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3

        21.
        199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ntilipidperoxidative and hepatopreventive effects of Aloe water extract (30 mg, 50 mg, 100 mg) were investigated at the levels of liver-total homogenates and the sera of SDrats intoxicated with CCl₄, (0.5 cc/100 g) and 50% ethanol. We measured MDA (Malondialdehyde) in the liver homogenate, AST (L-Aspartate-2-oxoglutarate aminotransferase) and ALT(L-Alanine-2-oxo-glutarate aminotransferase) in the serum. The analysis of the measurement indicated that Aloe water extract reduced MDA, ALT and AST significantly and their reduction was in relation to dose dependence. In rat liver homogenate intoxicated with ethanol and CCl₄, Aloe treatment group markedly inhibited lipidperoxidation by 30%-70%. In rat serum intoxicated with ethanol and CCl₄, Aloe treatment group inhibited AST, ALT by 40%-90%. In these data Aloe may be used to inhibit or prevent the hepatic toxicity which results from the environmental and alcoholic factors through the further study of its exact antihepatotoxic mechanism.
        4,000원
        22.
        199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생후 17주된 Sprague Dawley종 수컷쥐에게 식이지방량이 총섭취 열량의 40%인 고지방 식이시 n6 linoleic acid, n3 EPA와 DHA 지방산을 충분한 양의 tocopherol과 한께 6주간 투여하였을 때 이들 지방산이 plasma와 RBC, 간조직의 tocopherol, MDA함량과 간의 SOD, GSH-Px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Plasma tocopherol은 지방산의 불포화도가 높을수록 감소되었으나 plasma MDA는 식이 지방산 종류에 의한 차이가 없었다. RBC MDA는 n6 LA에 비해 n3 LL와 EPA + DHA에 의해 증가되었고 RBC hemolysis도 증가되었다 간과 RBC의 tocopherol 함량은 식이 지방산의 종류에 따른 영향이 없없으나 MDA함량은 유의성 있게 증가되었다. 간조직의 SOD와 GSH-Px활성은 식이 지방산의 불포화도가 높을수록 모두 증가되었으나 GSH-Px는 SOD에 비하여 식이지방산에 의한 영향이 덜하였다. 결론적으로, 고지방 식이를 할 경우 SOD와 GSH-Px 활성이 높아져도 RBC와 간조직의 MDA는 오히려 증가되어 지질 과산화물의 생성을 막아주지 못하였다. 최근 우리나라의 경우 동물성 식품의 계속적인 섭취 증가로 식이중 열량과 지방의 양이 계속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며 이로인한 여러 순환기계질환의 예방을 위해 n3 PUFA를 섭취할 경우 결국 더 많은 tocopherol섭취가 필요할 것으로 사려된다.
        4,000원
        23.
        199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s of this studies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ry Se levels and alcohol administration on the lipid hyperoxidation and the lipid metabolism in the rat. Seventy two male rats of Sprague-Dawley Strain weighting about 58∼62g were divided into 12groups. The dietary Se levels were 10, 0.4 and 0㎎, and the dietary α-tocopherol levels were 150 and 0㎎ per ㎏ diet, respectively. Alcohol-administrated groups received drinking water solution containing 10% of ethanol from the 3-weeks of experimental periods. The obtained experimetal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Food intake, body weight gain and food efficiency ratio were significantly lower in H-, L- and alcohol administrated groups(-A) by administrated Se and alcohol in diet. The weight of liver and spleen tended to be greater in H- and alcohol administrated groups. 2. The glutathione values in liver tend to be lower in alcohol or Vit. E administrated groups than nonadministrated groups. Also there were higher in H- and L- than C-groups, but the increasing range decreased due to administrated alcohol. The lipid peroxide values in liver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alcohol groups, and L- and tocopherol groups were higher values. Specially the increasing of lipid peroxide values were significantly effected by alcohol in low Se and Vit. E groups. 3. The contents of total glyceride in plasma were higher in alcohol groups, there were significantly higher values in alcohol administrated groups under low Se and Vit. E groups. The contents of total cholesterol and HDL-cholesterol in plasma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alcohol groups. 4. The contents of total lipid in liver were higher alcohol groups, and slightly higher values in low Se groups(L-groups) than other groups, also higher values in low Vit. E groups. Those of total glyceride in liver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alcohol groups, appeared highest values when alcohol was administrated in low Se and Vit. E groups. The increasing of total glyceride content was significantly effected by alcohol in low Se groups than that in C-groups.
        4,600원
        24.
        1989.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tudy to report this result that state of lipid peroxides while beef Bulgogi Coocking of general-seasoning, sale-seasoning, each flavour's characteries. Raw meat show high lipid peroxides amount and high increasing in heat and antioxidative effected by flavour about lipid peroxidies change existence by beef Bulgogi seasoning. Change of lipid peroxides are significant increased in meat cold storage and cold storage and cold storage heat meat after while 30 minute after seasoned and reduced 9 hour - 33 hour cold storage raw meat, that change of lipid peroxides by cooking time. every condition by adding soften were revealed lipid peroxides, reduce. Lipid peroxide change are very high while no-sugar in raw meat and not a stone look in 9-hour raw-meat after seasone about antioxidative effect by each flavour characteristic TBA showed very high not take parched seasone seeds item about 30-minute cold storage beat raw-meat and high lipid peroxides revealed increase in not take wine item, not take a pear item, in 9 hour cold storage heat-meal and it showed little amount not-sugar item, no opepper item. According to high lipid peroxides change reduced high after seasoned cold storage stage in Korea traditional Bulgogi Cooking and thought high that action of antioxidative lipid peroxides wine and a pear in flavour.
        4,500원
        27.
        1986.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teridium sp.의 농축추출액(濃縮抽出液)을 흰쥐에게 7주간(週間) 주입(注入)하여 혈청지질(血淸脂質)과 지질과산물(脂質過酸物) 및 간조직지질과산물(肝組織脂質過酸化物)의 변화(變化)를 분석(分析)하여 다음의 결과(結果)를 득(得)했다. 7주(週)의 혈청중성지방양(血淸中性脂肪量)은 비교군(比較群)이나, 제(第)3주(週)의 1, 2 군(群)의 그것보다 크게 많이 증가(增加)했다. 혈청체난지방(血淸遞難脂肪) 및 혈청주산화물(血淸週酸化物)(T-BA 치(値))양(量)은 각군별(各群別) 및 3주(週), 7주(週) 연령간(年令間)에 별(別) 변화차(變化差)가 없었다. 간조치(肝組熾)의 지질주산화물(脂質週酸化物)(TBA) 7주연령(週年令)이 3주(週)에 비(比)하여 크게 증가(增加)하였다. 단(但), 1, 2 군간(群間)의 차(差)는 크지 않았다. 여기서 이 추출물(抽出物) 또는 그 식품(食品)의 섭취(攝取)가 주량(週量)으로 장기간(長期間) 계속되지 않는 한(限) 생체(生體)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는 것으로 사료(思料)됨
        4,000원
        29.
        201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ioactivity of extracts from the seeds of Gardenia jasminoides Ellis fructus (GJE) found in Namhae, Korea. Extraction was performed using three solvents, 70% methanol, Distilled Water (DW), and Ethyl Acetate (EA). We determined the total phenol and phytic acid contents of the extracts to evaluate their nitrogen oxide scavenging activity, antioxidant activity, reducing power, and lipid peroxidation inhibition ability. The phytic acid content of GJE was found to be 1.157 mg PAE (Phytic Acid Equivalent) /g DW. The yields of the three extraction processes were as follows: DW, 36.61%; 70% methanol, 30.10%; and EA, 20.40%.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the extract solvent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s (0.2, 0.4, and 0.6 mg/mL) (p<0.05), but were lower than those of ascorbic acid, BHA, and trolox. Total phenol content was the highest in the 70% methanol extract, followed by DW and EA extracts. Further, nitrogen oxide scavenging activity and antioxidant activity were the highest for the 70% methanol extract followed by DW and EA extracts. Based on these results, the bioactivities of the 70% methanol and DW extracts of GJ seeds were excellent. These extracts can be used as natural antioxidants
        30.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방사선에 의해서 유도된 간 손상에 대한 백삼과 발효인삼추출물의 보호효과를 비교 연구하였다. ICR계 생쥐에게 코발트-60 감마선의 5Gy조사 7일 전부터 백삼과 발효인삼추출물(150㎎/㎏/day)을 각각 투여하였 다. 대조군은 생리적 식염수를 투여하고 방사선조사군은 생리적 식염수를 투여하면서 5Gy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실험군에서 간조직의 H2O2, catalase, MDA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방사선조사군과 보다 백 삼과 발효인삼추출물 투여군에서 catalase함량이 유의성 있게 증가하여 간의 보호효과가 있었으며 H2O2와 MDA함량도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백삼과 발효인삼이 간 조직에 대한 방사선조사로 부터 매우 우수한 방호제라고 할 수가 있다.
        31.
        201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산마늘추출물이 과산화지질을 급여한 비만쥐의 지질강하, 항산화효과 및 염증매개물질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했다. 그 결과 혈장 FFA, TG, total cholesterol 및 LDL-cholesterol 농도는 산마늘추출물 처리군 들에서 감소했으며, 혈장HDL-cholesterol 농도는 산마늘추출물 처리군 들에서 증가했다. 간장 내 total cholesterol 농도 및 TG 농도는 산마늘추출물 처리군 들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혈장 및 간장의 TBARS 농도는 산마늘추출물 처리군 모두가 대조군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다. 간장 GSH-Px, SOD 및 CAT활성치모두가 산마늘추출물 처리군 들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혈장 NO, Ceruloplasmin 및 α1-acid glycoprotein 농도는 산마늘추출물 투여군 들이 대조군보다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산마늘추출물에 지질강하, 항산화 및 항염증작용에 효과를 나타내는 기능성물질이 내재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32.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구마의 이용성을 증대하고, 고구마 끝순의 채소적 가치를 구명키 위해 페놀화합물의 함량, 지질산화 억제 효과, 전자공여능, 아질산염소거능, ACE저해활성 등 생리활성을 조사한 결과를 하면 다음과 같다. 1. 고구마에 함유된 phenolics는 gallic, chlorogenic, gentisic, caffeic, couramic, ferulic acid 등 6종이었고, 이중 간독성 회복 및 항산화 효능이 큰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chlorogenic acid, gentisic acid, caffeic acid가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부위별로는 괴근에 비하여 잎과 끝순의 함량이 높았고, 고구마 끝순이 콩나물이나 들깨잎, 시금치 보다 16~122 배 높은 함량이었다. 용매분획별로는 총 함량 175.8 mg/g 중에서 EtOAc층에 55%, BuOH층에 39%가 함유되었다. 2. Rancimat를 이용하여 산패 유도기간을 조사한 결과, 고구마 끝순의 항산화력은 옥배유, 팜유 및 돈지에서 합성항산화제인 토코페롤이나 BHT보다 높았고, 용매분획별로는 EtOAc>BHT>BuOH>Tocopherol>Water>CHCl3 >Hexane층 순으로 높았다. 3. 과산화물가에의한 항산화 활성은, 각 추출물별로는 끝순, 괴근, 토코페롤이 들깨잎, 콩나물, 시금치보다 낮은 과산화물가를 나타냈고, 이중 끝순은 토코페롤보다 더 높은 항산화성을 나타냈다. 고구마 끝순의 용매분획별 항산화활성은 대두유와 옥배유 및 팜유에서 BuOH와 water층의 항산화활성이 높았다. 4. 전자공여능에의한 항산화 활성은, 고구마 끝순의 항산화 활성은 78.2%로 괴근 42.3%에 비하여 매우 높았고, 들깨잎, 시금치, 콩나물은 28.9~18.0% 로 낮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고구마 끝순에 다량 함유된 페놀화합물과 관련된것으로 사료된다. 용매분획별로는 EtOAc>BuOH>Tocopherol>Water>CHCl3 >Hexane층 순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5. 아질산염소거능은 끝순, 들깨잎, 콩나물이 우수하였고 그중 들깨잎이 저해율 72%로 가장 높았으며, 용매분획 중에는 BuOH과 water추출물의 활성이 가장 높았다. 6. ACE 저해 효과는 고구마 부위별로는 끝순이 괴근에 비하여 1.5배 높았고, 들깨잎, 콩나물, 시금치보다 1.9~3.7 배 높았다. 용매분획별로는 EtOAc, BuOH, water 추출물이 높은 활성을 보였다. 7. 이상을 종합하여 볼 때 고구마 끝순에는 페놀화합물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높은 항산화 활성을 가지며, 아질산염소거능 및 ACE저해활성과 같은 생리적 효과도 높아 금후 기능성 채소로 이용하기에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33.
        200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과산화지질을 급여한 흰쥐에서 갈근 추출물이 체지질구성, 간장기능 및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했다. 혈장 총콜레스테롤량 및 혈장 중성지질량은 과산화지질첨가군 모두가 정상군 보다 증가하였으나 갈근추출물 첨가에 의해 하락하여, 대조군보다 낮은 수치를 보였다. 혈장 HDL-cholesterol량은 갈근추출물 첨가군이 대조군 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P>0.05). 간장의 총콜레스테롤량은 전 처리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중성지질량은 정상군보다 과산화 지질처리군 모두가 높은 수치를 보였다. 그러나 과산화지질 처리군 간에서는 갈근 처리군들이 대조군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다. 혈장 및 간장 내 TBARS량은 과산화지질 처리군 모두가 정상군보다 높은 값을 보였다. 그러나 과산화지질첨가군들 간에서는 갈근 처리군들이 대조군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다. 혈장 GOT 및 GPT의 활성치는 과산화지질첨가군들이 정상군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으나 갈근처리에 의해 하락했다. 간장 GSH-Px, SOD 및 CAT활성치는 과산화지질 첨가군 모두가 정상군보다 낮은 값을 보였으나 과산화처리군 간에서는 갈근처리군이 대조군보다 높은 값을 보였다.
        36.
        200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미나리즙이 과산화지질과 알코올을 급여한 흰쥐의 지질구성, 간장기능과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했다. 혈장 총콜레스테롤량은 과산화지질과 알코올을 급여한 처리군 모두가 정상군보다 증가하였다. 그러나 미나리즙 처리군들은 대조군보다 낮았다. 혈장HDL-cholesterol량은 미나리즙 처리군들이 대조군에 비하여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정상군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혈장 Triglyceride량은 과산화지질과 알코올을 급여한 처리군 모두가 정상군 보다 증가하였으나, 미나리즙을 처리한 군이 대조군 보다 낮은 값을 보여, 하락하는 경향을 보였다. 간장의 총콜레스테롤량 및 Triglceride량은 대조군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정상군과 미나리즙 처리군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혈장 및 간장의 TBARS량은 정상군과 미나리즙 처리군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대조군 보다 낮은 수치를 보였다. 혈장 GOT 및 GPT의 활성치는 과산화지질과 알코올의 급여에 의해 증가하였으나, 미나리즙 처리에 의해 하락했다(P〈0.05). 간장 GSH-Px, SOD 및 CAT활성치는 미나리즙 처리에 의해 증가하였다.
        37.
        200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금앵자 추출물이 과산화지 질을 급여한 횐 쥐의 혈장 및 간장지질구성과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했다 혈장 총 콜레스테롤 량은 과산화지질 첨가군 모두가 정상군보다 증가하였으나, 금앵자 추출물 첨가에 의해 하락하였다. 혈장HDL-cholesterol량은 금앵자 첨가군이 대조군 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혈장 중성지질량은 정상군과 금앵자 첨가군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대조군 보다 낮은 수치를 보였다. 간장의 총 콜레스테롤 량은 전 처리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중성지질 량은 정상군과 금앵자 첨가군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대조군 보다 낮은 수치를 보였다 혈장내 TBARS량은 정상군과 금앵자군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대조군 보다 낮은 수치를 보였다. 간장내 TBARS량은 과산화지질 첨가에 의해 증가하였으나, 금앵자 첨가에 의해 하락했다. 혈장 GOT 및 GPT의 활성치는 관산화지질 첨가군에서 증가하였으나, 금앵자처리에 의해 하락했다(P〈0.05). 간장 GSH-Px, SOD 및 CAT활성치는 금앵자처리에 의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38.
        2004.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일당귀의 n-hexane분획이 횐쥐에서 에탄올투여로 생성된oxygen free radical대사와 지질과산화작용에 미치는 영향을검토하기 위하여 실험동물을 정상군, 일당귀 n-hexane 분획70 mg/kg투여군, 알코올투여군(35 ethanol 10 mL/kg, b.w./day), 알코올(35 ethanol 10 mL/kg, b.w./day) 및 일당귀 n-hexane 분획 70 mg/kg 병합투여군과 알코올(35 ethanol 10mL/kg,
        39.
        2004.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매실 에탄올추출물이 알코올투여로 유발된 횐쥐의 간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동물을 정상군, 매실 에탄올추출물 200 mg/kg 투여군, 알코올투여군(35% ethanol 10 mL/kg, b.w./day), 알코올 및 매실 에탄올추출물 200 mg/kg 병합투여군과 알코올 및 매실 에탄올추출물 400 mg/kg 병합투여군의 5군으로 나누어 6주간 사육하였고, 체중증가율 및 식이효율, 혈청중 ALT와 AST활성, 간손상 억제 효과를
        40.
        200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eavy metals like Mercury and Cadmium cause various kinds of toxicities in the organs of Liver and Kidney. To observe the results of toxicity in the liver, kidney, and serum when the rats were injected subcutaneously with HgCl2 and CdCl2 and sacrificed after 24 hours and 72 hours from the last injection, we measured variation of lipidperoxide values in rat liver homogenate, variation of aspartate aminotransferase and alanine aminotransferase in rat serum. Variation of lipidperoxide values in rat kidney homogenate and variation of BUN in rat serum. It was found that Mercury and Cadmium administered subcutaneously to the skin in the air could cause the damages of liver and kidney.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