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집종 아주까리 40종의 유전자원을 농촌진흥청 농업생명공학연구원 유전자원과로부터 분양받아 바이오디젤 가능 작물로서 조지방 및 지방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집종 아주까리 종자의 gas chromatogram은 6개의 피크를 보였고, ricinoleic acid의 retention time은 12.7분대이었다. 아주까리 수집종의 평균 기름 함량은 44.6~49.4%이었으며, 최저 41.4%와 최고 52.2%로 10.8%의 차이가 있었다. 지방산 조성은 불포화지방산이 97.6%로 대부분이었으며, 포화지방산은 2.4% 정도로 낮은 함량을 보였다. 지방산 조성은 87.3%가 ricinoleic acid이었으며, oleic acid와 linoleic acid가 각각 4.6%, 5.2%이었다.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의 함량은 1% 내외로 차이가 미미하였고, linolenic acid의 함량은 0.6% 정도로 가장 낮았다.
국내 유전자원에 대한 천연화합물 기능성 및 항산화성 물질을 탐색, 분리하고 신품종 육성을 통해 국민건강에 유해한 요인인 트랜스 지방에 대한 대체작물을 선발ㆍ육성하고자 2007년 충청지역에서 수집된 해바라기 유전자원에 대해 주요 작물학적 특성 및 지방산 조성 구성비율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총128점의 수집된 유전자원 중에서 CNU 07:32,S1 수집종의 개화기는 중간정도 였으며 간장은 210~290cm범위였고, 경경은 19~40cm의 변이를 보였다. 화판길이는 15~27cm의 변이를 보였으며, 종피색은 모두 검정색을 보였다. 1차 지방산을 분석한 결과 대전 온천1동과 죽동지역 외5개 지역의 해바라기 유전자원에서 고급지방산인 오레인산(18:1)과 리놀산(18:2)의 함량이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특히 CNU07:32 수집종은 오레인 지방산 함량이 69.3%(area%)로 Garst종자회사에서 육성된 교잡종인 4665HO나 4596HO의 DPM값이 97 및 99와 비슷한 값을 보여 앞으로 이들 계통의 육종결과가 기대되었다.
최근 국제 곡물가격의 상승과 바이오에너지 사용증가로 수입되는 옥수수 및 수입 조사료의 가격 상승으로 양질의 조사료 확보를 위해서는 유휴지와 휴경지 뿐만아니라 논을 이용한 양질의 조사료를 연중생산 하기위한 사료작물의 재배와 이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바 본 연구에는 여러 초종의 목초류를 파종하여 논 재배에 알맞은 품종을 선발하고자 실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리드카나리그라스 등7품종 단파와 톨페스큐 혼파를 전라남도 농업기술원 논 포장에 2007년 10월1일 파종하였다. 시험구 배치는 난괴법 3반복으로 시험구당 6m2 로하고 파종방법은 산파하였고, 시비량은 화본과 목초는N-P2O5-K2O = 210 : 150 : 180 (kg/ha), 두과목초는 N-P2O5-K2O = 50 : 120 : 120 (kg/ha) 로 하였고 기타 비배관리는 표준재배법에 따랐다. 생육조사는 작물학적 특성인 간장, 착수고, 출사기, 병해, 충해 등을 조사하였고 수량은 구 전체를 예취하여 측정하였고 건물수량은 이들중에서 임의 샘플을 취하여 건조기에 70℃에서 2주일간 완전히 건조한 후 건물을 측정하여 계산하였다. 남부지역 논재배에서 목초류 초종 선발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가 생초 수량이 87.1ton/ha 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톨페스큐가 70.7ton/ha이고 건물수량은 각각 23.9ton/ha , 16.2ton/ha 이고 두과류에서는 헤어리베치가 생초수량이 32.4ton/ha로 가장 많지만 건물수량은 9.3ton/ha에 불과하였고 특히 크림손클로버는 수량이 저조하지만 꽃이 붉은색이어서 경관을 조성할 목적으로 어메니티 측면의 접근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톨페스큐 혼파초지에서는 건물수량이 13.5ton/ha이었고 예취 차수가 증가함에 따라 클로버가 점차로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바이오에너지 사용증가와 국제 곡물가격의 상승으로 수입되는 옥수수 및 수입 조사료의 가격 상승으로 축산농가는 경영비 상승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에 있다. 따라서 양질 다량의 조사료 확보를 위해서는 배수가 양호한 논을 이용한 사료작물의 재배와 이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에 따라 국산개발 옥수수와 도입 옥수수를 파종하여 논 재배에 알맞은 품종을 선발하고자 이들을 재배하여 논 재배 적응성과 수량성을 알아보았는바 공시재료는 국내 육성 품종인 광평옥 등 2품종과 도입 품종인 P3394 등 4품종 총 6품종을 전라남도 농업기술원에 2007년 4월23일 파종하였다. 시험구 배치는 난괴법 3반복으로 재식거리는 70 x 15cm로 시험구당 12m2로 하고 시비량은 N-P2O5-K2O = 200 : 150 : 150 (kg/ha)로 하였고 기타 비배관리는 농촌진흥청 옥수수 표준재배법에 따랐다. 생육조사는 작물학적특성으로 간장, 착수고, 출사기, 당도, 내습성, 병해, 충해 등을 조사하였고 수량은4열중에 가운데2열을 예취하여 측정하였고 건물수량은 이들중에 3주 샘플을 취하여 건조기에 70℃에서 2주일간 완전히 건조한 후 건물을 측정하여 계산하였다.
남부지역에서 옥수수 유망품종으로는 강다옥과 P3394 등으로 내습성이 비교적 강하고 생육이 양호하며 건물수량은 각각 28.8톤/ha, 25톤/ha 등으로 옥수수도 밭뿐만 아니라 배수한 양호한 논 토양에서 논 재배가 가능한 여름철 사료작물임을 알 수 있었다.
최근 국민경제가 발전하면서 동물성 단백질의 수요증가로 국내 가축의 사육두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또한 바이오에너지 사용증가와 국제 곡물가격의 상승으로 수입되는 옥수수 및 수입 조사료의 가격 상승으로 양질의 조사료 확보를 위해서는 논을 이용한 사료작물의 재배와 이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바 타작물에 비해 습해에 비교적 강하고 적응성과 수량성이 우수한 논 재배용 수수류 품종을 선발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공시재료는 도입 품종인 점보 등 6품종을 전라남도 농업기술원에 2007년 5월3일 파종하였다. 시험구 배치는 난괴법 3반복으로 시험구당12m2 로하고 재식거리는 50cm 간격으로 6열을 파종하였고 시비량은 N-P2O5-K2O= 200 : 150 : 150 (kg/ha)로 하였고 기타 비배관리는 표준 재배법에 따랐다. 생육조사는 작물학적특성으로 초장,출수일,당도,내습성,병해,충해 등을 조사하였고 수량은4열중에 가운데2열을 예취하여 측정하였고 건물수량은 이들중에 3주 샘플을 취하여 건조기에70℃에서 2주일간 완전히 건조한 후 건물율과 사료가치를 분석하였다.
남부지역에서 수수류 유망품종으로는 Revolution, SX17 등으로 내습성이 비교적 강하고 건물수량이 31톤/ha, 25톤/ha 등이며 생육이 양호하며 소화율이 47 ~ 48% 이고 NDF는 각각 64.8%, 70.2% 등이고 ADF는 각각 40.2%, 43.2% 등으로 양호하였다.
국내 육성 콩 10품종의 각 부위별(자엽, 종피 및 배) 지방함량과 지방산 조성의 품종간 차이를 검토하였다. 지방함량은 자엽>배>종피 순서로 많았으며 각 부위별 평균 지방 함량은 자엽이 18.3%, 배가 8.9%, 종피가 1.4%이었다. 각 부위별 지방 함량은 자엽은 대망콩이 가장 높았고 서남콩이 가장 낮았으며, 배는 대망콩이 가장 높았고 호장콩이 가장 낮았다. 종피는 다장콩이 가장 높았고 새별콩이 가장 낮았다.
지방산 조성은 각 부위별로 자엽은 C18:2>C18:1>C16:0>C18:3>C18:0의 순서로, 종피는 C18:2>C16:0>C18:3>C18:1>C18:0의 순서로, 및 배는 C18:2>C16:0>C18:3>C18:0>C18:1의 순서로 높았다. 각 부위별로 linoleic/linolenic acid의 비율은 자엽은 명주나물콩이 가장 높았고 대망콩이 가장 낮았으며, 종피는 진미콩이 가장 높았고 대풍콩이 가장 낮았다. 배는 다장콩이 가장 높았고 대풍콩이 가장 낮았다.
A variety of stem cells has been emerging as therapeutic cells that can replace organ transplantation in human liver diseases.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whether human eyelid adipose-derived stem cells (HAD) might differentiate into functional hepatocyte-like cells in vitro. HAD were isolated from human eyelid adipose tissue. Effect of dimethyl sulfoxide (DMSO), fibroblast growth factor (FGF)-2 and FGF-4 on the hepatic differentiation of HAD have been examined in vitro. Immunocytochemical analysis and PAS staining showed that HAD cultured in both DMSO and FGF-4 exhibited the most intense staining than HAD of the other experimental groups. These HAD expressed numerous hepatocyte-related genes. Immunoblotting analyses showed that HAD cultured in the presence of DMSO and FGF-4 secreted higher amount of human albumin than HAD cultured in other conditions. Urea analysis also demonstrated that these HAD produced higher amount of urea than any other groups of HAD. In conclusion, combined treatment of DMSO and FGF-4 could effectively induce the functional differentiation of HAD into hepatocyte-like cells.
이 실험은 녹차추출물이 흰쥐 소장mucosa에서 -oleic acid의 에스테르화 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기 위해서 설계되었다 먼저, olive oil을 구강으로 강제 투여했을 때, 1시간 그리고 5시간 후에, 녹차 성분의 변수에 의해서 소장 mucosa 내에 축적된 중성지방이 얼마나 감소하는지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소장세포 내에서 녹차 성분에 의해서 각종 지방으로 -oleic acid의 분배비율이 영향을 받는지 조사하였다. 이 실험
본 연구는 주요 조생종 콩의 생육과 종실품질 및 수량을 비교하여 남부지방 다모작 재배농가의 조생종 콩 품종선택에 활용하고자 전남 나주(위도 35˚04'N, 경도 126˚54'E)에서 6월 15일에 파종하여 수행하였다. 큰올콩과 화성풋콩은 성숙기가 9월 12일로 빨라 작부체계 도입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종실품질과 수량이 양호하였다. 그리고 새올콩과 신록콩은 성숙기가 9월 20일 전.후로 조금 늦으나 종실품질이 좋고 수량이 많았다. 따라서 콩 후작물을 9월 중순에 파종하고자 할 때는 큰올콩과 화성풋콩이, 9월 하순에 파종하고자 할 때는 새올콩과 신록콩이 유리하였다. 그리고 주요 조생종 콩의 조기수확에 따른 종실품질과 수량성 등을 검토하여 조기수확 한계기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큰올콩은 수확적기(9월 12일)보다 6일전(9월 6일)에 수확할 때 입중, 수량, 종실품질 등이 적기수확과 차이가 없었다. 한편 새올콩은 수확적기(9월 24일)보다 6일전(9월 18일)에 수확할 때 입중, 수량, 종실품질 등이 적기수확과 차이가 없다. 따라서 큰올콩과 새올콩의 안정적인 조기수확 한계기는 수확적기 6일 전이다.
손상된 뇌신경조직내에서 신경줄기세포로부터 새로운 신경세포로의 분화가 상당히 제한되어 있어 이것이 손상된 뇌신경조직의 복구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원인이라 여겨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세포배양을 통해 지방조직 중간엽 줄기세포를 도파민성 신경세포와 콜린성 신경세포로 분화를 유도하였다. 중간엽 줄기세포를 신경세포로 분화시키기 위해 N2배양액에 bFGF, EGF, dimethyl sulphoxide (DMSO)와 butylated hydroxyanisole (
본 연구의 목적은 DEA를 사용하여 지방해양수산청의 생산효율성과 경쟁력을 측정하고자 하는 것이다. 선형문제 분석기 EMS를 사용하여 기술적 효율성 프론티어로 부터 한 방향 또는 다른 방향의 거리를 측정한다. 투입지향 측정은 산출 요소를 유지한 상태에서 효율성을 위한 투입요소의 감소치를 측정한다. 이와 같이 산출지향 측정은 입력 요소를 유지한 상태에서 효율성에 필요한 산출수치를 측정하고 무지향 측정은 효율성 개선을 위하여 투입과 산출에 대해 양방향으로 필요한 수치를 측정한다. DEA를 사용한 분석결과에 따라 비효율적 지방해양수산청은 항만행정과 공공기관의 생산 효율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효율적인 지방해양수산청을 벤치마킹할 것이 권고된다. 생산효율성에 관한 자료는 모든 활용영역에서 정책 입안자에게 방법론을 제공하고 다양한 체제에서 운용할 수 있는 기초가 될 것이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wo chemical amendments on volatile fatty acids (VFA) and nitrogen contents in poultry litter after broiler chicks were raised in poultry houses for 6 weeks. Two different additives were applied as a top dressing to the litter at a rate of AlCl₃∙6₂2O (200 g)+CaCO₃ (50 g) or Alum (200 g)+CaCO₃ (50 g)/kg of rice bran; untreated litter served as controls. Application of AlCl₃+CaCO₃ and Alum+CaCO₃ reduced total VFA contents by 67% and 51% at 6 weeks, respectively, compard to the control groups. The decrease in litter pH with two chemical treatments results in decreased proportion of VFA and increased nitrogen contents of the litt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reating AlCl₃+CaCO₃ and Alum+CaCO₃ to poultry litter offers the potential for reducing an environmental impact.
Characteristics of the esterification reaction between free fatty acid in rice bran oil and methanol was investigated in the presence of catalysts, such as PTS(p-toluene sulfonic acid), Amberlyst 15 dry and SCX(silica gel based strong cation exchange resin). While reaction temperature was kept constant at 65oC, initial feed content of free fatty acid was varied from 100% to 1% by addition of pure free fatty acid which was previously made from rice bran oil. Also, the effect of mole ratio of methanol to fatty acid on the final conversion was examined. When esterification of pure free fatty acid was catalyzed by several acids, final conversions were increased in order of Amberlyst 15 dry, SCX and PTS. Using PTS catalyst, initially the reaction proceeded in homogeneous 2nd oder reaction mechanism. However, phase of reaction mixture changed from homogeneous to heterogeneous along the reaction time and then reaction rate was retarded by mass transfer resistance of methanol. Final conversion of free fatty acid in reaction mixture was depended on initial feed content of free fatty acid, and had maximum value at 30% of initial feed free fatty acid content for all kinds of catalysts used. And the final conversion was increased with mole ratio of methanol by the improvement of reaction rate. When initial feed free fatty acid content below 10% and the reaction was catalyzed by PTS, concentration of free fatty acid in reaction mixture was increased in the middle of reaction time by hydrolysis of triglyceride in reaction mixture. Also, if silica gel was added into the reaction mixture which had initial feed free fatty acid content below 50%, final conversion was increased by the adsorption of moisture produced. The SCX catalyst made the esterification reaction of free fatty acid to progress like in case of PTS catalyst. However, when initial feed free fatty acid content below 10%, concentration of free fatty acid in reaction mixture was decreased monotonically and not increased in the middle of reaction time on the contrary to the case of PTS. Thus, SCX catalyst accomplished more high value of final conversion than PTS catalyst for the initial feed fatty acid content range from 50% to 5%. In case of initial feed free fatty acid content of 1% and mole ratio of methanol was 2, concentration of free fatty acid in reaction mixture increased over the initial feed free fatty acid content for all kind of catalysts used. Although SCX catalyst was added into reaction mixture which had 1% of initial feed fatty acid content, final conversion was hardly raised by mole ratio of methanol.
인삼에 발생하는 병해충을 적기에 방제하여 농약살포횟수를 줄이고 인삼을 친환경적으로 재배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얻기위하여 2006년도에 전북지방의 인삼포장에 발생하는 병해충 및 포장에 비래하는 해충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북지역에서 발생하는 병의 종류는 진안은 Rhizoctonia solani 등 8종, 정읍은 Botrytis cinerea 등 7종, 고창은 Botrytis cinerea 등 6종이었다. 발생시기는 7월을 전후한 장마기에 가장 많이 발생하여 장마 이전에 철저한 병해방제가 요구되었다. 또한 전북지역에서 가장 문제시되는 병은 Alternaria alternata, Botrytis cinerea,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등이었다. 인삼 포장을 가해하는 해충을 조사한 결과, Asusta despecta sieboldiana와 Holotrichia sp.이었고 블랙라이트트랩을 이용한 결과에 있어서는 Maladera orientalis, Ostrinia furnacalis, Holotrichia morosa 등이 가장 많이 포획되었다.
양파추출물이 알코올성 지방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흰쥐를 meal-feeding 방법으로 모든 쥐가 매일 같은 양의 식이를 공급받는 실험조건 하에서 에탄올 없이 정상식이만 섭취한 대조군, 에탄올과 정상식이와 함께 투여한 에탄올군, 양파추출물과 에탄올을 정상식이와 함께 투여한 에탄올양파추출물군으로 5마리씩 3그룹으로 나누어 사육하였다. 양파 추출물을 28일간 흰쥐에게 먹여 체중의 변화, 장기 무게 변화, 혈청 중의 glutamate oxalo
우리나라에서 재배 생산된 콩을 지역별로 수집하여 단백질, 지방함량 및 지방산 조성의 변이를 구명하여 국내 콩 자원의 이용성을 증진하고 고품질의 국산콩 생산기반 구축 및 특산단지 조성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본 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하면 다음과 같다. 1 황색콩의 백립중은 24.6~36.6 g(평균 29.0g)이었고, 검정콩은 27.7~33.1g (평균 31.2 g)의 변이를 보였으나 백립중 편차의 폭이 커 국내 유통 콩의 크기가 매우 다양함을 알 수 있었다. 2. 검정콩 59종의 단백질 함량은 38.6%로서 황색콩 58종의 단백질 함량 37.9%보다 높았으나 지방함량은 황색콩이 18.1%로서 검정콩의 17.6%보다 높아 종피색에 따른 변이를 보였다. 3. 우리나라 지역별 수집콩 117종의 지방산의 수준은 linoleic > oleic > palmitic > linolenic > stearic > arachidic > myristic > benhenic acid 순으로 높았으며, linoleic acid가 53.75%, oleic acid가 22.08%로서 지방산조성의 약 75.83%에 해당되었다. 4. 불포화지방산 수준은 수집 지역간에 통계적 유의차가 있었으나 linoleic acid 및 oleic acid수준은 수집지역에 따른 변이가 통계적으로 유의차를 보이지 않아 불포화지방산의 지역간 수준 차이는 주로 linolenic acid의 변이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5. 황색콩의 linoleic, oleic, palmitic, linolenic acid의 조성은 각각 53.43%, 22.73%, 12.23% 및 8.24%였으나 검정콩은 54.13%, 21.48%, 12.47% 및 8.31%로 나타나 콩의 종피색에 따른 지방산 수준에 변이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6. Oleic acid의 수준은 종피색에 따른 뚜렷한 변이를 보였으며 황색콩이 검정콩에 비하여 oleic acid의 조성비가 높게 분포되어 있었다. 7. 황색콩의 경우 백립중이 무거울수록 불포화지방산의 수준이 유의하게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r=-0.513, P<0.01), 검정콩의 경우에는 백립중이 증가됨에 따라 불포화지방산의 수준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r=0.154ns).
남부지방에서 초당옥수수의 경제적 재배한계기를 결정하기 위하여 경북 경산에서 "Cambella 90"을 2003년과 2004년 4월 1일부터 10일 간격으로 흑색 P E. film 피복과 노지에서 파종한 후 지온, 생육 및 자수특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일 최고지온은 흑색 P. E. film 피복에서 노지보다 낮았지만 최저지온은 높았고, 토양수분은 흑색 P. E. film 피복에서 노지보다 적습수준을 유지하였다. 2. 출아율, 입묘율, 간장 및 상품성 있는 자수수는 흑색 P. E. film 피복에서 노지에서보다 높았다. 3. 파종기가 지연될수록 생육기간이 단축되었다. 흑색 P. E. film 피복에서 노지보다 출수기가 빨랐고, 그 정도는 파종기가 빠를수록 더 컸으며, 수확기의 분포는 3~5 일이었다. 4. 초당옥수수 "Cambella 90"의 경제적 조파한계기는 4월 초순, 만파한계기는 6월 20일 경이었다.
영동지방은 최근에 여러 자연재해에 피해를 받고 있다. 그 중 2006년 10월의 강풍 피해는 매우 심하였으며 이에 대한 원인과 영향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동지방 특히 국지예보구역의 "강원영동"을 대상으로 하여 최근의 강풍의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2005년 10월 21~24일 그리고 2006년 10월 22~24일 발생한 강풍을 대상으로 강풍 발생원인과 피해를 고찰하였다. 영동지방의 강풍은 시설물, 농업, 수산업 등에 피해를 끼칠 뿐 아니라, 물류, 인간 보건 활동 등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특히 강풍의 2차적인 피해로 지역주민이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를 겪거나 관광, 농ㆍ수산물 생산량 등 지역 경제에도 영향을 받게 된다. 이러한 영동지역의 강풍의 원인 분석 및 영향에 대한 고찰은 기상재해의 제어 및 복구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 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