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마늘(Allium microdictyon)과 울릉산마늘(A. ulleungense) 은 수선화과(Amaryllidaceae) 부추속(Allium)에 속하는 다년 초 식물로 산마늘은 우리나라에서는 지리산, 오대산 등의 고산 지대, 울릉산마늘은 울릉도에 분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산마늘 과 울릉산마늘의 휴면과 발아특성을 조사하여 효과적인 대량증 식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실험은 2021 년 7월에 강원도 정선에서 재배한 산마늘 종자와 2021년 8월에 울릉도에서 채종한 종자를 사용하였다. 수분흡수 실험결과, 산 마늘과 울릉산마늘 모두 수분흡수 3시간 만에 20% 이상의 수분 흡수율을 보여 물리적 휴면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온도 처리(25/15, 20/10, 15/6, 5℃) 실험에서 패트리디쉬에 종자 를 치상 후 30일 이전에 5℃를 제외한 나머지 온도 처리에서 모두 발아가 나타났으며, 산마늘과 울릉산마늘 종자의 발아 적 온은 20~25℃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저온층적(0, 4, 8, 12주)처 리 결과, 산마늘과 울릉산마늘 종자 모두 발아율 향상에는 큰 효과가 없었지만, 저온층적처리 기간이 길어질수록 발아세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GA3 처리 결과, 산마늘 종자는 처리 농도 간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지만, 울릉산마늘 종자는 처리 농도가 높아질수록 평균발아일수 및 발아균일도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산마늘과 울릉산마늘 종자는 non-deep PD 유형인 것으로 판단된다.
Fetal Bovine Serum (FBS) plays a crucial role in animal cell culture; however, the increasing number of bovine fetuses used and sacrificed solely for FBS collection has raised ethical concerns globally. The welfare of fetuses during FBS blood collection has become a key focus of debate among animal welfare and ethics organizations worldwide. Previous studies indicate that heat-inactivated coelomic fluid (HI-CF) from the earthworm Perionyx excavatus may serve as a viable FBS alternative in adherent cell cultures. This study evaluates the potential of HI-CF as an FBS substitute during the in vitro maturation (IVM) stage of bovine embryo culture, with a focus on improving developmental rate through antioxidation effects. In this study, 2% HI-CF was incorporated into IVM media, assessing its impact on cell growth, differentiation, and the expression of genes related to antioxidation. The group of 2% of HI-CF exhibited a trend toward increased cleavage and blastocyst development rat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lthough antioxidant genes such as NRF2 and GSR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ontrol and treatment groups, a trend toward increased expression was observed. Conversely, GPX1 displayed a trend of decreased expression. Notably, IGF1 and NQO1 were significant upregulated (p < 0.05) in the 2% HI-CF group. Additionally, oocytes stained with H2DCFDA showed a significantly reduced ROS levels (p < 0.05) in the 2% HI-CF group compared with control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HI-CF's antioxidative effects support enhanced cell growth and blastocyst development rate, surpassing those observed with FBS. Consequently, HI-CF shows promise as an effective alternative to FBS in vitro maturation of bovine oocytes.
갯까치수염은 다육성의 2년생 초본 자생식물로서, 제주도, 울릉도를 비롯하여 남해안 지역에서 자라며 자생지의 환경에 맞게 내염성이 크다는 특징이 있고,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며 관상가치가 높다. 관련 문헌을 보면 발아조건과 개화조절에 대한 연구만 보고되었고 그 중간단계인 재배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여 대량생산을 위한 공정육묘법 개발의 일환으로 이 실 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은 플라스틱온실 내에서 발아시킨 1cm 전후의 묘를 50, 128, 200구 트레이에 이식하여 한국원시표 준액(N-P-K-Ca-Mg, 15-3-6-8-4)을 각각 권장 EC농도의 0, 0.5, 1, 2배 농도로 매일 5분간 순환식으로 저면 관수하여 6주간 재배 후 초장, 근장, 엽수, 뿌리수, SPAD, 생체중, 건물 중을 측정하였다. 갯까치수염 생육은 플러그 셀 크기 50셀에 서 생육이 가장 높았다. 양액농도에 따른 갯까치수염의 생육 은 0.5배액에서 초장과 근장의 수치가 가장 높았으며, 모든 생육지표가 양액 농도변화에 따른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 타났고 실질적인 총 생산량의 지표라고 할 수 있는 지상부와 지하부의 건물중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결과가 나온 것으 로 미뤄 육묘단계에서 양액의 농도가 셀 크기보다 갯까수치염 의 묘 생육에 더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갯까치수염의 조직 충실도 면에서 0.5, 1, 2배액의 200구에서 가장 높은 결과값 들이 나왔다. 결과적으로 기존 원시표준액에 비해 생장에 유 리한 결과를 보이며 비료도 절약할 수 있는 0.5배 양액처리조 건이 갯까치수염 육묘 재배에 더 효율적이였다.
Haemaphysalis longicornis는 사람과 동물에게 여러 심각한 병원체를 전달하는 주요 매개체로, 한반도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 H. longicornis는 Rickettsia spp., Borrelia spp., Francisella spp., Coxiella spp., 그리고 중증열성혈소판 감소증후군 바이러스 (SFTS virus) 등을 매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에 서식하는 H. longicornis의 미생물 군집과 관련된 연구는 많이 진행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한반도 내 다양한 지역에서 채집된 H. longicornis의 미생물군집 다양성을 지역별, 성장 단계 및 성별에 따라 분석하였다. 2019년 6월부터 7월까지 질병관리청 권역별기후변화매개체감시거점센터 16개 지역에서 채집한 H. longicornis의 16S rRNA 유전자 V3-V4 영역을 PCR로 증폭 후 Illumina MiSeq 플랫폼으로 시퀀싱하였다. Qiime2를 활용한 미생물 다양성 분석을 통해 총 46개의 샘플에서 1,754,418개의 non-chimeric reads를 얻었으며, 평균 126개 의 operating taxonmic unit (OTU) 을 식별하여 총 1,398개의 OTU를 확인하였다. 대부분의 지역에서 Coxiella spp.가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Coxiella endosymbiont는 가장 높은 우점도를 보이며, Coxiella burnetii와 계통 발생 학적으로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분석된 결과는 각 지역의 H. longicornis 미생물군집 데이터 베이스 구축에 활용되었으며, 이를 통해 지역별 미생물군집의 특이성을 식별할 수 있게 하였다. 이는 한반도의 H. longicornis에 의한 질병 전파 연구와 이를 통한 공중보건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논문에서는 빙하가 녹아 갈라져서 떠내려 온 새끼 펭귄이 다시 펭귄 무리로 되돌아가기 위 해서 길을 찾아 나서는 퍼즐 어드벤처 게임을 제안한다. 플레이어 40명의 로그 기록과 설문지 를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제안하는 게임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제안하는 게임은 새끼 펭귄이 얼음 덩어리를 밀어서 길을 만들어 이동하는 직관적인 규칙을 제공한다. 로그 기 록에서 플레이 평균 시간은 19분이며, 이를 19개의 리스폰 지점으로 나누면, 구간별 플레이 평균시간은 1분이다. 설문에서 게임 목표 명확성은 4.45점, 게임 난이도는 4.16점을 받았다. 둘째, 제안하는 게임은 가마우지가 새끼 펭귄에게 도움말을 제시하는 등 유용한 정보를 친절 하게 제공한다. 전체 플레이 평균 시간은 baseline이 24분이고, kinder UI가 19분이다. kinder UI에서 새끼 펭귄이 얼음 덩어리를 덜 밀고, 게임 재시작을 덜 하고, 더 빨리 상호작 용하여, 문제를 빨리 해결한다. 설문에서 게임 스토리 이해는 4.15점, 유용한 정보는 4.45점을 받았다. 셋째, 제안하는 게임은 남극과 유사한 환경을 제공하여 몰입도를 상승시킨다. baseline에 비해서 kinder UI에서 다양한 게임 오브젝트와 더 적극적으로 상호작용을 시도하 고, 미션 완료 후 더 오랫동안 오로라를 지켜봤다. 설문에서 게임 캐릭터 선호도는 4.56점, 게 임 환경 만족도는 4.22점을 받았다.
Toll-like receptor 4 (TLR4) is known to contribute to the modulation of insulin resistance and systemic inflammation seen in obesity and the metabolic syndrome.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fertility competence of TLR4 knock out male mice (TLR4 mice) on a high-fat diet (HFD), compared to a normal-chow diet (NCD). The controls included wildtype (WT) mice fed on a HFD or NCD. Six-week-old male mice were fed with either a NCD or HFD for 20 weeks. Body and organ weights, serum levels of glucose, triglycerides and hepatoxicity, sperm quality and spermatogenesis were observed after the sacrifice. Also, randomly selected male mice were mated with virgin female mice after feeding of 19 weeks. The weight of the body and organs increased in WT and TLR4 mice on a HFD compared to those of mice on a NCD. The weights of the reproductive organs did not vary among the treatment groups. The motility and concentration of the epididymal spermatozoa decreased in both WT and TLR4 mice fed a HFD. The pregnancy rate and litter size declined in the HFD-fed WT mice compared to the HFD-fed TLR4 mice. In conclusion, the HFD alters energy and steroid metabolism in mice, which may lead to male reproductive disorders. However, fertility competence was somewhat restored in HFD-fed TLR4 male mice, suggesting that the TLR4 is involved in testis dysfunction due to metabolic imbalance.
To identify and compare the venom components and expression patterns of some bees/wasps, venom gland-specific transcriptome analyses were conducted for 14 Aculeate bees/wasps. Most of the allergens and pain-producing factors showed extremely high expression levels in social wasps, implying that social wasps have evolved to use venom to defend the colony against intruders. Acid phosphatase and tachykinin, which are known as allergens and neurotoxic peptides, were found with high frequencies in the venom glands of solitary wasps. This suggests that solitary wasps might use their venom for catching and preserving prey. In the venom glands of bumblebees, little or no transcripts of major allergens or pain producing factors were identified, implying that bumblebees venoms are relatively less toxic than those of social or solitary wasps. Taken together, the differential expression patterns of venom genes in some Aculeate bees/wasps implies that bees/wasps have unique groups of highly expressed venom components, which appear to have evolved in response to both ecological and behavioral influences.
The hypopharyngeal gland (HPG) of the honeybee worker produces royal jelly (RJ) and has a developmental cycle closely related to the division of labo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o compare the HPG acini diameter of differently aged worker bees with high royal jelly producing colony (HRC) or less producing colony (LRC). Additionally, we also evaluated whether the fresh weight of the head is a reliable indicator of the developmental status of HPG.
The HRC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RJ production about two-times as compared with those of the LRC. We measured the HG-diameters on days 1, 3, 6, 9, 12, 15. The microscopic analysis revealed that the acini size of the HRC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e LRC. In addition, the acini diameter of HRC was 15% longer than the LRC on the first day after emerging. It was shown that the fastest development during 3 days which is preparing for nurse the brood. The HPG acini diameters increased in both colonies in a similar fashion until day 12 and then decreased. We also compared the fresh head weight of the experimental colonies, differences were similar to the development of HPG.
Therefore, high royal jelly production may have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HPG acini size and the fresh head weight.
To identify the venom components and their expression patterns of some Aculeata bees/wasps, venom gland-specific transcriptome analysis was conducted. FPKM values were normalized with the average of the transcription level of reference gene (a-tubulin). Common components in both solitary and social wasp venoms include hyaluronidase, phospholipase A2, metalloendopeptidase, etc. Although it has been expected that more diverse bioactive components with the functions of prey inactivation and physiology manipulation are present in solitary wasps, the information on venom compositions of solitary wasps obtained in this study was not sufficient to generalizae this notion. Nevertheless, some neurotoxic peptides (e.g., pompilidotoxin and dendrotoxin-like peptide) and proteins (e.g., insuline-like peptide binding protein) appear to be specific to solitary wasp venom. In contrast, several proteins, such as venom allergen 5 protein, venom acid phosphatase, and various phospholipases, appear to be relatively more abundant in social wasp venom. In the venom gland trancsriptome of bumblebees, major allergens or pain producing factors were barely identified, implying that bumblebee venoms are relatively less toxic than those of social or solitary wasps.
상주는 귀농 도시이자 농업 중심 도시로써 농업기술원을 유치할 만큼 생태학적 연구가치가 있는 친환경 도시이다. 특히 경천섬은 낙동강 본류에 있는 상주보 인근에 위치하고 있어 낙동강 생태 환경 연구의 중요 지역 중 하나이다. 하지만, 아직 경천섬에 대한 생물다양성 연구가 부족한 상태이다. 섬과 산지의 생태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생물의 다양성도 다를 것이라 간주하고, 경천섬 주변의 생태학적 가치를 재조명할 기초자료를 조사하고자 한다. 이에 경천섬과 인근에 위치한 청룡사 길목 산지에 서식하는 곤충 채집을 통해 생물다양성을 조사하여 비교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채집방법은 직접잡기, 쓸어잡기, 함정트랩, 흡충관을 이용하였으며, 함정트랩에 사용된 유인제는 소주1.8ℓ와 빙초산350㎖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2018년 4월~8월 중 3회 채집과정을 수행하여 목표개체수를 확보하였고, 채집된 곤충은 에탄올을 채운 conical tube에 넣어 냉동실에 보관하여 보존성을 높였다. 채집과정에서 잡은 곤충들을 건조시키고 유사종끼리 분류하고 동정하는 과정을 거쳐 다양도지수, 우점도지수, 종풍부도지수, 종균등도지수, 유사도지수를 계산할 것이다. 기존에 알려지지 않았던 경천섬 일대의 생물다양성을 세세하게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경천섬의 생태학적 가치를 드러내고, 경천섬 일대의 자연환경관리와 보존에 필요한 정보나 체계적인 관리체계를 구축할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