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남북조시대 사람들이 당시의 불상을 바라보던 시각에 관하여 고찰한 것이다. 인도에서는 사원의 중심이 스투파였다. 문헌에 의하면 붓다의 열반 후 스투파는 8기가 건립되었지만, 아쇼카 왕이 이 중의 7기를 해체하여인도전역에8만4천기의 불탑을 세웠다고하였다. 이것은 인도 전역의 거의 모든 불탑은 사실상 아쇼카 왕 시절에 만들어졌고 그 안에는 진신사리가 봉안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러나 중국에서는 남북조시대에 사원을 건립하면서 불사리가 필요했지만, 역사적으로 이를입수하기란거의불가능에가까운일이었을것이다. 때문에 集神州 三寶感通錄에 기록된 바와 같이 아쇼카 왕이 8만4천탑을 세울 때 그 일 부가중국에세워졌고, 그때의사리가발견되어 중국의 초기불탑들에 봉안된 것이라는 설화가 만들어졌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설화만으로는 더 많은 불사를 건립하는데 있어한계에부딪쳤을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해결책은 사리를 대체할 수 있는 물건으로도 탑을 세울 수 있다는 개념이었는데, 그러한 아이디어는 석가성도지인 보드가야의 중층누각형식의 마하보디 사당에서 비롯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마하보디 사당은 사리가 아닌 석가성도상을 봉안한 건축물이었는데, 당시 보드가야를 방문한 중국의 구법승들은 여기서 아이디어를 얻어 특히 현장과 같은 승려는 장안 慈恩寺大雁塔을 세울 때 이 마하보디 사당을 염두에 두었을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탑 대신에 전혀 다른, 보다 쉬우면서도 직접적으로 숭배의 대상이 될 수 있는 새로운 아이템을 개발하였는데, 그것이 바로 불상이었다. 인도에서도 불상이 있었지만, 이는 주로 탑을 장엄하는 용도였으며 혹, 사리를 봉안한 불상이 불탑만큼 존숭을 받기는 했지만, 그것은 그 안의 사리 때문이었지, 상 자체의 영험함 때문은 아니었다. 그러나 이러한 불상들 역시 불사리처럼 진정성을 획득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에, 아쇼카 왕의 조탑 설화와 마찬가지로 아쇼카 왕 조상 설화가 중국에서 만들어졌으며, 소위 아쇼카 왕상이라고 하는것은 오래 전에 중국에 전래되어 묻혀 있다가 새롭게 발굴되어 남북조 시대 사람들 앞에 다시 현현한 것으로 서당시 사람들에게 믿어졌던 것이다. 또한 이러한 상들은 다양한 기적을 일으켰으며, 만약 똑같이 복제되는 경우, 원본과 같은 기적을 일으키기도 하였다. 따라서 이미지를 복제함으로서 영험함도 복제할 수 있다는 이러한 경향은 보다 쉽게 불상의 진정성을 널리 유포시킬 수 있었을 것이다. 여기서 강조하고자 하는 것은 남북조시대의 일부 불상들은 아쇼카 왕이 만든 상, 혹은 그 상을 복제한 상으로 인식되었다는 점에서 이들 불상들은당시에제작된것이아니라, 훨씬오래전에제작된불상, 혹은오래된 양식으로서 당시 사람들에게 인식되었을 것이라는 점이다. 때문에 이들 불상이 보이는 양식은 당시의 양식이 아니라, 당시보다 더 오래된 양식으로 보이기 위한 의도된 고식, 혹은 고법이라는 점에서 이 시기의 양식을 倚古양식으로 불러보고자 하였다. 한편 이와는 별도로 우다야나 왕 조상설화도 전래되었는데, 이것은 우다야나 왕 시절에 도리천에 장인을 올려 보내 석가모니의 진용을 모사해 와서 조성한 상이므로, 석가의 모습을 그대로 담아낸 조각으로서의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이는 말하자면 석가의 초상으로서 사실주의를 어느정도 바탕에 두어야했던 것이다. 이러한 개념에서본다면불교미술에서 사실적 양식이라고 언급해 왔던 인도의 굽타 양식이나 이를 받아들인 북위시대 운강석굴 초기의 불상 양식들은 서양의 사실주의와 구분하여 眞容양식이라고 불러도 좋지 않을까 제시해 보았다. 결국 이러한 고찰을 통해 단순히 인형에 불과할 수도 있었던 불상들에 사리를 대신한 진정성을 부여하기 위해 아쇼카 왕 설화와 같은 역사적 전통을 만들어 내거나 우다야나 왕 설화와 같은 시각적 전통에 의지해야 했던 당시의 상황을 짐작해 볼 수 있는 것이다.
This study summarized findings from an investigation into the awareness and evaluation of traditional foods among 197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the Chungnam are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Regarding awareness of cooktable setting of traditional foods, 44.67% (88 students) of subjects answered that they had little knowledge. Female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ly high level of awareness of cooktable setting (p<0.05). Regarding the taste of traditional foods, 64.97% (128 students) of subjects responded appropriately. Regarding the necessity for partial development of traditional foods into a modern style, 61.90% (52 students) of male subjects and 84.96% (96 students) of female subjects were in agreement (p<0.01). Regarding the necessity for traditional food education, 77.16% (152 students) were in agreement, especially female students (86.73%, 98 students) showed considerably higher consent (p<0.05). For the assessment of traditional foods, nutrition (4.57 scores), taste (4.31 scores), and appearance (4.26 scores) were very highly assessed, whereas cookery (3.30 scores) and economic aspects (3.04 scores) scored relatively lower. Traditional desserts were recognized as routine and modern by male students. On the other hand, girls recognized desserts as traditional (p<0.05). Accordingly, we must preserve and pass down Korean traditional foods by increasing awareness through education or experience as well as through planning better cookery and economical aspects by applying certain standards for traditional foods.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role of Giovanni Marinioni during the formation of the modern cartography and cadastre during the 18th century. Initial study began with Giambattista Nolli's Roman map noticing not much information was available to acknowledge his activities during his Milan period before the departure to Rome. It became evident that Marinoni was a key person to understand the complex circumstances in which the professional training and formation of Giambattista Nolli took place as later worked as an anonymous intern during the elaboration of Theresian Cadastre of Milan. The other important figures are Leandro Anguissola and Giovanni Filippini. Anguissola's position and precedent work facilitated Marinoni's multidisciplinary activities that he had performed in Vienna and Milano in the field of making urban maps of those two cities. On the other hand, Filippini not only collaborated with Marinoni but also introduced Nolli in the field of cartography. These activities show transitional and dual aspects that characterized the period in which important irreversible changes that occur during the reign of Habsburg empire and in the rest of the Europe toward the formation of modern society and state. Marinoni's theories and praxis greatly influenced Nolli's later commitment under the Savoia and later on the elaboration of the 'Pianta Grande di Roma' in 1748.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and classify the preference on Korean traditional desserts by age groups. More women than men were observed to have a healthy diet. In addition, with regards to age, children and young people were founf to have a healthier diet than the median age. Women showed a preference for dessert more so than men. Both men and women showed to eat dessert when reminded, and the young, as well as middle-aged were found to eat dessert often. Korea sign a survey on the traditional dessert, like rice cake, were the preference for women, whereas men were fixated in soft drinks, fruit punch and Schisandra chinensis fruit punch with Rhododendron. Young people liked rice cakes, while the median age liked chajongryu hangwaryu. In soft drinks, fruit punch and watermelon Sikhye was preferred by two of the young, while the middle-aged preferred baesuk and Schisandra chinensis fruit punch.
경극의 시작은 오래되었으나 중국 중부지역의 양자강 일대에서 발전하기 시 작하여 각 지방의 특색을 포함하면서 오랜 시간 동안 변화해 왔다. 지금 의 형태로 나타난 경극은 청나라 시기(1736~1796)에 북경에 정착하면서 극의 내 용과 음악의 곡조, 그리고 표현방법 등이 어우러져 춤과 노래가 동시에 진행되는 형태로 변화했다. 이 경극은 극본에 연기와 음악 ‧ 노래 ‧ 소도구 ‧ 분장 ‧ 의상에서 너무나 중국적인 특색을 보이기 때문에 중국전통 문화의 엑기스로 일컬어진다. 경극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는 특징 때문에 극의 배경과 시대적 상 황 등, 모두가 상징적으로 처리된다. ‘상징’은 중국 극의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 다. 그리고 경극은 장식성과 과장적인 면이 있다. 따라서 경극의 이해는 어떻게 보 면 근대연극과 비교해 볼 때 무대의 장치 면에서 조악하게 보일 지도 모른다. 이 런 것들이 문화적 특색이라 평가할 수 있다. 또, 배역으로 등장하는 배역들이 공연 할 때 표현하는 행동 들이나 배우들이 갖추는 분장 등 역시 중국 문화에 대한 관 련성을 보여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preference and satisfaction for Korean traditional foods (Jeonju Bibimbap, Daetongbap, Jeonbokjuk, Jorangiddockguk, Hobakbumbuk, Darkgalbee, Eonyang Bulgogi, Moyackgwa, Insam Jeonggwa, Maejackgwa) in foreigners and Koreans. In this study, 27 foreign and 31 Korean university students were surveyed. Statistical analysis and Mann-Whitney U test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statistical package (17.0).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Foreigners had higher experience of eating Darkgalbee (84.6%), Jeonju Bibimbap (80.8%), Daetongbap (53.8%), and Jeonbokjuk (53.8%) among Korean traditional foods, whereas their eating experience of Insam Jeonggwa (3.8%), Maejackgwa (11.5%), Moyackgwa (15.4%) and Jorangiddockguk (23.1%) was lower. 2) Foreigners and Koreans both liked sweet taste, but disliked sour taste, bitter taste, garlic flavor, sesame flavor, and soy sauce flavor among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foods. 3) Foreigners scored their overall satisfaction of Korean traditional foods in the order of Jeonju Bibimbap (7.70±0.95), Eonyang Bulgogi (7.62±2.10), Daetongbap (7.59±1.60), Darkgalbee (7.20±1.56), and Jeonbokjuk (6.67±1.64), whereas Koreans rated higher scores for Eonyang Bulgogi (8.28±1.19), Darkgalbee (8.20±1.00), Jeonju Bibimbap (7.73±1.08), Jeonbokjuk (7.69±1.44), and Moyackgwa (7.43±1.52).
이 논문은 아시아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유행이 된 한류현상을 비판철학적인 관점에서 분석하고 한류문화가 세계적인 문화로 거듭날 수 있기 위해 필요한 인문학적인 성찰이 무엇인지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류의 기원과 정체성, 한류에 대한 긍정적 평가와 부정적 평가, 그리고 한류문화담론 및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 등의 비판철학적 시각을 제시하였다.한류(韓流, Hallyou, Korean Wave)는 ‘한국의 TV드라마, 음악, 영화 등 대중문화 콘텐츠가 동아시아를 비롯하여 세계 각지에서 유행해 라이프 스타일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화적 현상을 말한다. 한류는 가족윤리를 중시하는 전통적 가치와 개인의 행복을 중시하는 현대적 가치가 융합된 세계적인 문화라는 긍정적인 평가와 함께 서구의 대중문화가 아시아적 가치에 적합하게 필터링된 모방문화에 지나지 않는다는 부정적인 평가가 있다.비판이론가의 문화산업이론에 따르면, 대중문화는 ‘동질성’과 ‘예측가능성’ 때문에 대중들의 허위의식을 조장하여 비판의식을 상실하게 한다. 한류문화가 지역적인 것과 세계적인 것의 변증법적 종합을 통해 세계적인 문화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서구문화의 부정적인 측면에 대한 비판적 태도가 필요하며, 한국의 전통문화에 내재된 비판정신이 회복되어야 하며, 미디어 교육 등이 필요하다. 이러한 전통과 현대의 변증법적 교섭과 실천을 통해 한류문화는 세계적인 문화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of changes for organic acids in takju during storage conditions. Two types of takju, unsterilized and sterilized, were used. Acetic acid, citric acid, lactic acid, malic acid and succinic acid were detected in sample. Residues of malic acid was not detected after 7 days storage in room temperature( 25oC). In contrast to lactic acid was increased by times after storage. Acetic acid concentrations was gradually increased in room temperature but was not changed in cold temperature(4oC). After storage for 10 days, the organic acid residues lactic acid > citric acid > succinic acid > malic acid > acetic acid in unsterilized takju. Compared to unsterilized sample, organic acid residues in sterilized sample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Consequently, organic acids residues mainly affected by sterilization.
‘와카’는 오래전부터 일본인의 심정을 표현하는 정형시(詩)로 고대부터 계승되어온 일본문화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와카의 창작이란 문예적 창작이며 개인 심정의 표출임에도 불구하고, 이것이 향수되는 장소나 방식은 위정자(為政者)와의 관계를 끊을 수 없었다.9세기에 궁정에서 천황에 의해 개최된 ‘우타 아와세(歌合)’는 와카의 창작이 집단적으로 행해졌고 또 그 와카의 우열(優劣)을 승부하는 시합 형식으로 오락성을 겸한 행사였다. 천황이 왕비의 외가세력에 대항하기위해 ‘우타 아와세(歌合)’를 열고 칙찬집(勅選集)의 편찬으로 이어지기도 했다. 12세기 후 ‘우타 아와세(歌合)’에 종교적인 색채가 더해져 와카 계의 뛰어난 가선(歌仙)들의 공양이라는 ‘에이구(影供) 우타 아와세(歌合)’가 탄생하였고, 이는 절이나 신사(神社)에서도 열렸는데, 그 배경에는 ‘언령신앙(言霊信仰)’이 있었다. 또 이 시대에 새롭게 정권을 장악한 무사계급에게 전통성을 가진 와카는 자기 정당성을 구현하기에 중요한 역할을 했었다. 17세기 포르투갈의 카드로부터 전래되어 형성된 ‘햐쿠닌잇슈 가루타(百人一首カルタ)’가 성행하고, 메이지(明治) 시기에 들어와 그 방식이 획일화됨으로써 근대국가의 정신적 통제 수단의 역할을 완수하기에 이르렀다.집단적으로 와카를 향수하는 ‘우타 아와세(歌合)’, ‘에이구(影供)’, ‘햐쿠닌잇슈 가루타(百人一首カルタ)’는 와카의 계승에 큰 역할을 했는데 그 전통성 유지에 있어서는 정치적요소도 배제할 수 없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Mindori structure which is general private houses' structural type among traditional types and is a basic study to confirm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Hwatong connection which is general connection type of column-beam-cross beam. It is aimed to analyze how main member ,column, such as size, figure, thickness of Sungetuk and Dugeup affect on structure. Following conclusions are drawn.
1. According to connection conditions, models with big coefficient of friction show stable hysteretic behavior until the angle rotation of member reaches 1/60 and models with small coefficient of friction show dramatical increase in load after the angle rotation of member reaches 1/24. After the angle rotation of member reaches 1/30, separation distance of members is identified physically and cracks are not observed.
2. Specimens with big coefficient of friction show similar inner force regardless of column size(except column size 150mm) and models with small coefficient of friction show increasing inner force as the column size increases. Specimens with same sectional area have similar inner force even though the column figures are different. The thickness of Sungetuk and Dugeup doesn't affect inner force greatly, however, when the thickness of Sungetuk is thin, it could lead to failure of structure as it breaks.
3. The bigger the size of column and the coefficient of friction are, the smaller Bending stiffness depreciation ratio is.
4. Energy Dissipation Efficiency differs from the coefficient of friction. When the coefficient of friction is big, square column shows bigger than round one and it is bigger when the thickness of Sungetuk and Dugeup is thicker. When the coefficient of friction is small, round column shows bigger than square one.
한자문화권의 한자문화란 한문을 공용문어로 사용하여 영위된 종합적 지식체제 이다. 즉 한문을 지적 수단으로 사용하였던 사람들의 生活知, 學問知, 普遍知, 構想知등이 모여 이루어진 知識地形圖이다. 한자문화의 ‘知的傳統’은 가치의 역사적 축적이다. 특히 한국의 지적전통은 한 국의 지반에서 현실적으로 갖는 의미라고 할 수 있다. 한자기록으로 이루어진 지 적전통은 다양하게 전개되어 왔으며, 그것을 교육하고 학습하는 분야가 한문과목 이다. 우리의 한문문화를 동아시아 한문문화 속에서 비교하여 그 同異와 變化, 나아 가 普遍化를 분석할 때 우리만의 특성을 찾아낼 수 있다. 본고는 한자문화 중 전 통교육과 관련된 지식형성에 관해서 살펴보았다. 이 때 지식형성에 어떤 교재가 어떤 교육방법으로 사용되었는가를 밝히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전통’ 한문 교육에서 그 지식의 분류와 지식의 실천내용을 고찰하여 지식형성의 틀을 찾아내고자 하였다. 전통적 몽학 한문교재는 天地人분류체계를 기반으로 지식을 형성하고 있다. 우선 자연에 대한 개괄적 이해를 토대로 하고, 그 위에 이상적 인간의 모습으로서 사회의 질서체제와 예교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분류체계는 고대사회의 식자교재 인 『급취장』을 비롯하여, 가장 널리 사용된『천자문』등의 중국교재는 물론이고, 조선시대의 『유합』이나『訓蒙字會』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이런 분류체계 안에 서 초학자들은 識字와 함께 자연스럽게 전통적 세계관과 인간관에 접하고 수용할 수 있었다. 한편 교화용 교재는 자연에 관한 이해에 앞서 인간에 대한 이해를 다양하게 제 시하고 있다. 중국 宋代에 만들어진 『소학』,『삼자경』의 분류체계가 율곡의 『성학집요』나『격몽요결』등의 계몽서에 수용되어 계승되었다. 이러한 교화용 교재의 분류체계는 학습자로 하여금 심신의 수양과 독서를 통한 자기계발의 학습방법과 사회 속에서의 처신을 체득하게 한다. 이러한 전통적 몽학교재에 보이는 분류체계를 현대 한문교육 교재에 활용하게 되면,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전통의 이해와 계승의 한 방법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look at how pepper was used in traditional medicine. In other words, this study aims to take a look at the process by which the medicinal nature & efficacy of pepper in traditional society was perceived and arranged through the aspects of the use of pepper as an exotic crop for treating diseases. This study investigated cases of using pepper for medical treatments by referring to books on traditional medicine in Korea. The old records about pepper are mainly in empirical medical books from the late Chosun dynasty. Nevertheless, the records about pepper tend to decrease in medical text as time goes by. Such a phenomenon can be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people began to use pepper for daily food life rather than for medicinal purposes. Pepper was used mostly for digestive trouble such as vomiting, diarrhea, and stomachaches, and it was also applied to mental and aching diseases caused by the sound of body fluids remaining in the stomach. In addition, there were many cases where pepper was used externally for surgical disorders. Such symptoms for treatment are linked to, or in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with, research results in modern times. Boiled pepper was generally taken in the traditional herbal decoction method, and in the case of surgical diseases, it was applied externally. The cases of using old pepper, using pepper with seeds or without seeds, and using pepper mixed with sesame oil belong to a sort of herbal medicine processing, which usually aimed at changing the medicinal nature of pepper. In addition, in relation to the eating habits at that time, pepper was used as seasoning and to make red pepper paste with or without vinegar. There are two words used for pepper in the medical textbooks, 苦椒 (gocho) and 烈棗 (yeoljo). These words are translated into Korean as gochu, so we can identify this word as a nickname for pep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method of conservation for traditional Korean settlements, based on the field surveys on the representative traditional settlements in Korea and China. The method is approached from grasping the conservation mechanism in which non-physical aspects deeply influence physical ones. The study has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in the current methods of conservation for the traditional settlements, through comparing conservation practices at the World Heritage-class settlements such as Yangdong, Hahoi, and Oeam villages in Korea and Xidi-cun, Hong-cun, and Dangjia-cun in China. As a consequence of the study, the conservation method for the traditional Korean settlements is established as follows; Firstly, the conservation targets are classified into 4 types in terms of the relations of elements; individual, correspondent, sequential, and network elements. Secondly, the conservation strategies include the structuralizations of targets, by means of sequencing and networking. Thirdly, the conservation programs are made in consideration of the sustenance, transformation, replacement, and extinction of traditional use pattern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loor plan types of folk houses or traditional vernacular dwellings found in Nagan Folk Village located in Joellanamdo province. Examining the floor plans appeared among 36 vernacular folk houses presumably built in the 19th century in the village by means of the changes in the number of bays of Anche, the mail block of the house, the study was also able to construct a spatial compositional process of floor plan development. The floor plan examination revealed that the basic floor plan type in Nagan folk housing was 'ㅡ' shape, a typical southern dwelling based on the existing classification. This basic type is consisted of three bays or rooms: Jeongji (kitchen), Anbang (large room), and Jageunbang (small room). New spaces or rooms are added to this three room house to expand the house as the residential functions become more complex, such as more living and storage spaces. The expansion appears to have two direction. On the one hand, it has been taken place by inserting Marea, an open wooden floor living space between Anbang and Jageunbang to meet the extended living demand. On the other, Jeongjibang, a second kitchen/storage has been attached to Jeongji outward for extra cooking and storage. This two-way expansion shows the trend of symmetric expansion between cooking, storing space and dwelling space. It can be implied that the arrangement of house rooms has been structurally formulated and shared by the farmer-builders in the 19th century in Nagan village who appeared to be influenced by fixed images for hous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