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80

        361.
        200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700원
        362.
        2000.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eating habits and nutritional knowledge of children in Pusan, with a view to uncovering problems and their underlying causes and cultivating desirable dietary habit and nutrition for children. Three hundred and fifty six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asked questions about their eating habits and nutritional knowledge as well as general information about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showed: 1. Only 53.5% of the subjects had breakfast every day. Seventy-six percent of the subjects had dinner every day. Only 40% of the children took meals and talked with family at both breakfast and dinner. Thus there was little opportunity for dietary guidance by parents. 2. About half of the subjects answered that their appetite decreased after eating snack foods between meals. A third of the subjects liked the baked goods as snacks. Because of their high sugar and fat content, they can damage children's health, resulting in child diabetes and tooth decay. For this reason, careful education is necessary to allow children to be able to select snack foods that are appropriate in kind and quantity. 3. About 85% of the subjects had an unbalanced diet. Therefore systematic nutrition education at school is necessary to instill in children the value of balanced diet. 4. Children preferred rice to other cereals as a staple food. They disliked kimchi, seasoned and blanched foods and salads as subsidiary foods.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teach children systematically the nutritional advantage of cereals and vegetables and to heighten their awareness of Korean food culture. 5. Children had a low level of nutritional knowledge. The knowledge of specific nutrients was lower than that of foods. In conclusion, systematical educational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at elementary school. These should include information about achieving a balanced diet, good eating habit, meal management and Korean dietary culture. Nutritional education at home must be emphasized.
        4,500원
        363.
        2000.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utrition and cancer prevention knowledge, beliefs, attitudes, and self-reported dietary changes. Data were collected from 903 parents whose children were attending an elementary school, a middle school, a high school, or a junior college in Kimcheon. Thirty-seven percent of the subjects reported that they had made dietary changes for their health. Respondents reported eating more vegetables(33.1%), fruit(24.1%), whole grains(19.9%), and lower-fat meats(14.5%) and less alcohol(17.2%), high-fat meat(16.4%), fats(13.8%), smoked foods(13.8%), snacks/cake/sweets(11.7%), salty foods(9.6%), and refined grain products(6.1%). Those who did not make any dietary changes most often said the reason was that they thought their diets were already healthful and therefore there was no reason to make a change. Eighty-nine percent of the subjects agreed that diet and disease were related and 89.5% knew that diet and cancer were related, yet 8% believed there was nothing a person could do to reduce the risk of getting cancer. In response to open-ended questions about foods that either increase or decrease cancer risk, vegetables, fruit, traditional fermented foods, etceteras, and whole grains were thought to decrease risk, and burned foods, salty foods, additives, high-fat meats/fats, and alcohol were thought to increase cancer risk. In this study, education levels to be the major demographic variable and residential district had an impact on cancer prevention knowledge and attitudes. People at lower educational levels and rural residents should be targeted for education about cancer risk reduction.
        4,200원
        364.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반응표면분석법으로 식품위생관련 세균의 불활성화를 위한 가열처리 조건(온도. 시간)을 최적화하다. 균주의 생육에 대한 반응표면 회귀식의 R^2은 P.aeruginosa가 0.9155(P<0.05). E. coli는 0.8997(P<0.05).S. typhinurium은 0.9690(P<0.01), E. aerogenes는 0.9393(P<0.05) 및 V. parahaemolyticus는 0.7905로 나타났다 가열처리 온도 및 시간에 따라 주의 생육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육억제에는 반응온도가 가장 큰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각각의 가열처리 조건에 따른 균주의 불활성화를 종합하여 superimposed contour map을 작성한 결과. 55.62∼60℃에서 19.25∼30분간의 처리가 균주으 불활성화 최적조건이었다. 본 연구는 피부미용전공과 비전공여대생의 모발영양지식을 파악하고 모발영양에 관한 과목을 수강한 학생들과 수강하지 않은 대상자들간의 모발상태. 모발행등 등을 연구하고자 청주에 있는 피부미용과 여대생 146명과 비전공여대생 145명을 선정하여 설문지를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모발영양지식은 전공여대생이 비전공여대생에 비해 훨씬 높았고. 모발의 진단을 받아본 경험도 전공대상자가 높았다. 그러나 모발상태. 손상원인 모발에 관한 걱정은 두 그룹 모두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모발관리도 전공대상자가 비전공대상자보다 많이 하고 있었고, 모발손질 횟수도 전공대상자가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미용실 출입횟수는 2∼3달에 한번이 가장 높았고, 그룹간에 차이는 없었다. 1회 머리손질 비용도 전공대상자가 비전공대상자에 비해 높은 경향이었고. 샴푸의 선택기준은 두 그룹 모두 샴푸의 질과 본인 모발의 상태를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선택하였다. 결론적으로 피부미용전공 여대생은 모발영양관 모발관리학 등에 관한 수업을 받았기 때문에. 모발영양 지식이 많아 모발행동이 더 바람직하였고 도발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하였다. 그러므로 모발에 관한 교육 건강한 모발을 유지하는데 기여한 것으로 나타나. 적절한 모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비전공여대생들에게도 모발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4,000원
        365.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400원
        367.
        1999.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늘날의 산업용 로봇, CNC 공작기계 및 여러 산업설비들은 시스템간에 관계가 복잡하게 연결되어 높은 신뢰성(reliability)을 달성하여 왔다. 그러나 가동시 발생하는 결과의 고장 가능성은 적은 반면에, 고장 발생의 파급 효과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복잡한 구조의 산업설비들에 대한 안전진단 결과들을 적절하게 분석하고 관리할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안전진단 작업은 여러 가지 정량적ㆍ정성적인 방법들을 포함하는 전형적인 분석방법이 필요하다. 최근에는 고장탐색, 진단처리 작업 및 신뢰성 분석 작업에 지식기반(knowledge-based)을 기초로한 퍼지 전문가 시스템을 적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안전진단 분석에 관한 일반화된 지식은 이들 후속 단계들에서 상당히 효율적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를 수행하기에는 지금까지 상대적으로 열악한 계산 도구들을 이용하였기 때문에 안전진단 분석을 행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오늘날 컴퓨터를 이용하여 위의 여러 단계들의 수행과정에 안전진단 분석을 행할 수 있는 적절한 방법으로써, 지식-기반(knowledge-base) 전문가 시스템들을 이용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시스템의 설계단계 뿐만 아니라, 시스템의 가동ㆍ유지ㆍ보수ㆍ수리시에도 비전문가가 고장안전진단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4,600원
        368.
        199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nutritional survey was conducted in February 25, 1999, in order to investigate the nutritional knowledge, dietary attitudes and nutrient intakes of dietitians living in Kangwon area. Subjects consisted of 250 dietitians, with 184 in school food service, 14 in hospital food service and 52 in institution food service. Data were analyzed for frequencies, means, t-test, 2-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using SPSS PC Package.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average nutritional knowledge score was 10.15 out of possible 15 points, and dietary attitude score was 67.93 out of 100 points. The correlation between nutritional knowledge score and dietary attitude score was lowly(γ=-0.25). Nutrients consumed below the Korean RDA were energy (78.77%), Ca(90.5%), Fe(83.70%) and nutrients consumed above the Korean RDA were protein(110.83%), P(140.21%), vit.A(163.94%), vit.B2(126.37%), niacin(121.12%) and vit C(231.86%). Carbohydrate, protein and fat ratio on energy composition was 63%:17%:20%. The nutrient density among 3 groups of dietitia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4,500원
        369.
        1999.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erception and knowledge on the diet among 651 women living in Inchon were surveyed by questionnaires in March through May, 1998. Respondents consisted of middle school girls(12.3%), high school girls(16.4%), and women in twenties(16.4%), thirties(18.9%), forties(15.7%) and fifties and over(20.3%). Ratio of high school graduates was the highest(37.0%) among respondents, and there was a tendency of less education with ages. Seventy-six percent of women practised the diet for the self-satisfaction of a nice figure, 20% for healing diseases, and 3.4% for attracting boy friends' or husbands' attention. The purpose of the die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ages(p<0.01). The diet methods which the respondents perceived effective and wanted to practise were exercise and food therapy. Average score of the knowledge on the diet was 8.27 out of 10, and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ages and education(p<0.05). Twenties showed the highest score and high school girls, thirties, middle school girls, forties and fifties and over were followed in decreasing order. Also the score was in decreasing order of graduates of college, high,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4,000원
        370.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앙공무원 연수원에서 연수중인 남자 공무원 213명을 대상을 비만과 관련된 인자들을 분석하였다. 조사 대상자는 20대가 52.6%로 가장 많았고, 대부분(96%)이 대졸 출신 이상의 높은 학력 수준을 지니고 있었다. 건강과 관련된 요인들 중 운동 실태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흡연율도 상당히 낮았으나, 74.2%의 높은 음주율을 보였다. 한편 22.1%가 질병을 보유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는데, 그 중 위장질환(22명)이 가장 많았다. 조사 대상자들의 평균신장과 체중은 172.1㎝, 70.5㎏이며, BMI는 23.8, 체지방량 16.1㎏, 체지방율 21.3%, 제지방량 55.4㎏, 체수분함량 40.9㎏으로 나타났다. 비만도는 BMI 기준으로 정상(20∼25)이 64.6%로 가장 많았고, 과체중(25∼27)이 18.4%, 저체중(<20) 9.9%와 비만(>27) 7.1%의 분포를 보였으며, 체지방율은 정상(14∼23%)이 58.7%이었고, 비만(>23%) 34.7%, 저체중(<14%) 6.6%의 순으로 나타났다. BMI와 체지방율은 연령과 정의 상관관계(p<0.01)를, 결혼과는 부의 상관관계(p<0.01)를 나타냈으나 학력이나 수입 정도는 별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영양에 대한 지식정도에는 비만도에 따라 큰 차이가 없었으나, 비만과 관련된 식품에 대해 매우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본 조사대상자들이 고학력임에도 불구하고 영양지식 점수가 양호하지 못하다는 점은 학교나 직장에서의 정규적인 영양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해준다.
        4,000원
        371.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식품영양전공과 비전공 여대생의 일반환경, 식태도, 식행동 및 영양지식을 파악하여 영양에 관한 과목을 수강한 학생들과 수강하지 않은 학생들의 식태도, 식행동 등이 신장, 체중 및 비만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연구하고자 청주에 있는 2년제 대학 식품영양학과 여학생 98명과 비전공 여학생 98명을 선정하여 설문지를 통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식품영양전공과 비전공 사이에 거주형태, 동거인, 부모의 연령 및 교육수준에 차이가 별로 없이 거주형태는 자택이 많았고, 동거인은 가족 모두가 함께 살고 있는 여대생이 많았다. 어머니의 연령은 40∼49세가 대부분이었으며 아버지의 교육수준은 고졸이 많았고 어머니는 중졸이 많았다. 월수입은 100∼150만원인 중간 소득층이 식품영양전공과 비전공 여대생 모두의 가정에 많았고 150만원 이상은 전공 여대생의 가정보다 비전공 여대생 가정에 더 많았다. 식태도에 있어서 전공 여대생은 맛과 영양을 더 고려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비전공 여대생은 맛, 가격, 분량 및 음식이 나오는 시간을 더 고려하였다. 식행동을 살펴보면 아침식사는 식품영양전공과 비전공 여대생 모두 먹는 편이었고 결식한 경우는 "늦게 일어나서"가 그 이유로 가장 많았으며 저녁식사는 전공과 비전공 모두 주로 집에서 하나 비전공 여대생의 경우 외식이 전공 여대생보다 많았다. 또한 저녁식사는 약 반 정도가 일정한 시간에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간식은 전공과 비전공 여대생 모두 점심과 저녁 사이에 가장 많이 섭취하고 있었으나 비전공 여대생의 경우 저녁식사 후에 간식을 전공 여대생에 비해 더 많이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영양전공 여대생의 영양지식 점수는 난이도가 있는 영양지식에서 더 높았고 기본적인 영양지식에서는 거의 비슷하였다. 평균 체중은 식품영양전공과 비전공 여대생간에 비슷하였으나 평균 신장은 비전공 여대생이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 전공 여대생보다 더 컸다. 비만도에 의하면 식품영양전공 여대생이 정상체중을 더 많이 유지하고 비전공 여대생은 저체중이 더 많았다. 결론적으로 식품영양전공 여대생은 영양에 관한 수업을 받았기 때문에 영양지식이 많아 식태도와 식행동이 더 바람직하였고 정상체중을 더 많이 유지하였으므로 영양교육이 올바른 식생활을 영위하는 데 기여한 것으로 나타나 적절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식품영양 비전공 여대생들에게도 영양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4,000원
        372.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부산시 영도구 일부 지역의 주부들을 대상으로 영양지식, 식생활가치관, 체형인식도, 식생활 태도 등을 분석하여 지역사회를 위한 영양교육 프로그램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계획되었다. 자신의 체형이 정상임에도 불구하고 본인 스스로가 정상체중이 아니라고 인식하는 주부는 38.1%로 나타났고, 그 중 30.5%가 과체중으로, 2.5%는 비만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영양지식 점수의 분포는 good 62.7%, excellent 37.3%이었으며, 식생활태도의 분포는 good(63.6%), fair(32.9%), excellent(3.1%), poor(0.4%) 순으로 나타났다. 식사 시에는 `맛의 즐거움(27.6%)`과 `영양 섭취(27.1%)`에 높은 비중을 두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배고픔을 해결하는 것`이 23.1%, `습관적으로 먹는다`가 22.2%이었다. 식생활 태도는 `영양 섭취`와 `맛의 즐거움`에 가치를 두는 그룹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연령층에 비해 3·40대 주부의 영양지식 점수가 높았다. 식생활태도는 20대 주부가 가장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나이와 영양지식은 높은 음의 상관을 보였으며, 식생활 태도와 영양지식, 식사다양도와 식생활태도, 식사다양도와 영양지식은 높은 양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4,000원
        374.
        199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700원
        376.
        199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700원
        377.
        1998.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teachers and caregivers of the preschool children can be most effective when it is based on a comprehensive needs assessment dealing with sociodemographic factors, dietary habits, and nutri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current dietary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of the teachers and caregivers of the day-care centers. Two hundred forty two teachers and caregivers were administered a questionnaire which was designed to ascertain informations on sociodemographic data, dietary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Dietary habits of the teacher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by sociodemographic variables; breakfast skipping/meal irregularities (age, p=0.011); frequency of snacking (education level p=0.031); preference for salty taste(age, p = 0.000, marital status p=0.038); preference for sweet tarte (age p=0.009); preference for vegetables (income level p=0.050); frequency of eating out (age p=0.028, marital status p=0.001); frequency of coffee drinking (age p=0.019). Daycare center teachers' nutrition knowledge level was found to be less than adequate expecially on nutrients that are liable to be deficient in young growing children and their food sources. Proportions of the teachers who answered correctly to the questions on foods rich in vitamin A, iron content of milk, bioavailability of calcium in plant foods were as low as 20.2%-54.5%. The most frequently used sources of nutrition information were mass media such as TV, radio, newspaper and magazines. Only 2.9% of the subjects reported that they obtain nutrition information from health professionals such as nutritionists/dietitians, physicians, and nurses. These findings are applicable at th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stages of various nutrition programs for the improvement of dietary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of the teachers and caregivers of the daycare center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eachers' dietary of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on food habits of young growing children.
        4,300원
        378.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tudy on the traditional houses of North Korea(I) have been published in 1996. This paper is written to supplement the preceding paper. This paper aims at collecting new data of traditional house in North Korea. But still being prohibited for the researchers of South Korea to approach to the field, I had to depend on the memories and experiences of the immigrants from North Korea who are now living in Kangwon and Incheon Province. Through the questionnaire and drawings, they described vivid memory of their old houses. I was able to add new data of 70 cases, which are significant and valuable as much as those of the real field are. Those data, including the exisiting data, are enough for me to analize statstically the regional charateristics, the differnces among economical classes, and the periodical change. It opens the way for verfying the existing theory. Regional charateristics of house in North Korea can be described as followings: a. Hamkyong-do ; Concentrating spaces into one building, Double-fold type plan, Including 'cheongju-kan' space, Weak fences b. Pyongan-do ; Concentrating spaces into two buildings, 二 shape buildings , Single-fold type plan, Strong fence c. Pyongannam-do to Myolak mountains; Concentraing spaces into two buildings, ㄱ, ㄷ shape buildings, Single-fold type plan, Strong fence d. Southern area of Myolak mountains; Concentrating spaces into one building ㅁ shape building, Single-fold type plan with wooden floor space
        4,9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