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13

        301.
        2009.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evaluated the influences of the nitrogen fertilization level on timothy silage fermentation quality, nutritive value, and nutrient intake. In both the first and second crops, high level nitrogen fertilization (H) led to a lower WSC content and higher CP content than standard nitrogen fertilization (S). The silage fermentation quality was good in the presence of a Lactobacillus inoculant (SI and HI) than uninoculant (SC and HC). In the first crop silage, the TDN content and intake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1) for HI than for SI. In the second silage, the DM, DE, and TDN intake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among the 4 treatments.
        303.
        2009.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wo-year-old, full flower aohan alfalfa (Medicaga sativa cv. aohan) was chosen to evaluate the silage effect by using different additives of Qingbao Ⅱ , Caihe and Yishengkang. Result indicated that additives increased CP content (P<0.05) and decreased CF, ADF and NDF content significantly (P<0.05). Lactic acid content in additives treatm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1) than control. These result showed that additives improved silage fermentation quality, reduced cellulose contents and improved silage nutritive value. Among three treatments, Caihe and Yishengkang were priority to Qingbao Ⅱ on the effect of promoting the desired lactic acid fermentation.
        304.
        200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buckwheat sprouts on the acid production and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in to which 5 and 10%(w/v) buckwheat sprouts was added, followed by fermentation with Lactobacillus bulgaricus. In yogurt to which 5 and 10% buckwheat sprouts was added, pH was lower and titratable acidity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It was also noted significant changes in the number of viable cell counts with differing amounts of added buckwheat sprouts until 12 hours. When the yogurt samples were stored for 12 days at 4℃, the pH and titratable acidity of the yogurt to which 5 and 10% buckwheat sprouts was added were maintained at lower and higher than control levels, respectively. The highest number of viable cell counts was found in the yogurt to which 5% buckwheat sprouts was added. Rutin content was reduced via lactic acid fermentation, but quercetin content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yogurt with added buckwheat sprouts. It may be that the glycosidic bonds connected to rutin were hydrolyzed during fermentation by lactic acid bacteria. The total phenol compound content of the yogurt samples also increased after fermentation.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yogurt to which 10% buckwheat sprouts was added was shown to have a 60.95%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which was the highest among all yogurt samples evaluated.
        4,000원
        305.
        200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양파 착즙액에 팽화 홍삼 추출액의 첨가량을 달리하면서 Pediococcus pentosaceus KC-007을 이용하여 유산발효시킨 후 발효액의 특성과 생리활성을 조사하였다. 양파 착즙액에 팽화 홍삼 추출액을 각각 0.5, 1, 2, 4%(v/v) 첨가한 후 배양시간에 따른 유산균 생균수를 측정한 결과 팽화 홍삼 추출액의 첨가량에 관계없이 발효 24시간에서 가장 높은 생균수를 나타내었다. 발효액의 산도는 팽화홍삼의 첨가량에 관계없이 모든 시료구에서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발효액의 pH는 발효 36시간까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발효액의 환원당은 발효 24시간까지는 환원당 함량이 감소하다가 그 이후부터는 유의적인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발효액의 전자공여능과 아질산염 소거능은 1%(w/v) 이상의 팽화 홍삼 추출액을 양파 착즙액에 첨가하여 발효하였을 때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고 종합적 기호도는 1%(w/v)의 팽화 홍삼 추출액을 첨가하였을 때 가장 좋았으므로 양파 착즙액에 팽화 홍삼 추출액을 첨가하여 발효할 경우에는 팽화 홍삼 추출액을 1%(w/v) 첨가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4,000원
        311.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반추위 보호 choline의 급여가 in vitro 반추위 발효특성과 착유우의 유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시험구 배치는 기초사료 첨가구(T1), 기초사료 +23 g/일 보호처리를 하지 않은 choline과 부형제 첨가구(T2) 및 기초사료+ 25.56 g/일 보호 choline 첨가구(T3)의 3처리로 하였다. 보호 choline의 첨가가 in vitro 배양액의 pH에 미치는 영향은 3시간을 제외한 전 배양시간에서
        4,000원
        312.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사료용 총체 벼 사일리지 전용 미생물 첨가제 개발을 위하여 2003년부터 2005년까지 축산연구소에서 수행되었다. 새로운 총체 벼 전용 첨가제 개발을 위해 수집된 28점의 총체 벼 사일리지로부터 미생물을 선발하여 전체 5개 균주(R4-1, R7-1, R7-2, R10-1 및 R12-1)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주중 4종(R4-1, R7-1, R7-2 및 R10-1)은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동정되었고 R12-1은 L.
        4,000원
        314.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비지박 및 맥주박 알코올 발효사료 처리가 반추위내 발효특성 및 건물 분해율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공시동물은 반추위 cannula가 장착된 한우에 비지박 알코올 발효사료(AFS) 및 맥주박 알코올 발효사료(AFB)를 급여한 후 시간별(0, 2, 4, 6, 8 및 12시간) 반추위내에서 알코올 함량, pH 변화, ammonia 함량, 휘발성지방산 함량 및 건물 분해율을 조사하였다. 시험구 처리는 대조구와 비지박(DM 20%
        4,300원
        315.
        200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exarnined the effects of different concentrations of red pepper seed (0%, 1%, 3%, 5%, and 7%) on pH, total acidity, color, reducing sugar content, total microbes, lactic acid bacteria, and sensory quality, in terms of prolonging the shelf-life of kimchi. The additions of red pepper seed resulted in higher pH leveIs, while total acidity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The kimchi with red pepper seed had higher reducing sugar contents than the control. Furthermore, the kimchi with red pepper seed showed higher b-values than the control. During fermentation, the arnounts of lactic acid bacteria and total microbes were higher in the kimchi with red pepper seed than in the control, and the higher ratios resulted in higher quality kimchi. The additions of red pepper seed also resulted in changes of color, flavor, taste, and texture, having a large influence on overall product quality. In conclusion, in terms of preservation and consumption, the 3% and 5% red pepper seed concentrations offered enhanced shelf-life and better quality kimchi products.
        4,000원
        316.
        200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med to determine the feasibility of developing a healthy yogurt using tofu whey concentrates separated by nanofiltration (NF). The curd yogurt was prepared from whole milk with added skim milk powder, in which the NF powder was substituted at 0, 6.25, 12.5, or 25% for the skim milk powder. The quality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for pH, titratable acidity, viscosity, color, and viable cell coun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H or titratable acidity between the control (yogurt with added skim milk powder only) and the yogurts with added NF powder, after 24 hr of fermentation at 370C. The apparent viscosities of the yogurts with added NF powder were higher (3,197~3,574 cps) than that of the control yogurt (3,196 cps). Lightness decreased, while yellowness increased, as the amount of NF powder increased. Sensory evaluations showed that the NF powder could be substituted for the skim milk powder at 6.25% without lowering the yogurt quality.
        4,000원
        317.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토양수분 조건 및 송풍처리가 참외 발효과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토양수분이 과다한 조건(-10kPa)에서 뿌리로부터 수분흡수는 많고 저온다습의 기상조건으로 증산이 억제될 때 흡수된 수분이 삼투압이 낮은 과실부위 특히 당 농도가 높은 태좌부로 이동하여 물찬 참외가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참외 발효과는 신토좌, 엘리트 등 세력이 강한 대목에서 많이 발생하고 세력이 약한 홍토좌 대목에서는 적게 발생하고 자근묘에서는 발생하지 않았다. 과실부위 송풍처리로 신토좌, 엘리트, 홍토좌, 자근묘 등 대목의 종류와 관계없이 발효과가 발생하지 않았다. 과육 및 태좌부의 칼슘함량은 무처리구에 비하여 송풍처리구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acetaldehyde, ethanol, ethylacetate 등 발효산물의 함량도 적었다.
        4,000원
        318.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알코올 발효사료 처리에 따른 in vitro 발효 pattern의 변화를 검토하기 위하여 반추위내 ammonia, pH, alcohol 및 volatile fatty acids 농도와 NDF 분해율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비지박 알코올 발효사료(AFS)는 비지박(DM 20%)과 시판중인 배합사료(DM 87%)를 각각 50:50의 비율로 혼합하고 당밀 5%, yeast 0.5%를 첨가한 후 에서 24시간 혐기적으로 배양하여 제조
        4,300원
        319.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호밀 건초를 급여하는 조건하에 알코올 발효사료에 대한 면실, 아마 및 대두종실의 첨가가 in vitro 반추위 발효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시험구 처리는 전지종실을 첨가하지 않고 발효한 알코올 발효사료구(대조구: T1), 면실종실을 첨가하여 발효한 면실 알코올 발효사료구(T2), 아마종실을 첨가하여 발효한 알코올 발효사료구(T3) 및 대두종실을 첨가하여 발효한 알코올 발효사료구(T4)의 4처리로 하였다. 배양시간에 따른 p
        4,000원
        320.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참외 발효과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증산과 관련된 몇 가지 요인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참외의 증산율은 지온이 높고 토양수분 함량이 많을수록 높았으며, 광도가 약하여 온도가 낮을 경우 증산율과 기공 전도도가 낮아졌고, 저온 다습한 기상조건에 의한 증산의 억제는 식물체와 대기사이의 증기압기울기가 낮아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발효과 발생은 과실의 비대가 느린 착색기 이후에 토양수분이 -10 kPa로 많고, 저온 다습하여 참외와 대기 사이에 증기압기울기가 낮게 형성되어 증산이 억제될 때 발생하였다. 따라서 참외의 발효과 발생은 착색기 이후 참외의 과실 비대가 지연되는 반면 지온이 높아 뿌리로부터 지상부로 수분의 공급이 원활하고, 저온 다습한 기상조건하에 수분의 증산이 억제되어 수분이 태좌부로 유입되면 발효과가 발생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