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56

        161.
        2007.03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investigate characterization of EMF(Electromagnetic Field) emission from VDT(Visual Display Terminal) in computer room, we were divided into 3 types of placement monitors which are 1) back side of monitor faced the ground(back view type), 2) arrangement of monitors was a line type(two sides type), and 3) disposition of monitors was s straight(horizontal line type). We also measured monitors classified types at the front, side and back by distance and evaluated by TCO(The Swedish Confederation of profession Employers) and MPR-2(Measure and Proof Radiation Board) guide line. Magnetic field emission level by the type of VDT, it was indicated that MF(Magnetic Field) level was below the backgrounds level when CRT moved away about 70~90cm, LCD moved away about 40~50cm. We evaluated MF emission level by the number of VDT, it did not show any relationship. Finally, estimated MF emission level by the placement of VDT, it was showed the MF level less than the background level, when VDT moved away 40~50cm in all dispositions with exception of 2 sites. Background level of case was higher than emitted from VDT, so that did not effect on MF level by distance. However, we find out that as distance increased, MF emission level decreased significantly in all cases. We measured MF emission level of one monitor and others (back and forth) monitor in line type. Below the background level when one monitor type moved away 70cm, others monitor type moved away 40cm. However, other monitor types affected MF level which is located back monitor. The data demonstrate that avoiding excessive MF exposure from VDT using computer room, to have a space between user and VDT at least 50㎝.
        4,000원
        169.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호리병벌과를 이용한 생물학적 환경평가 기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농업지역 등 충 13개 지역에 대통트랩(nest trap)을 설치한 후 채집된 호리병벌과의 벌류를 분류 동정하고, 채집지의 환경에 따른 서식밀도를 분석하여 환경평가를 위한 유망종을 선발하였다. 시험기간 동안 총 7종이 채집되었으며, 그 중 황슭감탕벌(A. flavomarginatum Smith)이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호리병벌과에 속하는 종들의 영소수는 농업지역의 경우 무비무농약재배지에서 12.8개/m로 관행농업지의 7.2개/m에 비해 많았으며, 자연녹지의 경우 녹지지역(자연녹지도: 4.28)의 경우 13.4개/m로 상업지역(자연녹지도: 1.00, 1.2개/m)에 비해 많았다. 또한 영소수가 많은 지역일수록 종 풍부도 및 다양도 지수는 높게 나타났다. 한편, 농업농촌 생태계 등 자연환경평가 지표중으로 황슭감탕벌, 줄무의감방벌, 먹조롱박벌, 왕가위벌등 4종을 선발하였으며, 이들 종의 출현수 및 총 영소수, 종 다양도 등을 지표로 한 환경등급기준( 등급)을 설정하였다.
        4,000원
        172.
        200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신선채소류의 대형매장과 재래시상에서의 청결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시중에 유통 중인 상추, 깻잎, 오이를 시울과 경기남부의 15개 대형매장과 21개 재래시장에서 sampling하여 총호기성균, 대장균군, Escherichia coli 및 Listeria monocytogenes의 오염도 수준을 평가하였다. 대형매장과 재래시장에서의 상추, 깻잎, 오이의 총호기성균과 대장균군의 오염도는 유의차가 없었다(p>0.05). 그러나 3가지 채소에서의 총호기성균 오염수준은 상추, 깻잎, 오이 순으로 나타났으며 그 수준은 각각 평균 7.01±0.14 log_(10)CFU/g(대형)과 7.10±0.11 log_(10)CFU/g(재래)이었으며 6.69±0.20 log_(10)CFU/g(대형)과 6.44±0.13 log_(10)CFU/g(재래), 5.37±0.25 log_(10)CFU/g(대형)과 5.27±0.19 log_(10)CFU/g(재래)이었으며 대장균군의 오염 순위 또한 같은 양상을 보였다. E. coli검출률 역시 3가지 채소 모두에서 매장간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며(p>0.05) 상추와 깻잎은 대형매장과 재래시장 모두에서 30% 이상의 빈도로 검출되었으나, 오이에서는 10% 미만의 검출빈도를 보였다. L. monocytogenes는 모든 채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ND: 오이 <3 CFU/g, 상추, 깻잎<10 CFU/g. 따라서 본 연구에서 측정된 오염수준은 신성채소류의 미생물위해평가(MRA)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173.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식품을 오염시켜 식중독을 유발하는 주요 식중독 세균인 Escherichia, Salmonella, Shigella, Vibrio, Listeria 등 5속의 병원성 세균들을 반복성 염기성열을 이용한 ERIC-PCR을 이용하여 동시에 동정할 때 이용되는 주요 PCR 반응성분인 MgCl_2, dNTPs, primer, template DNA의 최적 농도를 결정하였다. MgCl_2 반응성분은 2 mM을 적용하였을 때부터 일정한 fingerprinting pattern을 얻을 수 있었으므로 2 mM을 MgCl_2의 최적농도로 결정하였다. dNTPs의 농도는 250 μM까지 증가함에 따라서 6균주 모두 200 μM까지는 농도 증가와 비례하여 단편의 수와 강도가 점증하였으나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단편의 수와 강도가 일정하였다. 그러므로 일정한 fingerprinting pattern을 얻기 위하여 200 μM의 dNTPs만으로도 충분하였다. ERIC primer들은 2 μM의 농도를 적용했을 때부터 일정한 fingerprinting pattern을 나타낼 수 있었으며, 그 이상의 농도를 적용했을 때 단지 단편들의 강도만이 증가하였다. Template DNA도 다른 PCR 반응성분에 대한 실험과 마찬가지로 적용한 DNA양의 증가에 따라 단편의 강도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대부분의 적용 균주들에 대하여 DNA의 양이 최소일 때와 최대일 때 각각의 얻어진 fingerprinting pattern들을 비교할 때 단편의 수는 별 차이가 없었다.
        4,000원
        174.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반복성 염기서열을 응용한 PCR법인 REP-PCR을 사용하여 식중독 미생물의 분리와 동정을 위한 연구에 적용하기 위하여 주요 식중독 유발세균 5속(genus), 6종의 균주를 사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PCR 구성성분인 MgCl2, dNTPs, REP sequence primer, 주형 DNA의 농도를 최적화하기 위한 연구 결과, MgCl2의 농도가 2.0 mM과 2.5 mM일 때, 균주들의 fingerprinting pattern의 변화가 없거나 적은 것으로 관찰되어, 모든 속의 균주를 단일조건으로 분리?동정하기 위해서 MgCl2의 농도는 2.5 mM이 최적인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 dNTPs는 50 μM의 농도를 적용하였을 때부터 전체 fingerprinting pattern범위의 주 단편들을 나타내는 균주들도 있었으나 총 단편의 수가 완벽하게 나타나지는 않았고, 200 μM의 적용시점에서 6종의 균주 모두 단편의 수나 강도의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기 때문에 fingerprinting pattern의 파악을 위한 목적에는 200 μM의 dNTPs 농도만으로도 충분하였다. REP primer는 적용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단편의 수와 강도가 증가하였으며 Vibrio를 제외한 5종의 균주가 2.0 μM의 primer를 적용했을 때 고유한 fingerprinting pattern을 나타냈다. 주형 DNA의 양을 변화시켜 적용하였을 때 DNA 양의 비율이 2배에서 5배까지 증가하여도 초기 미량 적용 시 생성되었던 fingerprinting pattern은 많은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그러나 적용되는 DNA 양에 따라 단편들의 강도와 수가 약간씩 점증하는 양상을 보였다.
        4,000원
        179.
        200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곤충자원의 대량사육을 위한 병 발생 예방과 해충의 효과적인 방제를 위하여 흰점박이꽃무지 이병충으로부터 곤충병원 사상균을 분리하였다. 전자현미경 관찰 결과 분리균주 KMA-1은 Metharizium속의 전형적인 쇠사슬형의 분생자를 paliside-like masse에 형성하였다. 따라서, 정확한 동정을 위하여 28S rRNA와 ITS염기 서열을 바탕으로 제작한 특이 프라이머쌍을 사용하여 PCR 반응을 수행하였다. 각각의 프라이머쌍을 사용한 PCR반응으로부터 특이 밴드가 검출되었으며 이 증폭 산물들의 염기 서열을 결정, 비교하였다. 분리 균주 KMA-1의 PCR산물인 28S rRNA와 ITS DNA염기서열을 GenBank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염기서열 정보와의 상동성을 검색한 결과, 모두 Metarhizium anisopliae와 가장 높은 서열 상동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서 본 실험에서 분리 명명된 KMA-1는 M. anisopliae로 동정되었다.
        4,000원
        180.
        200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곤충생태원을 인공적으로 조성한 후 곤충의 다양성 변화를 조사하고 기주식물과의 관계를 구명하고자 조성 후 1년 차인 1998년부터 2001년까지 4년간 발생하는 곤충 종을 조사하였다. 식재 4년차인 2001년 4월부터 11월까지 조사된 곤충으로 총 11목 138과 343종 5,744개체가 채집되었다. 곤충의 발생은 4월부터 7월 사이에 다양한 종이 출현하였으며, 특히 6월 말에 가장 많은 곤충 종들이 출현하였고 딱정벌레목의 곤충이 종 및 개체수에서 가장 많았다. 우점종으로는 딱정벌레목의 등빨간먼지벌레, 나비목의 배추흰나비, 노린재목의 투명잡초노린재 순이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