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33

        105.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모기기피제로 사용되고 있는 에어로졸제 4개, 액제 3개, 그리고 로션제 1개 제품에 대하여 흰줄숲모기(Aedes albopictus)와 빨간집모기(Culex pipiens pallens)의 기피력을 조사하고, 기피 주성분인 DEET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쥐를 대상으로 했을 때 흰줄숲모기는 빨간집모기에 비해 흡혈 공격력이 높았으며, 흡혈 대상으로는 쥐(mouse)보다 사람의 손을 더 선호하였다. 쥐를 이용한 모기기피제의 기피력 평가에서, C 제품, G 제품, H 제품이 높은 기피력을 나타냈다. 이들 기피제를 사람 손을 흡혈대상으로 평가한 결과, 3개 약제 모두 2시간 동안은 100%의 기피효과를 나타내었으나 그 이후는 떨어줬으며, C 제품이 효과가 좋았다. GC를 통한 DEET의 분석에서 8종 모기기피제의 내용물 100 g 중량 내 7.31 g에서 38.9 g으로 제품 내 다양한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제품 내 처리된 DEET의 함량과 기피력의 상관관계는 정비례하지 않았다. 면포를 이용한 DEET 잔존량 대비 모기 기피력 평가에서 DEET의 함량이 약 40% 이하로 떨어지면서 흰줄숲모기의 흡혈이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4,000원
        106.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107.
        200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700원
        108.
        200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의 전통 발효식품인 고추장의 관능성 및 기능성을 더하여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전분질 원료인 찹쌀무게에 대하여 2%, 4%, 6% 및 8%의 다시마 분말을 첨가한 후 대조구와 함께 30℃에서 120일간 숙성시키면서 유리아미노산과 지방산 조성 및 관능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숙성 중 대조고추장과 다시마고추장 모두에서 아미노질소는 서서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아미노질소의 경우 대조고추장에 비해 다시마고추장에서 다소 낮게 나타났다. 숙성 30일째의 아미노질소량은 각각 171.3l㎎%, 172.l0㎎%, 174.l8㎎%, 185.60㎎% 및 161.70㎎%로 최고값을 보였다. 유리아미노산 중에서는 glutam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숙성이 진행될수록 증가하였다. 또한 arginine. aspartic acid. preline. serine. leucine. lysine도 비교적 높은 함량을 가졌다. 고추장에서 분리 확인된 지방산은 lauric acid- myristic acid, palmitic acid, a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등이었고 이들 중 oleic acid의 조성비율이 가장 높았고 palmitic acid가 다음으로 높았으며 stearic acid. lauric acid, myristic acid의 경우 숙성 후기로 갈수록 산화되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숙성 60일과 120일에 실시한 관능검사의 결과 8% 다시마 첨가구를 제외하고는 대조고추장과 비교하여 다시마 첨가가 고추장의 관능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다시마 첨가수준이 높아질수록 높은 값을 나타내어 고추장에 다시마를 6% 점도 첨가하는 것이 적당하였다.
        4,000원
        109.
        200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teriological quality of beef carcass and distributions of pathogens in beef processing environments were investigated to improve the hygienic quality of fresh beef. Total bacterial contamination of carcass surface in slaughtering process and cutting board in cut-meat process showed 10^5-10^6CFU/㎠ and l0^5CFU/㎠ in summer, respectively. The viable bacterial count of cotton glove was similar to that of cutting board during and entire period of year. Microbial contamination of carcass surface, cutting board, cotton glove and deboned meat showed the highest in summer and the lowest in winter during the year. Escherichia coli O157, Pseudomonas aeruginosa, Klebsiella. ornithinolytica, Staphylococcus aureus, E. coli, Tatumella. ptyseos, Serratia odorifera, Aeromonas sobria, Enterobacter cloacae and Flavimonas oryzihabitans were isolated from carcass surface during slaughter treatments. S. aureus, Listeria grayi and L. monocytogenes were isolated from cutting board and L. grayi, Erwinia spp. Salmonella spp. and S. aureus were isolated from cotton glove in cut-meat process environments. Citrobacter freundii, L. monocytogenes, and S. aureus were isolated from deboned meat.
        4,000원
        110.
        200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tibiotic resistance of thirty strains of Shigella sonnei isolated from patient of Shigellosis outbreke at Young Cheon area in 1998 was tested. Twenty-seven strains were resistant to Tr(Trimethoprim-Sulfamethoxazol) and Shigella sonnei SG-8 was resistant to Tr(Trnnethoprim-Sulfamethoxazol), Ap(Ampicillin), Cp(Cephalothin) and Pi (Piperacillin). Shigella sonnei SG-49, SG-66, and SG-73 were senstive to all tested antibiotics.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isolated Shigella sonnei SG-8, SG-49, SG-57, and SG-73 such as effect of pH, NaCl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on the growth, survival in adverse condition and heat resistance were investigated Growth of the strains were inhibited at pH 4 and pH 9. All strains were grown in Tryptic soy broth containing 6% of NaCl but inhibited in TSB containing 9% of NaCl except Shigella sonnei SG-73 after incubation for 18hrs at 37℃. Selected strains grew during storage at 10 but did not grow at 4.1he strains were survived in 1 % pepton solution for 15 days at 37℃. Viable cell of selected strains were decrease 45 log cycle after heat treatment for 30 miss at 60℃ but did not detect by heat treatment for 5 wins at 70℃.
        4,000원
        111.
        200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국의 여섯 번째 대도시인 대전을 대상으로 시간의 경과와 도시화에 따른 토지이용 변화 조사를 그 목적으로 하였다. 1990년부터 1998년까지의 녹지자연도 비교를 통하여 조사하였고 같은 기간 인구증가율은 27.8%이었다. 1998년에 조사된 녹지자연도는 총8개 등급, 541개 격자로 구성되었다. 2차림인 7등급이 203개 격자(37.5%)로 가장 많았고, 개발지역인 1등급이 137개 격자(25.3%)인 반면 경작지인 2등급은 81개 격자(12.7%), 조림지는 84개 격자(15.5%)의 순으로 나타났다. 1990년부터 1998년까지 녹지자연도의 비교에서 1등급이 9개 격자가 증가한 반면, 2등급이 6개 격자가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논이 62km2에서 52km2로의 10km2가, 밭과 산림지역이 각각 4km2 및 1km2가 감소한 반면, 대지와 공장용지가 각각 10km2 및 0.5km2가 증가한 것으로 녹지자연도 비교의 결과와 같게 나타났다. 대전시 녹지 대부분이 도시외곽의 국립공원에 분포하여 결과적으로 도시 중심부의 경작지가 개발지역으로 변화되었다. 개발제한구역이 설정되어 있기는 하나 녹지자연도로 본 대전시의 녹지는 질적, 양적으로 감소되었다
        4,000원
        112.
        199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들의 어린이 영양에 관한 태도를 조사하고 그들의 영양에 관한 교육 경험이 영양지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조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응답 교사가 어린이 5대 생활지도 중에서 가장 중점을 두는 것은 사회생활이 50.5%로 가장 높았으며 건강생활은 37.3%로 2번째로 나타났다. 2. 어린이 영양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 교사들의 36.3%가 `매우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58.8%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여 95.1%가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3. 영양프로그램 참가 기회가 주어진다면 교사들의 28.4%가 반드시 참가하겠다고 응답하였고 55.9%가 참가하려구 노력하겠다고 응답하여 전체의 84.3%가 긍정적인 답을 하였다. 4. 급식시간과 영양교육의 관련성에 대한 생각을 묻는 질문에 `어린이들의 사회화에 필요한 시간`이라는 응답이 55.4%, `영양에 관해 교육할 기회`가 30.9%로 나타났다. 5. 어린이의 영양교육방법은 38.3%가 `급식시간을 활용하여 교육한다`고 응답하였으나 `특별히 주제를 정하고 시청각 교재를 활용하여 영양교육을 한다`는 경우 3.9%로 나타났다. 또한 `급식시간의 영양교육활용 가능성은 인정하나 활용하지는 않는다`고 응답한 교사가 47.5%로 조사되었다. 6. 교사들의 영양지식에 관한 점수는 총 20점 만점에 10.9±3.0으로 나타났다. 7. 영양교육 프로그램 참가 경험이 있는 교사는 전제의 18.6%였으며 그들의 영양 지식 점수는 11.0±3.0, 경험이 없는 교사는 10.3±3.1이었다. 재학시 영양과목 이수 경험이 있는 교사는 전체의 44.6%였으며 그들의 영양지식 점수는 11.1±2.9, 이수경험이 없는 교사는 10.6±3.2로 나타나 영양교육경험이 있는 교사들이 다소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나 검정 결과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4,000원
        114.
        1996.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7,000원
        115.
        1996.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800원
        116.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명태단백질의 이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pronase를 이용한 가수분해를 제조하였다. 명태로 부터 고기풀을 제조하여 pronase를 기질 g당 1, 000 units에 해당하는 양을 가하여 pH 7.0, 40℃에서 4시간 가수분해하여 89%의 가수분해도를 보이는 명태단백질의 가수분해물을 제조하였으며 총질소량과 아미노태 질소량은 가수분해가 진행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고미와 소수성도 역시 반응초 3.3와 299.3에서 4시간 가수분해시 1.8과 229로 감소하였다. 고미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소수성 아미노산(Tyr, Met, Ala, Ilu, Leu, Phe)는 1, 2시간 가수분해시 42.6%와 42.9%로 증가하다가 가수분해가 진행될수록 감소하여 4시간 가수분해시 36.7%로 감소하였다. 정미성 아미노산(Asp, Glu, Pro, Ser, Thr, Gly)은 가수분해가 진행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4시간 가수 분해시 46.4%의 함량을 보였다.
        4,000원
        117.
        199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신선한 오이에서 얻어진 crude ascorbate oxidase를 이용하여 ascorbic acid 분석 가능성과 검액 중에 공존하는 물질이 ascorbic acid분석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오이에서 얻어진 A.O를 이용한 산화 전후의 흡광도 차이는 AsA의 함량과 비례관계를 나타내고 있어 A.O를 이용하여 AsA정량분석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2. Iso-AsA는 동량의 AsA에 비해 97% response를 나타내어 A.O의 특이성이 결여된 결과를 나타냈다. 3. Sucrose, glucose와 fructose는 AsA와 공존할 때는 기피 영향을 미치지 많아 AsA 분석 시료에 일반적으로 당이 많이 포함되어 있음을 생각할 때 상당한 수준의 당류가 공존하더라도 AsA 분석에는 별로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없었다. 4. EDTA 그리고 citric acid는 AsA와 공존할 때 5배, 50배에는 약간 저해적으로 영향을 나타냈으나 500배에서는 현저한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5. Cu^2+, Fe^2+이온은 AsA와 공존할 때 0.01M 농도에서는 AsA 분석에 상당한 저해효과를 나타냈으며, Fe^3+ 이온의 경우는 0.1M 농도에서도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4,000원
        119.
        199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mino acid sequence of basic isozyme E5 of Horseradish Peroxidase(HRP E5) was determined by protein sequencing. HRP E5 consisted about 300 residues, and has a molecular weight of approximately 36, 000±500 dalton. The protein was rich in aspartic acid (14%), arginine (13%), and leucine(ll%). The primary structure of HRP E5 was established by sequencing its tryptic(T_1-T_19) and lysylendopeptic(A_1-A_3) peptides. The sequence homology between HRP E5 and HRP C(neutral isozyme of horseradish peroxidase) is found to be more than 66%.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identical residues are found on residues 29∼56, 90∼123, and 155∼173, but relatively low on 174∼271.
        4,000원
        120.
        199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토양에서 분리한 Streptomyces SP. 균주에서 분비되는 chitobiase의 효소학적 성질을 검토하였다. 최적반응조건은 pH 5.5, 40℃이었으며, 효소의 안정성은 pH 4.0∼5.5, 40℃에서 40분간 이었다. 45℃에서 1시간 열처리하였더니 효소의 활성은 거의 실활되었다. Mn^2+, Mg^2+이온에 의해 활성이 약간 증가하였으며 Fe^2+이온은 저해시켰으며, Km값과 활성화 에너지는 각각 1.5072mM, 8.314㎉/㏖이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