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3

        121.
        2014.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소나무잔나비버섯(Fomitopsis pinicola)은 구멍장이버섯과 잔나비버섯속에 속하는 다년생버섯으로 주로 침엽수의 생. 고목이나 넘어진 나무에 자라며 갈색부후를 일으킨다. 분포는 한국, 일본, 북반구 온대 이북으로 우리나라는 해발 300m이상 고산지대의 죽은 소나무조직에 흔히 발견되고 있다. 민간에서는 이 버섯을 당뇨병 개선 및 피부병 개선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하여 왔다. 1960년 일본에서 소나무잔나비버섯의 mouse에 대한 고형 암세포 sarcoma-180에 대한 항종양 활성이 보고되면서 관심이 높아졌다. 하지만 이러한 소나무잔나비버섯이 일각에서는 독성이 있다고 알려져 이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소나무잔나비버섯의 안전성 평가를 위해 단회 경구투여 독성평가를 실시한 결과 시험물질의 투여량을 2,000 mg/kg B.W.을 최고용량으로 설정하여 암·수 각각에 대해 1 회 경구 투여 한 후 14 일간 사망률, 일반증상, 체중변화 및 부검소견을 관찰, 조사한 결과 본 시험기간 중 시험물질 투여에 의한 일반증상 및 사망동물은 관찰되지 않았고, 체중변화에 있어서도 모든 동물에서 시험기간 중 정상적인 체중증가가 관찰되었다. 또한 부검소견에 있어서도 시험물질 투여에 의한 특이할 만한 육안소견은 발견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SD 랫드에 대한 소나무 잔나비 버섯의 투여량인 2000 mg/kg B.W..에서 시험물질 투여에 의한 사망동물이 관찰되지 않아 소나무잔나비버섯에 대한 LD50은 암·수 모두 2000 mg/kg B.W.이상으로 판단된다. 또한 소나무잔나비버섯 추출물에 의한 당뇨개선효과 측정결과 당뇨유발시에 대사 불균형으로 인하여 체중 감소가 초래되는데 소나무잔나비버섯 투여시 농도의존적으로 체중 회복 효과를 나타냈으며, 이는 당뇨로 인한 대사에 소나무잔나비버섯이 유의성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소나무잔나비버섯 추출물 투여시 당뇨 유발그룹에 비하여 농도의존적으로 혈당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확인되었는데 이는 소나무잔나비버섯 추출물을 경구투여하였을 때 혈당회복에도 효능이 있음을 나타낸다.
        122.
        201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ffects of pressure and number of passes upon Biji paste properties using a high-pressure homogenizer (HPH)were investigated. A hydrocolloid of Biji was processed with a HPH at 15,000 or 25,000 psi and with 1 or 2 passes.The hydrocolloid was assessed for dietary fiber, protein, sugar content, water absorption index (WAI), water solu-bility index (WSI), rheological character, and distribution stability. As pass number and pressure increased, solubledietary fiber, sugar content, WAI, and distribution stability also increased, whereas particle size decreased. As aresult, processing at 25,000 psi and 2 passes is considered as a proper treatment for processing quality. In breadmaking with HPH treated Biji, volume, hardness, and cohesiveness of bread increased, while density decreased. Theoptimum processing condition for bread with HPH treated Biji was determined by a design expert program. Nineexperimental points were selected, and wheat flour (91-95%) and HPH Biji (5-9%) were chosen as the independentvariables. The optimum formulation of bread using the numerical analysis was set at 94.2% wheat flour and 5.8%HPH Biji with a 0.725 desirability value.
        4,000원
        123.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β-glucan 함량이 높다고 알려진 꽃송이버섯의 농가재배활성화를 위하여 푸른곰팡이 내성균주를 선발하고자 푸른곰팡이 대치배양에 의한 꽃송이버섯 균사생장 특성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생장이 우수한 신품종을 개발하고자 교잡육종 균주에 대한 유전 다양성을 분석하였다. 먼저 푸른곰팡이 대치배양에 의한 꽃송이버섯 균사의 생장 특성을 확인한 결과, 6951 (T. viride) 균주에서는 대치선을 형성한 후 별다른 변화를 보이지 않았고, 6952 (T. spp.) 균주에서는 대치선을 형성한 다음 보다 많은 포자를 형성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6426 (T. harzianum) 균주에서는 꽃송이버섯 균사가 생장하고 있던 부분까지 모두 덮어버리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 중 특이하게도 구례에서채집선발한 균주인 JF02-06 균주에서는 다른 균주에 비해푸른곰팡이 포자가 형성되지 않는 것을 확인되어 다소 푸른곰팡이에 대한 저항성을 갖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전남산림자원연구소에서 보유 중인 균주 중 생장 및 자실체 발생이 우수한 모균주를 선발하여 교잡을 실시하여 생장특성을 조사한 결과, 미송톱밥배지에서 JF02-47, 49, 50 균주의 균사생장량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교잡육종 균주의 유전 다양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ITS1, 5.8S와 ITS4 영역에 대한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Genebank에 등록된 다른 꽃송이버섯 균주와 높은 유의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꽃송이버섯의 포자 및 균사를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생장 특성을 확인한 결과, 포자의 크기는 장경 6µm, 단경 5µm의 물방울 모양으로 확인되었고,균사에서 3가지 형태의 꺽쇠가 관찰되었다. 균사의 폭은3µm이며 꽃송이버섯 균사의 특징으로는 약 50% 정도꺽쇠에서 균사가 뻗어나가는 특성을 갖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균사의 생장 속도는 0.507µm/min이며, 2차 균사는0.082µm/min의 속도로 생장하다가 모균사와 평행을 이루는 시점에서는 모균사의 생장속도와 유사한 속도로 생장하였다. 꺽쇠발생은 약 5시간 동안 균사 내부 전해질의이동이 관찰된 후 작은 꺽쇠를 형성하였다. 약 3시간 후격막이 형성되기 시작하였으며, 그로부터 2시간 후 최종적으로 완성되었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꽃송이버섯의 푸른곰팡이 저항성을 확인하고, 교잡균주의 유전 다양성 및균사의 생장 특성을 확인하여 꽃송이버섯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높이고, 더 나아가 버섯산업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4,200원
        125.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선행연구로서 꽃송이버섯 배지내 LED 조명색에 의한 푸른곰팡이 생육억제 효과는 모든 처리구에서 생육이 억제되었으나 blue 처리구에서 푸른곰팡이균의 포자발생량이 매우 높아 꽃송이버섯 배양에 부적합하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배양 28일 후 LED 파장에 따른 꽃송이버섯의 균사생장 특성과 LED 파장 색상별 배양시간의 경과에 따른 균사생장 특성을 조사한 결과 모두 red 파장 처리구에서 균사생장이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에 따라 red 파장 범위에서 광량을 달리하여 균사생장 조건을 확인한 결과, 광량 세기가 낮은 1.41 μmol/m2S 처리구에서 우수한 균사생장을 나타내었다. 계대배양 실시 여부에 따른 균사생장 특성에서는 실험 전 1회 계대배양을 실시한 처리구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배지조성을 달리한 톱밥배지내 LED 광량별 균사생장은 미송 처리구에서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를 미송 톱밥배지에서 LED red 2.11 μmol/m2S의 광량을 처리하였을 경우 84일 배양한 처리구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상기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았을 경우 red 파장 2.11 μmol/m2S 광량에서 84일 이상 미송 톱밥배지에서 배양하는 것이 꽃송이버섯 배양에 좋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126.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절화용 스프레이국화 ‘오렌지엔디’는 오렌지색의 홑꽃 화형인 ‘러빈’을 방임수분하여 선발한 계통으로부터 육 성하였다. 2006년부터 4년간 촉성재배, 자연재배 및 억 제재배 작형에서 특성검정을 실시하였는데, ‘오렌지엔 디’는 오렌지색의 홑꽃 화형으로 10월 중순에 자연개 화하는 중생 추국으로 자연재배 작형에서 본당 착화수 는 19.6개, 꽃의 직경은 4.6 cm이었다. 촉성재배 작형에 서의 개화소요일수는 49일이었고, 본당 착화수는 21.1개 였다. 억제재배 작형의 개화소요일수는 50일이었다.
        4,000원
        127.
        2012.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침버섯(Mycoleptodonoides aitchisonii)은 수염버섯과에 속하며 갓은 직경 4~10cm로 부채모양에서 반둥근모양이 되고 처음에는 흰색이지만 나중에는 연한 황색을 띤다. 갓 하면인 자실층은 3~10mm의 조밀한 바늘모양의 침을 가진 식용버섯으로 일본에서는 후쿠시마 현, 야마가타 현, 이와테 현 등 일본 동북부 지방의 너도밤나무림 등 삼림 속에서 자연적으로 많이 채취되어 왔다. 주로 가을에 지역특산품으로 소비되어 왔으나, 현재는 특히 야마나시현에서 농가에 재배법을 보급하고 세미나를 개최하는 등 원목재배를 권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침버섯이 강원도와 제주도의 활엽수 고사목에서 발생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상큼한 과일향이 강해서 야생에서도 쉽게 찾아낼수 있다. 주로 활엽수고사목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육질이 단단해서 씹히는 맛과 향이 좋아 미식가들이 주로 찾고 있지만 자생지인 일본에서도 재배가 어려워 야생 채취에만 의존, 사전 예약을 통해 가을 채취로 현지 판매만 이뤄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국내 야생유전자원을 수집 순화육성을 통한 국내균주를 육성하여 최적배양조건 및 자실체발생 특성을 조사하였다. PDA (Potato Detrose Agar)배지에 균을 접종한 후 일주일간 배양한 결과 일본수집균주인 JF33-01 균주는 5.8cm, 국내 육성균주인 JF33-02균주는 6.2 cm로 일본균주에 비해 다소 빠른 기내 균사생장 특성을 보였다. 또한 JF33-02는 기내배양 과정 중에서도 균사가 황변이 되면서 약간의 균막을 형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참바늘버섯 균주가 톱밥배양 시 황변후 버섯이 발생되는 점을 감안한다면 황변화는 자실체 발생에 있어서 중요한 과정으로 JF33-02 균주가 자실체 발생에 있어 좀 더 유리한 조건일 수 있음을 알수 있다. 버섯재배용 최적톱밥 수종 선발시험에서는 밤나무 톱밥이 8.9cm로 참나무나 버드나무 톱밥에 비해 우수한 생장을 보였으며 균주별로는 밤나무톱밥 배양시 국내 육성균주인 JF33-02균주가 7.8cm로 JF33-02 균주에 비해 저조한 균사생장을 보였다. 자실체발생 최적배지 선발시험 결과 일본수집 균주인 JF33-01균주에서는 참나무+건조맥주박+미강(8:1:1)배지가 평균 76.0g/병으로 가장 높은 생산량을 보였고 국내육성 균주인 JF33-02균주에서는 참나무+건조맥주박+옥수수가루+미강(8:1:0.5:0.5)배지가 평균 82.1g/ 병으로 회수율이 높았다. 이는 건조맥주박이 침버섯의 자실체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결과로 해석되며 또한 건조맥주박이 첨가되지 않고 옥수수가루나 소맥분이 첨가된 배지에서는 자실체 발생이 거의 안되거나 생산량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발생된 자실체의 품종특성을 조사한 결과 일본품종인 JF33-01의 경우 갓 표면이 매끈하고 빛깔이 흰것에 비해 국내 자생균주인 JF33-02의 갓 표면은 마치 나이테처럼 자라면서 줄무늬가 생기고 갓이 두껍고 탄력이 있다. 또한 JF33-01에서 연한 과일향이 나는 것에 비해 JF33-02는 상큼한 과일향이 매우 강하게 난다. 그리고 갓의 모양을 보면 JF33-01은 카네이션형이며 JF33-02는 부채꼴형이다. 또한 자실체 직경과 갓의 너비, 갓의 두께 모두 JF33-02가 JF33-01에 비해 큰편이나 침의 길이는 JF33-01이 비교적 큰편이었으며 또한 개체당 평균 생중량과 자실체 개수는 JF33-02가 JF33-01에 비해 높은양을 차지한 것으로 드러났다.
        128.
        2011.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JF33-01은 5.8 cm, JF33-02는 6.2 cm로 JF33-02가 더 빠른 생장을 보였으며, 배양과정중 균사가 황변이 되면서 약간의 균막을 형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발효참나무, 밤나무, 버드나무에서는 거의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발효미송에서는 JF33-02가 JF33-01보다 2.5 cm정도 더 빠르게 나타났다.JF33-01(n)와 JF33-02(2n)를 대치배양 시킨 결과 뚜렷한 대치선을 형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두 균주간에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참바늘버섯 추출물의 제작시 버섯 세포의 파쇄와 관련된 방법의 개선이 필요하며, 본 실험을 통해 참바늘버섯 내에 혈전 분해능을 갖는 효소가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참바늘버섯의 혈전용해능은 약 30~40mM NaCl 에서 회수한 fraction(fraction 13) 에서 가장 높은 혈전용해능을 확인하였다. 참바늘_EtOAc의 경우 다른 버섯과는 매우 다른 크로마토그램을 보여주고 있어 신규물질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ACN/H2O 이동상의 경우가 MeOH/H2O 이동상의 경우보다 약간 더 복잡하고 피크 형태와 sharp한 크로마토그램으로 나타나 버섯에 함유한 물질들이 ACN/H2O의 이동상에서 더 잘 분리되는 것으로 보인다.
        129.
        201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and black rice were investigated to provide the fundamental information of physiological property of rice and to show the potential of rice as a functional ingredient. Bioactive compounds were extracted from brown and black rices with aqueous solvents like 80% ethanol. Total phenolics, flavonoids and antioxidative capacity of brown and black rices’ extracts were determined. Brown rice showed much higher amount of total phenolics and flavonoid contents as well as antioxidative capacity than those of milled rice indicating that most of bioactive compounds are located in the bran layer. Black rice showed higher total phenolics and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tive capacity than those of brown rices. The highest antioxidative capacity was obtained from Heugjinju followed by Heugseol, Sinnongheug-chal, Hopum and Samkwang. This result indicated that antioxidative capacity is affected by total phenolics and flavonoid contents. Both brown and black rices contained higher amount of ferulic acid than that of p-coumaric acid.
        4,000원
        130.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꽃송이버섯에는 인터루킨과 인터페론 생성을 촉진시켜 암세포가 있는 체내로 들어가 면역세포의 활동을 지원하여 생체방어효과를 증진시키는 베타글루칸 함량이 43.6%로 신령버섯의 3.7배, 잎새버섯의 2.4배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약․의학계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꽃송이버섯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고 국내에서도 대량재배의 활발한 움직임이 일고 있다. 따라서 베타글루칸을 증량시키는 재배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이스트 및 엘리시터 수용액을 조제하여 배지에 첨가하여 배양 및 재배특성을 조사하였다. 공시균주로는 JF02-06 균주를 사용였고 기본배지는 미송발효톱밥+옥수수+영양원(소맥분, 맥주박, 보리가루)을 사용하였다. 이스트는 4농도(0ppm, 300ppm, 500ppm, 1,000ppm)로 조제하였고, 엘리시터 첨가는 4처리구로 구분하여 상층액인 elicitor A, 침전액인 elicitor B, Yeast, Control로 구분하여 기 조제한 엘리시터(elicitor) 동결건조 분말을 200ppm 농도로 희석액을 조제한 후 배지조제시와 발생처리전 배지표면에 12mL와 20mL씩 첨가한 후 균사배양 및 버섯발생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스트 첨가배지에 따른 톱밥배지의 자실체 생산량은 균사배양 기간이 59일로 가장 짧았던 미송+맥주박+소맥분첨가구인 PBGF는 94g으로 가장 낮은 버섯발생량을 보였고 미송+옥수수+소맥분에 이스트 300ppm을 혼합첨가한 배지가 188g으로 가장 우수한 버섯발생량을 보였다. 그리고 엘리시터 첨가에 따른 톱밥배지의 균사배양 기간은 엘리스터 A(상등액)와 이스트 처리구는 대조구와 같이 43일로 조사되어 균사배양 기간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을 알수 있었으며 버섯발생량은 엘리시터 A(상등액)와 이스트 처리구의 경우 대조구 192g에 비해 오히려 높은 197g, 195g으로 조사된 반면 배양기간이 다소 오래걸렸던 엘리스터 B(침전액)의 경우 191g으로 대조구보다는 적은양이지만 거의 유사한 수준의 생산량을 보였다. 따라서 꽃송이버섯의 기능성을 감안할 때 이러한 자실체의 베타클루칸 함량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한 최적 배지조성 조건을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131.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표고버섯은 우리나라에서 큰느타리, 느타리에 이어서 세 번째로 많은 생산량인 39,553톤으로 21.3%의 생산비율을 차지하고 있지만,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생산량 감소와 UPOV 체결에 따른 국내신품종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기후 및 재배특성에 적합한 균주를 개발하고자 도내외 야생균주를 수집하여 유전자원을 확보하고 현재 농가에서 재배되고 있는 우량균주간 교잡육종을 실시하였다. 교잡육종 신품종 개발균주와 모균주인 JF00-66균주간 Di-mon 교잡육종을 실시하여 현미경을 이용하여 확인한 결과 신품종 14균주(JF00-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7, 68, 69)에서 모두 꺽쇠연결(Clamp connection)이 확인되었다. 또한 14개 개발균주에 대해 모균주와 대치배양을 실시한 결과 모두 대치선이 형성되었다. 교잡균주의 PDA(Potato Dextrose Agar)내 균사생장 특성은 JF00-63이 6.7±0.2cm/8days로 가장 우수한 생장을 보였으며, 모균주인 JF00-66는 3.9±0.2cm/8days로 가장 저조한 생장을 보였다. 교잡균주의 톱밥배지내 균사생장 특성을 조사한 결과 JF00-57, JF00-62에서 각각 13.9cm, 13.6cm/32days로 가장 우수한 생장을 보였다. 또한 모든 교잡균주에서 모균주로 사용된 JF00-66균주보다 균사생장이 양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교잡균주의 유전다양성 확인한 결과 JF00-03, JF00-65 및 JF00-69간에는 100%의 유의성이 있었으며, JF00-59 및 JF00-64간에도 100% 유의성을 보였다. JF00-02, JF00-52 및 JF00-67간에도 100%의 유의성을 보였고, JF00-38, JF00-56, JF00-58, JF00-62, JF00-63 및 JF00-68간에도 100%의 유의성을 보였다. JF00-55와 JF00-57간에도 100%의 유의성을 보였다. 이상의 모든 균주간에는 98.9%의 높은 유의성을 보였다.
        132.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꽃송이버섯 톱밥재배 초기배양시 주 오염원으로 문제시 되고 있는 푸른곰팡이에 대한 꽃송이버섯과의 대치배양을 통한 균사생육 특성을 파악하고 푸른곰팡이에 대한 저항성균주를 색출하고자 본연구를 수행하였다. 푸른곰팡이 공시균주는 경상대학교 산림자원학과에서 분양받은 6951(T. viride) , 6426(T. harzianum) 등 2개균주와 우리소에서 주로 발생되고 있는 푸른곰팡이균(6952; T. viride)을 자체수집하여 본 실험에 대치배양 균주로 사용하였고 푸른곰팡이 균주와 대치배양에 사용할 꽃송이버섯 균주는 1차년도에 우량균주로 자체 선발한 10개균주(JF 02-06, JF 02-12, JF 02-15, JF 02-17, JF 02-26, JF 02-27, JF 02-29, JF 02-36, JF 02-41, JF 02-42)를 공시균주로 사용하였다. 톱밥 배양시 발생되는 대부분의 푸른곰팡이 오염이 배양실의 잡균에 의해 살균미숙보다는 배양실에서 오염되는 특성이 대부분인 점을 감안하여 먼저 꽃송이버섯균 10개 균주를 20일전에 PDA(Potato Dextrose Agar) 배지 좌측에 접종하여 25℃에서 20일간 항온배양을 실시한 후 우측에 서로 다른 3개의 푸른곰팡이 균주를 접종하여 20일동안 대치배양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푸른곰팡이 균주인 6951(T. viride)과 6952(T. spp.) 균주는 꽃송이버섯 균주가 생육이 왕성하였을 경우에는 경계침범을 하지 못하고 서로 대치배양을 하는 특성이 있었으나 이와 반대로 푸른곰팡이 6426(T. harzianum) 균주는 꽃송이버섯 균주의 생육 왕성시에도 경계를 침범한 후 표면을 덮고 수많은 포자를 형성하는 것을 알수 있었다. 따라서 균주배양 및 버섯발생시 T. harzianum 균주에 의해 오염이 되지 않도록 각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만약 오염이 되었을 경우에는 배양실을 살균소독 한 후 오염된 배지는 재배사와 떨어진 곳에 폐기처분을 실시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저항성 균주 선발을 위한 실험을 실시한 결과 6951, 6952균주에서는 꽃송이버섯 10개균주 모두에서 저항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6952균주에서는 포자를 빨리 형성하는 특성을 가져 이 균주에 오염될 경우 재배사내에서 빠른 확산이 우려되었다. 또한 6426균주는 매우 빠른 균사생장을 보일 뿐만아니라 6952균주와 마찬가지로 포자를 빨리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6952균주 보다 더 위험한 요인으로는 꽃송이버섯의 균사가 생장이 왕성한 부위까지 푸른곰팡이 균사가 2차로 침범하여 포자를 형성는 특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나 만약 농가에서 꽃송이버섯 재배중 6426균주에 오염되었을 경우에 그 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특이하게 도 10개 균주중 구례에서 채집한 균주인 JF02-06에서는 푸른곰팡이가 포자를 형성하지 못하는 것을 알수 있었다. 따라서 JF02-06균주는 비교적 다른 꽃송이버섯 균주에 비해 6426(T. harzianum) 균주에 저항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133.
        201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쌀부산물인 탈지미강을 상업적으로 사용되는 8가지 protease를 최적화된 조건에서 단일 혹은 혼합 처리하여 수용성 단백질을 분리하였다. 이렇게 분리된 단백질을 Lowry, Kjeldahl 그리고 Gravimetric method 등 총 3가지 방법으로 분석을 한 결과 Protamex, Alcalase, Protease N이 가장 높은 분해율을 나타냈다. 3가지 방법에서 모두 Protamex, Alcalase, Protease N이 가장 높은 분해율을 나타내었고, Gravimetric method의 경우 다른 두 분석방법인 Lowry, Kjeldahl method에 비해 더 높은 단백질 함량을 보였다. 또한 위의 단일처리결과를 바탕으로 3가지 protease를 혼합하여 처리하였을 때 단일효소처리에 비해 상승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이것은 protease의 경우 가수분해 할 수 있는 특정 peptide 혹은 amino acid가 있는데 각각의 protease가 분해하지 못하는 peptide 혹은 amino acid를 서로 분해해줌으로써 상승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효소처리를 하여 얻어진 단백질의 사이즈를 알아보기 위해 SDS PAGE를 한 결과 어떠한 밴드도 형성이 되지 않았고 이는 분해된 단백질이 marker의 최소 사이즈인 15 kDa보다 작기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일반 단백질보다 사이즈가 작은 polypeptide나 amino acid로써 분해된 것을 뜻하고 실제로 섭취하였을 때는 신체에서 생성되는 단백질 분해효소인 trypsin이나 chymotrypsin의 분해 없이도 쉽게 흡수 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또한 효소의 종류가 많을수록 총 아미노산의 함량이 높아짐으로써 식품첨가물로써 활용도가 높은 단백질가수분해물로 분해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134.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전라남도 장흥군 일대에서 재배 중인 표고골목에 대량으로 발생한 해균을 육안과 현미경관찰 및 ITS (Internal Transcribed Spacers) 분석한 결과, 줄버섯 (Bjerkandera adusta)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줄버섯은 배추와 무 같은 채소들에 대한 생육 촉진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높은 수준의 aryl-alcohol oxidase와 Mn2+-oxidizing peroxidase 등과 같은 물질의 분비를 통해 공업용 염료 분해나 화약의 주재료인 nitrocellulose의 degradation에 이용될 수 있으며, 디지털 저장장치인 컴팩디스크(CD)의 홈(pits)과 표면(lands)를 파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담자균이다. 하지만 이태리포플러(Populus euramericana)에 줄기썩음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으로 국내에 보고되어 있는 줄버섯이 표고골목에 대량 발생한 예는 아직까지 없기 때문에 이 해균에 대한 특성 또한 보고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줄버섯에 의해 피해를 입은 골목 내부의 상태와 일부 생리적인 특성 및 표고균에 대한 길항력에 대해 시험을 진행했다. 먼저, 줄버섯은 표고와 같은 백색부후균이기 때문에 골목 내부의 상태가 표고에 의해 부후된 것과 비슷했다. 하지만 표고균에 의해 부후된 골목과 달리 수피 아래 목질 조직에 깨알 같은 점들이 많이 있는 특징을 보였다. 그리고 표고균의 최적균사생장온도가 25℃ 내외인 반면에 줄버섯균은 30℃에서 최적의 생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15, 20, 25, 30℃에서 진행된 표고균과의 대치배양 결과, 모든 온도조건에서 표고균에 대해 길항력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런 시험결과는 표고골목이 고온에 노출될 경우, 줄버섯의 대량 번식 위험이 높을 뿐만 아니라 일단 줄버섯에 오염되면 표고균이 입을 피해가 큼을 의미한다. 따라서 줄버섯에 의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골목 내부에서 표고균이 빠르게 만연될 수 있도록 배양하면서 여름에는 골목이 고온에 노출되지 않게 관리해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135.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침버섯(Mycoleptodonoides aitchisonii)은 일본에서는 브나하리타케라고 불리며 이미 1998년 일본의 기린그 룹에서 균상재배를 통해 인공재배에 성공하였다. 또한 기린그룹에서는 혈압강하에 효과가 높아 40대이상의 여성을 타켓으로 기능성음료를 개발하였을 뿐만 아니라, 시즈오카 공립대학과의 공동 연구를 통하여 혈압이 나 혈당의 강하 작용, 동물을 통한 뇌기능 개선작용이나 발암 프로세스 억제작용 등의 작용을 확인하였다. 이 외에도 침버섯에서 분리정제한 렉틴의 혈구응집평가를 실시한 결과 당응집력이 매우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Hirokazu 등 , 2001) 침버섯 추출물이 스트레스나 우울증에 효과가 있는 도파민 방출 또한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었다(Choi 등, 2009; Satoshi 등, 2004; Okuyama 등, 2004). 본 연구에서는 이처럼 생리활성이 우수한 침버 섯의 균사생장 등 배양 최적화 연구를 통해 최적배양 조건을 구명하였다. 최적 평반배지를 선발하기 위한 실험에서는 YMG배지가 7.9cm로 가장 균사생장이 우수했으며 그 다음은 ME 배지가 7.2cm의 생장량을 보였으나, PDA배지에서는 6.7cm로 비교적 저조한 생장을 보였다. 또한 배양배지별 균사밀도를 조사한 결과 YM과 ME배지가 균총이 가장 왕성한 것으로 드러났으며 균사생장이 가장 양호한 YMG배지도 비교적 균총이 왕성한 것으로 드러났다. 최적 액체배지 선발 실험에서는 6종류의 액체배지 중 GP(glucose peptone)배지에서 균사체 건중량이 0.38mg으로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PDB배지는 0.14mg으로 저조한 생장을 보였다. 최적 배양온도 선발 실험에서는 최적배지인 YMG (Yeast Malt Glucose)배 지에서 침버섯 균사를 5일동안 배양한 결과 25℃에서 7.7cm로 가장 우수한 생장량을 보였으며 그 다음은 20 ℃에서 6.4cm의 균사생장을 보였다. 그러나 침버섯은 오히려 30℃보다도 15℃배양시 균사생장이 떨어짐으로 미루어 보아 낮은온도에서 균사활력이 떨어지는 경향을 보일 것으로 사료된다. 최적 영양원 선발 실험에서는 탄소원으로 Sucrose 1%와 2% 첨가구가 GP배지에서 30일동안 배양시 균체 건중량이 0.79와 0.73mg으로 가 장 높은 균사생장을 보였으며, 질소원으로 Asparagine 0.05, 0.1% 첨가구에서 GP배지에서 30일동안 배양시 균체 건중량이 0.69mg으로 가장 높은 균사생장을 보였다. 또한 최적 무기물 선발실험에서는 MgSO4 . 7H2O 0.1% 처리구가 GP배지에서 30일동안 배양시 균체 건중량이 0.78mg으로 가장 높은 균사생장을 보였다. 최적 톱밥배지 선발실험에서는 PYR(Prunus yedoensis + rice bran)배지가 9.3cm로 균사생장이 가장 우수한 반면 QAF(Quercus acutissima + flour)배지는 5.0cm로 균사생장이 가장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136.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절화용 스프레이국화 ‘화이트볼’은 백색의 아네모네 화형인 ‘스텔리온’을 모본으로 하고 분홍색의 아네모네 화형인 ‘향로’를 부본으로 하여 2003년 10월에 교배를 하여 얻은 계통으로부터 선발하였다. 2005년부터 3년간 촉성재배, 자연재배, 억제재배 등 특성검정을 실시하였다. ‘화이트볼’은 백색의 아네모네 화형으로 10월 중순에 자연개화하는 중생 추국으로 자연재배시 본당 착화수는 16.2개이며, 꽃의 직경은 3.6cm이다. 촉성재배시 개화 소요일수는 58.5일이었고, 본당 착화수는 11.9개였다. 억제재배시의 개화소요일수는 54일이었다.
        4,000원
        137.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절화용 스프레이국화 ‘브라운엔디’는 황색의 아네모네 화형인 ‘노을’에 분홍색의 아네모네 화형인 ‘달마’를 2003년 10월에 교배를 하여 얻은 계통으로부터 선발하였다. 2005년 부터 3년간 촉성재배, 자연재배, 억제재배 등 특성검정을 실시하였다. ‘브라운엔디’는 연분홍색의 아네모네 화형으 로 10월 하순에 자연개화하는 중생 추국으로 자연재배시 본당 착화수는 10.6개이며, 꽃의 직경은 4.1cm이다. 촉성재배시 개화소요일수는 59일이었고, 본당 착화수는 9.1개였다. 억제재배시의 개화소요일수는 49일이었다.
        3,000원
        138.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표고속(Lentinula )에 속한 종들의 배양적 특성을 규명하고자 국내 미기록종인 L. aciculospora, L. boryana, L. raphanica 3균주와 대조군으로 국내 기록종인 L. edodes 1균주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대조군인 L. edodes 균주는 ME1배지에서 91.8 ㎜/7일로 최대 균사생장을 보였으며 균사배양 최적온도는 24℃, 최적pH는 6으로 나타났고 최적 탄소원과 질소원은 Glucose와 Malt extract, 최적비타민은 Myo-inosiol로 나타났다. 첫 번째 국내 미기록종인L . aciculospora 균주는 PDA 배지에서 36.5 ㎜/7일로 최대 균사생장을 보였으며 균사배양 최적온도는 22℃, 최적pH는 6으로 나타났고 최적 탄소원과 질소원은 Glucose와 Malt extract, 최적비타민은 Myo-inosiol로 나타났다. 두 번째 L. boryana 균주는 MCM 배지에서 55.0 ㎜/7일로 최대 균사생장을 보였으며 균사배양 최적온도는 22℃, 최적pH는 7로 나타났고 최적 탄소원과 질소원은 Glucose와 Urea, 최적비타민은 Riboflabin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L. raphanica 균주는 ME1 배지에서 70.0 ㎜/7일로 최대 균사생장을 보였으며 균사배양 최적온도는 28℃, 최적pH는 5로 나타났고 최적 탄소원과 질소원은 Sucrose와 Potassium nitrate, 최적비타민은 Riboflabin으로 나타났다.
        4,000원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