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간을 함유하지 않은 소시지와 각각 5%, 15%, 30%, 45%의 간을 함유한 세절형(sliceable)과 퍼짐형(spreadable) 그리고 훈연 퍼짐형(smoked spreadable) 소시지를 제조하여 간소시지의 산패도를 측정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소시지의 조지방 함량은 간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조지방 함량이 유의하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공정별로 살펴보면 간 45% 함유 소시지의 경우에는 제조공정에 상관 없이 15%이하의 낮은 지방 함량을 나타내어 간의 함량에 따라 소시지의 지방 함량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 제조일에는 세절형 소시지가 퍼짐형 소시지보다 산가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훈연한 퍼짐형 소시지도 훈연하지 않은 퍼짐형 소시지의 산가 1.74~1.80보다 더 높은 산가를 나타내었다. 산가는 종류별로 산발적인 차이를 보이나 간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산가가 다소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3. 간 소시지의 저장시 과산화물가는 간의 함량과 제조공정에 상관없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여 제조일에는 27.19~29.43이었으나 저장 14일에는 85.35~88.56으로 저장 28일에는 117.86~145.14로 증가하였다. 4. Malonaldehyde 함량은 간의 함량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제조일에는 세절성 소시지가 2.72~2.73μg/g으로 가장 높은 malonaldehyde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훈연하지 않은 퍼짐형 소시지군이 1.32~1.33μg/g으로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저장기간에 따라 malonaldehyde의 함량은 증가하였다.
사염화우라늄 제조를 위해 염소가스와 탄소를 이용한 이산화우라늄의 염소화반응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론적측면에서 열화학적 자료를 이용한 계산을 통하여 일어날 수 있는 반응들을 확인하였으며, 염소화반응이 진행되는 동안 초래될 현상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실험결과로 부터 반응온도, 반응시간 및 질소가스 주입비율이 사염화우라늄 제조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순수한 이산화우라늄을 사용한 사염화우라늄 제조공정에서의 적절한 반응시간과 반응온도는 각각 약 2시간과 500˚C-700˚C범위였으며, 질소가스의 적정 주입량은 염소가스의 약 50%로 나타났다.
금속분말 Fe와 Si에 KNO3(Fe+Si)무게비=0.2로 점화촉매 KNO3를 혼합하고 50MPa로 성형한 후 점화시키는 비기체연소합성(SHS; Self propagating High temperature Synthesis)법으로 출발 분말을 얻었다. 점화분위기를 공기 및 Ar으로 한 경우 XRD결과에서 특별한 차이가 없었고 두 경우 모두 SiO2피크가 검출되었다. 합성된 분말을 성형한 후 1190˚C환원분위기에서 소결하고 포석온도이하에서 열처리하여 반도성 FeSi2가 주상인 Fe-Si계 열전재료를 제조하였다. Fe/Si무게비=46/54,44/56 및 42/58시편의 제벡계수는 Si함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점화후의 세척처리를 2단계로 하는 경우 제벡계수의 부호가 변화하여 p-type에서 n-type으로 변화하며 소결밀도가 크게 상승하였다. 조성에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SiO2는 점화시의 분위기보다는 점화촉매에 포함된 K성분이 소결 및 열처리시 산화제로 작용하여 형성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It was investigated whether mechanical alloying (MA) processing could be more effective to the formation of metallic composite powder in Cu-C system. Elemental powder mixtures of Cu-70vo1.%C were mechanically alloyed with an attritor in an argon atmosphere and microstructural evolution was examined by X-ray diffraction analysis,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It has been found that even with the high volume fraction of immiscible graphite in Cu-C system, the refinement with a few ten nanometer size as well as the highly uniform distribution of copper phases have been achieved by the MA processing.
The powder metallurgy (P/M) processed 2009 and 2124 Al composites reinforced with SiC particulates were studied by focusing on the effect of consolidation temperature on the microstructural and mechanical Properties. The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tensile properties and microhardness of the second phases were analysed in relation to the microstructures observed by a SEM and an optical microscope. The in situ fracture process study using SEM showed that the grain refinement and the removal of manganese-containing particles often observed in the 2124 Al- composites were important for the improvement of the mechanical properties. This study offers an optimum consolidation temperature for the control of the manganese-containing particles in the 2124 Al- composites that yields mechanical properties higher than those of the 2009 Al- composites.
용탕단조법에 의해 제조된 Mg-6AI-xZn(x=0,1,2)합금의 기계적 성질에 미치는 시효열처리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주조상태에서의 미세조직은 초정 Mg고용체, 과포화된 상태의 Mg상, 응고과정에서 형성된 β(Mg17AI12)화합물 등 3개의 상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용체화처리 수 200˚C및 240˚C에서 시효열처리한 결과 Mg-6AI-xZn(x=0,1,2)합금은 β 석출물에 의한 피크 경도값이 나타났으며, 석출물의 형태는 200˚C에서는 lamella 형태의 불연속 석출물이, 240˚C에서는 미세분산분포된 연속석출물의 형태를 보였다. 용탕단조방법에 의해 제조된Mg-6AI-xZn합금의 기계적 성질은 사형주조법에 비해 인장강도 및 연신율에서 우수한 특성을 보였으며 Zn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Zn의 고용강화 효과에 따라 강도값이 증가되었다.
Ba(NO3)2와 TiCl4의 혼합 수용액으로부터 전기화학법 중 음극혼원법(cathodic reduction method)을 이용하여 stainless steel기판 위에 BaTiO3박막을 제조하였다. BaTiO3전구체 박막은 혼합 수용액으로부터 반응초기에 TiO2·nH2OM/형태로 우선적으로 형성되었으며,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일정한 Ba/Ti몰비를 갖는 박막이 제조되었다. BaTiO3박막 내 Ba/Ti조성비는 혼합 수용액 내에 존재하는 이온 조성비 Ba2+/Ti4+에 변화하였는데, 0.3M Ba(NO3)2와 0.1M TiCI4의 혼합 수용액과 10mA/cm2의 전류를 흘려주는 조건에서 Ba/Ti의 조성비가 1에 가까운 박막을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전구체 박막을 500˚C이상에서 열처리한 결고 페로브스카이트 상의 BaTiO3박막이 제조되었다.
고주파 마그네트론 반응성 스퍼터링(rf magnetron reactive sputtering)으로 티타늄산화물 박막을 제조하여 산소비율에 따른 반응성 스퍼터링의 증착기구를 조사하고 산소비율 및 기판온도에 따른 산화물 조성의 변화, 미세조직, 광학적 특성의 변화를 연구하였다. 기존의 진공기상증착법으로 증착만 박막에 비해, 금속타겟을 사용하여 높은 증착속도를 얻을 수 있는 반응성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으로 성막한 티타늄산화물 박막은 치밀도가 우수하여 높은 굴절률(2.06)과 높은 광투과율을 보였다. 상온에서 성막된 티타늄 산화물박막의 경우, 산소비율이 낮은 조건에서는 다결정형의조직을 보였으나 산소비율이 높은 경우에는 비정질조직을 나타냈으며, 기판온도가 300˚C 이상에서는 산소비율에 상관없이 다결정형의 조직을 나타냈다. 하지만 산소비율이 임계값이상에서는 박막의 조성, 증착속도 등이 거의 변하지 않는 안정된 증착조건을 보였다. 30% 이상의 산소비율의 반응성 스퍼터링의 조건에서는 TiO2의 조성의 박막으로 성장하여 약 3.82-3.87 eV의 band gap을 나타냈으며 기판온도의 증가에 따라 비정질 TiO2에서 다결정 TiO2으로 조직의 변화를 보여 광투과도도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주조성, 내압성, 내열성 등이 우수하여 군용 및 민수용 기계소재로 이용되고 있는 AI-Si-Mg계 AC4C 합금에 세라믹(AI2O3, AI2O3-TiC)을 강화시키는 복합재료제조에 관한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수행하였다. 연구내용은 세라믹 강화재의 젖음성을 높이기 위하여 수소환원법에 의한 AI2O3입자의 Ni 피복과 기존의 프리폰 제조방법보다 간단하고 경제적인 자전연소합성법에 의해 AI2O3-TiC 다공성 pellet을 제조하여, 이들 강화재와 AC4C 기지금속을 이용하여 고대-compocasting 및 squeeze casting법으로 복합재료를 제조하고 미세조직, 계면생성물, 기계적 성질, 내마멸성 등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고대-compocasting법에 의해 제조된 AI2O3Ni 입자 강화 복합재료에서 강화재들은 응집체로 존재하지 않고 비교적 균일하게 분산되었고 AI2O3-TiC 강화재를 이용하여 squeeze casting으로 가압주조 하므로써 기지금속과 강화재의 젖음성이 향상되었다.
국제기업환경이 급변하면서 세계화와 국제경쟁의 심화가 두드러진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한국기업의 국제화의 경우는 성장단계에 들어 해외투자가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기업의 국제화의 한 형태인 완전소유 해외투자가 주주에 미치는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거래비용관점에 입각한 광의의 내부화이론을 이론적 틀로 하고 경영자가 해외직접투자 의사결정을 내린 정보공시에 대해 투자자들이 그 기업의 주식에 대한 어떤 평가를 할 것인가 하는 문제와 그러한 평가에 미치는 영향요인들은 어떠한 변수들이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 한국기업의 해외직접투자에 대한 반응은 부정적으로 나타나 생존차원에서의 방어적인 해외투자임을 보여주고 있으며 내부화 이론과 대리인-주체간의 문제가 한국기업의 해외투자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s a basic study for preparing pine sprout tea, chemical components in pine sprouts and pine needles were analyzed as follows: In proximate composition the contents of most components except for crude fat were different between in pine sprouts and pine needles. Moisture content in pine sprouts was higher than that in pine needles. Calcium and potassium were major minerals contained in pine sprouts and needles, and their contents in pine needles picked in December were higher than those picked in June. Soluble tannin and vitamin C contents in leaf part of pine sprouts were much higher than those in stem part and their contents in pine needles were increased according to their growth. Free sugars like fructose, glucose and sucrose were contained in both pine sprouts and needles, and their contents in pine sprouts were higher in stem part as compared that in leaf part. Although fourteen kinds of amino acids were detected in pine sprouts and pine needles, their contents were extremely low. Amino acid composition between pine sprouts and pine needles was different each other, but major amino acids contained in them were same, those are acidic amino acids such as aspartic acid and glutamic acid. Amino acid contents in pine needles were increased according to the growth. In fatty acid composition in leaf part of pine sprouts, saturated fatty acid contents were higher than 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s, but in stem part 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s were higher. In pine needles the amount of saturated fatty acid was increased with the growth, but the amount of unsaturated fatty acid was rather decreased.
수입밀 (Sample A) 한 종류와 3종류의 국산밀(Sample B, C, D)로 파운드케익을 제조하여 품질을 관능검사, 색, 부피, 및 경도로 측정하여 국산밀의 파운드케익 가공적성을 비교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관능검사 결과, 수입밀 파운드케익은 국산밀 제품보다 질감, 맛 등이 선호되어 종합적인 선호도가 더 높다. 이는 수입밀 제품이 국산밀 제품보다 더 부트럽고 촉촉하며 결이 곱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2. 색도는 수입밀로 제조한 것이 L값은 81.09, a값은 -0.49, b값은 28.17로 나타났다. 국산 밀로 제조한 것은 이보다 L값은 낮게, a값은 높게, b값은 여러단계로 나타나, 대체로 수입밀 제품보다 명도가 낮고 붉은색을 띄는 누르스름한 것으로 나타났다. 3. 부피는 샘플 D가 833cc로 가장 컸고, B가 800cc, A가 755cc, C가 753cc로 D, B, A, C의 순으로 크게 나타나, 2종류의 국산밀 제품이 수입밀 제품보다 더 크게 팽화되었다. 4. 경도는 샘플 C가 22.60 dyne/㎠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D가 16.50, A가 15.75, B가 13.83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