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RPOS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specific road design elements for safe urban underground and to adopt measures for minimizing traffic delays and to maintain efficient operation.
METHODS : In this study,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using Focus Group Interview (FGI) method to identify significant connection characteristics and develop connections to urban underground roads. Finally, this study analyzes design elements necessary for traffic safety and efficient traffic operation. In addition, relevant case studies were performed with keywords from the FGI method results. Therefore, major design elements were analyzed for urban underground road connection and connection analysis for traffic simulation-based verification.
RESULTS :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underground roads of the downtown area were divided into three types: traffic flow characteristics, geometric characteristics, and driver behavioral characteristics. From the review of 16 leading studies (10 domestic papers and 6 international paper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the main design factors for “traffic flow characteristics” include the traffic volume, design speed, heavy vehicle ratio, and lane change. The important design elements for “geometric characteristics” include the separation distance, number of lanes, slope, lane and shoulder width and the design factors for “driver behavioral characteristics” showed reaction time, driver vision, and driving speed. CONCLUSIONS : The FGI method identified the main characteristics of connections to the underground roads. In addition, the relevant empirical and theoretical research data were considered in case studies, and the design elements were derived and separated spatially based on the features of each design element, establishing a point-specific design element guideline.
국내 고농도의 초미세먼지 발생 빈도 증가와 함께 그 전구물질인 NH3와 관련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NH3 배출에 있어 농업의 기여율이 높은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그러나 비료 사용이 농경지 대기 중 NH3 농도에 장기간 미치는 영향에 관련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동식 NH3 확산형 포집기를 활용해 11개월 간 농경지 대기 중 NH3 농도를 관측하였다. 그 결과 비료 살포 직후 한 달 동안 NH3 배출의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후 여름철 기온 상승으로 NH3 휘발이 촉진되어 대기 중 농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54일간의 지속적인 강우로 인하여 대기 중 높은 암모니아 농도는 관측되지 않았다. 그 후 NH3 농도는 가을과 겨울을 거치면서 점차 감소하였다. 비료의 영향력이 감쇠한 시점 이후에는 기온이 감소할수록, 그리고 강수량이 증가할수록 NH3 농도는 감소하는 것을 상관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종합해 보면, 국내 NH3 배출량에서 비료의 기여율을 연구하는 데 있어 비료 살포 직후 최소 한 달 동안은 집중적으로 살펴보아야 할 것이며, 현장 연구 시 강수량과 무강우 일수 등의 기상 정보도 함께 고려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도시숲에서 산림치유 프로그램 활동이 도시에 거주하는 노인여성의 골격근량과 내장지방 량, 우울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경기도 A 시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노인여성으로 실험군 21명, 대조군 12명으로 총 33명으로 구성되었다. 산림치유 프로그 램은 주1회 2시간씩 총8회로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전후 체성분분석기(Inbody 720, Biospace, Korea)를 이용하여 골격근량과 내장지방량을 측정하였고, 우울척도는 GDS(Geriatric Depression Scale)를 이용하였다. 실험군 대상자의 나이는 평균 60.3±9.4였으며 대조군 나이는 평균63.6±5.8 이었다. 산림치유프로그램 참여 후 실험군 대상자의 골격근 변화는 참여 전 2.52에서 참여 후 2.47로 유의한 변화를 보였으나 대조군은1.64에서 1.99로 유의한 변화는 아니었다. 내장지방량의 변화는 실험군 대상자는 참여 전 34.27에서 참여 후 31.64로 유의한 변화를 보였으나 대조군은 35.02에서 33.18로 유의한 변화는 아니었다. 우울의 변화는 실험군에서 참여 전 5.10에서 참여 후 3.85로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도시숲을 이용한 산림치유프로그램 활동이 노인여성의 만성질환의 요인이 되는 골 격근량과 내장지방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이 검증되었고, 실험군의 우울감 역시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규칙적이고 지속적인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참여를 통해 노인의 신체적 건강과 우울 등 심리적 건강증진에 기여하는 하나의 기초자료로 제안하고자 한다.
한-아프리카 농식품 기술협력 협의체 (KAFACI)는 아프리카 농업 공통현안을 연구과제를 통하여 해결하고자 2010년에 출범하여 현재 한국 포함 20개국으로 구성되었다. 본 논문은 지난 10년간 회원국에서 수행한 결과를 바탕으로 KAFACI 회원 국과 비회원국 간의 양자 무역 흐름에 대한 국제 기술 협력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은 UN 상품 무역 통계 데이터베이스에서 2000년에서 2018년 동안 45 개 아프리카 국가 간의 양 자 무역 패널 데이터를 이용하였으며 국제 무역 중력 모델을 적용하였다. 또한, 내생성, 표본 선택 편의, 패널내의 상관관계 를 통제하는 표본 선택 기법을 적용한 핵크만 랜덤 효과 회귀 모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경험적 결과는 국제 기술 협력이 KAFACI 회원국과 비회원 국 간의 양자 무역 흐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연구 결과 이 외에도 KAFACI는 회원국과 아프리카 이외의 주요 무역 파트 너 간의 양자 무역 흐름을 크게 늘렸을 가능성이 있지만 여기서는 다루지 않았다. 또한 KAFACI 회원국의 기술 채택 수준과 비율은 무역을 잠금 해제하기 위해 경제의 공급 측면에 영향을 미치는데 중요하지만 여기에서는 다루지 않았다.
본 연구는 VR을 활용한 중국문화수업을 국내 중국어 혹은 중국문화교육에서 학습 자에게 IT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학습방법을 제시하고 학습효과를 높이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문화수업의 설계 방법을 도출하고 몰입 방법에 따라 ‘완전몰입형’, ‘부분몰입형’, ‘비몰입형’의 세 가지 방법으로 VR 중국문화수업 설계 방안을 제안하였으며 각 방식에 따라 장·단점과 학습효과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설계방안을 바탕으로 실제 수업 사례를 들어 살펴보았다. 끝으로 VR을 활용한 중국문 화수업 설계를 위한 VR 콘텐츠 사용 빈도와 비중 조절, 적절한 환경구축을 위한 지원과 기술적인 지원을 제안하였다.
생물 및 화학물질 등의 대량살상무기들을 이용한 테러공격은 매우 위협적인 테러공격 가운데 하나이다. 미국의 분류에 따르면 대량살상무기 는 테러공격에 이용되었을 때 다수의 사상자들을 발생시킬 수 있는 화학 물질, 생물학물질, 방사능과 핵물질, 그리고 이러한 물질들을 이용해 만들어진 폭발물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대량살상무기가 테러공격에 이용 되는 것에 대한 대응책으로 미국정부는 테러리스트나 악의적인 행위자들로부터 이와 같은 물질들에 대한 접근을 차단하고, 대량살상무기들과 관련된 기술적 트렌드를 파악·대응하며, 그리고 대량살상무기관련 물질들을 취급 저장하는 정부기관들과 민간 기업들의 대응능력 강화를 위한 대책을 마련, 운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미국 정부의 대량살상무기의 대응사례는 국내의 대테러정책에 좋은 참고사례가 된다. 국내의 경우, 대테러정책과 관련하여 테러이용 수단의 안전관리강화에 대한 지적과 논의가 계속되고 있다. 이 연구는 이와 같은 맥락에서 미국 연방정부의 생물, 화학물질 관리 사례에 대해 연구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특히 이 연구는 미국의 생물 및 화학물질의 안전관리사례와 법률 등을 분석하였고, 이에 더불어 대테러활동 지원을 위해 설립된 연구기관의 과학적이고 혁신적인 활동을 소개하였다. 연구 수행을 위해 다양한 관련 학술논문과 정부보고서 등을 문헌분석 하였다. 연구의 결론과 논의 부분에서 이 연구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국내에 적용될 만한 정책대응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s undertaken to design a Korean presentation class for academic purposes based on CALLA (Cognitive Academic Language Learning Approach) and to find its effectiveness. In this study, 10 foreign 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class which teaches presentation strategies for 15 weeks. According to CALLA, some useful presentation strategies were introduced and practiced repeatedly, and the students’ presentations in Korean considering their major were completed gradually. As a result, positive effects from the presentation class on the perspective of language, non-language and data organization could be acquired through repetitive feedback and practice. Thus, the students could use the proper discourse for topics ranging from the introduction and development of the presentation to concluding presentation. The learners have shown a lot of improvements in presentation ability through the CALLA course regardless of language proficiency but the class design used in the study should be conducted in other presentation classes for academic purposes.
본 연구에서는 석유화학제품 산적운송선(화학유조선)에 의한 해상운송 과정에서 발생한 위험․유해물질(HNS) 관련 해상화학사 고에 대하여 국내 및 국외의 주요 사례를 조사․분석함으로써 얻은 교훈을 소개하고, 이러한 교훈을 바탕으로 국내 해상HNS 교육과정 개 선방안을 제시하였다. 6건의 사고사례를 통하여 얻은 교훈을 1) 사고관련정보, 2) 안전, 3) 오염, 4) 대응, 5) 구난, 6) 기타와 같은 6개 분야로 분류하였다. 각 분야의 세부항목별로 요약된 교훈을 바탕으로 해양환경교육원(MERTI) 유해액체물질운반선 해양오염방지관리인 교육과정을 현행 8개 교과목(16시간)의 2일간 교육을 16개 교과목(24시간)의 3일간 교육으로 개선하는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또한 해양경찰교육원 (KCGA) 전문교육 해양화학사고대응 과정을 현행 15개 교과목(35시간)의 5일간 교육을 32개 교과목(48시간)의 6일간 교육으로 개선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해상화학사고 대응에 관한 경험과 교훈을 서로 공유하는 데에 기여하고, 해상HNS사고에 대비한 대응 인력 교육․훈련과정 개선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논문에서는 취향공동체가 오늘날 가장 넓은 범위에서 사회의 구심적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하고 이의 형성과 확산에 관해 분석하였다. 다양성과 다원성을 존중하며, 빠르게 진전되는 비대면 사회에 적응 하기 위해 취향공동체에 관해 진지하게 논의해 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21세기 취향공동체가 사회 구심점 역할을 할 수 있을지에 주목하였다. 코로나로 인하여 비대면 시대가 앞당겨 다가온 현재, 취향이 기술과 결합하여 우리 사회 내 새롭게 공동체를 응집시키는 대안이 될 수 있다고 판단한다. 본고에서는 우선 취향공동체 및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에 관한 선행연구를 진행하였으며, BTS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활용과 팬문화로서의 취향공동체 확산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Leiomyoma is a Benign tumor that develops in smooth muscles and is known to occur more in women in age between 40s and 50s. The most common site of leiomyoma is uterine (95 %). It occurred in oral region is very rare about 0.065 % and usually developed in upper and lower lips, palatal site, buccal site and tongues. The prognosis of leiomyoma is very positive. The recurrence rate is extremely low to 2 % below. In present study, we report a 78 year old female with a lesion located in temporomandibular joint cavity which was suspected as a malignant tumor. Additionally, this paper reports contains a literature review of oral leiomyoma. Rare location with painless leiomyoma of present case will be considered to be caution.
This study considered the rite of passage ceremonial food in the Mid-Choseon Period through the rite of passage ceremonies, food, and ingredients recorded in the Seoul Noble Ohhweemun Family Diary Shaemirok. The research used a contents analysis method through case studies. The noble families in the Mid-Choseon Period deemed the Jerye to be the most significant out of the traditional ceremonies. The nobles practiced the Sadehbongsah and the Yoonhweebongsah ceremonies for their ancestors. The Rite of passage ceremony required fruit. Of fish and birds, pheasants were used frequently during the ceremonies. Noble families, specifically the richer families, could sustainably normalize the rite of passage ceremonies against the elements. Seasonal ingredients were generally harvested even during spring and winter in large amounts. One of the last rites of passage food by Garye displayed diverse ingredients, such as Bangaeng, Myun, Tang, Uhyookjuk, Poe, Chae, Hae, and Silgwa. Such ingredients prove that the normalization of rite of passage ceremony food was well established and practiced. On the other hand, the birthday rite of passage food did not conform to a specific rite of passage normalcy or preparation. Instead, the birthday food showed a flexible menu of seasonal delicacies that were not confined to a particular traditional formula.
1950년대에 종합적 유해생물관리(IPM)의 개념이 발달하기 시작하여 1960년대에는 경제학적 개념이 해충방제에 포함되기 시작하였다. 1970년대부터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종합방제와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었다. 우리나라 병해충 종합방제에 관한 연구는 1970년대 감귤해충에 대한 종합방제연구와 통일계 품종의 보급에 따른 수도해충종합방제연구에서 시작되었다. 우리나라 사과 병해충종합관리 연구는 1980년대 화학 농약을 이용한 방제 및 약제 저항성 연구, 해충 및 천적생태에 대한 연구, 성페로몬에 대한 연구를 시작으로 진행되었다. 1990년대부터는 농가보급을 위한 IPM 연구사업과 현장실증사업이 병행되었다. 2000년대에는 교미교란제를 중심으로 한 해충예찰과 발생모형 개발, 해충에 대한 DB 프로그램 및 정보공유를 위한 네트워크가 구축되었다. 2010년대는 무인예찰 및 자동화기술 개발을 통해 IPM 기술이 확장되고 있다.
플랜트 증기운 폭발은 TNT 폭발물에 의한 폭발과는 다른 특징이 있으며 압력파 양상과 비슷하다. 대표적인 유형의 폭압 산정법은 TNT 등가량 환산법과 멀티에너지법이 있다. TNT 등가량 환산법은 폭굉과 같은 충격파를 전제로 하며, 멀티에너지법은 폭연과 같은 압력파를 전제로 한다. 본 연구는 세 가지 플랜트 폭발 사례를 적용하여 플랜트 증기운 폭발의 적절한 폭압을 도출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폭발 사례에 대하여 피해를 입은 부재를 선정한 후, 단자유도 해석과 비선형 동적 해석을 수행하여 변형과 손상 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구조물의 피해 정도는 TNT 등가량 환산법보다는 멀티에너지법에 의한 폭압을 사용한 경우가 실제 상황에 더욱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멀티에너지법의 폭발강도계수를 7 또는 8로 가정할 경우 증기운 폭발의 폭압 모델을 비교적 정확하게 산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Nurses help patients not lose their humanity to the end in the asymmetrical relationship between medical personnel and patients. Because the nurse's frequent judgments at the clinical site are associated with human dignity, the nurse is required to judge and act ethically, and is responsible for making ethical decisions. Therefore, nurses are trained from nursing colleges to have ethical competence, and such training should be carried out continuously and systematically even after graduation. A Medical Center Nursing Department implements various forms of ethical education to improve the ethical capacity of clinical nurses. Education is divided into four types: lectures, e-learning, workshops and clinical ethics counseling. All education was organized around real-life cases to realize that nursing ethics were not far from the actual work site but the closest problem encountered, and the core theories and issues were repeatedly and continuously exposed so that they could permeate into the nurse's ethical decision-making process. Of course, there are still more tasks to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such as expanding debate-oriented education, promoting clinical ethics counseling, setting up a forum for sharing opinions on ethical issues such as the Ethics Round, but we hope that it will serve as a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better nursing ethics education programs by sharing specific cases of nursing ethics education currently implemented at a tertiary Hospit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