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56

        81.
        201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순천지방에 재배되고 있는 밤나무 품종의 과실 특성을 파악하여 품종 육성을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품종별 밤송이의 착과수는 축파가 평균 122.5개로서 가장 많은 착과수를 나타내었고, 품종별 변이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품종별 밤송이당 평균 함과수의 범위는 1.3 (국견)~2.4 (평기)로 품종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었다. 입중은 17.5 (출운)부터 28.1 g (국견)까지로 품종간 변이가 컸다. 밤나무 과실 수확량은 상림의 1,000.4 g부터 축파의 5,479.5 g까지 품종간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전과의 비율이 가장 높은 품종은 창방감율 (90.8%)이었으며, 80% 이상의 건전과 비율을 나타낸 품종은 국견, 단택, 축파, 대보, 평기, 신이평의 6품종이었다. 열과율은 0.0~26.1%로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창방감율이 0.0%로 가장 낮았으며 광덕이 26.1%로 가장 높았다.
        4,000원
        82.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산마늘 개체군 자생지의 소산 식물상을 밝히기 위하여, 2009년 3월부터 2010년 6월까지 총 4차례의 현지조사를 통하여 조사한 결과, 관속식물은 3문 2강 32목 64과 142속 181종 2아종 30변종 1품종으로 총 214분류군 (taxa)으로 파악되었다. 특정식물종 중 I 등급 식물이 15과 16속 15종 2변종 17분류, II 등급 식물이 13과 15속 14종 2변종 16분류군, III 등급 식물이 16과 19속 18종 2변종 20분류군, IV 등급 식물이 20과 23속 19종 4변종 23분류군, V 등급 식물이 2과 2속 2종 2분류군으로 총 78분류군이었다. 희귀식물은 9과 11속 10종 2변종 12분류군이었으며, 특산식물은 17과 19속 18종 3변종의 21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조사지역 내 멸종위기식물은 출현하지 않았고, 귀화식물과 생태계교란식물이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생태계가 안정되고, 생태적 위해성의 우려는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산마늘 개체군 자생지에는 개다래, 층층나무, 만병초, 마가목 등 계곡성 및 고산성식물종이 주를 이루는 생육환경을 나타내고 있었다.
        4,200원
        84.
        2011.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ish kill incidents are not rare in the upstream region of the Han River where overall water quality is suitable for supporting a fish community. However, the causes of fish kills are often not identified.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cause of a fish kill in an upstream tributary of the North Han River (Seo Stream, Yanggu County). In the field survey at the time when the fish kill occurred, the results did not indicate any harmful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or toxic pesticides. Instead several tons of gingko (Ginkgo biloba) seed coat wastes were found in the water along the reach of fish kill site. Because gingko is known to be toxic, it was suspected as a cause of the fish kill. Recently gingko production has been increasing in Korea, and it is common practice for farmers to wash the seed coats of seeds in streams because the seed coats are toxic and emit an offensive odor. Toxicity of gingko fruit to humans is well known, but the toxicity to aquatic biota has not been previously reported. We investigated the toxicity of gingko seed coat extract to an invertebrate (Daphnia magna) and a fish (Oryzias latipes). After 48 hours exposure to seed coat extract the EC50 of Daphnia immobilization was 0.35% of a mixture corresponding to a dissolved organic carbon (DOC) concentration of 413 mgC L−1. In the fish experiment, the LC50 after 96 hours exposure was 0.4% of the extract mixture corresponding to a DOC of 440 mgC L−1. Thus gingko seed coat is toxic to aquatic animals and gingko washing was the likely cause of the fish kill incident. Our results suggest that gingko seed coat waste should be treated properly and not disposed of in streams.
        4,000원
        85.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표고버섯(Lentinula edodes)은 담자균과 주름버섯목 느타리과 잣버섯속에 속하는 식용버섯으로 국내에서는 주로 원목 또는 톱밥배지에 의한 인공재배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당질, 단백질, 비타민, 아미노산 및 무기질 등과 같이 인체에 중요한 각종 영양소를 골고루 함유하고 있고 항암활성, 면역증강, 항바이러스, 항콜레스테롤, 동맥경화증 및 성인병에 대한 예방과 개선효과등 광범위한 약리작용도 나타냄으로 인해 예로부터 전통식품 및 민간약의 제제로서 널리 이용되어 왔을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 소재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표고균사의 생장에 있어서 폴리페놀을 균사체내에 흡수(소화)시킴으로 서 새로운 화합물의 생산 가능성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으며, 0.1 % - 0.5 % gallic acid 또는 methyl gallate 를 첨가한 PDA고체배지 및 PDB 액체배지에서 균사체를 배양하여 표고균사 생장에 따른 polyphenol 함량 변화를 확인하였다. PDA 고체배지에서는 gallic acid 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표고균사생장이 저해됨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0.4 % 이상의 gallic acid 가 함유된 조건에서 표고균사생장저해가 뚜렷하게 나타났고 12일째 균사생장 결과를 확인 한 결과 gallic acid 를 0.1 %, 0.2 %, 0.3 %, 0.4 % 및 0.5 % 함유한 배지에서 생장한 표고균사에 있어서 각각 0.6 %, 2.0 %, 15.1 %, 26.3 % 및 45.0 %의 생장저해가 나타났다. 표고균사생장과정 중 폴리페놀과의 반응으로 인해 PDA 고체배지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색의 변화가 나타났고, 이는 새로운 화합물의 생산에 대한 가능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된다. Gallic acid 및 methyl gallate가 첨가된 PDB 액체배지에서의 표고균사생장은 대조구에 비해 생장저해 및 배지의 색변화를 육안적으로 확인하였으며, 12일째 배양액에서 polyphenol 함량을 측정한 결과 최초에 첨가된 gallic acid 및 methyl gallate 함량보다 낮아진 수치를 나타내었고 TLC 측정결과 대조구에 비해 새로운 1종의 물질이 단리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즉, PDA 고체배지 및 PDB 액체배지에서 나타난 배지색상 변화와 PDB 액체배지의 polyphenol 함량 저하 그리고 TLC에서 새로운 물질이 단리 되었음을 확인한 결과 표고균사가 생장 하면서 폴리페놀을 흡수, 분해 또는 새로운 화합물을 생산하였다는 가능성을 추측하게 한다.
        88.
        201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밤나무 품종개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남부지방에 재배되고 있는 밤나무 주요 품종의 과실 특성을 2008년부터 2010년까지 3년간 조사하였다. 품종별 착과수는 37.7 (광주조율)~183개 (주옥)로 품종 간에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밤송이 내에 들어 있는 평균 함과수는 1.2~2.0개로 품종에 따라 많은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대 (Idea)는 1.2개였고, 산대와 광은은 2.0개였다. 입중도 품종간 차이가 많았는데, 광덕이 31.3 g으로 가장 무거웠으며, 광주조율은 14.1 g으로 가장 소립품종이었다. 건전과의 비율이 가장 높은 품종 은 창방감율 (89.9%)이었으며, 건전과 비율이 80% 이상인 품종은 국견, 유마, 축파, 광은, 평기 5품종이었 다. 부패과에 있어서는 신이평과 출운이 각각 10.8, 16.8%의 비율을 나타내어 수확 후 저장에 유의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열과율에 있어서는 0 (창방감율)~20.6% (세일)로 품종별로 많은 차이가 나타났으며, 산 대, 이평, 주옥, 광덕, 세일은 15% 이상이었으나 국견, 유마, 축파, 만성, 창방감율, 축파변이, 출운은 3% 이 하로 나타났다.
        4,000원
        90.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2006-2007년 여름(6-8월)동안의 기상청 낙뢰 관측자료와 자동관측소 강우량 자료를 사용하여 여름철 낙뢰와 강우의 관계에 대해 분석하였다. 대부분의 부극성 낙뢰는 대류가 활발한 중심에 집중되어 발생하고 낙뢰빈도가 높고 강한 강우를 동반하였다. 반면 대부분의 정극성 낙뢰는 구름의 가장자리 또는 모루운에서 발생하고 낙뢰빈도는 낮으며, 약한 강우를 동반하였다. 일반적으로 강우강도는 부극성과 정극성이 함께 발생했을 경우 가장 강하고 부극성 낙뢰, 정극성 낙뢰, 그리고 낙뢰가 발생하지 않은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여름철 전체 낙뢰 중 정극성 낙뢰의 비율은 평균 10% 이하이며 강우를 유발하지 않는 낙뢰의 비율은 평균 34%이다. 강우강도는 특히 부극성 낙뢰빈도와 높은양의 상관을 보였고, 낙뢰는 강우와 동시에 발생하거나 약 10분정도 선행하는 경향을 보였다. 낙뢰를 동반한 강우를 대류성 강우로 정의하여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여름철 강우 중 적어도 20% 이상은 대류성 강우이며 6, 7월보다는 8월에 대류성 강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강우 및 낙뢰와 같이 대류성 강우의 비율도 오후에 최대치를 보이는 일변동을 보인다.
        4,500원
        91.
        201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is to offer scientific materials and effective teaching methods of place kick motions of high school students by comparing and analyzing kinetic and motor mechanical variables of experts and beginners’ place kicks which are usually u
        5,800원
        92.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61년부터 2010년 현재까지 현행 국가정선해양관측이 고전적 방법에 의해 수행됨으로써 자동화된 시스템의 형태로 실시간 혹은 준실시간으로 자료를 제공하지 못하게 되는 부분에 대한 개선방향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운용해양시스템의 실용화를 위하여 국가정선해양관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선상에서 관측이 끝난 이후부터 데이터베이스에 자료가 저장되는 시점까지 행해지는 수동화된 작업을 대체하기 위해서는, 수온, 염분뿐만 아니라 다양한 자동측정센서가 부착된 CTD(Conductivity-Temperature-Depth)에 연동된 컴퓨터에서 해양관측자료를 처리하고 실시간으로 품질관리를 수행하며 통신수단에 맞게 자료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화 소프트웨어의 개발이 필요하다. 관측자료를 실시간의 형태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Inmarsat 위성통신장비를 활용한 전송시스템이 타당하고, 준실시간 형태의 전송으로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무선통신방식을 사용하여 연안역에 도달했을 때 수집된 자료들을 묶어서 보내는 방식이 적합하다. 실시간 품질관리 과정을 포함시켜 관측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원인의 오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93.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ary sericite(SC) on laying performance, feed conversion ratio, egg quality and fecal ammonium nitrogen. Three hundreds and sixty 92-wk-old, Lohman Lite layers were randomly divided into 20 groups of 18 birds each and assigned to five experiment for 4 weeks (72 birds per treatment). Dietary treatments were Control (control diet), SC 0.5 (control diet +0.5% sericite), SC 1.0 (control diet +1.0% sericite), SC 1.5 (control diet +1.5% sericite), and SC 2.0 (control diet +2.0% sericite). Hen-day egg production tended to increase by the SC 1.0%, SC 1.5% and SC 2.0% supplementation in the diets. Egg weight also tended to increase by the SC 1.0% addition in the diets. Feed intake was increased (p<0.05) in SC 1.5 and SC 2.0 but feed conversion was improved (p<0.05) only in SC 1.0 (p<0.05). Digestibility of nutrients were not linearly affected by dietary supplementation of sericite although there was an inconsistent difference. Egg shell strength, albumin height, yolk color, and egg shell thickness were not affected (p<0.05) by treatments. Fecal NH3-N concentration was decreased (p<0.05) by dietary sericite supplementation compared to control. This study showed that dietary 1.0% sericite supplementation can be beneficial to improve egg production, egg weight and feed conversion and to decrease fecal NH3-N concentration.
        4,000원
        95.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미취학 아동의 창의적 사고, 다양한 경험 기반의 학습 활동, 그리고 인성 및 감성 중심의 교육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새로운 교육 방식으로써 체감형 교육 방식의 보급이 활발해지고 있다. 체감형 학습은 사용자의 움직임이나 감각을 통해 디지털 교육 콘텐츠를 조작하는 인간-컴퓨터 인터랙션을 활용한 교육 방식이다. 그러나 사람의 움직임이나 목소리 같은 음성/영상 인식의 정확도가 높지 않아 실제 교육 시스템 적용에는 한계를 보인다. 이러한 한계점의 극복을 위해 인간과 서비스 콘텐츠 사이에 매개체를 두고 이를 통해 사람의 움직임을 가속도, 각속도와 같은 숫자 값으로 변환/전송하여 인터랙션 하는 매개 인터페이스 개념이 제안된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 시스템의 대상인 미취학 아동의 행동을 관찰하고 프로토콜 분석을 통하여 사용자 중심의 매개 디바이스 디자인 요구사항을 제안한다. 분석 결과, 미취학 아동들은 물체를 조작하는 데 서툴고, 무의식적으로 물체를 만지작거리거나 기대는 행동을 보였다. 또한 물건을 사용할 때 그에 종속되어 행동의 부자연스러움을 보였다. 따라서 체감형 교육을 위한 매개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익숙하지 않은 조작을 보조할 수 있어야 하며, 디바이스 사용 중에도 자연스러운 행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디자인되어야 한다.
        4,000원
        96.
        2010.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 play important roles in extracellular matrix (ECM) remodeling during ovarian follicular development, oocytes development and ovulation. In an attemp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MP activation in development cumulus-oocytes complexes, we examined the localization and expression of MMP, and monitored MMP expression profile. Cumulus-oocytes complexes were collected and matured in vitro for 24 hr, 36 hr and 48 hr. A mRNA expression of MMP-2, MMP-9, TIMP-2 and TIMP-3 was detected in all culture medium regardless of CC, OC and COCs. Activity of MMP-2 in the OC progressively was increased from 24 hr to 48 hr. But MMP-9 was not detected in all culture medium. The localization of MMP-2 was also measured by immunohistochemistry analysis. The MMP-2 and TIMP-2 was detected in cumulus cell and oocyte zone pellucida. Expression of MMP-2 protein in the COCs was progressively increased from 24 hr to 48 hr. However, MMP-9 protein was progressively decreased from 24 hr to 48 hr. And TIMP-2 protein was most highly expressed in the COCs 36 hr. Expression of TIMP-3 protein in the COCs was progressively increased from 24 hr to 48 hr.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MMP-2 plays a role in maintaining normal maturation and development by controlling the ECM inhibitor concentration on cumulus cell and oocytes.
        4,000원
        97.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울산만의 육상기인 오염부하에 대한 해역수질의 응답특성을 조사하고 만내 수질관리에 활용하기 위하여 해양생태계모델링 연구를 수행하였다. 생태계모텔에 의해 계산된 울산만의 수질은 만 내측에서 COD 농도 2.8mg/L로 해양수질 III등급 수준으로 나타났다. 계산결과 울산만 전체 해역의 수질을 II등급으로 개선하기 위해서는 육상부하를 약 30% 이상 삭감해야 하며, COD 농도 1.0mg/L이하의 수질이 되기 위해서는 전체 육상부하의 70% 이상을 삭감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역수질 II등급을 유지하기 위하여 삭감해야 할 오염부하량은 약 3,083kgCOD/day, 이 때의 환경용량은 약 7,193kgCOD/day로 계산되었다. 태화강 하구역은 식물플랑크톤 대증식(Bloom)이 상습적으로 발생하는 해역이므로 식물플랑크톤에 의한 자생유기물 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유가물 삭감 이외에도 영양염의 제어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