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2

        25.
        2014.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arly growth and root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Atractylodes japonica container seedling. Experiment was performed by light intensity (100%, 60%, 25% and 10% of fullsunlight). Height was surveyed well under 25% of full sunlight (overall 11.013.0%). Root collar diameter was the highest inthe full sunlight (7.52㎜). It was the highest fresh weight (1.52g, 0.92g, 0.90g and 3.34g) under 25% of full sunlight, rootdry weight was getting higher in the higher light level and the highest in the full sunlight (0.13g). Total root length, rootproject area, root surface area and root volume were the highest under 25% of full sunlight (434.7㎝, 17.4㎠, 54.7㎠,0.55㎤, respectively) and the lowest under 10% of full sunlight. As a result of surveying the whole experiment, A. japonica isjudged nicely by maintaining 25% of full sunlight, excepting 10% of full sunlight. And light levels during the early growthare overly important to improve early growth.
        26.
        201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examine the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Atractylodes japonica seeds, and it was to develop the more efficient pre-treatment and production system of the seeds. Experiment was performed by two ways-temperature control (10, 15, 20, 25℃) and shading treatment (full sunlight, 35, 50, 75, 95% of full sunlight). Seed pre-treatment before the each experiment was carried out by temperature (with low temperature and wetting treatment (LTW) for 0, 15, 30, 45 and 60 days) and shading treatment (with drying at room temperature (DRT), drying at low temperature (DLT) and water soaking (WS) for 48 hours). Seeds of A. japonica were germinated well under temperature control (overall 85.3~100%), especially high temperature. And, the seeds pre-treated with LTW for 45 days germinated with a 100% success rate. Under the surveying shading treatment, the highest germination rate was 95.8% with DRT and overall 63.2~95.8%. Germination rate under seeds with WS was 63.2~7.8%. As a result of surveying the whole experiment, A. japonica seeds don't need to pre-treat cause of high germination, but if it is performed with LTW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t would be more productive.
        30.
        200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region containing 18S rRNA gene, ITS 1 and part of the 5.8S rRNA gene of the Atractylodes japonica Koidz was amplified by PCR and the product cloned in a pBluescript SK II plasmid. DNA sequence of the cloned DNA was determined and submitted to the GenBank (accession number EU678363).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ITS 1 DNA showed close similarity with the other plant species of the family Compositae. The extract of the plant materials of five different members of the family Compositae was analyzed by HPLC to detect atractylon. Extract of the A. japonica Koidz showed presence of significant amount of atractylon. However, noticeable amount of atractylon was not detected by the same analyses from the extracts of the other plants belonging to the family Compositae including Artemisia capillaris, Chrysantemum zawadskii, Eclipta prostrata or Taraxacum platycarpum.
        31.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차광 및 화뢰제거를 통한 Source와 Sink의 인위적 조절이 삽주의 생장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삽주재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차광율과 화뢰 제거시기를 달리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정식기부터 계속된 차광처리는 생육초기에는 형태보다는 각 부위별 생체중에 주로 영향을 미쳤던 반면, 생육후기인 수확기에서는 차광율이 증가할수록 개체당 경수, 엽수, 근수, 잠아수 및 각부위별 생체중을 감소시켰다. 그러나 일정기간 생장이 이루어진 7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35%의 차광처리는 재배기간 내내 차광처리를 하지 않는 무차광과 개체당 생장 및 형태적 형질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단위면적당 수량은 오히려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2. 화뢰제거 처리는 처리시기가 빠를수록 개체당 근수와 지상부, 근경 및 뿌리의 생체중을 증가시켰을 뿐만 아니라 단위면적당 수량도 증가시키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32.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재배 생력용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멀칭 방법이 삽주의 생육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여 최적 멀칭방법을 확립하고자 무멀칭, 볏짚, 투명비닐, 흑색비닐, 이들 비닐과 왕겨를 혼용한 멀칭이 삽주의 어린싹, 초기 및 후기 생장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삽주의 어린싹 무게는 투명 비닐을 이용한 멀칭에서 가장 많았던 반면, 어린싹과 관련된 형질중에서는 엽수, 어린싹의 길이는 볏짚을 이용한 멀칭에서 가장 작았다. 2. 생장초기에는 볏짚을 이용한 멀칭시 엽수, 근수, 경수, 엽폭, 지상부 및 근경의 생체중이 가장 적었던 반면, 왕겨와 흑색비닐 혼합멀칭시 뿌리 관련 형질인 근수, 근경중 및 근중이 가장 많았다. 3. 생장후기에는 지온이 낮았던 생장초기의 멀칭효과가 고온기를 경과하면서 그 효과가 사라져 생장 및 형태적 형질에서는 멀칭처리간 차이가 거의 없었다. 4. 단위면적당 수량과 상품 수량은 볏짚 단독멀칭과 왕겨와 흑색비닐의 혼합멀칭 에서 가장 높았다.
        33.
        2002.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내 분포하는 다년생 초본인 삽주 집단의 유전적 다양도와 집단구조를 조사하기 위해 전분 전기영동으로 분석하였다. 15 대립유전자좌위당 9개 좌위에서 다형현상(60.0%)을 보였으며, 유전적 다양도는 종수준에서 0.144로 높은 반면 집단수준이 이보다 약간 낮았다. 삽주의 유전적 다양도는 대부분 집단내에 존재하였고 유사한 생활양식을 가진 다른 식물종에 비해 높았다. 그 이유로는 유성생식, 다년생, 다산 등에 기인한다. 집단간 분화는 약 13%였고 지리적 거리와 유전적 거리의 상관은 높았다(r=0.65).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격리된 집단은 유효집단크기를 가지지 못하여 이형접합체의 결여가 유의성을 보여 다양도가 높은 집단의 보존이 요망된다.
        34.
        200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북, 경남, 강원, 경기지역에서 수집한 16개의 수집종 삽주의 정량적 특성을 비교하고, 다변량 분석법에 의하여 수집종 삽주의 유연관계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함양1 수집종이 초장 86.2cm, 주당잎수 117.6개, 화경수 34.3개로 가장 좋았고, 수도1 수집종이 경수가 12개로 가장 많았다. 또한, 엽연거치는 평균 1.6mm로 모두 존재하였다. 삽주속 식물의 잎의 형태는 단엽과 장상복엽(3출엽)이 주로 존재하였고, 엽형은 타원형이 가장 많았다. 주요 18개의 형질을 대상으로 다변량 분석법에 의한 16개 수집종 삽주는 3개의 계통군으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제 1군에 속하는 진안1, 진안2 수집종과 제 3군에 속하는 정수, 거제 수집종이 유연관계가 가장 먼 것으로 나타났다.
        35.
        200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삽주(Atractylodes japonica Koidz. ex Kitam.)와 큰꽃삽주(A. macrocephala Koida.)의 근경 과 측근, 줄기, 잎과 엽병, 자방, 잎의 표피 세포의 형태와 크기에 관한 해부학적형질을 조사하여 이들의 분류학적 가치를 평가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줄기와 자방의 횡단면 구조는 매우 유사하여 두 종이 구분되지 않았으나, 근경에 분포하는 유관의 크기와 단위면적 당 분포수, 잎과 엽병의 횡단면 형태, 잎 표피 세포의 크기와 기공의 단위 면적당 분포수에서 차이가 있어 두 종을 구별하는 형질로서 가치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36.
        2001.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생삽주의 기능성을 분석한 결과, 추출 수율은 ethanol 추출물에 14.8%와 water 분획물에 17.7%를 나타내었다. Acetone 추출물과 butanol 분획물의 수소공여 능은 각각 72.9%와 74.2%로 높게 나타났으며, methanol 추출물과 butanol 분획물의 아질산염 소거 효과는 각각 95.0%와 79.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생삽주의 용매별 추출물 중 methanol 추출물이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는데, Bacil
        37.
        2001.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산 삽주로 식품의 가공·저장 및 영양학적 및 기호적 가치를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인 화학성분을 분석한 결과 일반성분 중 총당은 생삽주에서 31.3%, 건삽주에서 46.8% 함유되어 있었다. 무기성분은 생삽주의 경우 K이 4,038.9 ppm, P 1,698.5 ppm, Ca 731.8 ppm, Mg 477.1 ppm, Na 87.2 ppm, Fe 56.4 ppm, Zn 22.4 ppm 및 Mn 13.5 ppm 이었고, 건삽주의 경우 K이 8,7
        38.
        200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삽주의 재배와 효과적인 보존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자생지의 환경 및 생육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생지 토양특성은 유기물 함량이 높고 인산과 마그네슘 함량이 적었으며 약산성의 사양토이었다. 2. 수집지역별 생육은 남부지역 자생종이 중부지역 자생종에 비하여 초장, 엽수, 엽장, 엽폭 등의 지상부 생육이 좋았으나 수량성은 경기, 강원지역이 오히려 높았다. 3. 광투과율이 20% 이상에서 분포하고 있었으며 분포 빈도수가 60~80%에 가장 높았으며, 광투과율이 높을수록 생근중은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4. 삽주의 분포 빈도는 표고 200~400m에서 가장 높았다. 5. 임상에 따른 생육은 침엽수림에서 빈도수가 높았으나 생근중은 활엽수림과 관목림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6. 생육특성간의 상관은 초장과 염수 엽장 엽폭간에는 정의 상관이 있었으나 지상부생육과 생근경중 간에는 상관을 나타나지 않았다.
        39.
        200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삽주의 근경은 한방에서 중요한 생약재인 백출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백출수급은 자연산 채취 또는 수입품에 주로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시급히 재배가 이루어져야만 한다. 본 시험은 삽주재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정식전 GA3를 농도와 침지기간을 달리하여 처리한 후 삽주의 생장, 형태 및 수량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GA3 처리는 무처리에 비하여 줄기수, 잠아수, 생체중을 증가시켰다. 2. GA3 처리시 50 ppm에서는 줄기수, 100 ppm에서는 잠아수 및 근경생체중, 250 ppm에서는 지상부 생체중이 가장 많았다. 3. GA3 처리기간에 따라서는 1일 처리시에는 엽수, 뿌리수, 초장, 지상부와 뿌리의 생체중이, 2일 처리시에는 줄기수, 잠아수, 근경생체중이 가장 높았다. 4. GA3 처리에 따른 단위면적당 수량은 100 ppm으로 1일 처리할 경우 가장 높게 나타났다.
        40.
        200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경북 북부지역에서 큰삽주의 1년생 종근의 3요소 적정 시용량을 구명하고자 1997∼1998년간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3요소 시용량에 따른 지상부의 생육은 N과 K는 수준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P는 증가하였다. 2. N-P-K=8-9-3kg/10a 시용시 지상부 건물중이 가장 많았고, 지하부는 N-P-K=8-6-3 kg/10a 시용시 10a당 수량이 가장 높았다. 3. 3요소 적정 시용량을 추정한 결과 N은 6, P는 4, K는 6kg/10a로 판단되었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