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utilizes the IP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method to assess the importance, possibility, and urgency of using blockchain technology for fisheries sectors and the related policies. Based on a field survey targeting experts and stakeholders in the fisheries and blockchain technology sectors, the following major results and corresponding implications are drawn. First of all, the respondents of our survey have an outlook that the introduction and utilization of blockchain will be required in four major parts. These parts include i) the seafood’ information system managed by the government or public institutions, ii) traceability and certification process for domestic and foreign seafoods, iii) meeting the need of seafood safety from consumers, and iv) taking prompt actions to seafood safety related accidents. Next, the seafood information system managed by the government or public institutions has been limited in maintaining information consistency and continuity once the fisheries ministries and departments are integrated, closed or partially transferred. Thus, it is assessed that the technology will be able to improve consistency and continuity of the seafood information in case of applying blockchain to the seafoo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This result that blockchain is necessary for the seafood information system have a significant implication in Korea’s seafood management which has been independently controlled until now. Lastly, the application of blockchain to seafood traceability and certification systems has the most well-known cases through international and domestic pilot projects, and the results of our survey reflect this reality. Our results contribute to showing an additonal characteristics of blockchain in the fisheries sector, resulting in the possiblity that blockchain can be used for taking swift steps in the event of seafood safety accidents and meeting the need of seafood consumers for safety.
본 연구는 코로나19 유행 시기 간호대학생의 코로나19에 대한 불안, 위험인식, 정보이해력, 감염예방행위 이행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2020년 6월 8일부터 6월 14일까지 간호대학생 22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을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다. 간호대학생의 불안정도는 6.86점(최대10점)으로 보통 수준이었으며, 위험인식은 8.19점(최대10점), 정보이해력은 3.50점(최대4점), 감염예방행위 수행정도는 4.44점(최대5점)으로 높은 수준이었다. 감염예방행위는 불안정도, 위험인식, 정보이해력이 높을수록 수행정도가 높았다. 코로나19와 같은 신종감염병이 유행할 때는 감염에 대한 불안감과 위험인식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감염병에 대한 충분한 정보제공으로 감염병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다. 신종 감염병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철저한 감염예방행위를 향상 시키므로 감염병 전파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대전역광장의 장소적 특성, 기능과 이용현황 등의 조사 분석을 통해 현황특성을 파악하고, 이전 연구들을 토대로 일반적인 역 광장의 기능 형성요인을 도출하여 이를 분석하고 부족한 부분을 전문가 인식조사를 통해 파악하여 대전역광장의 문제점과 이용객들의 만족도를 조사 분석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적절한 활성화방안을 도출하고자 수행되었으며, 대전광역시의 가장 큰 관문인 대 전역을 중심으로 하는 원도심 지역 활성화계획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대전역광장 이용객들은 대전역광장의 정체성에 대해 낮은 평가를 하고 있었고, 광장의 환경 및 경관 적 측면이나 이용에 필요한 기능적 측면에 있어서도 상당히 부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었다. 특히 기존 에 설치된 시설물과 상징 조형물들에 대해서는 그 의미를 이해하기 보다는 부적절한 시설물들로 인 식하고 있었으며 대전역광장을 안전하지 않은 공간으로 인식하여 머물거나 약속의 장소로 전혀 이 용하지 않았으며 대전역을 이용하기 위한 이동공간 정도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개선방향에 대해서는 대전역의 역사적 상징성을 나타 낼 수 있는 공간이면서 휴게공간과 녹지를 포 함한 다양한 편의 시설을 갖춘 이용객 친화적 공간이 되기를 바라고 있었다. 따라서 대전역광장을 이용객들의 외면을 받는 공간이 아니라 기능적인 향상과 더불어 아름다운 경관성과 역사성을 가지 는 대전역광장만의 정체성을 확립하여 이용객들의 휴식과 만남의 중심공간으로 재탄생 될 수 있는 종합적 활성화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Recently the meaning of the road name address is expended as an information through the revision of the Road Name Address Act. As this revision, the address of things (AoT) become more important indicating the possibility for the expansion to the related business. However, recent study about AoT does not concern how the current priority system works from the first research. In this study, we analyze perception about addressable object between AoT experts and public using AHP analysis. We structured the importance of addressable objects as two categories; urgency and value creation. The necessity in emergency or daily, accessibility and welfare conform the urgency index. Meanwhile, public value creation in public domain or profitability in the business area and economics conform value creation index. We conducted survey for total of 89 of experts and public.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e relative importance of AoT measured by experts and public. Generally, public tend to concern more about accessibility conforming the urgency index than experts. Moreover, the public WiFi and the sports complex scored the high priority among the remain addressable objects, in respect of the urgency and the value creation. This result could be implemented for the activation of the smart city industry base on the geospatial information including AoT.
본고는 『석명』에 수록된 글자 중에서 유가철학적 인식의 특징이 보이는 글자들을 대상으로 분석하고 그 의미를 찾아본 것이다. 漢朝의 신유학은 정치의 시녀로 전락 하였다는 점과 도가와 법가 등 여러 사상이 혼재되었다는 점 등에서 非儒라고 비판 하기도 한다. 하지만 漢朝의 유학과 사상, 문화 등은 이후 중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전반에 걸쳐 직접적인 문화적 영향을 끼쳤다는 점에서 우리는 반드시 다양한 각도에서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시기라고 생각한다. 이런 점에서 『석명』의 字釋은 그 당시 사회적 문화적 상황에 대한 작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석명』의 仁· 誼·禮와 德에 대한 관념, 그리고 선악과 시비에 대한 유희의 해석에는 선진유학의 전통적인 유가철학적 관점과 더불어 동중서의 신유학적 관점도 함께 공존하고 있어서 동중서의 유학관이 유희가 살았던 漢朝 말기까지 널리 퍼져 있었고 영향을 끼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기업 간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통상적인 방법으로 기업이 경쟁에서 이길 수 없게 됨에 따라서 모든 조직들이 혁신을 간구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서 조직혁신을 증진하는 다양한 노력을 시도하는 가운데, 개인 수준의 행동을 통해 조직혁신을 도모하고자 혁신행동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런 배경 속에서 탄생한 혁신 행동은 꾸준히 주목을 받아왔고, 그와 더불어 혁신행동을 증진하는 방안에 대해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오고 있다. 최근 혁신행동에 대한 종합적 문헌연구를 실시한 Kwon & Kim(2020)의 연구에서는 혁신행동의 선행요인으로서 개인특성의 중요성이 매우 낮게 다루어졌다. 이에 본 연구는 개인특성과 혁신행동 간 관계를 다룬 기존 연구를 간략히 살펴보고,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기존 연구에서는 성격과 혁신행동 간 관계에 대해서는 많이 연구되었으나, 이외의 개인특성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를 다룬 연구는 매우 부족한 편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혁신행동 연구 초기에 다루어졌던 개인 특성인 문제해결 방식과 최근 주목받고 있는 개인특성인 핵심자기평가에 주목하게 되었다. 그리고 성격과 같은 개인특성과 혁신행동을 다룬 연구들은 혁신에 대한 성격의 주효과에도 많은 관심을 보였지만, 특성활성화 이론에 입각하여 성격 등의 특성이 혁신행동으로 발현되게 하는 상황요인에도 많은 관심을 보였다. 이러한 기존 연구 흐름에 따라서, 본 연구는 문제해결 스타일이 혁신행동으로 발현되는 과정에서 관련 상황요인으로 상사지원에 주목하고, 문제해결 스타일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서 상사지원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나아가, 특성활성화이론을 확장하여, 개인특성이 관련 행동으로 발현하는 과정에서 특정 개인이 이 관계를 증폭시킬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서 논의하고, 핵심자기평가가 문제해결 스타일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 중국의 공기업에 근무하는 228명으로부터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 하였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문제해결 스타일의 두 하위 차원 중에서 직관적 문제해결 스타일만 혁신행동에 유의한 정(+)의 효과를 보였다. 또한 핵심자기평가는 혁신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효과를 보였지만, 직관적 문제해결 스타일과 혁신행동 그리고 체계적 문제해결 스타일과 혁신행동 간 관계 모두에 대해서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상사지원인 식은 혁신행동에 대해서 유의한 정(+)의 효과를 보였고, 직관적 문제해결 스타일과 혁신행동 간에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인 반면에 체계적 문제해결 스타일과 혁신행동 간 관계에 대해서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놓고, 이론적 그리고 실무적 함의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고대 중국에서 인간의 수명은 하늘로부터 받는 것으로서 태어나면서 정해진 수명이 있다는 운명론적 믿음이 보편적이었다. 본고에서는 꿈을 통해 예견되는 이야기들을 수록한 『몽점일지』「수명편」을 다루었다. 그 가운데 수명에 대한 운명론적 관념에 도 불구하고, 하늘로부터 받아 정해진 채로 타고난 수명이 인간 삶의 여러 요인으로 인해 바뀔 수 있다는 인식을 보여주는 이야기를 분석했다. 주요 작품 분석은 수명을 주고받은 이야기, 음덕을 쌓아 수명이 연장된 이야기, 그리고 고대 중국인들이 수명을 관장하는 신으로 여겼던 사명군과 함께 인간 생의 선악을 낱낱이 기록해 심판의 기준으로 삼은 생사부에 관한 이야기를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이 이야기들의 공통점 은 국가적 대의나 至孝, 至誠 등의 윤리적 가치, 선한 삶이야말로 정해진 수명도 바꿀 수 있다는 고대 중국인들의 가치를 담고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불로장생에 대한 인간의 욕망, 그리고 언제 다가올지 모르는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인간 삶에 요구되는 윤리적 가치와 연계시킴으로서 善과 不善의 차이가 수명의 가감을 초래할 수 있다는 인식을 양산하게 되었다. 이러한 관념은 전통시기 중국에서 하나의 도덕률로 작용하여 실천적 삶의 기준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의 정서적 소진, 냉소적 태도, 직무스트레스, 보상인식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대전의 지역아동센터 종사자 44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분석에는 SPSS 18.0과 AMOS 18.0을 활용했다. 분석결과, 첫째, 연구모형의 적합도는 χ²=200.063(df=83), CFI=.918, TLI=.897, RMSEA=.101로 통계학적으로 적합한 수준을 보였다. 둘째, 주요변수 간 관련성에 있어서 ①보상인식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②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정서적 소진과 냉소적 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③정서적 소진이 높을수록 냉소적 태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의 스트레스와 소진 예방을 위해 이들에 대한 적절한 보상 수준 및 균형 있는 보상체계의 확립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혐한시위, 주요 수출 품목들에 대한 수출규제, 무비자 입국제도 중단 등으로 한일 간의 갈등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도 일본의 젊은 세대들을 중심으로 제 3차, 4차 한류 붐이 일고 있어 세대 간의 인식차가 크게 확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3차 한류 붐의 중심에 서있는 방탄소년단 (BTS)이 일본의 젊은 세대들의 지지를 받으며 팬덤을 형성할 수 있었던 주요 요인과 기성세대와 젊은 세대 간의 한국, 한류에 대한 인식의 차의 배경이 무엇인지 밝히려 한다. BTS가 일본의 젊은 세대에게 큰 인기를 얻게 된 배경에는 1980년대에 만들어진 일본의 아이돌 컨셉(미숙하고 서투른 아이돌을 팬들이 응원해서 성장시킨다는 유형)이 더 이상 젊은 세대들에게 어필이 되지 않았기 때문이며, 그들은 모든 면에서 완벽한 아이돌, 언제든 자신들과 소통하며 반응해 주는 아이돌인 BTS에 열광을 하고 있었다. 한국과 한류에 대한 시각이 세대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배경에는 각 세대가 신뢰하며 시청하는 미디어가 각각 달랐다는 점에서 인식의 차가 발생하고 있었다.
The role of QR code robots in smart logistics is great. Cognitive robots, such as logistics robots, were mostly used to adjust routes and search for peripheral sensors, cameras, and recognition signs attached to walls. However, recently, the ease of making QR codes and the convenience of producing and attaching a lot of information within QR codes have been raised, and many of these reasons have made QR codes recognizable as visions and others. In addition, there have been cases in developed countries and Korea that control several of these robots at the same time and operate logistics factories smartly. This representative case is the KIVA robot in Amazon. KIVA robots are only operated inside Amazon, but information about them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world, so a variety of similar robots are developed and operated in several places around the world. They are applied in various fields such as education, medical, silver, military, parking, construction, marine, and agriculture, creating a variety of application robots. In this work, we are developing a robot that can recognize its current position, move and control in the directed direction through two-dimensional QR codes with the same horizontal and vertical sides, and the error is to create a QR code robot with accuracy to reach within 3mm. This paper focuses on the driving operation techniques during the development of QR code-aware indoor mobility robo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to improve the mealtime behavior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by investigating the mealtime behavior and food preferences of children with ASD through the percep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Surveys were given to 108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education schools in Korea regarding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nutrition education support needs, mealtime behavior, and food preferences of children with ASD. Most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sponded that nutrition education in special schools had not been conducted properly and nutrition education for ASD children is necessary. Mealtime behavior analysis classified the behavior into three clusters: cluster 1, ‘less problematic mealtime behavior’; cluster 2, ‘general feature of autism’; cluster 3, ‘difficulty in self-directed diet’. The age, eating habits, and food preference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each mealtime behavior cluster.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mealtime behavior.
PURPOSES : Since the 1990s, underground utility projects have been conducted to solve the problem of aerial communication cab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optimal measures for preventing collisions with existing underground utilities and for future maintenance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utilities undergrounding projects. This study considered the identifier sensor and tested the optimal sensor performance for more accurate and systematic management. METHODS : In this study, three representative technologies were selected from identifier sensors generally used in air and the possibility for their use in soil and asphalt was confirmed by simulating the environment via a test construction. Three identifier sensors were selected: BLE (Bluetooth low energy) beacon, ultra-high frequency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UHF RFID), and a geomagnetic recognizer. The long-term recognition performance of each identifier sensor was tested using the underground depth as a variable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for comparison.
RESULTS : The results of the test under limited conditions and environment demonstrated that the BLE Beacon had advantages in equipment composition, recognition range, and speed but exhibited problems with batteries in winter. The geomagnetic recognizer did not show the exact location and its influence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as a disadvantage.
CONCLUSIONS : Although the performance of UHF RFID has been demonstrated to be relatively suitable under these test conditions, it seems that the impact of the more diverse installation depth or medium should be reviewed for actual commercialization.
The role of QR code robots in smart logistics is great. Cognitive robots, such as logistics robots, were mostly used to adjust routes and search for peripheral sensors, cameras, and recognition signs attached to walls. However, recently, the ease of making QR codes and the convenience of producing and attaching a lot of information within QR codes have been raised, and many of these reasons have made QR codes recognizable as visions and others. In addition, there have been cases in developed countries and Korea that control several of these robots at the same time and operate logistics factories smartly. This representative case is the KIVA robot in Amazon. KIVA robots are only operated inside Amazon, but information about them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world, so a variety of similar robots are developed and operated in several places around the world. They are applied in various fields such as education, medical, silver, military, parking, construction, marine, and agriculture, creating a variety of application robots. In this work, we are developing a robot that can recognize its current position, move and control in the directed direction through two-dimensional QR codes with the same horizontal and vertical sides, and the error is to create a QR code robot with accuracy to reach within 3mm. This paper focuses on the moving control model during the development of QR code-aware indoor mobility robots.
The Internet of Things (IoT) has gained enormous popularity in various fields of industry. An IoT shopping environment is considered an effective tool for convenient use by consumers. Perceived values (including convenience and privacy risks) of IoT shopping can be the main factors that influence consumers’ shopping intentions. The current study proposed a research model based on a value-based adoption model, which integrated perceived benefit and sacrifice, shopping attitude, and shopping intention in an IoT shopping environment. As potential customers, participants in their 20s and 30s were recruited through a marketing research firm. Responses collected via an online questionnaire validated the proposed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The results confirme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benefit, including both remote control and access convenience, and consumers’ positive attitudes toward IoT shopping. The association between perceived privacy risk and consumers’ shopping attitudes was not significant. The indirect effects of two benefits of IoT shopping on shopping intention were also significant and positive. From a practical perspective, this study can help marketers and service providers manage their IoT shopping platforms or applications more effectively to attract consumer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IoT shopping environment are suggested.
이 연구는 사교육기업의 사회적책임에 대한 인식 및 기대효과를 알아봄으로써 그 필요성과 중요성을 제고시키고, 사교육기업의 사회적책임 활동을 통한 경영성과 향상 및 사교육문제를 완화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사교육 종사자와 학부모 1,01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교육기업의 사회적책임에 대한 인식 수준은 높다고 보기 어려우며 사교육 종사자가 학부모보다 높았다. 둘째, 사회적책임 활동에 대한 실태는 법률적 책임〉윤리적 책임〉 경제적 책임〉자선적 책임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교육기업에 요구되는 법률적 책임으로는 과도한 사교육 조장 금지, 윤리적 책임으로는 불안심리 조장금지, 경제적 책임으로는 고용창출과 교육서비스 개선, 자선적 책임으로는 사회공헌 활동이 가장 많았다. 넷째, 사회적책임 활동의 내부적 제약 요인은 ‘필요성을 느끼지 않는다’〉‘중요하지 않다.’〉‘운영자의 리더십이 부족하다.’ 의 순서로 나타났고, 외부 적 제약요인은 ‘관련법규의 부족’〉‘정부 또는 관할 교육청의 독려부족’〉‘사회구성원의 관심 부족’ 등으로 나타났다. 사교육기업의 사회적책임 활동에 대한 기대효과는 비재무적 성과(신뢰도, 이미지 평판) 와 재무적 성과(수강의도, 재직의도,구전행동)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사교육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해당기업의 경영성과를 개선하는 동시에 사교육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는 방안이라는 점에 의미를 두고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부모가 인식한 유아의 놀이성과 교사가 인식한 유아의 놀이성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경기도와 충청도 소재한 유치원 3곳에 재원중인 만 3,4,5세 부모 296명과 담임교사 17명을 선정하여 부모가 인식하는 유아의 놀이성, 교사가 인식하는 유아의 놀이성, 유아의 리더십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통해 t-검증, 상관분석, 다중공선성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의 성별에 따라 부모가 인식한 유아의 놀이성과 교사가 인식한 유아의 놀이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유아의 성별에 따른 유아 리더십의 하위요인 중 친사회적 능력, 주도성, 창의성, 의사결 정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부모가 인식한 유아의 놀이성과 교사가 인식한 유아의 놀이성 및 유아의 리더십 간에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부모가 인식한 유아의 놀이성 하위요인 중 주도적 참여, 인지적 융통성, 즐거움의 표현, 자발적 몰입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사가 인식한 유아의 놀이성 하위요인 중 신체적 자발성, 사회적 자발성, 인지적 자발성 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부모와 교사는 유아의 놀이성을 인식하고 유아가 놀이에 즐겁게 참여하여 또래 집단 속에서 유능한 리더로 성장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The benefit of language play for language learning is not recognized in English education. Based on the idea that teachers’ percep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affects their teaching practices,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teachers’ perception of language play in the English classroom. The specific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discover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n elementary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language play and to provide suggestions for including language play in teacher education and classroom instruction. Separate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7 in-service and 9 pre-service teachers at the elementary level, in which the participants shared their responses to 3 language play texts that highlight rhyme, rhythm, and nonsense compound words. The topical analysis of the data revealed that both the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focused on understanding the words in the texts and did not recognize their playful aspects. However, the in-service teachers interpreted the texts more actively than the pre-service teachers and shared ideas for using language play texts in the English classroom. Based on the findings, the paper emphasizes that pre-service English teacher education needs to include language play as one of curricular contents, which should continue into teacher education.
저해상도 하수관거의 균열을 탐지하기 위해서 웨이블릿 기법을 이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변수 4개를 설정하여 파라미터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기존 CNN 기법의 연구와 비교를 통해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에 제시된 파라미터 변수들의 기본값만 사용하더라도 97.2%의 높은 정확도를 나타내었으며, 정확도가 들쭉날쭉하지 않고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웨이블릿 기법을 활용하여 구조물의 균열 등 결함 인식 등의 문제를 잘 해결할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연구로 딥러닝 기법과의 상호 보완적인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목적 : 본 연구는 노인의 자가운전 현황과 운전면허 관리제도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방법 :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운전면허증을 소지한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총 124부의 설문지를 배포하 였다. 배포한 설문지 중에서 총 93부를 회수하여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조사 대상자 중에서 현재 운전을 한다는 응답자가 76명(81.7%)이었고, 운전빈도는 주 1-2회가 26명(34.2%), 주 3-5회 23명(30.3%), 매일 19명(25%) 순으로 응답하였다. 운전하는 시간대는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낮 시 간대 운전이 61명(80.3)로 가장 많았다. 운전 시 가장 어려운 부분은 시력 저하라고 38명(50.0%)이 응답하였으며, 운전 중단 시기에 대해서는 ‘질환이나 장애가 발생했을 때’35명(46.1%), ‘주변에서 운전을 그만두라고 권유할 때’20명(26.3%) 순으로 응답하였다. 운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질환들 중에서 현재 가지고 있는 질환은 고혈압 35명(37.6%), 당뇨병(30.1%), 관절염 19명(20.4%) 순으로 많았다. 운전면허 자진반납제도, 운전기능검사, 교통안전 교육 실시에 대한 동의여부를 확인한 결과, 운전면허증 자진반납제도에 대해서는 반대의견이 73명(78.5%)으로 많았다. 반면에 운전기능검사에 대한 찬성의견은 70명(75.3%), 교통안전교육 찬성의견은 76명(81.7%)으로 반대보 다 많았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한 지역사회 노인들의 노인 운전자의 자가운전 현황과 새로운 운전면허 관리제도에 대한 인식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노인운전자들의 안전운전 증진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