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084

        1361.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예이츠는 신화를 상상과 현실을 이어주고 혼연일체가 되게 해주는 창조적인 매개체로 사용하였다. 그는 신화를 통해 예술과 인생, 자연과 초자연 등을 일체화 시켰다. 예이츠는 그의 시에서 아일랜드 토속 신화, 그리스 로마 신화, 성서 등을 사용하여 문학이 제공할 수 있는 상상력을 극대화하여 현실성을 부여하려 하였다.
        4,000원
        1362.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형식주의비평은 예이츠 연구에서 비교적 주변적 역할을 하고 있다. 최고의 시인이라는 명성이 기교적 탁월함에 근거한다는 일반적 인식을 고려할 때, 이것은 좀 놀랍다. 최근에, 그러나, 벤들러의 선도적 연구는 이 비평적 공백을 메우기 시작했다. 이 글은 예이츠 시에서 구체적으로 서정시 장르와 준서정시로 구분하는 벤드러를 논의한다. 본 논문은, 소네트 형식의 5편의 시에서, 마지막 두 행의 변화(turn)와 수욕적 힘의 대두 사이에 결합이 발생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관찰은 준서정시의 구분의 타당성에 의문을 제기하며, 결론적으로 장르구분의 확인의 한계를 지적한다.
        4,500원
        1363.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예이츠는 테니슨 이후 가장 기교가 뛰어난 시인으로, 스펜서의 시학, 셸리의 시학을 자신의 시학과 연결 짓는 전통을 소중히 여겼다. 그의 현대시에 대한 공헌은 지대하며, 그는 결코 영문학의 시작법을 버리지 않고, 시어, 신택스, 리듬, 톤을 현대화 시킨다. 그는 “현대 시”(1936)에서 “시란 일상어의 리듬을 다듬은 것이고, 그 리듬을 깊은 정서와 엮어주는 것이다.”고 말한다.
        8,400원
        1370.
        2011.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effects of the secondary task with unexpected situation during simulated driving using the variable indicating control of vehicle. The subjects were participated 50s people including 15 males with 29.5±6.7 years of driving experiences and 15 females with 20.1±5.6 years of driving experiences. All subjects were instructed to keep a certain distance (30m) from the car ahead and a constant speed (80km/hr or 100km/hr). Sending text message(STM) and Searching navigation(SN) were selected as the secondary task. Experiment consisted of driving alone for 1 minute and driving with secondary task for 1 minute. It was defined driving phase and unexpected situation phase respectively. Medial-lateral coefficient of variation(MLCV) of car movement was analyzed for evaluating lane keeping in this study. In the results, MLCV was increased by 118.3% at 100km/hr. In the case of secondary task, MLCV in STN and in SN were increased by 235.1% and 290.3%,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In case of driving at high-speed and with secondary task, it may be disturbed constant control of the vehicle when unexpected situation appeared suddenly.
        3,000원
        1371.
        201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인간은 누구나 자연으로의 回歸와 名利를 추구하는 현실 安住의 矛盾된 개념 이 意識속에 內在해 있다. 인간이 世慾을 버리기는 쉽지 않지만 超然히 마음을 비우고 歸去來의 삶을 실천한 사람은 전설 속의 許由, 춘추시대 吳나라의 季札, 後漢光武帝의 벗 嚴子陵, 東晉의 陶淵明, 우리나라의 元天錫(1330~?), 南道振 (1674~1735), 李夏坤(1677~1724) 같은 분들이 있다. 麗末三隱의 한 분인 吉冶隱도 高麗의 滅亡이라는 時代狀況에서 隱逸의 삶을 선택한 분이다. 冶隱의 文學이나 思想, 節義등에 관해서는 이미 여러분의 論稿 가 나와 있고, 야은의 思想的·節義的측면을 살피면서 文學的특성을 살핀 論議 의 방향도 크게 다르지는 않다. 本稿의 목적은 麗末三隱에 대한 再檢討와, 冶隱의 文學에 나타난 삶과 隱逸의 정신적 배경을 살피는 데 있다. 아울러 새로 발견된 冶隱詩稿를 소개하는 것도 이 논문의 목적 중 하나다. 論旨를 전개하면서 그때그때 先行硏究의 성과를 살피되 이미 잘 알려진 내용은 再論하지 않고, 本稿에 꼭 필요한 부분들만 살피겠다.
        9,300원
        1372.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표준규격제는 농산물을 표준출하규격에 맞도록 등급을 매겨 분류하는 것으로 상품성 향상, 유통효율 제고, 공정한 거래 실현에 기여한다. 현재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에 표준규격이 고시된 버섯은 5종으로 느타리, 큰느타리, 팽이, 양송이 영지 등이 있다. 하지만 지금의 품질규격은 지나치게 엄격하여 재배 농가에서 규격을 맞추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버섯 품목 및 생산조건에 적합하도록 표준규격을 수정, 보완할 필요가 있다. 그 중 양송이버섯의 수확 및 유통 시 품질규격과 저장온도별 품질변화 조사 실험을 위해 농가에서 수확한 양송이버섯과 농산물 경매장에 유통된 양송이버섯을 4℃, 10℃, 20℃에 나누어 저장하며 품질 및 규격을 조사하였다. 농가 출하 시 양송이버섯의 등급별 갓직경은 특품 45.42mm, 상품 40.28mm, 중품 37.64mm로, 주로 갓 크기로 품질등급을 나눈 것을 알 수 있고, 농산물 경매장의 양송이버섯 등급별 갓직경은 특품 43.3mm, 상품 36.13mm, 중품 36.85mm로 농산물 표준규격의 기준과도 차이를 보이며, 갓 크기보다 갓 색으로 품질을 매기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양송이버섯은 저장기간이 지남에 따라 갓직경이 1~2mm 정도 커졌으나 부패가 빨리 진행되어 크기의 변화는 작았다. 그 외에 경도, 색, 대길이 등을 조사하여 농가 출하 및 유통 시 양송이버섯의 품질규격 현황을 알아보았고, 향후 양송이버섯 및 기타 버섯의 실제 등급 구별 기준 조사를 통해 실상에 맞는 표준규격을 설정하여 안정적 고품질 생산물 관리로 소비자 신뢰도 향상을 기대한다.
        1373.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병재배시설의 자동화에 의한 버섯 대량생산은 공급과잉에 따른 장기적인 가격하락을 초래하였으며 배지재료, 유류가, 전기요금, 인건비 등의 비용 상승은 버섯재배 농가의 경영을 어렵게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여건에서는 재배에 실패하지 않고 연중 안정적으로 버섯을 생산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일이다. 병재배의 배지는 영양원을 첨가하므로 질소함량이 1.5~2.1%로서 배지의 제조, 입병, 살균 과정에서 시간이 지연되면 배지가 변질될 염려가 있는데 특히 여름철의 고온기에는 더욱 그러하다. 배지의 변질 경감을 위하여 탄산칼슘을 첨가하여 팽이버섯을 재배하였을 때 그 효과에 관하여 탄산칼슘이 균사의 대사산물로 서 자실체의 생장에 유해한 암모니아나 수산을 중화1) 시키고, 미강의 오레인산을 중화2) 시키기 때문에 균사생장을 촉진하고 자실체 수량도 증가시킨다고 하였다. 반면에 윤(1969)3)은 탄산칼슘 0.3%첨가시 균사생장에 영향이 없었고 탄산칼슘 0.3%와 질산칼리 0.2%를 혼합첨가시 균사생장은 촉진하였으나 이들 모두 자실체 수량에는 영향이 없었다고 하였으며, 장(1975)4)도 탄산칼슘 첨가수준이 균사생장 촉진효과는 있었으나 자실체 수량에는 영향이 없었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실험실 또는 매우 적은 재배 규모로서 현재의 1만병 이상의 배지제조 수준과는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시험은 큰느타리 병재배배지제조시 배지의 변질방지를 위하여 첨가하고 있는 탄산칼슘 급원으로서 탄산칼슘분말과 패화석분말을 배지 건조중량에 대하여 각각 0.2%, 0.5%, 1.0%. 2.0%씩 첨가하였다. 이때 기본배지는 미송톱밥+미강+건비지 75:20:5 (v/v, %)의 비율로 하였다. 그 결과 탄산칼슘은 1.0% 첨가하였을 때 큰느타리 자실체 수량이 131g/850ml로 2% 증수하였으며, 패화석분말 은 1.0% 첨가하였을 때 141g으로 10% 증수를 보였다. 이때 대조구의 수량이 128 g/850ml으로 많은 편은 아니므로 직접적인 증수효과라고 하기보다는 배지의 안정화에 의한 간접적인 효과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0.2%첨가시에는 효가가 인정되지 않았고, 0.5%와 2.0% 첨가시는 오히려 수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보아 배지종류나 재배농가의 여건에 따라서 최적첨가비율의 재설정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1374.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수입 의존도가 높은 버섯 배지 원료가격이 급등하여 농가 경영비가 가중되는 실정이다. 본 시험은 쉽게 구할 수 있는 농산부산물인 왕겨를 이용하여 느타리버섯 재배용 저가 배지를 개발하고자, 수한느타리를 시험재료로 사용하고 포플러톱밥:비트펄프:면실박=6:1:1(v/v)의 관행 배지 중 톱밥을 왕겨로 대체하여(혼합 비율 25, 50, 75, 100%) 배지 오염율, 자실체의 특성 및 수량 등을 조사하였다. 1. 푸른곰팡이에 의한 배지 오염율은 왕겨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급격히 증가되어, 1차시험에서는 0.8%, 2차에는 8.5%, 3차에는 12.4%가 감염되었고, 3차 시험의 왕겨 100% 처리구는 25%였다. 2. 총 생육일수는 왕겨 혼합비율이 높아질수록 발이일수 및 생육일수가 지연되어 1∼2일 늦어지는 경향이었다. 3. 버섯 생육도 같은 경향으로 유효경수 및 개체중이 저하되어 수량은 왕겨 혼합비율이 높아질수록 각각 8∼25% 정도 감소되었다. 4. 왕겨를 이용한 배지는 농가의 배지 재료 구입비 부담을 줄일 수는 있지만, 푸른곰팡이 감염에 의한 배지 오염, 재배사 오염 등 농가에 상당한 피해가 우려되었다.
        1375.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꽃송이버섯 톱밥재배 초기배양시 주 오염원으로 문제시 되고 있는 푸른곰팡이에 대한 꽃송이버섯과의 대치배양을 통한 균사생육 특성을 파악하고 푸른곰팡이에 대한 저항성균주를 색출하고자 본연구를 수행하였다. 푸른곰팡이 공시균주는 경상대학교 산림자원학과에서 분양받은 6951(T. viride) , 6426(T. harzianum) 등 2개균주와 우리소에서 주로 발생되고 있는 푸른곰팡이균(6952; T. viride)을 자체수집하여 본 실험에 대치배양 균주로 사용하였고 푸른곰팡이 균주와 대치배양에 사용할 꽃송이버섯 균주는 1차년도에 우량균주로 자체 선발한 10개균주(JF 02-06, JF 02-12, JF 02-15, JF 02-17, JF 02-26, JF 02-27, JF 02-29, JF 02-36, JF 02-41, JF 02-42)를 공시균주로 사용하였다. 톱밥 배양시 발생되는 대부분의 푸른곰팡이 오염이 배양실의 잡균에 의해 살균미숙보다는 배양실에서 오염되는 특성이 대부분인 점을 감안하여 먼저 꽃송이버섯균 10개 균주를 20일전에 PDA(Potato Dextrose Agar) 배지 좌측에 접종하여 25℃에서 20일간 항온배양을 실시한 후 우측에 서로 다른 3개의 푸른곰팡이 균주를 접종하여 20일동안 대치배양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푸른곰팡이 균주인 6951(T. viride)과 6952(T. spp.) 균주는 꽃송이버섯 균주가 생육이 왕성하였을 경우에는 경계침범을 하지 못하고 서로 대치배양을 하는 특성이 있었으나 이와 반대로 푸른곰팡이 6426(T. harzianum) 균주는 꽃송이버섯 균주의 생육 왕성시에도 경계를 침범한 후 표면을 덮고 수많은 포자를 형성하는 것을 알수 있었다. 따라서 균주배양 및 버섯발생시 T. harzianum 균주에 의해 오염이 되지 않도록 각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만약 오염이 되었을 경우에는 배양실을 살균소독 한 후 오염된 배지는 재배사와 떨어진 곳에 폐기처분을 실시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저항성 균주 선발을 위한 실험을 실시한 결과 6951, 6952균주에서는 꽃송이버섯 10개균주 모두에서 저항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6952균주에서는 포자를 빨리 형성하는 특성을 가져 이 균주에 오염될 경우 재배사내에서 빠른 확산이 우려되었다. 또한 6426균주는 매우 빠른 균사생장을 보일 뿐만아니라 6952균주와 마찬가지로 포자를 빨리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6952균주 보다 더 위험한 요인으로는 꽃송이버섯의 균사가 생장이 왕성한 부위까지 푸른곰팡이 균사가 2차로 침범하여 포자를 형성는 특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나 만약 농가에서 꽃송이버섯 재배중 6426균주에 오염되었을 경우에 그 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특이하게 도 10개 균주중 구례에서 채집한 균주인 JF02-06에서는 푸른곰팡이가 포자를 형성하지 못하는 것을 알수 있었다. 따라서 JF02-06균주는 비교적 다른 꽃송이버섯 균주에 비해 6426(T. harzianum) 균주에 저항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1376.
        201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ot posture is important in the development of the musculoskeletal structure in the lower limbs because it can change the mechanical alignment. Although foot orthotics are widely used for the correction of malalignments in the lower extremities, the biomechanical effects of wedges have not yet been clear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medial wedges affect the electromyographic (EMG) activity of the knee and hip joints in healthy adults that are performing one leg standing. Seventeen healthy volunteers performed the one leg standing under two foot conditions: A level surface, and a medial wedge. The subjects' EMG data for the gluteus maximus (Gmax), gluteus medius (Gmed), tensor fasciae latae (TFL), biceps femoris (BF), vastus lateralis (VL), and vastus medialis oblique (VMO) were recorded, along with the surface EMG, and all were analyzed. The EMG activity of the Gmed and TFL had significantly decreased under the medial wedge condition during one leg standing. Further study is needed in order to investigate whether medial wedges influence the EMG activity and kinematic data of the knee and hip joints as well as the ankle joints in adults with flexible flatfoot, while they are performing one leg standing.
        4,000원
        1377.
        201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task-oriented approach on weight-bearing distribution and muscular activities of the paretic leg during sit-to-stand movement in 18 chronic stroke patients. Both groups were received neurodevelopmental treatment for 30 min/day and then the experimental group (=9) followed additional a task-oriented approach (sit-to stand training with controlled environment) and the control group (=9) followed a passive range of motion exercise for 15 min/day, five days/week, for four weeks. Weight-bearing distribution and muscular activities of the paretic leg during sit-to-stand movement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four weeks of training. There was significantly improved weight-bearing distribution of the paretic leg during sit-to-stand move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group after four weeks of training (p<.05). But electromyographic activities of the quadriceps and the tibialis anterior of the paretic leg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5). Thus, it is necessary to apply a task-oriented approach to improve the weight-bearing distribution of the paretic leg during sit-to-stand movement in chronic stroke patients.
        4,000원
        1378.
        201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igh heeled shoes with the total contact insert (TCI) on the frontal plane of the joints for the lower extremity during the gait. Ten healthy females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 height of the high heeled shoes was 7 cm. A three-dimensional motion analysis system (VICON) and force plates were used to analyze the movements of the joints for the lower extremiti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for the angle value on the event of the gait cycle in the maximum eversion and inversion of the ankle joint, the varus and valgus of the knee joint, and the adduction and abduction of the hip joint (p>.05).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r the range of motion in the ankle joint (p<.05). The value of ankle and knee moment with a TCI was less than the value for no TCI.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for the moment value of the maximum inversion and eversion on the ankle joint and for the maximum varus and valgus on the knee joint (p<.05). Therefore, a TCI would be effective in stabilizing the joints of the lower extremities and increasing the balance of a body to reduce the injure from a fall during the gait.
        4,000원
        1379.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제주도 서귀포시 도순동에 위치한 조사 다원은 1982년 조성 되어 2008년부터 유기재배로 전환하여 차를 재배하고 있다. 본 연구는 관행재배기(2002~2007년)와 유기재배기(2008~2009년) 차나무 주요 해충의 발생 밀도를 비교하여 유기재배 후 해충의 발생 변화를 조사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차응애는 두물차 생육기인 5~6월에 밀도가 높으며 6월 말부터 밀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관찰 되었고, 유기재 배와 관행재배에서는 발생 밀도의 차이가 없었다. 오누키애매미충은 관행재배에 비해 유기재배에서는 두물차 생육기 밀도가 높고 이후 밀도가 낮아져 이 시기에 집중적으로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볼록총채벌레는 관행재배에서 두 물차기와 세물차기에 높은 밀도를 보였지만, 유기재배 전환 후 발생 밀도가 낮게 나타났다. 차잎말이나방은 연 4회의 발생을 볼 수 있었고, 유기재배 첫해인 2008 년은 성페로몬 트랩 당 연간 771.2마리로 높은 발생 밀도를 보였지만, 2년 차인 2009년은 트랩 당 연간 80마리로 낮은 밀도를 나타내어 해마다 발생 밀도의 차이 가 크게 나타났다. 동백가는나방은 연간 5회의 발생 피크를 보였으며, 유기재배 첫 해인 2008년은 트랩당 평균 2,779마리가 2009년은 4,143마리가 유인되어 유기재 배 후 밀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유기재배 전환 후 볼록총채 벌레와 차잎말이나방은 유기재배 전환 후 밀도가 감소하였으며, 동백가는나방의 밀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응애와 오누키애매미충은 두물차 이후에는 발생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380.
        201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本文研究遼金時期山東詩人的用韵, 全面考察了山東地區的韵部系統, 希望补充一些遼金时代用韵資料。本文考察了遼金時期山東詩人的3399首 3705箇韻段,其硏究結果如下: 遼金時期山東詩人型式上的特点是一、道士詩的比率高,二、全真七子 詩裏有一字韻,藏頭詩和“攒()字”(括號里是数字,一般是二、三、五等数 字)等特殊韻例。 遼金時期山東詩人用韵上的特點是一、道士詩裏用仄聲韻的近體詩比較 多, 二、近體詩用韵體系归为十六个韵部:陰声韵七个韵部(歌戈、家麻、 魚模、尤侯、皆来、支微、蕭豪)、陽声韵九个韵部(真文、先仙、寒山、 侵尋、覃銜、鹽添、東鍾、陽唐、庚青)。古體詩的用韵體系归为18个韵 部:陰声韵七个韵部與近體詩相同、陽声韵七个韵部(真文、寒先、侵尋、 覃咸、東鍾、陽唐、庚青)、入声韵4个韵部(屋烛、鐸覺、薛月、德質),三、出現韵部之間的合韵:尤侯部與魚模部,支微部與皆來部,先仙部與寒 山部,眞文部與寒先部,侵尋部與覃咸部,陽唐部與東鍾部,還有三个陽声韵 尾之間的合韵,四、入声韵的韵部比較乱。而且數量少,因此不好歸納爲完 整的韻部系統。
        6,1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