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당호와 북한강, 남한강 및 경안천의 3개 지류에서 식물플랑크톤에 의한 일차생산력과 광합성 parameter의 계절적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92년 4월, 8월과 10 월 그리고 93년 5월에 걸쳐 4회의 조사를 행하였다. 정점과 계절에 따른 secchi-depth는 0.8 (92년 10월, 경안천 정점 3)에서 2.0 m (92년 4월, 팔당댐 정점 4)까지, chl. a값은 1.7 (93년 5월, 남한강 정점 2)에서 32.8 mg m-3 (92년 8월, 팔당댐 정점 4)까지 변화하였다. 단위체 적당 일차생산력은 92년 8월(605~672 mgC m-3 hr-1)에 가장 높았으며, 정점 사이에서는 경안천 정점 3 (75~ 111 mgC m-3 hr-1)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이외의 정점에서는 16~68 mgC m-3 hr-1의 값을 보였다. 단위면 적당 일일 일차생산력은 역시 92년 8월에 가장 높았으며(8,195~9,341 mgC m-2 day-1), 92년 4월과 10월 그리 고 93년 5월에는 유사한 값을 보였다. 단위면적당 일일 일차생산력은 광도, 유광층의 깊이와 온도에 의해 영향 을 받는 것으로 밝혀졌다. Pmax와 α값은 8월에 가장 높았고, 정점간의 비교에서는 북한강 정점 1에서 가장 높았으며, 팔당댐 정점 4에서 가장 낮았다. 8월(하계)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은 4, 5월(춘계)과 10월(추계)에 비해 강한 빛에 적응되었다. Pmax와 α값은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Pmax와 Ik 그리고 Ik와 α 사이에는 상관관계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There were few data for the distribution of the indicator organisms in the commercial plant foods, and for the normal flora and for the foodborne agents within the country. First of all it must be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of the indicator organisms. And also it is very important to prepare the sanitation criteria for the plant foods through the microbiological e×amination and the investigation of tendency to change of the indicator organisms according to the storage temperature and period. The average number of total viable counts for grains was 2.9 × 10^5/g, psychrophilic bacteria 2.9 × 10^6/g, heterotrophic bacteria 3.1 × 10³/g, heat-resistant bacteria 2.1 × 10³/g Pseudomonas aeruginosa 23/g. That for beans was 6.3 × 10²/g, psychrophile 34/g, heterotroph 1.7 × 10²/g. That for sesames was 1.4 × 10^5/g, coliform 350/g, psychrophile 7.4 × 10⁴/g, heterotroph 5.8 × 10⁴/g, Pseud. aeruginosa 2.3 × 10³/g. heat-resistant bacteria 150/g. That for potatoes was 2.0 × 10^7/g, coliform 5.0 × 10⁴/g, psychrophile 1.8 × 10^7/g, heterotroph 1.4 × 10^7/g, heatresistant bacteria 3.3 × 10¹/g, Staphylococcus 2.7 × 10^5/g, fecal streptococcus 4.5 × 10³/g, Pseud. aeruginosa 7.0 × 10³/g. That for mushrooms was 1.2 × 10^8/g, psychrophile 9.4 × 10^7/g, heterotroph 1.0 × 10^9/g, heat-resistant bacteria 1.6 × 10^5/g, Pseud. aeruginosa 1.3 × 10³/g. That for vegetables was 5.9 × 10^(11)/g, coliform 1.8 × 10^6/g, psychrophile 1.1 × 10²/g, heterotroph 8.4 × 10^(11)/g, heatresistant bacteria 7.6 × 10^6/g, Staphylococcus 1.1 × 10^7/g, fecal streptococcus l.1 × 10⁴/g, Pseud. aeruginosa 5.2 × 10⁴/g. That for nuts 3.9 × 10⁴/g, coliform 3.9 × 10³/g, psychrophile 4.0 × 10^8/g, heterotroph 3.2 × 10^8/g, heat-resistant bacteria 400/g. In commercial grains and beans, SPC, psychrophile, heterotroph and heat-resistant bacteria stored at 10℃, 20℃, 30℃ were constant. Staphylococcus, coliform, Pseud. aeruginosa were decreased a little in grains, but were not detected in beans. In mushrooms, all indicator organisms were increased as time goes on and were increased rapidly at 20. In sesames, coliform was not detected at all temperature. psychrophile was increased for 7 days, the otners were constant. In potatoes, SPC, psychrophile, heat-resistant bacteria, heterotroph had a tendency to increase and the others were constant. In vegetables, indicator organisms were had a tendency to increase, psychrophile, heterotroph were rapidly increased after 7 days. In nuts, SPC, coliform, psychrophile, heterotroph, heat-resistant bacteria, Pseud. aeruginosa were constant, staphylococcus and fecal streptococcus were not detected.
한려해상국립공원 거제도 학동지역 동백나무림 천연기념물의 식물군집구조와 식생관리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대상지에 46개 조사구를 설정하였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DCA분석과 평균상대우점치 분석 결과 46개 조사구는 동백나무군집, 동백나무-사스레피나무군집, 동백나무-참식나무군집. 편백-동백나무군집 등 4개 군집으로 나누어졌다. 군집별 천이경향은 동백나무-참식나무군집은 참식나무로의 생태적 천이가 진행될 것이며, 나머지 3개 군집은 현 상태로 유지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대상지의 식생관리는 천이억제형 식생관리가 바람직 할 것으로 보이며, 식생관리에서 제거해야 할 수종으로 단기적으로는 편백. 참식나무, 사스레피나무 3종이며, 까마귀쪽나무, 후박나무, 나도밤나무, 산벚나무, 졸참나무 등 5종은 장기적인 관리대상 수종이었다.
본 조사는 1998년 5월부터 9월까지 총 8일간 한려해상국립공원 지역의 관속식물상을 조사한 결과 125과, 396속, 573종, 83변종, 11품종 3교잡종 총 670종류(taxa)로 조사되었다. 이 중 남해지역은 117과, 296속, 373종, 53변종 7품종, 3교잡종 총 436종류(taxa), 가라산지역은 73과, 129속, 153종, 16변종 2품종 총171종류(taxa), 통영지역은 97과 280속, 475종, 53변종, 5품종, 1교잡종 총 434종류(taxa)로 각각 조사되었다. 한려해상국립공원 지역은 도로와 이들 주변의 위락시설 및 관상수 농장 등으로 인해 다른 국립공원 지역과 비교할 때 식생의 파괴가 심각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들 지역의 특징적인 식생과 식물상을 적극적으로 보전하기 위한 대책이 시급히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조사는 임하댐을 대상으로 상.중.하로 구별하여 호수내에 16개 정점, 유입하천에 3개의 정점등 모두 19개의 정점을 선정하여 1996년 8월 5일과 9월 10일에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성, 현존량, 우점종 그리고 각 지수를 조사하였다. 본 조사에서 동정된 식물플랑크톤은 6강 13목 6아목 25과 66속 143종 27변종 1품종으로 모두 171종류였다. 현존량 변화에서 표층은 47.350×103 ~184.65×103 ind
고리원전 주변 해역에서 1995년 11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총 13회의 현장조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식물플랑크톤은 총 162개 분류군(미동정종 포함)이 출현하였으며 그중 규조류가 총 120종이 출현하여 가장 많은 종수를 보였고 규질편모류 3종, 와편모조류 34종, 유글레나조류 2종, 녹조류 1종, 기타편모류 2종 등이 출현하였다. 규조류 종인 Skeletonema costatum은 연중 우점종으로 기록되었다.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의 월 평균값
수생식물을 인공호의 수질개선에 이용할 수 있는지의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수식물인 갈대, 애기부들 그리고 줄의 생산량과 영양염류 흡수량을 조사하였다. 갈대와 애기부들 그리고 줄은 단위 면적당 지상부 최대생산량이 각각 3,504 g/m2, 2,834 g/m2, 3,125g/m2이었다. 이들의 지상부와 지하부의 비를 조사한 자료를 이용하여 계산된 지하부 현존량은 갈대, 애기부들, 줄이 각각 9,671g/m2, 5,158 g/
본 시험은 병원성 사상균에 길항작용이 있고 식물의 생육을 촉진하는 세균을 이용하여 연작 및 비연 작토양에 있어서 옥수수(Zea may L.)의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옥수수는 전남대학교 농과대학 부속동물사육장내 vinyl house에서 자연광 상태에서 p o t ( 30 × 50 c m ) 로 재배한 다음 파종 후 50일 및 90일에 수확하여 건물중을 조사하였으며, 시험토양은 연작 및 비연작지의 양토와 버미큘라이트를 1:1 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본 시험에 이용된 세균은 목초근권에서 직접 분리한 Bacillus subtilis 였다. 연작 및 비연작 토양 모두 B. subtilis 처리구에서 옥수수의 건물중이 B. subtilis 무처리구보다 그리고 병원성 사상균 처리구보다 증가되었다. 그리고 비연작 토양에서 생장한 옥수수의 건물중은 연작토양에서 보다 증가하였다. 옥수수의 생장에 있어서 B. subtilis 접종효과는 연작토양보다 비연작토양에서 좋게 나타났다. 그러나 연작 및 비연작토양 모두 병원성사상균을 접종함으로써 옥수수의 건물중은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4품종의 알팔파(Medicago sativa L.) 종자로부터 직접 캘러스를 유도하고, 형성된 캘러스로부터 식물체를 재분화하는 조건을 확립하였다. 공시품종중 "Vernal" 품종이 캘러스 유도 및 재분화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SH(Schenk and Hildebrandt), MS(Murashige and Skoog), N6(Chu) 배지중에서 SH 배지가 캘러스 유도와 재분화시에 모두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캘러스 유도 및 증식시에는 2,4-D 3 m g / ℓ 을 첨가한 조건이 가장 효율이 좋았으며, 식물체 재분화 조건은 5 m g / ℓ 의 NAA (1-naphtalene acetic acid)와 2 m g / ℓ 의 kinetin (6-furfurylaminopurine)을 첨가한 배지에서 28~30일간 배양하고, 11 m g / ℓ 의 2,4-D와 1 m g / ℓ 의 kinetin을 첨가한 배지에서 3~5일 배양한 다음, 1.6 g / ℓ 의 ammonium sulfate와 5.75 g / ℓ 의 proline을 첨가한 배지에서 21~25일 배양하며 재분화를 완성한 조건 3이 가장 효율이 좋았으며, 캘러스로부터 완전한 식물체로 재분화되는데 필요한 시간은 약 52~60일이었다.
충남 홍성에 위치한 백동 사문암지역에서 암석 및 토양에 함유되어 있는 중금속 함량과 이 지역에서 생육하고있는 소나무 및 리기다소나무에 의해 식물체의 부위별로 흡수된 중금속 농도를 다른 모암지역(각섬석 편암 및 편마암)과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암석의 경우 사문암의 Ni, Cr, Co, Fe 농도가 각섬석 편암 및 편마암에 비해 더 높았다. 상부토양도 암석과 매우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어서, 특히 Ni, Cr, Co, Fe는 사문암토양이 가장 높았고, Zn과 Sc는 각섬석 편암이 더 높았다. 소나무의 평균 중금속 함량은 사문암지역에서 Ni, Cr, Co, Au, As, Sb. W농도가 가장 높았으며, 이 중 Ni, Cr, Co는 암석 및 토양내 높은 함량 변화와도 일치하였다. 그외에 Zn, Sc는 각섬석 편암지역이 높았으며, Fe, Mo는 편마암이 각각 높았다. 같은 사문암지역에 분포하는 두 수종을 비교하면 대부분의 원소에서 소나무보다 리기다소나무내 함량이 더 높았으며(Ni 및 W은 예외), 이로 보아 식물체로의 중금속 흡수량이 리기다소나무가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식물체의 부위별로 비교해 보면 두 수종 모두 모암의 구별없이 대부분 원소에서 뿌리부분이 지상부보다 흡수량이 높았다. 사문암지역에서 대부분 원소(Ni, Cr, Co, Zn, Sc, Fe)의 상대적인 비(평균 식물체 함량/토양 함량)는 모두 사문암보다 각섬석 편암이나 편마암지역에서 더 높았다. 특히 편마암지역은 Zn을 제외하고 전 원소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조사는 1997년 6월부터 1998년 6월까지 4회에 걸쳐 조사된 경포대 일대의 관속식물 종조성과 우점종군을 분석한 결과이다. 그 결과 본 지역에서 조사된 관속식물은 87과 240속 281종 51변종 7품종으로 총 339종류가 조사되었으며, 이중 노랑갈퀴, 오동나무(재), 개쑥부쟁이 등 3종은 한국특산종이다. 양치식물계수는 0.61로 나타났으며 귀화식물은 12종류로 이는 우리나라 귀화식물 218종류의 5.5%에 해당한다. 우점종은 해송과 소나무로 대표되었으며 교목층과 아교목층은 소나무와 해송, 관목층은 해송, 소나무, 산벗나무, 초본층은 큰기름 새, 김의털, 장구채, 쑥, 애기수영, 닭의장풀, 털질경이 등이 우점하였고, 전체적으로는 아교목층과 관목층이 매우 빈약한 불안정한 임상구조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천공단 주변 산림지역의 식물군집구조를 밝히고 13년간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300m2 조사구를 27개소 설정하였다. DCA ordination분석 결과 곰솔군집, 곰솔-참나무류군집, 곰솔-사스레피나무군집, 소나무-곰솔군집, 소나무군집으로 나누어졌다. 5개 군집의 천이경향을 살펴보면 곰솔-참나무류군집, 소나무-곰솔군집은 졸참나무, 상수리나무를 중심으로한 참나무류군집으로 변화될 것이며, 곰솔군집, 곰솔-사스레피나무군집, 소나무군집은 현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5개 군집의 토양산도는 pH 4.38~4.61로 산성토양이었으며, 유기물함량, 치환성양이온(C a++, Mg++, K+)함량은 전국토양의 평균치보다 낮은 상태로 불량하였다. 13년간의 식물군집구조와 토양특성변화를 살펴보면 종수, Shannon의 종다양도, 최대종다양도에 있어 1983년보다 1996년이 높아졌으며, 토양특성도 동일한 경향이었다.
1997년 3월부터 9월까지 총 5차례에 걸쳐 가야산국립공원지역의 관속식물상을 조사한 결과, 100과 323속 522종 1아종 83변종 5품종 2교잡종 613종류로 조사되었다. 가야산국립공원지 역에서 솔나리, 백리향, 개불알꽃, 뻐꾹나리, 구상나무 등의 멸종 및 희귀식물의 자생지를 확인하였다. 이번 조사에서 새로 밝혀진 식물은 부들, 점현호색 자난초 등 100종이며, 도로를 따라 외래식물의 침입이 활발한 것으로 밝혀졌다. 가야산 국립공원에는 산림청 및 환경부 지정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총 14종류로 나타났으며 이들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에 대한 보존대책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