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헤란밸리의 쇠퇴 이후 대다수의 벤처기업들이 새롭게 자리 잡은 대표적인 곳은 구로디지털단지 지역과 성남 지역이다. 구로의 기업 군집화는 정부의 의도된 계획과 개입을 통해 성장한 반면, 성남 지역의 기업 군집화는 자생적이고 자기조직화의 과정을 통해 성장하였으며 이는 복잡성 이론의 관점에서 설명될 수 있다. 본 논문은 조직생태학적 관점에서 급진적이고 지속적인 혁신을 통해 성장한 대표적 벤처 생태계인 성남지역을 하나의 기업생태계 단위로 바라보고, 성남 지역 기업생태계에 일어난 조직변화의 양상을 복잡성 이론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성남 지역기업생태계는 1990년대까지 전통적 제조업 기반이었으나, 이후 오랜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여러 가지 작은 변화들이 누적되어 첨단기업 중심의 기업생태계로 급진적인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이러한 지속적이면서도 급진적인 변화 과정은 기존의 조직변화 이론으로는 설명되기 어려우므로, 본 연구에서는 복잡성 이론의 관점에서 평형으로부터 먼 상태, 초기조건의 민감성, 상호작용 네트워크와 긍정 피드백 고리를 통한 변화의 증폭, 공진화라는 4단계에 따라 분석을 시도하였다.또한, 지역의 시스템 요소들 간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통해 지역기업생태계의 자생적 변화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복잡성 이론의 관점에서 연구한 본 논문은 우리나라 지역혁신체제의 지속적 성장과 효율적 발전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지역에서 재배된 장뇌삼 8 품종과 밭에서 재배된 재배인삼 등 총 9개체에 대해 장 뇌삼 품종들 간의 유연관계를 분석하였다. RAPD분석에 사용한 random primer는 총 40종류(OPA 1~20, OPB 1~20)였으며, 이 중 34개가 각기 다른 지역에서 재배된 품종간의 집단을 형성하여 9개 품종간 유연관계를 밝히 는데 유용하였다. 유연관계를 분석한 결과, 홍천과 재배 인삼, 의성과 금산, 진안과 풍기와 강화, 상주와 안동 4개 의 그룹으로 구분되었으며 이는 다시 2개의 그룹「홍천- 재배인삼-의성-금산」,「풍기-강화-상주-안동」으로 구 분 되었다. 9개 지역에서 수집한 품종간의 유사도 값은 최저 0.30, 최고 0.53으로 나타났다. RAPD방법은 사용법 이 간단하고 소요시간이 적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적은 양의 DNA시료로도 분석이 가능한 검정법으로 형태적인 차이가 구별되지 않는 장뇌삼 품종 간의 유전적 유연관 계를 밝히는 데 유용한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품종별 계통유연관계를 보다 정확히 분석하기 위해서 AFLP 또는 Molecular Maker를 이용하거나 계통분류에 널리 이용되는 핵, 엽록체 DNA의 유전자 염기서열 비교 와 같은 정밀한 분자계통학적 연구가 수행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소나무림을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경영림으 로 발달시키기 위해 우리나라 강원북부지역에 분포하는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식생유형과 임분구조를 분석하였 다. 소나무림의 군락유형은 3개군락 5개군 2개소군으로 총 7개 식생단위로 구분되었다. 상재도가 61%이상인 종 으로는 소나무, 신갈나무, 생강나무, 큰기름새, 삽주, 진 달래, 가는잎그늘사초로 나타났다. 중요치를 분석한 결 과, 상층에는 소나무의 중요치가 높게 나타났으나 아교 목층 이하에서는 신갈나무를 비롯한 참나무류의 중요치 가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하층에서 소나무의 치수가 거 의 발견되지 않고 교목성 활엽수와 관목성 수종들의 중 요치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직경생장을 분석한 결과, 소나무에 비해 참나무류의 생장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 나, 강원북부지역에서 지속적인 소나무림 유지를 위해서 는 각 임분의 특성을 고려하여 중․하층에서 소나무와 경 쟁관계에 있는 활엽수들을 제거하는 등 적절한 시업법 이 도입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This writing is to understand some trends and its meaning of Regionalism Architecture in Jeju Island since 1950's.This thesis began with an interestin the identity crisis implicitin the simultaneous striving formodernism and the so-called regionalvalues in Jeju Island.Regionalism is a response in architecturalterms to re-establish continuity in a given place between pastand presentforms,and also a uniqueresultrelated to particularplaces,culturesand climatesin region.Thisisone wayoflookingattheissuesofregionalidentity. Thestudy began by observing thegeneralcharacteristicsofcontemporary ideason Regionalism inJejuarchitecture.Thismeansthattracingthehistoryofdevelopmentof Regionalism architecture in research area is notthe focus ofthis thesis.The thesis demonstratesthatRegionalism architecturesin Jeju showssometrendsrelated to the local cultural elements (or ideas) such like traditionalarchitectural forms,natural environment,local construction-materials,etc.In summation,in the perspective of Regionalism architecture,mostofbuildingsin Jeju bring outthem only asvernacular architectureasitwasonceproduced,by thesimplecombination andimitation without anycreativeinteractionoftheregionalculture. Istressthe pointin thispaperthat,in overthelastfifty years,therehavebeen very narrowed attemptstodesign theregionalvaluesin themain,and alsopointout thatthereareproblemsinthemannerinwhichlocalarchitectshavegoneabouttrying to define the regional themes.So,a grate depth is required to understand the phenomenonthatJejuareaiswithitsvariousnuancesoftraditions,art,culture,climate and lightand then to reinterpretitinto the modern building type with allthe high sense.In addition to that,someconclusionsarereached on futuredirectionsand the significanceofthestudy.
본 연구는 2007년도 조사된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충북지방에 분포하는 주요 수종에 대하여 평균 연륜생장량과 연륜생장량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충북지역에서 조사된 고정표본점은 총 56개소로 다양한 수종이 분포하였으며 그 중 개체수 분포 비율이 높은 10개 수종에 대하여 총 800본의 연륜생장량이 조사된 목편 자료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충북지방에서 평균 연륜생장량이 가장 높은 수종은 아까시나무(2.30mm/yr)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는 졸참나무(2.27mm/yr)>산벚나무(1.98mm/yr)>일본 잎갈나무(1.98mm/yr) 순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주요 수종들의 경우, 영급과 임분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평균 연륜생장량은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북한의 풍력발전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한 첫 단계로 북한 지역에서의 30년 동안의 27개 지점의 지상관측자료 중 풍속과 풍향 자료를 이용하여 이 지역에서의 기후학적 바람 자원을 분석하였다. 바람자원 분석을 위해 풍속의 확률 밀도함수를 Weibull 함수로 가정하여 접근하였다. 지표로부터 50 m 고도에서 연중 평균 풍속이 4.0 m/s 이상인 지역은 대체적으로 개마고원 지역과 황해도 해안 지역이었다. 이 지역들은 비교적 바람 자원이 풍부한 것으로 나타났다. 풍속이 5 m/s 이상을 유지하는 지속시간이 가장 긴 계절은 봄이었고, 짧은 계절은 여름이었다. 관측 지점 중 장진과 양덕이 지속시간이 가장 길고 평균 풍속도 가장 큰 곳이었다.
Characteristics of habitat alteration and post-embryonic development of Paratlanticus ussuriensis were investigated in the mountain region of Bitanri, Yeongdong county, Chungcheongbuk-do from 2007 to 2009. Overwintered eggs under the ground in the hillside were hatched from late March to early April. The soil temperature during this season was 7~14℃. Young nymphs lived mainly at the hillside by eating oak tree leaves but the 3rd or 4th instars switched their habitat to orchards near the hillside in early May, which is the time for sprouting of peach leaves. Old nymphs developed into the adult stage at the orchards in late May and moved back to the hillside in late June. Duration of post-embryonic development from the first instar nymph to adult was 49.2 days after 7 moltings at 25℃. Female adults collected from the field had long ovipositor (26.2 ㎜) and were slightly longer in the body length, hind femur, tegmen and pronotum than those of males.
본 연구는 2007년 6월 23일부터 6월 29일까지 제주도에 위치한 말 목장의 방목지에서 말의 연령에 따른 군별 행동양식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공시마는 육성마군 3세 11두, 육성마군 1세 12두를 대상으로 행동을 조사하였다. 연령에 따른 행동의 차이가 약간 나타나 육성마(1세) 군에서는 채식이 56%, 기립 23%, 횡와 10%, 보행 5%, 러닝 2.5%, 음수가 3%였다. 육성마 1세의 3두의 개체별 행동발현은 개체차이가 나타났으며 비율의 평
한국고라니(Hydropotes inermis argyropus)는 우리나라의 고유종으로 가장 흔한 종의 하나이다. 이 종은 한반도 전역에 널리 분포하며 자연생태계에서 초식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고라니는 서식지의 질을 모니터링하는데 하나의 좋은 생물지표종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강원도 철원지역과 전라남도 동부지역에서 수집된 한국고라니의 서로 다른 3가지 조직(신장, 간, 지라)에서 5가지 중금속(Fe,
본 연구에서는 논에서의 조사료 생산을 위한 작부형태별 우분액비의 시용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총체보리+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 이모작구 그리고 헤어리베치를 녹비작물로 이용한후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 일모작구로 하여 논에서의 다양한 조사료 작부 형태를 배치하고,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의 생산성 및 사료가치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처리구별 토양의 지력증진 효과를 분석함과 동시에 우분액비의 시용과 경작형태에 따른 용탈수중 -N, -N 및 -P 등을 분석하여 환경오염에
Five kinds of odorous aldehyde were investigated at industrial complex in Busan. Samples were collected by DNPH cartridge at 24 work places, 81 samples in 44 sites, and analysed by HPLC/UV system. Acetaldehyde was detected in 78 samples with range of 1.2~299.7 ppbv. Propionaldehyde, butyraldehyde, n-valeraldehyde and i-valeraldehyde were detected in 7 samples, 11 samples, 2 samples and 9 samples, respectively. Measured concentration of propionaldehyde, butyraldehyde, n-valeraldehyde and iso-valeraldehyde were ranged 14.8~74.1 ppbv, 1.6~132.0 ppbv, 11.7~13.3 ppbv and 113.9~8858.9 ppbv, respectively. Among total analysed samples, 15 samples were over than degree 3 of calculated odor intensity. All of i- Valeraldehyde detected samples were showed over than degree 3. The work places subsisted aldehydes with high concentrations were related with leather-factory wastes disposal plant, leather, feedstuff, producing synthetic seasoning and textile mill.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지역 노인들의 낙상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신체적, 심리적 요인들을 고려하여 이들 변인들간의 인과적 관계를 알아보고, 매개변인인 이동기능을 통한 영향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 방법 : 2008년 9월 3일부터 2009년 5월 30일까지 논산지역 13곳의 경로당을 이용하는 노인 290명을 대상자로 하였다. 신체적 요인은 신체 부위별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InBody 720을 사용하여 하지근육량과 비만도를 측정하였고, 심리적 요인은 통증과 우울에 관한 검사가 실시되었다. 이동기능은 이동능력(Timed Up and Go: TUG)과 선따라 걷기 검사가 실시되었고 낙상효능감에 대한 자료는 낙상효능감 척도(Fall Efficacy Scale: FES)를 사용하였다. 분석은 신체적, 심리적 요인들을 외생변인으로 선정하여 중간 매개변인인 기능이동능력과 최종 내생변인인 낙상효능감에 미치는 인과적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Amos 7.0의 ML(Maximum Likelihood) 추정절차를 사용하였다.
결과 : 낙상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에서 이동하기, 복부비만과 내장비만, 통증,우울 그리고 연령에서 부적(negative)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하지의 근력과 성별에서는 정적(positive)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매개변인인 이동능력에 유의미한 인과 영향을 갖는 요인으로는 하지근육량(β=-.352), 비만도(β=.159), 심리적변인(β=.240)이었고 통제변인에서는 연령(β=.424)이었다. 최종내생변인은 이동기능(β=-.524)과 심리적 변인(β=-.152)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간접영향과 직접영향을 고려한 전체 영향에서 절대적 크기 순서로 나열하면, 이동기능(-.524), 심리적 변인(-.236), 연령(-.164)이다.
결론 : 농촌지역 노인들의 낙상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이동기능, 하지근육량, 심리적변인, 비만도, 연령이다. 따라서 작업치료에서 노인의 낙상효능감을 증진시켜 일상생활 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이상의 요인들을 고려한 작업치료 중재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