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8

        41.
        2013.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nfirm physiological activities according to parts of new pear cultivars (Gamcheonbae, Manpungbae, Chuwhangbae, Hanareum) and Niitaka pear. The total polyphenol compound contents of pear peel, flesh and core were 178~235, 95~113, 177~229 mg/100 g as tannic acid equivalent, respectively.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contents by cultivars, Chuwhangbae and Hanareum cultivars showed high contents. The total flavonoid contents of the pear peel, flesh and core were 29.2~40.2, 24.3~34.3, 26.9~38.8 mg/100 g, respectively and those of Chuwhangbae and Gamcheonbae cultivars showed comparatively high values. The electron-donating ability was high in Chuwhangbae, Gamcheonbae and in the pear peel (29.7~57.7%), core (29.1~38.2%), flesh (7.6~17.7%), in that order. The nitrate scavenging activity was highest in that pear peel (21.0~49.8%), followed by the core (11.8~16.2%) and flesh (7.8~9.7%), but there was little difference by cultivar.
        42.
        201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helidonium majus (CM) contains several isoquinoline alkaloids that have been reported to have various biological activities such as anti-inflammatory, antimicrobial, antioxidant, immune-modulatory, and antitumoral.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extract of CM had an antioxidant potential, however the mechanism has not been verified. In this study, we found that CM extract activated FOXO3a. FOXO3a is a transcription factor that involved in various biological processes such as cell cycle arrest, apoptosis, DNA repair, and ROS detoxification. Transcriptional activities of FOXO3a were regulated by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s including phosphorylation, acetylation, and ubiquitination. Protein level of FOXO3a was increased by CM extract. Promoter activities of FOXO-transcriptional target genes such as MnSOD, p27 and GADD45 were activated by CM extract in a dose dependent manner. In addition, protein level of MnSOD, major antioxidant enzyme, was increased by CM extract. Thereby ROS level was decreased by CM in old HEF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M extract has an antioxidant activity through FOXO activation.
        43.
        2012.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evaluated the inhibitory effects of extracts and components of Geranium thunbergii on aldose reductase (AR) and galactitol formation in rat lenses with high levels of galactose as a part of our ongoing search of natural sources for therapeutic and preventive agents for diabetic complications. The inhibitory effects of water, methanol and ethanol extracts of G. thunbergii on rat lens AR (RLAR) were determined. Comparing inhibitory effects of various solvent extracts, ethanol extract showed RLAR inhibitory activity (IC50 values, 5.24 and 6.39μg/ml, respectively). The ethanol extract was fractionated to chloroform, ethyl acetate and water. Of these, the ethyl acetate fraction from ethanol extract of G. thunbergii exhibited RLAR inhibitory activity (IC50 value, 2.64μg/ml). In order to identify the bioactive components of ethyl acetate soluble fraction of ethanol extract from G. thunbergii, eight compounds, namely gallic acid (1), protocatechuic acid (2), p-hydroxybenzoic acid (3), brevifolin carboxylic acid (4), geraniin (5), ellagic acid (6), kaempferol-3-O-arabinofuranosyl-7-O-rhamnopyranoside (7), kaempferitrin (8) were isolated. The isolates were subjected to in vitro bioassays to evaluate their inhibitory activity on RLAR and galactitol formation in rat lenses. The ellagic tannins (5, 6) and flavonoid (7) exhibited strong inhibitory effects on RLAR. Also, these three compounds (5, 6 and 7) suppressed galactitol accumulation in rat lens under high galactose conditions, demonstrating the potential to prevent galactitol accumulation exo vivo.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xtracts and components of G. thunbergii are a promising agent in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diabetic complications.
        44.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hoot tips of chinese yam (Dioscorea opposita Thunb.) were cultured on MS medium containing 0.5 mg/L BA to produce micro-tubers in vitro. To stimulate the formation of shoots and micro-tubers, and produce large micro-tubers, the sections of micro-tubers were cultured on MS media with BA and IAA. The shoot multiplication, and the micro-tuber formation and growth were very effective on the media containing 2.0 mg/L BA and 0.5~1.0 mg/L IAA. Sucrose added to MS medium with 2.0 mg/L BA and 0.5 mg/L IAA to stimulate more micro-tuber growth. The medium added 50 g/L sucrose was very effective in the increase of plant fresh weight and micro-tuber growth. After 4 weeks' culture of micro-tuber sections on the medium with 2.0 mg/L BA, 0.5 mg/L IAA and 50 g/L sucrose, the liquid media were added into the same vessels. The micro-tuber growth was stimulated remarkably by the addition of liquid medium. The addition of 25 ml liquid medium containing 10 g/L activated charcoal, 3x MS salts and 250 g/L sucrose was the most effective in micro-tuber growth.
        45.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lect promising green manure crops, providing sufficient amount of nutrients for satisfying fruit tree growth, with the overwintering cover crops grown in organic orchards in 2009. The cover covers were investigated in 13 organic orchards in Chonnam province in April and June. The dry matter in cover crops observed in April and June was the highest for Lolium multiflorum Lam. and Bromus japonicus Thunb., respectively. Total N and K production in April was the highest for Lolium multiflorum Lam, Vicia hirsuta (L.) S. F. Gray and Vicia angustifolia var. segetilis (Thuill.) K. Koch., respectively, with Bromus japonicus Thunb. in June. This study showed that the leguminous crops, Vicia hirsuta (L.) and Vicia angustifolia, would be the prospective cover covers as the both crops provided sufficient amount of N and K2O into the soil. Amount of P2O5 producing from all cover crops provided less than nutrient levels than those of recommended nutrient requirement for satisfying 10- to 15-year-old fruit tree growth.
        47.
        2012.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하천의 수질개선을 위해 유역관리 수단으로 도입된 수질오염총량제의 취지와 의미를 파악하고, 수질오염총량제에 따른 개발계획 시행시 개발계획에 따른 개발부하량 산정방법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여 보다 효율적인 시행을 위한 개선방안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에서 제시된 사업의 종류는 중금속 등의 원료 및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사업장이 분포할 수 있는 산업단지의 사업특성을 고려하면 강우로 인한 비점오염원이 다른 타 사업장과 다를 것이지만 일괄적으로 토지계 원단위법을 적용한다는 것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토지계 부하량 산정은 토지이용도, 경사도, 강우량 등을 포함하여 산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되나, 토지이용도 및 경사도 등에 대한 연구기간이 장기화되거나 각 개별 사업마다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따르므로 현재 적용하고 있는 지목별 토지계발생부하원단위와 같이 측량·수로조사 및 지적에 관한 법률에 제시된 지목을 토지계 발생부하원단위에 적용해야 된다고 생각된다. 다만, 용도지역 구분, 각각의 건축물 이용형태, 현재보다 다양한 토지계 발생부하원단위 등을 연구하여 현장에 보다 쉽게 과학적으로 접근하여 비점오염물질을 관리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48.
        2011.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배즙과 배 건조분말을 이용하여 기능성 양갱을 제조하기 위하여 물대신 배즙을 넣고 배건조분말(열풍, 동결), 백앙금, 한천, 젤라틴, 소금을 첨가하여 배양갱을 제조하였다. 배양갱의 일반성분, 총 폴리페놀 함량, 항산화활성, 색도, 조직감,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물을 이용한 C양갱의 수분함량은 27.9%로 가장 많았고 열량과 탄수화물 함량은 가장 적었으며, 배즙 양갱(PJ)과 배즙과 배 열풍건조분말 양갱(PJH), 배즙과 배 동결
        49.
        201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쌈채소로 각광받고 있지만 산림에서는 희귀한 식물이며 번식이 까다로운 병풍쌈(Cacalia firma)을 기내 번식을 통한 식물체 번식을 위하여 진행되었다. 병풍쌈의 기내 종자발아를 위해서는 종자의 절단 및 GA3처리가 효과적이었다. 종자유래 유식물체의 자엽, 잎, 엽병 및 뿌리절편을 BA가 첨가되 배지에 배양한 결과 엽병 절편당 2.76개로 가장 양호하였다. 부정아 유래 식물체의 엽병 절편을 다양한 종류의 cytokinin(2-iP, kinetin, zeatin, TDZ, 및 BA)를 각각 2 mg·L-1씩 단독 첨가한 배지와, 오옥신으로 NAA 0.5 mg·L-1을 혼합 첨가한 배지에 접종하였다. 그 결과 TDZ와 BA에서 높은 부정아 유도율을 나타냈고, kinetin에선 낮은 부정아 유도율을 보였으며, 2-iP와 zeatin에서는 부정아가 형성되지 않았다. NAA를 혼합한 배지는 단독 처리 배지보다 높은 유도율을 나타냈지만 배양절편당 부정아의 수는 오히려 줄어들었다. 대부분의 부정아는 cytokinin 단독 처리시 배양절편으로부터 직접부정아가 발생되었으며, cytokinin과 NAA 혼합된 배지에서는 일부 캘러스화된 부분에서 부정아가 발생되었다. 이들 부정아는 IBA가 첨가된 배지에 옮겨준 경우 뿌리가 발생되어 식물체로 재생되었다. 재생된 식물체는 토양에 성공적으로 순화되었다.
        50.
        2011.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신고'배의 재배과정에서 만개 후 35일에 GA 도포제를 처리하여 발생하는 과대지의 변화와 과실특성 및 품질변화의 양상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이상발육 과대지의 발생률은 GA 도포제 무처리군 27.5%, 25 mg 처리군 52.5%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과대지수와 꽃 수는 이상발육 과대지에서 감소하였다. GA 도포제 처리 후 배생육기간 동안 GA 도포제 25 mg 처리군의 과실비대량이 무처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51.
        201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에서 수집된 인삼 자원 중에서 작물학적 특성이 우수하다고 조사된 54점(6~7년 근)을 대상으로 UPOV 조사 기준에 따라 주요 형태적인 특성들을 조사한 결과 경수는 1~4개 범위로 1개인 것이 42.6%이고, 2개인 것이 38.6%로 경수가 1~2개인 것이 전체 81.2%로 나타났으며, 경수가 5개인 것은 없었다. 장엽수는 3~6엽 범위로 5엽이 55.6%였고 4엽인 것은 25.9%였다. 경색은 자색계열이 전체 81.5%로 자색이 46.3%, 연자
        52.
        201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axifolin-3-O-β-D-xylopyranoside and quercetin-3-O-α-L-rhamnopyranoside were isolated from an EtOAc-soluble extract of the leaves of Chamaecyparis obtuse. Quercetin-3-O-α-L-rhamnopyranoside was found to possess a potent inhibitory activity of human recombinant aldose reductase in vitro, its IC50 value being 11.5 μM. Kinetic analysis showed that quercetin-3-O-α-L-rhamnopyranoside exhibited uncompetitive inhibition against DL-glyceraldehyde. Also, quercetin-3-O-α-L-rhamnopyranoside suppresses sorbitol accumulation in rat lens under high glucose conditions, demonstrating the potential to prevent sorbitol accumulation in vivo.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is compound may be a promising agent in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diabetic complications.
        53.
        201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 수집 재래종 인삼과 기존육성품종과의 유전적 연관을 통해 풍기지역 고유의 재래인삼 특성을 구명하고 지리적 표시제 및 신품종 육성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전적 연관 분석에서 가장 먼 것으로 분류된 풍기지역 수집종 331002 등 5점과 금산지역 수집종 332009 등 5점간의 형태적 특성을 비교한바 풍기 재래종 인삼의 경수는 1~2개로 금산지역 수집종과 차이가 없었으나, 장엽수, 경색, 엽병색, 소엽 모양에서는 금산지역 수집종과 차이를 보였다. 즉 풍기 재래종은 장엽수가 5개이고 소엽 모양이 타원형이며, 경색과 엽병색이 자색, 연자색, 진자색 등 다양한 것이 특징적이었다. 특히 유전적 연관에서 풍기지역 수집종 중 331002, 331005, 331007 및 331026은 함께 grouping 되었지만 331002는 대비 품종인 천풍과 99.5%에서 함께 group지어져 있었다. 특히 331002 등 이 3개의 풍기 수집종은 기존 품종과 유전적 차이를 나타내보였다. 이를 통해 풍기 수집종 331002, 331005, 331007은 국내 재래종에서 순계분리법으로 선발된 기존육성품종과는 유전적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331007은 농가 조사에서 나타난 주요 특성을 모두 갖추고 있어 풍기 재래인삼의 고유 특성을 가진 것으로 추측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풍기지역 재래 인삼의 주요 형태적 특성을 확인하였고, 유전적인 면에서도 타 지역 수집종과 기존육성품종과도 구분되어짐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선발된 OPD05 등 9개의 prime는 경수 1개, 장엽수 5개, 소엽 모양은 타원형, 경색과 엽병색이 자색계열인 특성을 지닌 풍기 재래인삼을 구분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어서 인삼 유전자원의 특성 구분 및 품종개량에 유익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54.
        201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e present study, the antinociceptive profiles of Viola tricolor L. (V. tricolor L.) extract were examined in ICR mice. V. tricolor L. extract administered orally (200mg/kg) showed an antinociceptive effect as measured by the tail-flick and hot-plate tests. In addition, V. tricolor L. extract attenuated the writhing numbers in the acetic acid-induced writhing test. Furthermore, the cumulative nociceptive response time for intrathecal (i.t.) injection of substance P (0.7 μg) was diminished by V. tricolor L. extract. Intraperitoneal (i.p.) pretreatment with yohimbine (α2-adrenergic receptor antagonist) attenuated antinociceptive effect induced by V. tricolor L. extract in the writhing test. However, naloxone (opioid receptor antagonist) or methysergide (5-HT serotonergic receptor antagonist) did not affect antinociception induced by V. tricolor L. extract in the writhing test. Our results suggest that V. tricolor L. extract shows an antinociceptive property in various pain models. Furthermore, this antinociceptive effect of V. tricolor L. extract may be mediated by α2-adrenergic receptor, but not opioidergic and serotonergic receptors.
        55.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풍기 재래인삼의 주요 형태적․유전적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앞서 수집종 58점의 유전 분석 결과 를 이용 금산과 풍기지역간에 가장 멀리 떨어져 grouping된 수집종 각 5점씩을 선발 주요 유전적 형태적 특성 비교 및 기존품종 15종과 유전분석 결과와 풍기지역에서 약 20년 이상 재래종 인삼을 자가 채종 재배하고 있는 10농가를 대상으로 UPOV 특성 조사 기준에 따른 설문조사 등을 토대로 풍기지역 고유의 재래인삼 특성을 구명하고 이를 기준으로 풍기 재래인삼의 지역표시제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함과 동시에 풍기지역 고유의 신품종 육성 및 선발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수집종과 기존품종에서 선발된 9개의 primer 에서 얻어진 PCR 결과는 크게 두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첫 째는 풍기 수집종 3점과 금산 수집종 3점, 둘째는 대부분의 기존 품종과 금산 수집종 2점, 풍기 수집종 2점이 group지어졌지만 그룹 내에서 수집종들은 지역별 로 clustering되었다. 풍기수집종 중 331002, 331005, 331007은 기존 품종과 90%정도에서 유사성을 보였지만 함께 group지어지진 않아 기존 품종과는 유전적 차이를 보였다. 지역간에 가장 멀리 group지어진 풍기 수집종 중 331004, 331007, 331005 및 331026은 함께 group지어졌고 331002는 대비 품종인 천풍과 99.5%에서 grouping 된 반면 금산 수집종 5점은 함께 group지어졌다. 이는 농가 조사에서 풍기 재래종은 경수는 대체로 1개, 장엽 수 5개, 경색과 엽병색은 대부분 자색계열이라는 것과 일치하였다. 따라서 풍기 수집종 중 유전분석 및 농가 설문조사 등의 결과와 일치하는 특성을 가진 풍기 재래인삼은 수집종 중에서도 331007이 대표적이었다.
        56.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연관계를 분석하여 지역 고유의 재래종 인삼의 특성을 구명함과 동시에 신품종 육성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국내 주요 인삼 재배 지역에서 수집한 재래종 중 작물학적 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조사된 풍기 및 경북 지역 수집종 21점과 금산지역 수집종 29점 등 총 58점을 시험재료로 사용하였다. 수집 재래종의 형태적 특성은 UPOV 조사 기준에 따라 경수, 엽병수, 경색, 엽병색, 엽형, 주름새 그리고 거치형 등을 조사하 였으며, RAPD marker를 이용 DNA 수준에서 인삼 수집 개체들의 유전적인 유연관계를 분석하였다. 경수는 1개에서 4개 범위로 경수가 1~2개인 것이 전체의 81.2%로 나타났으며, 경수가 5개인 것은 없었다. 장엽수는 3엽에서 6엽 범위로 5엽인 것이 55.6%였고, 4엽인 것은 25.9%로 나타났으며, 6엽인 것은 6.7%로 나타났다. 경색은 자색계열이 전체의 81.5% 였다. 71개의 polymorphic band를 이용 UPGMA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크게 금산지역 수집종과 풍기지역 수집종으로 구분되었고, 4개의 소그룹으로 분류되었는데 풍기 수집종인 01-9, 01-35, 01-44는 금산지역으로 grouping되어진 반면, 금산지역 수집종 332001, 332002, 332003은 풍기지역으로 grouping되었다. 금산지역 수집종은 65~86%로 변이가 심한 반면, 풍기지역 수집종은 73~95%사이로 금산 수집 종의 혼계 정도가 더 심하였다. 특히 형태적 특성 면에서 두 지역간에 경수는 1~2개로 차이가 없었으나 장엽 수, 경색, 엽병색, 소엽의 모양 등에서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57.
        200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생 상록활엽수의 부위별 재료에서 추출한 주요 정유성분으로 광나무의 꽃에는 hotrienol(9.21%), 돈나무의 잎에는 undecane(32.12%), 붓순나무의 잎에는 1,8-cineole(45.32%), 새덕이나무의 잎에는 γ-terpinene(15.62%), 생달나무의 잎에는 1,8-cineole(14.66%), 차나무의 잎에는 2-acetyl-5-methylfuran(54.51%), 황칠나무의 잎에는 γ-elemene(18.59%) 등의 성분함량이 특히 높음을 알 수 있었다.
        58.
        200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특산 섬오갈피나무 및 지리산오갈피나무의 잎과 줄기에서 추출한 주요 정유성분으로, 섬오갈피나무의 경우에는 δ-3-carene (31.34%), l-limonene (17.01%), β-elemene (4.53%), trans-p-menth-2-ene-1,8-diol (3.13%), 1,8-cineole (4.73%), 1-dodecen-3-yne (2.64%), (Z)-3,7-dimethyl-1,3,6-octatriene (3.21%), 지리산오갈피나무의 경우에는 delta-3-carene (14.78%), limonene (7.24%), t-ocimene (7.22%), α-terpinolene (8.76%), gamma-elemene (4.32%), β-selinene (7.72%), veridifloral (3.25%), dodecane (2.44%) 등의 성분함량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δ-3-carene는 섬오갈피나무 및 지리산오갈피나무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