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44

        221.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에서 자생하는 125종의 식물에서 추출한 141가지 메탄올 추출물들에서 식품부패미생물인 Bacillus subtillis,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Enterobacter aerogenes 그리고 Pseudomonas aeruginosa에 대한 항균 활성도를 조사하였다. Bacillus subtillis에 대해 가장 강한 항균력을 보인 것은 오미자였으며 staphylococcus aureus 에 대해서 대황이, Pseudomonas aeruginosa에 대해서는 산사가 가장 강한 항균력을 나타냈다. 금은화는 Bacillus subtilis를, 산사는 Stophylococcus aureus를, 모과와 황금은 Pseudomonas aeruginosa를, 모감주나무꽃, 밤나무꽃, 장미꽃과 파꽃은 Enterobacter aerogenes를, 오미자는 Escherichia coli를 제외한 나머지 4가지 균주에 모두 항균력이 있었다
        4,000원
        225.
        200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벌꿀이 항균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국내산 벌꿀인 밤꿀, 잡화, 아카시아, 재래종 벌꿀과 외국산 벌꿀인 마누카, 클로버, 캐놀라 벌꿀 그리고 인공벌꿀을 각각 12.5%, 25.0%, 50% 의 희석액으로 조제하여 catalase 무첨가 또는 첨가한 경우에 있어서 벌꿀의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활성을 agar well diffusion assay로 비교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Catalase 무첨가의 경우 12.5% 희석한 벌꿀은 마누카꿀> 밤꿀이, 25.0%로 희석한 벌꿀은 마누카 꿀> 밤꿀 > 잡화꿀 > 재래종꿀 > 클로버 꿀 > 아카시아꿀이 , 50.0%로 희석한 벌꿀은 마누카꿀 > 밤꿀 > 캐롤라꿀 > 재래종 꿀 > 잡화꿀 > 클로버꿀 > 아카시아 꿀 순으로 항균활성이 인정되었다 (p >0.01). Catalase 무첨가의 경우 12.5%, 25.0%, 50.0%로 희석한 벌꿀의 생육억제환은 각각 5.85 ~ 6.60 mm, 4.26 ~ 8.27 mm, 5.24 ~ 11.49 mm 범위였다. Catalase 첨가의 경우 12.5%로 희석한 벌꿀은 마누카꿀에서만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25.0% 로 희석한 벌꿀은 마누카꿀이 밤꿀보다 항균활성이 더 높게 나타냈다 (p > 0.01). 50.0% 로 희석한 벌꿀은 마누카꿀 > 밤꿀 > 클로버꿀 > 캐로라꿀 > 재래종꿀 순으로 항균활성이 높았으며 마누카꿀, 밤꿀, 클로버꿀, 캐롤라꿀, 재래종 꿀 사이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p > 0.01). Catalase 첨가의 경우 12.5 %, 25.0 %, 50.0 %로 희석한 벌꿀의 생육억제환은 각각 5.89 mm, 5.01 ~ 6.84 mm, 3.10 ~ 8.28 mm 범위였다.
        4,000원
        226.
        200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항생제 및 항균 물질 등의 오, 남용으로 인하여 항생제 내성균들이 등장,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식물이나 probiotics 등과 같이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는 물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오래 전부터 민간 요법으로 사용되어 오던 백련초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를 이용하여 in vitro와 in vivo에서 Salmonella enteyica serova. Enteritidis (S. enteritidis), S. enterica serova. Typhimurium (S. Typhimurium) DT104 및 Escherichia coli O157:H7에 대한 항균능을 평가하였다 백련초의 수용액이 포함된 Moulter Hinton agar에 Salmonella spp. 및 S. coli O157:H7를 접종한 결과 이들 균에 대한 억제능(inhibitory activity)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백련초 제제를 경구투여한 군에서 분변으로 배출되는 S.typhimurium DT104의 수가 급격히 감소하였고, 낀 후에는 더 이상 분변으로 균이 배출되지 않았으며, intestinal IgA가 유의적으로 증가함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백련초가 in vitro에서 S. enteritis, S. Typhimurium DT104와 E. coli O157:H7대한 항균력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마우스의 gastrointestinal tract에서 역시 Salmonella에 대한 항균력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백련초 및 그 성분을 이용한 병원성 세균의 제거 및 면역 증진 효과 등과 같은 연구의 필요성이 확인되었고, 그 응용 가능성도 매우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228.
        200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강 알칼리 이온수인 GC-100X의 항균력을 6가지 주요 식품위해 미생물들에 대해 시험하되 4℃, 25℃ 및 36℃의 서로 다른 온도조건과 유기물 조건 하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GC-100X는 37℃, 3시간 반응 조건 하에서 모든 유해균에 대해 1.0X 10^4 CFU/ml감소 이상의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멸균 증류수나 표준 경수로 2배 희석한 경우에도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유기물이 존재할 경우는 항균력의 약화가 관찰되었고, 그람 양성균에 대한 항균력은 높지 않았으나 그람 음성균에 대해서는 강력하고 빠른 사멸능력을 나타내었다. 방울 토마토에 인위적으로 E. coli O157:H7을 부착시키고 그에 대한 GC-100X의 세척효과를 기타의 세척제들과 비교해 본 결과, GC-100X 원액, GC-100X 5% 용액은 100 ppm 염소용액과 유사한 세척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시판 주방용 합성세제에 비해 그 성능이 우수하였다. 또한 시판 주방용 합성세제와는 달리 GC-100X, GC-100X 5% 및 3% 100 ppm 염소용액은 세척후 토마토 내부로의 균 침투를 억제하는 기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는 식품 위생과 주방 청결에 일조할 하나의 방안으로서 안전성, 항균력, 세척력을 갖춘 GC-100X의 식품분야 적용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4,000원
        229.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5종의 유산균들 (Lactobacillus reuteri, L. acidophillus, L. bulgaricus, L. casei and Bifidobacterium longum)의 식중독 균들에 대한 항균력을 조사하였다. 각 유산균들을 3가지 서로 다른 조건 (MRS+glucose, MRS+0.5 M glycerol, 0.25 M glycerol solution)에서 배양한 후 그 상층액이 포함된 Moulter Hinton Agar에 8종의 유해균들을 접종하였다. MRS+glucose, MRS+0.5 M glycero에서의 상층액을 이용한 실험에서는 L. reuteri의 항균력이 다른 유산균들에 비해 높지 않았으나 0.25 M glycerol solution에서는 탁월하게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p<0.05). 0.25 M glycerol solution에서 나타난 높은 항균력은 L. reuteri가 glycerol을 이용하여 생산하는 reuterin이란 물질 때문이라 생각되며, 0.25 M glycerol solution의 상층액을 500 MHz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를 통해 분석한 결과 reuterin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다. 3가지 조건 하에서의 항균력 시험 결과 가장 높은 항균력을 나타낸 3가지 유산균들 (Lactobacillus resuteri, L. bulgaricus, L. casei)을 선발, 각각 최고의 항균력을 나타낸 조건으로 배양하여 최소사멸농도 (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를 측정한 결과, L. reuteri가 생산한 reuterin이 광범위 항균물질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pH 적정, pepsin 혹은 trypsin 처리를 한 후 3가지 유산균들의 항균력 변화를 조사한 결과 L. bulgaricus와 L. casei의 항균력은 이러한 조건에서 상당히 감소한 반면 reuterin의 항균력은 아무런 영향을 받지않았다 (p<0.05). 이상의 결과들로 보아 주요 유산균들 중에서 L. reuteri의 항균력이 가장 우수하면서 광범위하였으며 이는 L. reuteri가 분비하는 항균물질인 reuterin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reuterin의 항균력은 타 유산균과는 달리 장관내 pH나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인체나 동물 장관에서 가장 높은 효력을 가진다고 판단할 수 있다.
        4,000원
        232.
        200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tibiotics polymer prepared by chemical bonding and simple blending of antibacterial into polymers have attracted much interest because of their long-lasting and antibacterial activity. Antibiotics polymer can significantly reduce losses associated with dissolution, photolytic decomposition and volatillization. Further more, increased efficiency safety and selectivity are additional benefits which may be realized. In this study, Antibiotics polymer was synthesized by chemical reaction of polyacrylic acid with sulfamethazine by N,N'-dicyclohexylcarbodiimide(DCC) method. Antibacterial susceptibility was determined against Streptococcus pyrogenes[gram(+)] and Esherichia coli.[gram(-)] using a standardized disc test. As a result, the synthetic antibiotics polymer exhibited the broad susceptibilty against Streptococcus pyrogenes and Esherichia coli. Especially, the antibiotic effect of antibacterial polymer against Gram negative(Esherichia coli) was much stronger than that against Gram positive(Streptococcus pyrogenes).
        4,000원
        233.
        200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consumer's demand for natural preservatives is increasing because of residual toxicity, mutagenicity and etc. of synthetic preservatives and the study of natural preservatives is being done. In this study, antimicrobial activity of spices was investigated Fungi occurred in bread and a noodle without mustard after 3days and 4days, respectively. However, they didn't occur in bread and noodle with mustard ball. Temperature of the water used in mixing-up mustard powder didn't affect antimicrobial activity of mustard. Fungi occurred in bread with cinnamon, Japanese pepper or horseradish after 4days, 4days or 6days, respectively. However, there wasn't the occurrence of fungi in bread with mustard after 8days, yet. Mustard and horseradish of extracts by water of spices had a strong antimicrobial activity. But the extracts by ethanol had low antimicrobial activity.
        3,000원
        235.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gar, one of the most abundant marine products has not been utilized extensively because of low level of processing technology in Korea.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improve the utilization of agar and consequent increase in profit. Antibacterial activity of agarooligosaccharides were evaluated against bacteria causing putrefaction and food poisoning. Addition of 0.4% agarooligosaccharides showed antibacterial activity toward Staphylococcus aureus and Escherichia coli O157:H7; furthermore, autoclave treatment of agarooligosaccharides solution enhanced the antibacterial activity. Agarooligosaccharides showed high stability against the pH change. Addition of amino acid(alanine, lysine, glycine, phenylalanine) in agarooligosaccharides solution enhanced antibacterial activity in E. coli O157:H7, Streptococcus mutans and Staphylococcus aureus.
        4,000원
        237.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ual-actions are the most recently used delivery system in drug study. Dual-action agents are unique chemical entities comprised of two different type of antibacterial compounds covalently linked together in a single molecule in such a way that both components are able to exert their bactericidal properties. Crosslinked sulfadiazine-sulfanilamide such as antibiotics is synthesized by synthetic handle with glutaraldehyde. As a result, New synthetic antibacterial agent exhibited the broad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gram(+) and gram(-) of 4 strains and a long durability supposing that the stomach and blood.
        4,000원
        238.
        200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품의 항균물질 분리에 있어 여러 가지 방법이 있지만 오차와 손실이 많아 실용화 하기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다. 현재 일반적인 분리법으로 유기용매분획법, 크로마토그래피 등이 있으나,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하며 시료에 따라 항균활성이 소실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는 전편의 '부추의 미생물학적 항균활성 특성과 가공식품에의 응용'에 이어 부추의 항균활성 물질을 효과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방법을 정립하고 항균활성 물질을 확인하였다. 부추의 항균활성 물질 분리를 위하여 ultrafiltration, liquid-liquid extraction, TLC, HPLC 순으로 정제하였다. Ultrafiltration 결과 항균물질은 분자량 5,000 dalton 이하의 저분자 물질이었고, TLC로 분리된 8개의 spot중 대조군에 비하여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1개의 spot을 추출하여, HPLC로 유효 peak 2개를 얻었고 각 peak성분을 GC/MS로 확인한 결과 cis-propenyl methyl disulfide, 5-methyl methylthiosulphonate, dimethyl disulfide등의 황화합물로 구성된 복합물질로 확인되었다.
        4,000원
        239.
        200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VA blend films were prepared by solution blending method for the purpose of useful antibiotic polymers. Characteristics properties of blending films such as elongation and tensile strength were determined.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were rapidly reduced as increasing the blending ratio of natural polymer. Blend films were found that phase separation was occured as more than 25wt% increasing the blend ratio of chitosan. Also, The antibiotics of blend films were examined against gram(+) and gram(-) by disk susceptibility test. As a result, kind of blending films to show the highest antibiotics was chitosan 20wt% and the selectivity of mold strain was observed.
        4,000원
        240.
        200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oe vera 껍질에서 항우식 및 항염증제재를 개발하기 위해 항우식 및 항염증 활성이 있는 물질을 분리, 정제하였고, 활성이 우수한 ethylacetate층을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및 preparative thin layer chromatography를 통해 두 가지 활성물질을 정제하였다. 정제된 두 가지 물질은 UV spectrum과 FT-IR, ^1H-NMR 및 Mass spectrum 분석을 통해 aloe-emodin과 barbaloin으로 동정하였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