지점이 104종 753개체, 744m 지점이 111종 672개체로 채집되어 최저고도(264m)와 최고고도(1109m)의 중간 지점에서 종수와 개체수의 분포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또한 8개의 조사지점에서 종 다양성을 Fisher's Alpha로 분석한 결과는 264m에서 42.77, 1109m에서 29.47으로 고도가 낮을수록 종 다양성이 높게 나타났다. 조사지점을 사면별로 보면 남사면(264m, 499m, 636m, 953m)에서 243종 2691개체, 북사면 (701m, 744m 966m, 1109m)에서 215종 1771개체가 채집되었다. 두 사면간 종수(t-test, t=0.364, p=0.728)와 개체수(t-test, t=1.257, p=0.256)는 차이가 없었다. 고도간 나방군집 유사도를 Sørensen 지수로 분석한 결과 고도가 나방군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된다.
        1070.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단감 수출재배단지에서 발생하는 깍지벌레류의 주요 우점종과 이들의 단감 수체 내에서와 과수원내에서 분포를 조사하여 방제에 활용코자 조사를 수행하 였다. 단감 재배단지는 순천시 외곽의 농가, 진주시 문산면, 창원시 동읍에서 단감재배 10농가 선정하여, 농가 당 10주 정도를 깍지벌레가 주로 활동하는 5 월부터 10월까지 매월 간격으로 조사하였다. 감나무 수체에서 발생하는 깍지 벌레류는 과실, 잎, 가지, 주간에서 조사하였다. 과원 내에서 발생하는 깍지벌 레류는 과원 중심에서 외곽으로 3방향을 나누고 다시 각각의 방향 별로 5등분 한 지점을 중심으로 9월에 조사하였다. 주로 발생하는 깍지벌레 종은 식나무깍 지벌레로 향후 주요해충으로 방제할 필요가 있었다. 그 외 깍지벌레류로 감나 무주머니깍지벌레, 거북밀깍지벌레, 뿔밀깍지벌레가 조사되었고 검역해충인 온실가루깍지벌레는 관찰되지 않았다. 단감 수체 내에서 식나무깍지벌레는 잎, 과실, 4년생 이하의 가지(세지)에서 주로 발생하였고 주간에서는 발생하지 않았다. 종전까지 주요해충으로 인식되던 감나무주머니깍지벌레는 잎, 과실, 가지, 주간 등에서 모두 발생하나 주로 주간에서 발생하였다. 과원 내 발생은 외관상 관찰되는 과수원 외곽과 달리 비교적 골고루 분산하여 발생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1071.
        201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09년에 태안해안국립공원의 현존식생 및 녹지자연도를 조사하였다. 태안해안국립공원의 현존식생은 11개 식물군락과 기타지역으로 구분되었으며, 2차림인 자연림은 곰솔군락, 소나무군락, 낙엽활엽수군락, 소나무-낙엽활엽수군락 등 6개 식물군락으로, 조림지는 곰솔-낙엽활엽수림, 곰솔-리기다소나무림, 곰솔-밤나무림, 아까시나무림 등 5개 수림으로 구분되었다. 태안해안국립공원의 육지면적 중 녹지자연도 8등급 지역이 약 40.6%로 나타났으며, 반면에 녹지자연도 9등급 지역은 13.7%로 나타났다. 태안해안국립공원의 자연경관과 생물다양성 회복을 위하여 조림수종 제거 등 외래종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4,000원
        1072.
        201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本文以“介词(到、在)+NP”为研究对象,进行句法和语义方面的分析,考察汉语“介词(到,在)+NP”结构在动词后充当结果补语的区别。很多句法结构都要求具有一个动补结构。句法上必须带补语的句子中,要求“在NP”和“到NP”结构作为补语的有“把字句”、“物体存在句”、“物体处置句”、“空间移动句”和“时间移动句”。我们将“到+NP”和“在+NP”结构在动词前充当状语和在动词后充当结果补语的区别分别来讨论。“在+NP”结构做结果补语和状语的区别我们将其归纳为五类, “到+NP”结构做结果补语和状语的区别我们将其归纳为三类。“介词(到、在)+NP”结构可以位于动词前也可以位于动词后。根据时间顺序原则(PTS),“介词(到、在)+NP”结构时间上先于动词的状态可以接受它排在动词前。但是,如果“介词(到、在)+NP”结构是通过动作出现的结果,时间上结果出现于动词之后,因此不能接受“介词(到、在)+NP”结构排在动词前。“介词(到、在)+NP”结构位于动词后面时,具有[+终点], [+到达], [+完成], [+附着], [+达成], [+结果], [+实现], [+持续]等语义特征;“介词(到、在)+NP”结构位于动词前面时,不具有这些语义特征。但是,有些动词和介词结构之间的时间顺序是模糊的,所以PTS不起作用,这时“在+NP”做结果补语和做状语,其意义差别不明显,这种动词主要有两类:第一类是“死”,死的动作是瞬间发生的,但是死后的状态一直持续;第二类是“住”、“生活”、“工作”等动词,它们本身具有持续的状态,而不是短暂的动作。
        5,800원
        1073.
        2010.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최종 해양에 배출되는 하수슬러지에 함유된 오염물질의 농도와 분포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시료는 하수 슬러지 발생업체의 최종 저장조에서 20점을 채취하였고 시료의 조제를 비롯하여 최종 기기분석까지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을 적용하였으며, 다 환방향족탄화수소류(PAHs)는 U.S EPA 기준에 맞춰 16종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중금속인 비소는 최대 15.29 ㎍/g, 카드뮴 2.04 ㎍/g, 크롬 632.98 ㎍/g, 구리 2,388.28 ㎍/g, 납 77.71 ㎍/g, 아연 2,928.28 ㎍/g이었고, 폴리염화비페닐(PCBs) 7종 중 최대값은 0.80 ng/g이고 7종의 합은 ND ~ 2.50 ng/g으로 나타났다.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PAHs)의 각 항목별 최대값은 나프탈렌 1,199.5 ng/g, 아세나프틸렌 35.48 ng/g, 아세나 프텐 104.94 ng/g, 플루오렌 424.86 ng/g, 페난트렌 606.91 ng/g, 안트라센 121.96 ng/g, 플루오란텐 683.64 ng/g, 피렌 1045.70 ng/g, 벤죠(a)안트 라센 270.49 ng/g, 크리센 288.76 ng/g, 벤죠(b)플루오란텐 175.81 ng/g, 벤죠(k)플루오란텐 162.22 ng/g, 벤죠(a)피렌 185.84 ng/g, 인데노 (1,2,3-cd)피렌 136.22 ng/g, 디벤즈(a,h)안트라센 21.60 ng/g, 벤죠(g,h,i)페릴렌 320.00 ng/g으로 나타났다. 한편 분석시료 20점 중 해양배출처리 기준 제1기준을 초과한 시료는 구리 1점이었고, 생물독성시험이 필요한 제2기준을 초과한 시료는 크롬 1점, 구리 10점, 아연 2점, 나프탈렌 3점 으로 나타났다.
        4,000원
        1077.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racticed to survey food-borne bacterial aspects of Escherichia coli and Bacillus cereus etc. from 210 processed seasoned marine products in Garak fishery wholesale market in Seoul, 2009. Distributions of these bacterial isolates were 28 coliforms, 32 Bacillus spp., 71 Staphylococcus spp., 11 Listeria spp, and 10Enterococcus spp. in 157 dried squids, 23 dried file fishes, and 20 dried pollacks etc. respectively. Results in 16 kinds of antibiotics susceptibility test by disc diffusion method, special multiple drugs resistance patterns were NOR + LVX + CIP + SAM+ VA + S + TE + CF, SAM + C + VA, VA + S + TE, and VA + S in 9 E. coli strains, also,AMC + SAM + CF, SAM + CF, and VA + CF in 21 Bacillus cereus strains respectively. On the basis of the results above, many seasoned dried fishes had multiple drugs resistances, conclusively, we suggest limited guideline and special management on use of antibiotics in floating net cages of fishery farms.
        4,000원
        1080.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춘파 야생화초지의 생육특성, 계절개화분포 및 식생비율을 구명하고자 시험하였다. 공시초종은 기본초종안 잔디형 목초로 Sheep fescue (Azure), 야생화 초종으로는 국내산 야생화 4종과 외국산 야생화 29종 등 총 34 종을 공시하였다. 시험은 충남대학교 초지시험 포장에서 2008년 3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수행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야생화의 초장은 8~60 cm 범위로 상하 공간배치는 양호한 펀이었으며, 꽃색은 9가지로 다양하게 개화되었으나 8월, 9월 및 10월에는 1~3가지로 편중되었다. 개화는 5~6월에 편중되였고 8월부터는 야생화의 개화 및 영속성 유지가 상당히 어려웠다. 그러나, 2년차(2009)에는 월동 후 일년생 야생화초종의 식생 감소로 야생화의 꽃색, 계절분포 및 영속성이 문제시 되었다. 야생 화초지의 연평균 식생비율은 야생화, 잔디형 목초 및 잡초가 각각 1년차(2008)에는 24%, 62% 및 14%이었고, 2년차{2009)에는 각각 16%, 69% 및 15%를 유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춘파 야생화초지의 경우, 파종당년보 다는 2년차에 야생화의 꽃 색, 계절개화분포 및 영속성을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