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음악교과와 미술교과 담당교사의 개별화 수업에 관한 인식 비교를 목적으로 한다. 설문은 수업요인, 교사요인, 학생요인의 범주로 개발되었다. 연구대상은 음악 및 미술교과 지도 경험이 있는 초등학교 교사와 중학교 음악교사 및 미술교사이며, 전국적으로 304명의 교사들이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음악교과와 미술교과 담당교사들은 수업요인 전반에 관하여 인식의 차이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교과 및 미술교과 담당교사들은 수업 가치의 우선순위, 수업의 형태, 교수 방식, 평가의 우선순위에서 인식의 차이를 보였다. 둘째, 음악교과 및 미술교과 담당교사들의 약 과반수가 개별화 교수법에 대하여 인지하고 있었다. 두 교과의 담당교사 모두 개별화 교수법관련 교사연수에 높은 관심을 보였다. 셋째, 학습자요인에서는 음악교과 및 미술교과 담당교사 간 인식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교사들은 학생들의 음악 및 미술학습 수준차이를 충분히 인지하고 있었으며, 수업의 계획 단계부터 진행과정, 교재 활용의 측면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학습자의 개인차를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과 담당 교사가 인식하는 학습자의 수업 이해도(음악과)와 수업 참여도(미술과)는 높게 나타났다.
특수교사와 장애학생 가족 간 협력은 특수교육의 성과를 최대화하고 장애학생 가족의 삶의 질을 증진시킨다는 점에서 가족지원을 위한 중요한 초석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특수교사들이 장애학생 가족과의 협력과 가족지원에 관해 어떤 경험과 인식을 갖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17명의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포커스그룹 면담과 개별 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특수교사와 가족 간의 협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가장 중요한 주제로 도출되었으며, 이러한 요인들은 크게 세 가지로 범주화되었다.: (1) 협력의 당사자인 교사와 가족이 가지고 있는 개인적 요인, (2) 협력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행동과 태도, (3) 협력을 위한 기반요인.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가 특수교육 현장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고, 연구의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aims to assess the structural damage caused by fatigue and random impact load using a statistical pattern recognition technology. For experimental studies, a model of cable-stayed bridge was built, and a shaker was to inflict load on the model. Data for damage detection were obtained from the signals of the model on which repetitive load and earthquake load were imposed. Applying the statistical pattern recognition technology which constitutes a control chart by using Mahalanobis distance, a commonly used method for the measurement of statistical distance, we preliminarily assessed structural damage. On the basis of the damage assessment, we developed a Improved Mahalanobis Distance(IMD) to be applicable to a cable-stayed bridge which was damaged by random impact load. Then, we evaluated its performance for the assessment of structural condition. The evaluation showed that the control chart.
This paper examines how the disabled were considered in the Western Medieval Church. It centers on Thomas Aquinas, St. Louis IX, and some women mystic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 disability was not always associated with a sin in the Medieval Church. Secondly, the intellectually disabled, who lack cognitive ability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sacrament, were not excluded from the Sacrament of Baptism. Thirdly, contrary to the rigorous prohibition against the disabled performing sacred rituals in Leviticus, medieval priests were not prevented from holding their office just because of physical impairment. Finally, disabled people were not considered miserable or beneficiaries of charity but spiritually valuable and beneficial in maintaining a spiritually healthy society.
In view of our findings, the general assumption of modern authors that medieval societies saw a link between sin and disability to the extent that the Church sanctioned the abuse of disabled people turns out to be a prejudice. On the contrary, the disabled in the Medieval Church were never excluded from the order of grace. As H.-J. Stiker, the author of a classical monograph on the history of disability, said, disabled people in the Middle Ages, when compared with those in the previous and following ages, can be found under the influence of ethical and divine love.
본 논문의 목적은 ‘우리는 왜 지리산을 찾는가, 지리산은 우리에게 무엇인가?’라는 답을 찾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써 조선조 유자들에게 지리산이 어떻게 인식되었는가를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은 첫째, 지리산이 大山으로써 인식되었다는 사실을 주장하였다. 조선조 유자들에게 지리산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산, 국토의 중앙에 우뚝 솟은 웅장한 산으로 인식되었다는 사실을 밝혔다. 가장 높고 웅장한 산이기에 직접 오르고 싶은 산이었다는 사실이다.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항상 ‘가장’은 ‘최고’의 의미로 인식되곤 한다.두 번째로 지리산은 승경을 지닌 빼어난 산으로 인식되었다. 논의의 집중을 위하여 청학동을 제외하고 천왕봉만을 논의의 대상으로 삼았음에도 지리산은 빼어난 승경을 지닌 산으로 나타나고 있다. 유람록과 유람시에 묘사된 천왕봉은 승경을 지닌 명산이다. 실제보다 훨씬 아름다운 산으로 관념 속에서 미적 아름다움은 완성되어 갔던 것이다. 그러나 관념 속에서 획득한 미감이기에 구체적인 미적 표현이 약화되어 나타난다는 아쉬움이 있다고 주장하였다.세 번째로 지리산은 탈속의 공간으로 인식되었다는 사실을 주장하였다. 천왕봉에 오르는 일은 세상 밖으로의 입문이며, 천왕봉은 종종 천계의 입구로 인식되었다. 천왕봉은 하늘문이지만 거기까지였다. 즉, 천왕봉은 세상 밖이지만 천계는 아니었던 것이다. 청학동에서 나타나는 선계로의 몰입이 천왕봉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탈속의 공간이지, 선계로는 구현되지 않았던 것이다. 이러한 이유가 천왕봉의 장소성에서 기인한다는 사실을 주장하였다. 그럼에도 천왕봉은 탈속의 공간으로써 세상의 짐이 내려지는 공간이었다.
본 연구는 수상레저 활성화를 위한 선진국의 관련규제 분석 및 개선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상레저 선진국인 미국, 영국, 호주 및 일본의 수상레저 면허 및 교육, 등록 및 검사 그리고 사업에 대한 사례 분석을 실시하였고 국내 수상레저 활동자와 종사자들에게 면허 및 교육, 등록 및 검사 그리고 사업의 애로사항에 대한 인식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수상레저 면허제도에 대한 필요성은 '필요하지않다'가 높게 나타났으며 그 이유로는 '교육으로 대체가능'하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았으며 반대로 면허제도가 필요한 이유로는 '수상레저 활동의 안전' 확보로 나타났다. 또한 수상레저 면허 제도의 문제점으로는 '운영제도의 어려움'과 '운영기관의 부족'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면허제도의 개선방향으로는 '교육기관 및 인력확대', 그리고 '단계별 교육 차별화'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상레저 등록 및 검사제도의 개선의 필요성에서는 '수상레저기구 등록절차 간소화', '수상레저기구 등록 및 검사기관 확대 필요성' 그리고 '수상레저기구 등록범위 확대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종사자들이 인식하는 수상레저사업장의 애로사항으로는 '수상레저기구 입출항 신고 절차의 복잡성', '수상레저사업 신고 및 등록 절차의 복잡성' 그리고 '수상레저 활성화 지원 정책 및 제도 미흡'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국내 수상레저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수상레저 활동자들에게는 면허 및 교육제도의 접근성과 편리성을 확보하고 종사자들에게는 수상레저사업의 복잡성을 해결해 줄 수 있는 지원정책의 수립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즉 수상레저 활동과 사업을 규제하고 있는 수상레저안전법은 수상레저 활동자 및 종사자들의 수요와 요구를 반영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개정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온라인 게임에 대한 인식 유형과 그 특성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1에서는 Q 방법론을 통해 온라인 게임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온라인 게임에 대한 인식은 4개의 유형-'게임은 공부의 방해물', '게임은 게임일 뿐', '게임은 인생의 오점', '게임은 막연하게 나쁜 것'-으로 구분되었고, 각 유형은 게임의 유해성에 대한 인식, 게임 문제의 핵심에 대한 판단, 부모-자녀 관계 인식에서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연구 2에서는 대규모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각 유형별 분포와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각 유형은 성별과 연령 등의 인구통계학적인 변인뿐만 아니라 게임 이용 특성과 게임 규제에 대한 태도에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온라인 게임에 대한 생각의 차이를 확인하고, 향후 긍정적인 게임 문화를 추진하기 위한 정책을 수립하는데 있어 기초적인 자료를 마련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적어도 2,500년 전에 기원된 바둑은 세상에서 가장 오래된 보드 게임 중의 하나이다. 아직까지 포석 바둑에 대한 이론적 연구는 여전히 미흡하다. 본 연구는 특정 프로기사의 포석을 갖고 훈련용 포석으로부터 얻어낸 클래스로의 인식을 위해 전통적인 선형판별분석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상위 10위권 한국 프로기사의 포석을 갖고 클래스-독립 선형판별분석과 클래스-종속 선형판별분석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클래스-독립 LDA는 평균 14%의 인식률을, 클래스-종속 LDA는 평균 12%의 인식률을 각각 보였다. 또한 연구 결과 일반적인 상식과 달리 PCA가 LDA보다 더 우월하고, 유클리디언 거리 측정 방식이 결코 LDA보다 뒤지지 않는다는 새로운 사실이 밝혀졌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학교 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 연구”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교사와 학생이 인식하는 교사의 사기를 분석하였다. 초·중·고등학교의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교사의 사기와 그 추이를 분석한 결과 교사의 인식에 비해 학생의 인식 수준이 낮았다. 교사의 인식은 대체로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학생의 경우에는 초등학생을 제외한 중등학교 학생들의 인식 수준이 감소하고 있었다. 교사의 사기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분석한 결과, 초·중·고등학교 교사의 인식에는 성별, 학력, 경력 등의 변수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학생의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학교급에 따라 조금 다른 양상을 보였는데, 초등학생은 성취수준, 사회경제적 배경(SES), 부모의 교육적 지원, 학교수준의 사회경제적 배경(SES)이었고 중등학생에게는 성취수준, 사회경제적 배경(SES), 부모의 교육적 지원, 월평균 교육비, 조사 시기, 대도시, 설립유형, 학교급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사기에 대한 교사와 학생 간의 인식의 차이는 교육 현장에 존재하는 두 주체간의 거리를 확인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므로 교사의 사기를 높이기 위한 조치와 함께 교사와 학생간의 인식의 격차를 좁히기 위한 노력도 필요함을 시사한다.
독도 문제는 동아시아의 미래 등과도 밀접한 연관이 있다. 그럼으로 앞으로는 독도 문제 를 평화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현실주의적인 해법을 찾아야만 할 것이다. 독도 문제에서 1905년 1월 일본의 독도 점유는 조선 침략을 시작하면서 5년 뒤의 강압적인 한국 병합을 위한 전조로 행해졌다는 점에 시초가 있다. 일본으로서는 이 주장을 논박하는 것은 불가능 하다. 이렇듯 독도 문제는 일본군 강제위안부 등 여전히 미해결 상태인 다른 과거사 문제 청산작업과 동시에 진행돼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젠 이런 문제를 인정한 뒤 대화와 협상에 나서지 않으면 쌍방 모두 심대한 손실을 입게 될 상황에 처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런 중대한 의미를 갖는 독도 문제에 대해 한국 국민들의 현재 상황을 파악해 보는 시도이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특히 우리 국민의 독도 영유권 인식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먼저 한국 국민의 독도 영유권 인식 현황을 살펴보았다. 더불어 사회경제학적 입장에 따른 한국 국민의 독도 영유권 인식 현황을 살펴보았다. 다음 으로는 독도 영유권과 관련 있다고 판단하는 다른 항목들에 대한 인식 현황을 살펴보고, 이들 관련 항목과 독도 영유권 인식과의 관련성을 분석해 보았다.
본 연구는 수상레저 활성화의 제약요인과 발전방안에 대한 인식도 차이를 비교분석하기 위해 전국 6개권역의 수상레저 활동자와 종사자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된 20개의 수상레저 제약요인 중 면허제도, 활동제한 규정, 출항신고규정, 전담조직부재, 정보제공미흡, 참여이벤트 부족 그리고 지원정책 제도 등 6개 요인에서 활동자들이 인식하는 제약수준이 종사자들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상레저 활동의 제약요인으로는 출항신고규정, 활동제한규정, 면허제도, 지원정책 부재, 계류시설 그리고 전담조직 부재 등에 대한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수상레저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인식도 차이에서는 활동자들은 면허 및 연수비용 지원, 프로그램 다양화를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반면 종사자들은 교육인력 배치와 대회유치홍보 요인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수상레저 발전방안으로는 무료체험활성화, 마리나개발촉진, 면허연수비지원, 프로그램다양화 그리고 사업자지원 등의 요인에 대한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정부와 지자체가 수상레저 활성화를 위한 지원 정책을 수립, 시행에 필요한 수상레저 활동자와 종사자들의 요구를 반영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데 의미가 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of Korean farmers for the safety of environment-friendly organic materials (EFOMs). The main purchase line of environment-friendly organic materials was the sustainable agriculture organizations, and decisive basis for the materials purchase was because they thought that agricultural produce cultivated with EFOMs were safe. Currently farmers obtained the most information about EFOMs through farmer’s education operated by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Sixty nine percent of respondents hoped that they would get the information on the website and through official education opened by of the government or relative institutions. Whereas, only a few respondents hoped that they would get the information from the sellers. Therefore we thought that government and related institutions should operate the education program to give the sellers the scientific and accurate information about EFOMs. In addition, farmers are highly recognized the necessity of safety-related information provided by government and related institutions. Most Farmers thought that safety education for farmers using EFOMs was very important. Also, it was confirmed that farmer respondents thought to need to establish the shelf-life and user guideline and to label about toxic category of EFOMs. The Cronbach’ alpha coefficient calculated in order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survey questions was 0.699. That value indicates that responses of the respondents in this study might be reliable.
본 연구는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방사능 누출사고가 방사능 오염으로 인한 유아안전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유아안전 대책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2013년 2월 C도의 공 사립유치원 교사 197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회수된 13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본 연구의 결과, 일본 원전사고는 방사능 오염으로 인한 유아안전에 대한 교사의 불안감에 영향을 미쳤으나, 방사능오염으로 인한 유아안전에 대한 유치원 교사들의 안전지식과 대처방안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방사능 오염으로부터 유아안전을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유아교사교육이 요구되며, 유아안전을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The importance of human resources empowerment for operation and management is increasing for sustainable effects and improvement in mountain eco village development projects.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cognition characteristics of operator who works for mountain eco villages as part of the mountain village development and to suggest improvement methods in empowerment training aspects. The survey contained operator's empowerment and operator systems in mountain eco village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for the study. Operators who joined the mountain eco village operator training course by Korea Forest Service were conducted the survey on March 12th~13th in 2012 and March 13th~15th in 2013. 69 and 58 of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respectively and analyzed for the study. T-test was applied to Intergroup cognition difference and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for influential factors in necessity of operator's rol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statistical package programme SPSS 18.0 version. According to the comparison of empowerment cognition with contingent upon training experience, 'harmony with residents'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ce at p<0.05 level. In the recognition comparison for prospect of future mountain eco village development, 'various training experiences' was significantly difference at p<0.01 level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prospect group.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communication with village leader', 'harmony with residents', and 'idea related to the project' have an effect on necessity of operator's empowerment significantly.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suggests improved directions for operator's empowerment training as a horizontal leader who conduces a mountain village.
이 연구는 그간 기능론적 관점에 치우쳐 있던 게임 연구의 경향에서 벗어나, 청소년의 게임 이용에 관한 다양한 측면을 청소년기의 발달특성을 고려하여 입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8명의 청소년들과 일대일 심층면접을 실시한 자료를 분석하여 그들의 게임 이용 태도 및 게임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참여 청소년들은 게임에 대해 긍정적인 시각을 나타냈고, 게임 이용에 대한 성숙한 태도를 가지고 있었다. 이들은 게임을 자신이 해야 할 일을 마친 후 남는 시간에 즐기는 여가수단이며, 현실과는 다른 가치를 갖는 허구의 세계이고, 이용할 때 조절과 제한이 필요한 대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청소년의 게임 이용에는 또래관계의 영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연구 대상이 한정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는 그간의 양적연구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어려운 청소년의 게임 이용 현상을 그들의 발달특성을 고려하여 심층적으로 탐색했다는 의의를 지닌다.
This paper proposes a building recognition algorithm using watershed image segmentation algorithm and integrated region matching (IRM). To recognize a building, a preprocessing algorithm which is using Gaussian filter to remove noise and using canny edge extraction algorithm to extract edges is applied to input building image. First, images are segmented by watershed algorithm. Next, a region adjacency graph (RAG) based on the information of segmented regions is created. And then similar and small regions are merged. Second, a color distribution feature of each region is extracted. Finally, similar building images are obtained and ranked. The building recognition algorithm was evaluated by experiment. It is verified that the result from the proposed method is superior to color histogram matching based result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search and evaluate the Chosunyaklon(朝鮮畧論) of the Anglican Church of Korea. Chosunyaklon has not been well known so far. This manuscript small book has been in the Central Library of Yonsei University.
Chosunyaklon is consist of five parts, including the history of Chosun(朝鮮國歷史), the culture(敎化), the religion(宗敎), Christianity(基督敎), and the Anglican Church of Korea(朝鮮聖公會). And the first two pages of The Book of Common Prayer of Korea(公禱文) are sealed in the last part of this book.
Considering the contents of it, Chosunyaklon is supposed to have been written in 1911-1912. And compared with the record about the Anglican Church of Korea, The Book of Common Prayer of Korea in this book is considered to be made in 1908. The contents of this book might reveal the viewpoint of the first bishop of Korea, Charles John Corfe(高要翰, 1843∼1921) and his successor, Arthur Bresford Turner(端雅德, 1862∼1910). This book might be written by John Samuel Badcock(朴要翰, 1869∼1942), who was an important assistant of two bishops. The purpose of this book could be to commemorate the 20th anniversary of Korea Mission by the Anglican Church, and to report the situation about the Anglican Church of Korea to Mark Napier Trollope(趙馬可, 1862∼1930), the new bishop.
The contents of Chosunyaklon, however, were not written according to the true knowledge about Korea. Sometimes the author of it revealed the attitude regarded as Orientalism by Edward Wadie Said. He regarded the Korea History as the history strongly influenced by China, and considered the rule of Japan as desirable for Korea and the mission. Yet the author had tendency to accept the union work over denominations based on ecumenical angle, the attitude to Korea situation of early 20th century was something different to those of missionaries who had supported independent Korea such as Horace Newton Allen(安連, 1858∼1932), Horace Grant Underwood(元杜尤, 1859∼1916), Oliver R. Avison(魚丕信, 1860∼1956), James Scarth Gale(奇一, 1863∼1937), and Homer Bezaleel Hulbert(訖法, 1863∼19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