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59

        281.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round liquefaction of sandy ground during earthquake is a major problem that may cause big catastrophes to infrastructures. In seismic evaluation, it is important to describe correctly the mechanical behavior of soils subjected to cyclic loading in order to avoid or reduce the damages caused by liquefaction. However it needs a lot of time and efforts. Therefore in this study, we tried to evaluate the elaborate way for ground liquefaction hazard map using a simple method for estimating.
        282.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s about an earthquake disaster response system and an application technology for post-earthquake safety evaluation. The mobile application supports field survey on earthquake damage buildings and shortens the surveying time. The results from the mobile are transmitted to a data managing program. And it displays a surveyed-place, result and suggests statics. This system is expected to support local governments to effectively respond to earthquake disasters.
        283.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natural period is generally used for monitoring the change in structural dynamic characteristics. It is legally obligated in Korea that seismic acceleration measurement system is installed in structures and measured data are transmitted. However there are some difficulties that the natural period is automatically analyzed by the structural acceleration analysis system. First, structural characteristics is changed by various factor such as plan shape, foundation type, structure type, size, and so on. Second, there are many factors ― machinery(basement), conditioning equipment(roof) ― causing noises near the measurement system installation point. Lastly, there are only sent some interval data by earthquake except ambient vibration to the analysis system. In this study to estimate the natural period, systemic approach is developed using simple evaluation formula from Korean Building Code-2009(KBC-2009).
        284.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박(Citrullus lanatus)은 대표적인 고온성 채소이지만 대부분이 저온기에 정식하여 재배 하기 때문에 유묘기 저온 으로 인하여 생육 불량하여 고품질 안정생산에 많은 장해 요인이 되고 있어 유묘기 내저온성 품종개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박유전자원 16개 계통을 NDVI영상분석을 통하여 선발된 저온 신장성 우수 계통(PI299379, PI482261)과 시판품종삼복꿀, 수퍼금천을 식물생장상 28℃/18℃에서 20일간 육묘하여 3일간 15℃ 에서 순화 시킨 후 10℃에서 2일간 저온 처리(순화구)와 순화 없이 10℃로 2일간 저온처리(급저온구) 하였고 대조 구는 주야간 온도를 28℃/18℃로 하여 유전자 발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조구와 저온처리구의 발현양 상 차이를 보이는 17개의 단편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단편 서열을 바탕으로 한 RT-PCR 분석을 통하여 저온신장성 우수계통에서만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calcium-binding EF hand family protein, trypsin inhibitor, Sigma factor binding protein, 등 4개의 유전자를 확인하였다
        285.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일반적으로 가축의 기호성은 가축의 선택적인 채식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사료의 소화율과 가축의 채식량 간에 는 높은 정의 상관관계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벼의 잎이나 종실에 존재하는 강모의 대부분은 규소결정체로 이루 어져 있어 이는 가축이 소화하기 어렵다. 이에 가축의 기호성을 증진할 목적으로 잎과 종실에 강모가 없어 매끄러 운 특성을 갖는 총체사료용 벼 ‘중모1038’을 육성하였다. 출수기가 평균 8월23일로 만생종인 ‘중모1038’은 저온발 아성이 높고 잎도열병 검정결과 중정도 이상의 저항성 반응을 보였으며 기타 흰잎마름병, 바이러스 및 멸구류에 는 약하다. 보통기 다비재배로 중부, 호남 및 영남평야에서 실시한 지역적응시험 결과 평균 총체건물수량이 1,716 ㎏/10a로 ‘녹양’에 비해 21% 증수되었다. 조사료의 소화율 및 섭취량에 관여하는 산성세제불용섬유소(ADF)는 33.5%, 중성세제불용섬유소(NDF)는 48.5%이고 가소화양분총량(TDN)은 62.4%로 ‘녹양’보다 약간 적은편이나 매끄러운 잎 및 종실을 가지고 있어 가축의 기호성을 증진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286.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립식량과학원 영덕출장소에서 2001/2002년 동계온실에서 동해안 및 영남지역에서 출수기가 중생이면서 밥맛 이 뛰어나고 재배안정성이 높은 벼 품종을 육성할 목적으로 벼알의 숙색이 양호하고, 초형 및 밥맛이 좋은 “영덕31 호”를 모본으로 다수성이면서 밥맛이 우수한 “밀양165호”를 부본으로 인공교배를 실시하고, 2002년 하계에 F1을 양성하여 YR23160의 교배번호를 부여하였다. 2003년에 F2집단을 포장과 실내 선발하여 2004년 하계에 F3세대를 육성하고, 이후 F4 ∼ F8세대를 계통육종법으로 전개하면서 예비선발시험 후 고품질이면서 현미 외관특성이 우수 하고 병해 및 재해에 안정적인 저항성을 나타내는 계통을 선발하여 2008년 생산력검정예비시험 2009년 생산력검 정본시험을 실시 한 후 중생이면서 다수성이고 완전미율이 높아 외관이 우수하면서 재배 안정성인 YR23160-31-2-1-5-B-3을 선발하여 “영덕53호”로 명명하였다. 2010년~2012년까지 3년간 지역적응시험을 실시 한 결과 중생종이면서 쌀 품위 및 밥맛이 좋고 내도복과 내병성이 양호한 것으로 평가되어 2012년 12월 농작물 직 무육성신품종선정위원회에서 국가품종목록 “다보”로 명명하였다. 출수기는 보통기재배에서 평균 8월 8일로 “화 성벼”보다 6일 빠른 중생종이며 직립 초형이고 탈립은 잘되지 않고 이삭추출은 양호 하고 까락이 거의 없다. 수당 립수는 “화성벼”보다 많으나 현미천립중은 22.6g으로 “화성벼”보다 약간 가볍다. 도정특성은 “화성벼”와 비슷하 고 쌀알 모양이 단원형으로 맑고 투명하며 밥맛은 “화성벼”와 같이 양호하다. 불시출수는 안되는 편이고, 위조현 상에 강하고 성숙기 엽노화가 느린 편이며 내냉성은 “화성벼” 보다 다소 약한 수준이다. 잎도열병은 중도저항성을 보였고 줄무늬잎마름병과 흰잎마름병(K1, K2, K3)에는 강하나 오갈병 및 검은줄오갈병에 약하고 벼멸구 등 충해에 는 감수성이다. 쌀수량성은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5.90MT/ha로 “화성벼”보다 10% 증수되었으며, 이모작재배에서 는 5.37MT/ha로 21%, 만식재배에서는 4.75MT/ha로 20% 증수하여 이모작 및 만식적응성이 높았다. 적응지역은 동 해안냉조풍지 및 남부해안지, 영남평야지, 남부중산간지이다.
        287.
        2014.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an ethanol extract (SSB) of a mixture of three medicinal plants of Vitisamurensis, Aralia cordata, and Glycyrrhizae radix for possible neuroprotective effects on neurotoxicity induced byAmyloid β protein (Aβ) (25-35) in cultured rat cortical neurons and antidementia activity in mice. Exposure of cultured cor-tical neurons to 15μM Aβ (25-35) for 36h induced neuronal apoptotic death. At 1-30㎍/㎖, SSB inhibited neuronal death,elevation of intracellular calcium concentration ([Ca²+]i), and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induced by Aβ(25-35) in cultured cortical neurons. Memory impairment and increase of acetylcholinesterase activity induced by intra-cerebroventricular injection of mice with 16nmol Aβ (25-35) was inhibited by chronic treatment with SSB (25, 50 and100㎎/㎏, p.o., for 8 days). From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antidementia effect of SSB is due to its neuroprotectiveeffect against Aβ (25-35)-induced neurotoxicity and that SSB may have a therapeutic role in preventing the progression ofAlzheimer’s disease.
        288.
        2014.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by Alopecurus aequalis Sobol on the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nitric oxide (NO) production by RAW 264.7 cell line. Consistent with these observations,DS reduced the LPS-induced ex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and cyclooxygenase-2 (COX-2) atthe protein level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In addition, the release of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andinterleukin-6 (IL-6) were also reduced by DS. Moreover, LPS increased expression phosphorylation of IκBα, but DS showedinhibitory effect by reducing LPS-inducible p-IκBα expression level.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own regulation of iNOS,COX-2, TNF-α, and IL-6 expression by DS are achieved by the downregulation of NF-κB activity, a transcription factornecessary for pro-inflammatory mediators, and that is also responsible for its anti-inflammatory effects.
        289.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Korea, Because of excellent bending and torsional rigidity, PSC Box girder types have been applied to high-speed railway bridge in the most of the construction sites. But the introduction of a new structure types and materials is required in terms of diversity of landscape as landmarks. In this study, the latest high-speed rail bridge technology is investigated in terms of functionality and landscape.
        290.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atural frequency changes of an in-service concrete bridge have been monitored to analyze the dynamic characteristic according to temperature and embedded depth changes. 7 acceleration sensors are attached to the bridge, and 11 time impact experiments have been done using the impact hammer. The natural frequency has a trend to drop as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body goes up. And it also has a trend to decrease as the embedded depth of the bridge foundation increases.
        291.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nalyzes damage estimation technique of earthquake disaster. In order to do this, 1) Proposition of current situation analysis and direction of improvement domestic and foreign-related systems of earthquake disaster response system, 2) Establishment and design of research earthquake disaster damage assesment system 3) Analysis and investigation of domestic and foreign-related soil field on damage estimation, 4) Creation of soil liquefaction risk-map and processes method of soil information. When occurred an earthquake, occurs the system rapidly displays seismic intensity distribution and life, structure, lifeline damage estimations. This enables decision makers to support the earthquake disaster response decisions. Eventually, earthquake disaster damages are expected to be reduced significantly.
        292.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mobile application to support field survey on earthquake damage buildings and to shorten the surveying time. The results from the mobile are transmitted to a data managing program. And it displays a surveyed-place and result and suggests statics. This system is expected to support local governments to effectively responds to earthquake disaster.
        293.
        201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대보’는 국립식량과학원 영덕출장소에서 2002년 하계에 밥맛이 뛰어난 최고품질 벼 품종을 육성할 목적으로 우량 선발 계통인 ‘YR21247-68-1’를 모본, ‘영덕35호’를 부본으로 인공교배하고, 2002/2003년 동계에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온실에서 26개체의 F1 식물체를 양성하여 YR23940의 교배번호를 부여하였다. 2003년 하계포장에 F2 집단 양성 선발하여 2004년 하계에 F3세대를 집단양성하고 57계통을 F4 계통 전개 후 F5, F6, F7 세대를 계통육종법으로 선발하여 2007년 생산력검정예비시험, 2008년 생산력검정본시험을 실시한 후 YR23940-B-17-1-2 게통을 선발하여 ‘영덕51호’로 명명하였다. 2009년~2011년까지 3년간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중생종이면서 쌀알이 아주 둥근 단원형 이면서 품위가 좋고 밥맛이 뛰어나며 내병성과 내도복성을 갖춘 것으로 평가되어 2011년 12월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위원회에서 국가품종목록으로 등재 할 것을 결정하고 ‘대보’로 명명하여 적응지역인 동남부 해안지, 중부 및 남부 평야, 남부중산간지에 보급하게 되었다. 출수기는 보통기 재배에서 평균 8월 14일로 ‘화성벼’보다 1일 늦은 중생종 품종이다. 직립 초형이고 탈립은 잘되지 않고 이삭추출은 양호 하고 까락이 거의 없다. 수당립수는 ‘화성벼’보다 많으며 현미천립중도 22.8 g으로 ‘화성벼’보다 약간 더 무겁다. 도정특성은 ‘화성벼’보다 약간 좋은 편이고 쌀알 모양이 아주 둥근 단원형이며 맑고 투명하며 밥맛은 ‘화성벼’보다 우수하다. 불시출수는 안되는 편이고, 위조현상에 강하고 성숙기 엽노화가 느린 편이며 내냉성은 ‘화성벼’와 같은 수준이다. 잎도열병 밭못자리 검정 결과 중도저항성을 보였고 줄무늬잎마름병과 흰잎마름병(K1, K2, K3)에는 강하나 오갈병 및 검은줄오갈병에 약하고 벼멸구 등 충해에는 감수성이다. 쌀수량성은 ’09~’11년 3개년간 실시한 지역적응시험 보통기 보비재배 7개소에서 5.93 MT/ha로 ‘화성벼’보다 11% 증수되었으며, 이모작재배에서는 5.23 MT/ha로 ‘화성벼’ 대비 14%, 만식재배에서는 4.63 MT/ha로 ‘화성벼’ 대비 21% 증수하여 이모작 및 만식적응성이 높았다.
        294.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 항만에서의 지진관측은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이 중심이 되어 실시하고 있다. 2010년 인천항에 처음으로 관측이 시작된 이래 2013년까지 군산항, 목포항, 광양항, 부산신항, 부산항, 울산항, 포항항, 울산항 등 9개 항만의 주요구조물과 자유장 각 2곳에 총 19개소의 지진감시시스템을 설치하였다. 지진 관측 이후 우리나라 항만에 피해는 없었지만 규모 4.9를 비롯하여 3.0이상의 지진이 26회 이상 발생한 기록이 있다. 항만의 지진 관측의 목적은 첫째로 항만에 피해를 초래하는 큰 지진이 발생한 경우 피해 메카니즘의 규명과 적절한 복구방법의 선정에 이용하는 것이고, 둘째로는 지진발생 직후 항만의 가동 여부 또는 구조물의 정밀안전진단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것이며, 세 번째로는 DB 구축을 통하여 항만의 설계 지진 결정에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지진 관측이후 계측된 규모 3.0이상의 지진 항만에 유의미할 것으로 판단되는 지진에 대하여 가속도 파형, Fourier 스펙트럼, 응답스펙트럼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296.
        201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가리왕산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2011년 5월부터 동년 10월까지 3회 조사, 그리고 2012년 2회 추가 조사로 총 5차례에 걸쳐 조사한 결과 관속식물은 89과 272속 458종 3아종 62변종 6품종의 총 529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이 중 한국 특산식물은 총 22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산림청 지정 한국 희귀식물은 30분류군이 조사되었다. 환경부 지정 특정 식물은 V등급 7종류, IV등급 17종류, III등급 35종류, II등급 39종류, I등급에는 46종류 등 총 144종류가 분포하고 있었다. 귀화식물은 15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귀화율은 2.83%로 나타났다. 가리왕산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내 자생하는 529분류군의 식물에 대한 유용식물분류에 따르면, 식용 178분류군(33.6%), 약용 144분류군(27.2%), 목초용 163분류군(30.8%), 관상용 68분류군(12.8%), 목재용 20분류군(3.8%), 섬유용 8분류군(1.5%) 등으로 나타났다.
        297.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any researches about damage prediction for earthquake have been managed separately in Korea so that it would be managed comprehensively and systematically. Al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algorithms of ground for earthquake disaster response system in NEMA. This is a study to improve the reliability for damage estimation. We compared foreign cases to find a development direction which can be applied to the earthquake disaster response system.
        298.
        2013.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립식량과학원 영덕출장소에서 2002년 하계에 YR21247-68-1를 모본으로하고 밥맛이 우수한 영덕35호”를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여 2002/2003년 동계에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온실에서 26개체의 F1 식물체를 양성하여 YR23940의 교배번호를 부여하였다. 2003년 하계포장에 F2 집단을 공시하면서 선발하여 2004년 하계에 F3세대를 육성하고 57계통을 F4 계통으로 전개 후 계통육종법으로 선발하여 2007년 생예, 2008년 생본시험을 실시한 후 쌀 품위가 좋으면서 밥맛이 우수하고 재배 안정성이 높은 YR23940-B-17-1-2 을 선발하여 “영덕51호”로 명명하였다. 2009년~2011년까지 3년간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중생종이면서 쌀알이 아주 둥근 단원형 이면서 품위가 좋고 밥맛이 뛰어나며 내병성과 내도복성을 갖춘 것으로 평가되어 2011년 12월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위원회에서 국가품종목록으로 등재 할 것을 결정하고 “대보”로 명명하여 적응지역인 동남부해안지, 중부 및 남부 평야, 남부중산간지에 보급하게 되었다. 출수기는 8월 14일로 “화성벼”보다 1일 늦은 중생종이며 직립 초형이고 탈립은 잘되지 않고 이삭추출은 양호 하고 까락이 거의 없다. 수당립수는 “화성벼”보다 많고 현미천립중도 22.8g으로 “화성벼”보다 약간 더 무겁다. 도정특성이 양호하면서 쌀알 모양이 아주 둥근 단원형이며 맑고 투명하며 밥맛은 “화성벼”보다 우수하다. 불시출수는 안되는 편이고, 위조현상에 강하고 성숙기 엽노화가 느린 편이며 내냉성은 “화성벼”와 같은 수준이다. 잎도열병은 중도저항성을 보였고 줄무늬잎마름병과 흰잎마름병(K1, K2, K3)에는 강하나 오갈병 및 검은줄오갈병에 약하고 벼멸구 등 충해에는 감수성이다. 쌀 수량성은 보통기재배 시 5.93MT/ha로 “화성벼” 보다 11% 증수되었고, 이모작 재배에서는 5.23MT/ha로 14%, 만식재배에서는 4.63MT/ha로 21% 증수 하였다. “대보”의 적응지역은 동해안냉조풍지, 중부 및 남부평야지, 남부중산간지이다.
        299.
        2013.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통육종과 marker assisted selection(MAS)를 함께 활용하는 방법이 최근 국내 상업육종에서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식물 유전학의 빠른 발달과 차세대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NGS)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대량 분자표지를 저렴한 가격에 확보할 수 있는 시대가 되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추의 전사체 정보를 이용하여 SNP를 분석하고 Fluidign probe를 자동으로 디자인할 수 있는 파이프라인을 작성하였다. 또한 SNP를 calling하기 위해 총 6개의 accession(5개의 C. annuum과 1개의 C. chinense)의 전사체 염기서열을 Illumina 플랫폼으로 분석하였고, reference 염기서열은 고추 EST DB를 사용하였다. 분석한 SNP의 유전적 위치를 알기 위하여, UC-DAVIS의 고밀도 고추 유전자 지도와 연계하였다. Fluidigm probe를 design할 수 있는 조건으로 SNP를 filtering한 결과, short read의 depth가 10 이상을 기준으로 총 567개의 SNP를 분석하였고, 총 412개의 probe를 디자인하였다. 제작한 412개의 porbe와 논문에 공개된 SSRs, COSII 분자표지들, 2개의 고추 내병성 형질을 이용하여, 현재 내병성 고추 품종을 육성하기 위한 marker assistant breeding(MAB)을 진행 중에 있다.
        300.
        2013.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between spring cultivars of Kimchi cabbage(Brassica rapa L. ssp. pekinesis). We measured the weight, length, width, formation index, midrib thickness and moisture contents of fresh Kimchi cabbage for characteristics of growth. And we analyzed the free sugar, amino acid, organic acid, mineral, pectin and cellulose contents of fresh Kimchi cabbage. The hardness and firmness were measured for texture of fresh Kimchi cabbage. The weight of 'K-power' cultivar was the highest than other cultivars. The ‘Jeongsang’ cultivars was the thinnest midrib thickness in cultivars, but i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free sugar levels of spring cultivars was the highest in ‘Chunkwang’. Malic acid content of ‘Jeongsang’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spring cultivars. Also amino acid content of ‘K-power’ and ‘Chunkwang’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spring cultivars Mineral content in ‘K-power’ and ‘Bomaknorang’ were greater than that of other cultivars. Especially Na, Ca and Mg contents of ‘K-power’ and ‘Bomaknorang’ were higher four times than that of other cultivars. Pectin content of ‘Jeongsang’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cultivars, but i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Hardness and Firmnes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spring cultiva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