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Cordyceps militaris extract on the improvement of the glucide metabolism in serum of streptozotocin (STZ, 50 mg/kg BW, IP injection)-induced diabetic rats (SD strain, male) fed the experimental diets for 5 weeks.
Concentrations of creatinine, lipid peroxide and NEFA in sera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TZ-induced diabetic group (group DMG) and STZ+Cordyceps militaris extract administration group (group DMS)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group BD). However, the concentrations of creatinine, lipid peroxide and NEFA in sera were reduced in the group DMS than those in the group DMG. The activity of creatine phosphokinase (CPK) in serum was lower in the group DMS than in the group DMG. The activity of LCAT in serum was increased in the group DMS (Cordyceps militaris extract administration) than in the group DMG. The results indicate that Cordyceps militaris extract were effective in the improvement of the glucide metabolism in the sera of STZ-induced diabetic rats.
본 논문에서는 의용영상의 병소부위 특징을 추출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특징 추출을 위해 위장영상을 입력하여 DCT계수 행렬을 구하였다. DCT계수 행렬은 저주파 영역으로 에너지가 집중되기 때문에 저주파 영역에서 128개의특징 파라미터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특징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질환영상과 정상영상을 비교하여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특징 파라미터는 PACS의 차등압축과 CAD를 위한 입력 파라미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소뇌에 이상이 있는 소뇌성 운동실조증 환자들(n=9)을 대상으로 단일 장애물 보행과 연속적인 다중 장애물 보행을 수행하는 동안에 운동학적 특성과 전략을 분석함으로써 소뇌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규명하였다. 실험과제는 과제의 난이도 별로 단일 장애물 보행과 다중 장애물 보행 조건으로 설정하여 장애물을 넘는 동안 발의 높이, 장애물을 넘기 전 발의 이륙거리, 장애물을 넘은 후 착지거리, 장애물을 넘는 동안 발의 외전량, 보행 속도 등의 운동학적 변인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소뇌 환자 집단은 정상인들에 비해 장애물을 통과하는 속도가 느리며, 단일 장애물 과제를 수행 할 때 보다 많은 정보처리를 요구되는 다중 장애물 과제의 수행에 어려움을 보여 주었다. 또한 장애물을 넘기 위한 행동 전략으로 다중 장애물뿐만 아니라 단일 장애물 과제 모두에서 발의 위치를 장애물에 가까이하고 발의 높이를 높게 하여 발이 장애물에 걸리지 않게 하는 전략을 선택하는 것 역시 운동계획과 예측 전략에 어려움이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는 시각적 정보 처리가 요구되는 동작 과제와 연속적인 다중 장애물 보행과 같은 복잡한 하지 제어의 계획과 실행에 소뇌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Volcano eruption can cause health problems in many way. For example, acid rain, gas & acid particle emissions, ash & tephra, lava flows, debris avalanches, and volcanogenic earthquakes can cause significant human health problems. In this presentation, the focus was made on the development and aggravation of disease that might be expected after the eruption of Mt. Baekdu. Especially, the effect of volcanic ashes on human health was emphasizing since it is expected that the most health problems in South Korea caused by the eruption of Mt. Baekdu comes from volcanic ashes. The possible disease expected after the eruption of Mt. Baekdu are as following: (a) asthma; (b) COPD: chronic obstructive lung disease; (c) conjuunctivitis; and (d) dermatologic disease. The relationship between volcanic ahses and each disease was discussed.
본 연구는 병의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방사선들을 대상으로 근골격계 질환 현황 조사를 통해 추후 방사선사의 체계 적이고 효율적인 자원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2011년 7월 10일부터 31일까지 약 20일에 걸쳐 전국의 의원, 병원, 종합병원, 대학병원의 방사선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 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 부위별로 근골격계 증상 여부에 대하여 빈도분석을 한 결과, 목 부위는 22.5%, 어깨 부위 는 33.1%, 팔/팔꿈치 부위는 8.3%, 손/손목/손가락 부위는 15.5%, 허리 부위는 32.4%, 다리/발부위는 전체의 16.9% 로 나왔다(p<0.05). 둘째 직무스트레스, 사회심리스트레스, 피로도의 기술통계를 정리한 결과 직무스트레스 전체는 Likert 4점 척도에서 평균 2.48, 사회심리스트레스는 Likert 4점 척도에서 평균 2.27로 직무스트레스가 사회심리스트 레스보다 약간 높게 나왔다. 피로도의 경우 Likert 7점 척도에서 평균 4.57로 ‘보통이다’보다 약간 높은 것으로 나왔다 (p<0.05).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향후 방사선사의 근골격계질환에 대해 예방활동을 전개하고자 할 때 체계적이고 효 율적인 자원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로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본 연구는 전․의경에 대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인적자원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로써의 성격을 갖는다. 우선 전·의 경과 경찰관을 대상으로 방사선 검사 중 단순 X-선검사, CT 검사, MRI 검사를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 하였다. 질환별 분류에 있어서는 신체부위별로 일반 질환과 근 골격계 질환으로 분류하였다. 근 골격계 질환은 다시 검 사 부위별로 세분화하여 분석하였다. 경찰관과 전 의경의 정량적 비교에 있어서는 단순 X-선검사, 전산화 단층 촬영 술, 자기공명영상검사의 부위별 평균 인원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전 의경은 단순 X선 검사, CT 검사, MRI 검사 등 세 검사 모두 Lower extremity 검사가 다른 부위에 비해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으며 Lower extremity 검사 중에서 특히 Knee 검사 비율이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균형 및 자세유지와 보행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소뇌에 손상을 입은 소뇌성 운동실조증 환자(n=9)들과 정상 대조군(n=9)을 대상으로 장애물 보행 동안에 나타나는 운동학적 특성을 규명하였다. 실험과제는 낮은 장애물(5cm)과 높은 장애물(15cm) 조건으로 설정하여 장애물을 넘는동안 발의 높이, 장애물을 넘기 전 발의 이륙거리, 장애물을 넘은 후 착지 거리, 장애물을 넘는 동안 발의 외전량, 보행 속도 등의 운동학적 변인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소뇌환자 집단은 정상인들에 비해 장애물을 넘는 동안에 발의 높이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장애물을 넘기 전후의 발의 위치를 장애물 가까이 위치시키면서 발의 궤도를 "┌┐" 모양의 수직 형태로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발을 의도적으로 높이 들기 위하여 정상인들에 비해 발의 외전량을 증가시켰으며, 보행의 속도 역시 정상인들에 비해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소뇌손상으로 인한 자세제어와 균형 유지에 대한 장애를 보완하기 위한 보행 전략으로써 장애물 보행에 있어서 소뇌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sian dust and asthma disease in Seoul, using data of Asian dust occurrences and the number of treatments for asthma between 2005 and 2008. The data include the number of treatments for asthma on the basic day paired with the average number of treatments for asthma on the compared days. The compared day is defined by the day of no Asian dust in same month and day of the week as the basic day, when Asian dust occurs. Also, the basic day is expanded to the day after three days from the day of Asian dust. The paired two sample t-test for the number of treatments for asthma on the basic day and the compared days revealed that the Asian dust occurrences are correlated with the asthma disease. The number of treatments for asthma is significantly increased on the one and two days after Asian dust occurs. On the other hand, there'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treatments for asthma between the days of Asian dust occurrence and the days of no Asian dust, which implies that people usually try not to go out when Asian dust occurs.
치아의 세균들은 잇몸에서 염증반응을 일으켜서 치은염과 치주염같은 잇몸 질환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잇몸질환의 예방과 치료를 위해서는 치아 세균에 의한 염증반응을 조절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현재 대부분의 구강 관리 제품들은 살균제를 이용하여 구강 세균을 제거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의 연구들은 심지어 열 처리로 사멸된 구강 세균도 염증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는 사실을 보고하고 있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인 잇몸 염증반응 억제를 위해서는 살균제를 이용한 방법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아직까지 구강 세균에 의한 잇몸 염증반응의 기작과 효과적인 천연 염증 억제 물질들은 보고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치은염, 치주염 유발세균인 Prevotella intermedia와 인간의 잇몸상피세포를 이용하여, 실제로 잇몸에서 일어나는 염증반응의 기작을 연구하고, 이를 통해 효과적인 천연 잇몸 염증 완화 물질을 도출하려고 하였다. 실험 결과, Prevotella intermedia는 잇몸상피세포를 자극하여 염증매개인자인 IL-8을 분비하게 함으로써 잇몸 염증반응을 개시하였다. 또한 Prevotella intermedia에 의한잇몸 염증반응은 기전적으로 COX-2, AP-1, TNF-α와 연관되어 있었으며, 녹차추출물은 Prevotella intermedia에 의한 잇몸 염증반응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치아 세균에 의한 잇몸 염증반응의 기전 연구를 통해서 효과적인 천연 잇몸질환 개선 물질을 도출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광용적맥파(photoplethysmogram, PPG)는 심장의 수축과 이완으로 변화하는 혈액용적(blood volume)과 혈액내의 헤모글로빈에 흡수되는 빛의 양의 선형적 관계를 이용하여 신호를 획득하는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PPG 센서를 이 용하여 질환 예측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본 시스템은 PPG 센서를 이용하여 심박수의 변이를 살펴볼 수 있는 심박수 변이 분석과 이전 심박수와 이후 심박수를 구분지어 그래프로 표현하는 심박수 분포를 보여준다. 또한 심 박수를 스펙트럼 분석하여 자율신경계 균형도, 가속도 맥파로부터 혈관 상태를 분석하여 심혈관 질환을 조기 예측하는 개인용 컴퓨터 기반의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Pruns mume, Schisandra chinensis, Chaenomeles sinensis-- Prunus mume mixtrue (PM) treatment on colitis induced in mice by dextran sodium sulfate (DSS) treatment. A total of 25 male BALB/c mice (average weight 20.7 ± 1.6 g) were divided into 5 treatment groups and fed a commercial diet (A), PM administration (B), commercial diet + induced colitis by DSS (C), PM administration + induced colitis by DSS (D) and sulfasalazine + induced colitis by DSS (E). We found that PM treatment (D) and sulfasalazine (E) decreased the expression of TNF-α and COX-2 compared to the DSS-induced colitis group (C). The expression of IL-4, STAT6, IFN-γ, STAT1 was decreased in group D and group E compared to the colitis group (C), COX-2 and STAT1 were more decreased in group D. The serum IgE levels decreased in the PM treatment groups (C and D) compared to the non-PM treatment groups (A and B)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M treatment groups. It is notable that a therapeutic application of the PM extracts ameliorated DSS-induced colitis in mice.
본 연구는 전남 목포시에 위치한 H 노인복지관 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는 80~86세의 뇌질환 노인 7명을 대상으로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자아존중감, 감정균형, 얼굴표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3월 28일부터 8월 21일까지 매주 1회 1시간씩 총 20회에 걸쳐 실시하였고, 자아존중감, 감정균형 척도, 스마일 척도 평가지를 이용하여 원예치료이 효과를 조사하였다. 자아존중감은 대상자 7명 전부 향상되었으며, 원예치료 프로그램 실시 전 평균 25.9에서 실시 후 평균 33.0으로 높아졌고, 통계적으로도 유의성을 나타냈다. 감정균형은 프로그램 실시 전에는 평균 13.6이었으나 실시 후에는 평균 16.7점으로 높아져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정서 안정에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고, 통계적으로도 유의성을 나타냈다. 스마일 척도의 변화를 매 회기마다 조사한 결과 프로그램 실시 후 얼굴표정이 밝아졌고, 전체 평균이 실시 전 4.3에서 실시 후 4.8로 향상되었다. 따라서 꽃장식과 압화작품 만들기와 같은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뇌질환 노인들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고, 정서적 안정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강력한 항알러지 효능이 있는 EGCG3‘’Me가 고함유된 차나무 잎을 이용한 녹차제품의 성분변화와 관능특성 을 검토하기 위하여 제주도 설록차연구소 시험포장에서 재배 중인 5종의 차나무 품종을 대상으로 시험을 실시하였다. 녹차 가공특성 평가를 위해 대표적인 녹차제품인 증제차와 덖음차로 구분하여 2가지 형태로 제조하였으며, 제품의 관능평가는 훈련된 전문 품질심사요원을 대상으로 외관 및 내질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 였다. 총 질소, 총 유리아미노산, Theanine, Vitamin C 함량은 NIR Analyz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카페인 및 카테친 함량은 HPLC를 이용하여 동시분석 하였고, 색도는 색차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가공방법을 달리한 녹차제품에 대한 일반적 품질 특성은 대체적으로 가공방법에 따른 큰 차이점을 확인할 수 없었지만, 품종에 따라 성분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녹차 표면 색도는 가공방법 및 품종에 따라 다르게 조사되었으 며, 모든 품종에서 덖음차보다 증제차의 명도(L) 값이 높았다. 증제차의 관능평가에서 Saemidori의 관능평가 점수가 가장 높았는데, 수색은 선명한 녹색을 나타냈으며, 감칠맛이 강해 내질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EGCG3‘’Me의 함량이 높은 Benifuki 품종은 카테친 특유의 떫은맛이 강하였으나, 전반적인 제품의 외관과 내질의 평가에서 다른 품종에 비해 큰 차이가 없었다. 덖음차의 관능평가에서는 증제차와는 달리 Fushun 품종이 가장 높았으며, Benifuki 품종이 Saemidori 품종과 함께 내질에서 우수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지식경제부 지역산업선도기술개발사업(70004170)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것 임.
본 연구에서는 양팔을 사용한 협응운동의 수행에 있어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소뇌에 이상이 있는 환자들(n=10)을 대상으로 협응동작 패턴의 수행 정확성과 안정성 등의 상위수준의 매개변인과 동작주기와 거리조절력, 그리고 동작의 연속성 등의 하위수준의 매개변인을 측정하여 비슷한 연령대의 정상인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소뇌질환 환자들은 양손을 움직이는 하위수준에서 거리측정 장애를 보여 정상인집단에 비해 거리조절 능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동작의 끊김이나 주저함이 없이 연속적으로 운동을 수행하는 능력에도 저하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뇌질환으로 인해 운동수행 시 필요로 하는 적절한 양의 근력이나 힘을 생성해내는데 어려움이 발생하여 일어난 결과라고 할 수 있으며, 또한 신체 내외의 감각정보를 활용하여 최적의 동작을 계획하고 발현시키는 제어체계에 이상이 생겨 발생한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양손을 움직이는 상위수준인 동일위상과 반대위상 협응패턴의 수행에서는 정상인들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단일관절을 이용한 양팔 협응동작의 수행에 있어서 전체적인 협응구조와 그 안정성 등의 상위수준의 제어에는 뇌신경 구조체 중에서 소뇌가 크게 관여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보이며, 오히려 대뇌심부의 기저핵이 관련 동작의 수행에 깊은 연관이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