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method to change the color of traditional Dongchimi using natural dyes to meet changing consumer demands. It was intended to improve the manufacturing process ability for color Dongchimi, and the best optimum extraction solvent and method from the natural dyes were proven to be confirmed and valid. The extraction process was evaluated using different solvents including distilled water, 20% ethyl alcohol, and 1% citric acid, and the quantity of the extracted anthocyanin was then measured based on the absorbance. The greatest absorbance was observed when 1% citric acid was used. Based on these findings, it would be most efficient to allow the traditional Dongchimi to produce citric acid naturally instead of using artificial additives during its production. Celosia cristata L. was extracted in its largest quantity when reacted with 20% ethyl alcohol. Therefore, instead of applying Celosia cristata L. to Dongchimi as the sub-ingredient during the preparatory stage, it will be more efficient to use Celosia cristata L. as the fractional ingredient in order to first extraction.
본 연구에서는 용매열합성법(solvothermal method)을 이용해 나노기공 HKUST-1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In-situ 용매열합성법을 이용하는 경우, 매크로 기공의 알루미나 지지체 위에 균일하고 균열이 없는 HKUST-1 층을 형성하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용매열합성 전에 알루미나 지지체의 표면을 가열한 상태에서 용매열합성의 전구체 용액을 분무하므로 연속적이고 균열이 없는 HKUST-1 분리막을 제조할 수 있었다. 합성된 HKUST-1 분리막은 XRD, FE-SEM 및 단일 기체투과 실험 등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CVD법으로 세라믹 막을 제조하였다. 튜브의 α-Al2O3 지지체 위에 Ga 염이 첨가된 γ-Al2O3를 코팅하였고, 실란화합물인 tetramethylorthosilane (TMOS) 를 650℃에서 화학적 기상 증착법으로 막에 증착하였다. 제조된 세라믹 막을 사용하여 수소, 질소, 이산화탄소, 메탄의 단일조성 기체투과 실험을 600℃에서 시행하였다. Ga 염 비첨가 시, 600℃ 수분 처리 실험의 H2/N2 선택도가 926에서 829로 감소한 반면, Ga 염 첨가 시에는 910에서 904로 안정하였다. 이 결과를 통해, 막에 금속염을 첨가하여 제조한 막이 수분 안정성을 향상시킴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관상용으로써 가치가 없어지면 잡초로 변해 버린 유채를 조사료원으로써 이용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서 천안에위치한 국립축산과학원 자원개발부 초지사료포장에서 수행되었다. 유채는 생육시기별 3회(개화기, 유숙기, 호숙기)에 걸쳐 수확을 하여 사일리지를 제조한 후 사료가치 및 품질을 조사하였다.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수분함량은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예건에 의해서 사일리지 제조 적기 수분함량을 유지하였다. 그리고 호숙기는 거의 헤일리지 수준의 수분함량을나타냈다. 유채의 원형곤포 사일리지는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조단백질 함량은 감소하는경향을 보였으나(p<0.05) 섬유소인 ADF 및NDF 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그리고 유채 사일리지의 TDN 함량도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감소되었다(p<0.05). 수확시기에 따른 사일리지의 pH는 3.8~4.4을 유지하였으며, 호숙기의 pH는 개화기나 유숙기 보다 높았다(p<0.05) 그리고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젖산 함량은 증가하였으나(p<0.05) 초산 함량은 감소하였다(p<0.05). Flieg법에 의한유채의 원형곤포 사일리지의 품질등급은 개화기(100), 유숙기(100) 및 호숙기(88) 모두 우수등급을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다수확 품종인 벼 품종들의 이화학적인 특성을 조사하여 가공적성이 우수한 품종을 선정하고, TG를 첨가하여 쌀 스폰지케이크를 제조함으로써 로프 볼륨과 조직감 등 품질향상을 위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아밀로오스 함량은 품종간 18.5~20.2% 범위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물결합력은 품종 중 보람찬이 높아 제빵 제조에 적절하였으며 물결합력과전분손상도는 서로 정의 상관을 나타냈다. 품종들의 호화특성은 트랜스글루타미나제를 첨가하지 않은 쌀가루보다 첨가된쌀가루에서 향상되었다. 쌀 스폰지 케이크의 부피와 견고도는부의 상관관계를 가졌고, 0.2% TG 첨가 시 밀가루와 유사한부피를 나타냈다. 스폰지케이크의 경도는 무첨가 보다 TG 첨가 시 변화가 적어 노화가 억제되었고, 0.2% 첨가 시 물성개선에 적절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보람찬 품종이 외형, 조직, 맛과 전체적인 평가에서 우수하였다.
본 연구는 마이크로 스케일의 내부 구조를 갖는 3차원 인공지지체를 제작하기 위하여 개발된 제조 시스템의 성능 분석을 위해 x-y축 정밀 스테이지 시스템으로 조립되었을 때의 해상도 및 정확도를 측정 하였으며, z축 정밀 스테이지를 분리하여 다양한 물리적 오차를 제거하였다. 기존의 x-y-z축 정밀 스테이 지 시스템을 x-y축으로 분리하고 각 축의 이동거리를 4종류(±0.25μm, ±0.5μm, ±25μm, ±50μm)로 설정하여 각 위치마다의 변위를 레이저 측정기를 이용하여 기록하였다. 가장 작은 이동거리(±0.25μm)에서의 진동이 상대적으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y축 스테이지 위에 x축 스테이지를 조립하였기 때문에 x축 스테이지 자중에 의한 모멘텀으로 인하여 y축 스테이지 구동변위 값이 크게 나타났다. 하지만 z축 스테이지는 기존 시스템과 달리 별로도 분리하여 구동 오차를 줄였으며, 일체화된 광학시스템을 적용하여 광학오차를 감 소시켰다. 따라서 새로운 시스템에서는 500μW, 140mm/min의 가공조건에서도 마이크로 스케일의 3차원 인 공지지체 형상의 구조물을 성공적으로 제작할 수 있었다.
In order to fabricate the porous Mo with controlled pore characteristics, unique processing by using powder as the source and camphene as the sublimable material is introduced. Camphene-based 15 vol% slurries, prepared by milling at with a small amount of dispersant, were frozen at . Pores were generated subsequently by sublimation of the camphene during drying in air for 48 h. The green body was hydrogen-reduced at , and sintered at for 1 h. After heat treatment in hydrogen atmosphere, powders were completely converted to metallic W without any reaction phases. The sintered samples showed large pores with the size of about which were aligned parallel to the camphene growth direction. Also, the internal wall of large pores and near bottom part of specimen had relatively small pores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camphene growth rate during freezing process. The size of small pores was decreased with increase in sintering temperature, while that of large pores was unchanged. The results are strongly suggested that the porous metal with required pore characteristics can be successfully fabricated by freeze-drying process using metal oxide powders.
A new manufacturing process of Fe-Cr-Al powder porous metal was attempted. First, ultra-fine fecralloy powders were produced by using the submerged electric wire explosion process. Evenly distributed colloid (0.05~0.5% powders) was dispersed on PU (Polyurethane) foam through the electrospray process. And then degreasing and sintering processes were conduced.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sintering temperature in process, pre-samples were sintered for two hours at temperatures of , , , and , respectively, in atmospheres. A 24-hour TGA (thermo gravimetric analysis) test was conducted at in a 79% +21% to investigate the high temperature oxidation behavior of powder porous metal. The results of the high temperature oxidation tests showed that oxidation resistance increased with increasing sintering temperature (2.57% oxidation weight gain at sintered specimen). The high temperature oxidation mechanism of newly manufactured Fe-Cr-Al powder porous metal was also discussed.
The quartz glasses were prepared by sintering of fumed silica powders and the effect of OH concentration on their surface on sintering was studied. Through the firing process, the fumed silica was crystallized from 1180 to region. The amount of hydroxyl group decreased with increase in calcination temperature and consequently the crystallization was prevented. A transparent quartz glass was obtained from fumed silica, previously calcined at , by the sintering at for 1 h.
This paper describes the spherical ammonium diuranate gel particles which are the intermediated material of the microsphere for an VHTR(very high temperature reactor) nuclear fuel.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mediate-ADU gel particles prepared by AWD(ageing, washing, and drying) and FB(fluidized-bed) apparatus were examined and compared in a sol-gel fabrication process.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washing filtrate from the FB treating and the surface area of dried-ADU gel particles were higher than those of AWD treating. Also, an internal pore volume in dried-ADU gel particles showed a more decrease in AWD treatment than FB treatment because of decomposition of PVA affected by the washing time. However, the internal microstructures of ADU gel particles were similar regardless of the process variation.
Nickel oxide was doped with a wide range of concentrations (mol%) of Aluminum (Al) by solvothermal synthesis;single-phased nano powder of nickel oxide was generated after calcination at 900oC. When the concentration of Al dopant wasincreased, the reduced intensity was confirmed through XRD analysis. Lattice parameters of the synthesized NiO powder weredecreased after treatment of the dopant; parameters were increased when the concentration of Al was over the doping limit(5mol% Al). The binding energy of Ni2+ was chemically shifted to Ni3+ by doping Al3+ ion, as confirmed by the XPS analysis.The tilted structure of the synthesized NiO with 5mol% Al dopant and the polycrystalline structure of the Ni0.75Al0.25O wereobserved by HR-TEM analysis.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newly synthesized NiO was highly improved by Al dopingin the conductivity test. The electrical conductivity values of the commercial NiO and the synthesized NiO with 5mol% Aldopant (Ni0.95Al0.05O) were 1,400s/cm and 2,230s/cm at 750oC, respectively. However,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synthesized NiO with 10mol% Al dopant (Ni0.9Al0.1O) decreased due to the scattering of free-electrons caused by the largenumber of impurity atoms;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Ni0.9Al0.1O was 545s/cm at 750oC.
제조공정에서 사용되어 지는 SPC(Statistical Process Control)관리 기법은 가피원인 을 탐지하여 변동을 감소시키는 통계적 공정관리 시스템이다. SPC의 대표적인 관리 기법으로는 Shewhart관리도, Cusum관리도, EWMA관리도가 있으며 이러한 관리 기법 들은 공정을 보다 안정적으로 관리 할 수 있도록 유지 및 예측하는데 사용 되어 진다. 본 논문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지는 Shewhart관리도와 공정 예측에 유리한 EWMA 관리도에 대해 연구해보고 공정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EWMA 관리도의 적용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목이는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되어있고 특히 한국, 일본, 중국, 일본 등지에서 다량의 야생버섯이 발견되고 있다. 목이버섯의 종류는 크게 목이목(Auriculariales) 목이과(Auriculariaceae) 목이속(Auricularia)에 속하는 목이(Auricularia auricula)와 털목이(Auricularia polytricha)가 있고, 흰목이목(Tremellales) 흰목이과(Tremellaceae) 흰목이속(Tremella)에 속하는 흰목이(Tremella fuciformis)가있다. 이들은 각종 활엽수의 고사목이나 반고사목에서 생장하고 있으며, 버섯의 모양이 사람의 귀와 같아서 중국에서는 목이(木耳), 우리나라에서는 목이 또는 흐르레기, 일본에서는 해파리 또는 기쿠라케(キクラケ)라하며, 서구에서는 ear mushroom이라한다. 본 연구는 목이버섯에 대한 균사 생육조건으로 온도, 산도(pH)을 조사하였는데 목이버섯이 균사체 생육온도는 25℃, 산도(pH)은 6~7범위에서 균사체 생육이 양호하였고, 또한 목이버섯의 균사체 신장을 위한 무기염류, 탄소원과 질소원의 종류와 농도를 조사한 결과는 생감자추출물 2%에 KH2PO4 0.1%, MgSO4․7H2O 0.05%를 처리하고 탄소원은 흑설탕 1.5%, 질소원으로 콩가루 0.4%를 혼합한 배지에서 균사체 생육이 양호하였다. 목이버섯의 톱밥종균의 제조조건을 구명하기위하여 톱밥종류로 포플러, 참나무톱밥사용하고 또한 고형물인 영양원으로는 미강 및 밀기울을 사용하여 이들에 이들의 혼합비율에 따라 균사 생육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참나무톱밥의 경우는 밀기울보다 미강을 혼합한것이 균사 신장이 양호하였고, 이때 미강을 20%혼합하였을 때가 균사 신장 및 밀도가 양호하였고, 포플러톱밥은 참나무 톱밥과 다르게 밀기울을 처리한 것이 양호하였고 이때 혼합비율은 10%혼합처리가 균사생육이 양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