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2

        22.
        200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냉장식품의 주요한 변패원인균으로서 저온세균인 Pseudomonas areuginosa를 최소 전처리한 후 신속히 검출할 수 있는 비표지 면역센서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수정결정전극상으로의 생물요소인 항체의 고정화는 이형이기능성 가교화제인 sulfosuccinimidyl 6-[3-(2-pyridyldithio)propronamide]hexanoate를 사용하여 항체를 티올화시킨 후 티올화된 항체를 화학흡착하여 향하였고, P.areuginosa flagella에 대한 단클론항체를 사용하였을 때 다클론항체를 사용한 경우보다 센서감응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항체가 고정화된 센서 chip과 flow형 quartz crystal microbalance 계측시스템을 이용하여 균 첨가 및 증균을 향한 10종의 모델시료에 대한 계측을 향하였다. 이 때, 시료자체에 의한 진동수변화가 52~89 Hz 범위인 반면 균 첨가 시에 나타난 진동수변화는 108~220 Hz이었고 증균시료에 의한 진동수변화는 162~222 Hz 범위로 나타났다. 시스템 안정화, 시료주입 및 정상상태의 센서반응 획득, 시스템 세척으로 이루어지는 한 주기의 센서계측에 소요된 시간으 모든 시료에 있어 30분 이내였다.
        4,000원
        23.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content of heavy metals in canned foods and soft drinks available on the Korean markets. Trace metals (Pb, Cr, Cd, and Sn) were detected in 24 kinds, 120 samples by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in canned foods was in the order of Sn (6.930 ppm)$gt;Cr (0.050 ppm)$gt;Pb (0.030 ppm)$gt;Cd (0.008 ppm), which was the same order in soft drinks as Sn (3.519 ppm)$gt;Cr (0.080 ppm)$gt;Pb (0.024 ppm)$gt;Cd (0.001 ppm). The total contents of heavy metals in canned fruits and fiuit juices were relatively higher than those in cans and drinks made of vegetable and fish. It can be supposed that the high acidity owing to the organic acid of fruit itself promotes to extract metals from can materials, and although fish usually contains more heavy metals than vegetables, canned fish revealed low level because internal organs and most of skin which had more heavy metals than meat were removed throughout canning process. Because processed foods such as canned foods and soft drinks are very popular with the children and adolescence according to the change of life style and eating habit, and the possibility of exposure to heavy metals by the habitual intake of these is increasing simultaneously, it is suggested that more practical study about the process of exposure and the amount in each step is needed for the assessment of safety.
        4,000원
        24.
        200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유통식품에서 verotoxin(VT)을 생성하는 대장균의 오염도를 조사하고 이로 인한 식중독의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하여 1997년부터 1999년 사이 햄버거. 식육 및 채소류에서 VT생성 대장균의 분포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결과 분리된 대장균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식육, 햄버거 및 채소류 총 1,700건의 식품 중에서 VT를 생성하는 대장균이 검출된 것은 3건으로 매우 낮은 검출율을 보였는데, 분리주의 혈청형은 각각 026 : H4, 0157 : H7 및 055 : Hl2였다. 혈청형 026 : H4 분리주는 VT I과 VT II를 생성하였고,055 : Hl2주는 VT I을 각각 생성하였으며, 두 분리주에서 eae유전자와 60 MDa plasmid DNA는 검출되지 않았다. 혈청형 0157 : H7주는 VT II를 생성하였고 60 MDa plasmid DNA는 검출되었으나 eae유전자는 확인되지 않았다. 따라서 분리된 VT생성 대장균들은 eae 유전자가 검출되지 않아 질병유발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항생제 내성능에서 혈청형 0157 : H7 분리주는 ampicillin과 streptomycin에 내성을 나타낸 반면, 혈청형 026 : H4주와 혈청형 055 : Hl2주는 ampicillin, carbenicillin, cephalothin, trimethoprim/sulfamethoxazole과 tetracycline에 내성을 보여 분리주의 다재내성능을 확인하였다 세포배양액으로 실시한 vero cell과 HeLa cell에 대한 세포독성능은 3주의 분리주에서 확인되었다.
        4,000원
        25.
        199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change in distribution structure affect a consumption structure which may result in considerable changes in lifestyle including food purcha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ange of distribution structure on the indigenous fermented food purchase. The informations of this study were obtained from 407 housewives residing in Seoul and the capital area by using questionnaire during May to June, 1997 Their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ased on frequency, mean, and 2-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percentages of subjects buying ready made fermented food were 69.8% for Jotkals(salt-fermented fish products), 22.3% for Kochujang(fermented red pepper soybean paste), 21.6% for Janachis(pickled basic side dishes), 21% for Kanjang(Korean style soybean sauce), 17.1% for Toenjang(Korean style soybean paste), and 3% for Kimchi(seasoned and fermented vegetables). 2) With decreasing age, preparation ability of Kanjang, Janachis, and Kimchi. The subjects living close to the new distribution channel were higher in ready made fermented food than the others. 3) Compared to the subject living far from the new distribution channel, the subject living close to the new distribution channel was high in frequency of new distribution channel utilization for indigenous fermented food purchase but low in frequency of conventional market utilization. The younger in age, higher in educational level, and nuclear family, the higher the utilization of new distribution channel for indigenous fermented food purchase.
        5,100원
        26.
        199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ried vegetable mix, fried fish mix and fried chicken which prepared as convenient style at traditional market in Chonju were collected and evaluated their chemical composition, lipid and microbial changes during storage at different temperature for confirming those fried.food stability. The POV and AV of oil in samples and total bacterial count during storage at 5, 15, 20 and 30℃ were monitered. The POV, AV of oil, and total viable count were greatly changed depending on storage temperature during storage. Those factors can be effectively used for shelf-life determination. Following POV, AV and total bacterial count tested of each sample, shelf-life can be suggested as within 1 day at 30℃, 2-3 days at 15-20℃ and over 5 days at 5℃.
        4,000원
        28.
        2016.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식용 귀뚜라미를 고압증기멸균한 뒤 동결건조하였으며, 이를 분쇄하여 AL/PET/LLDPE film에 포장 후 25, 35 및 40℃에서 6개월 동안 저장하며 한 달 간격으로 품질변화를 측정하였다. 수분함량은 저장기간 중 모든 구에서 증가하 였으나, 저장 6개월 차에 저장온도별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산가의 초기값은 1.83 mg KOH/g 이였으며, 저장 6개월 차에 25, 35 및 40℃ 저장구는 1.93, 2.04 및 2.15 mg KOH/g 으로 증가하였다. 지방산은 palmitic acid, oleic acid 및 linoleic acid가 24.79, 28.58 및 28.55 g/100 g으로 높은 함량 을 나타내었으며, palmitic acid 및 linoleic acid는 저장온도 별 증·감소의 경향이 뚜렷하지 않았으나, oleic acid는 저장 기간 중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일반세균 및 대장균 군은 저장기간 동안 검출되지 않았다. 관능검사의 경우 25 및 35℃ 저장구는 유의적 차이가 없으나, 40℃ 저장구는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저장기간 중 품질에 영 향을 미치는 인자는 수분함량, 산가, oleic acid 및 flavor로 판단되었으며, 이들의 한계 기준을 각각 5%, 3 mg KOH/g, 26.5 g/100 g 및 6으로 설정하여 유통온도 25℃를 기준으로 VSLSF 프로그램으로 유통기한을 산출하였다. 수분함량, 산가, oleic acid 및 flavor의 유통기한을 산출한 결과 23, 61, 150 및 155개월이었으며, 유통기한이 가장 짧은 항목에 안전계수 0.8을 적용하여 18개월로 설정하였다. 이상의 결 과는 제조 후 25℃ 유통조건에서 18개월까지는 귀뚜라미 분말의 품질 안정성이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30.
        2010.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대구 경북지역 초등학교에 공급되는 전처리 채소와 가공식품의 유통단계를 분석하고, 유통과정에서의 미생물 변화와 학교급식에 이용되는 식재료의 미생물 품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유통 중 박피도라지에서 일반세균 CFU/g, 대장균군 CFU/g, E. coli < , S. aureus < CFU/g, B. cereus < CFU/g이 검출되었다. 전처리 양파에서는 일반세균 CFU/g, 대장균군 CFU/g이 검출되
        31.
        201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work is described as an fresh effort to study environmental sustainable management in organic products retailing markets. Sustainable management means creating value for business, nature and society. The main point of this thesis is about the concept, the content and the target of environmental sustainable management, and the technical method and basis to achieve it. Also this thesis shows the strategy of sustainable management as well as the realiza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by carrying out organic agricultural production. The main content of sustainable management is that: - Rationalize the utilization of resource and energy. - Maximize economic benefit. - Minimize harm to humans and the environment. Examines business strategies that have successfully targeted markets, such as advertising, labeling, gaining consumer trust, partnerships, and diversifying operations. These included management skills, and marketing organic and other sustainably grown products to determine strategies for developing new markets for these products. Suggests that consumers are becoming mo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ly sound methods for growing food, the health benefits of wholesome food, and are willing to pay more for these products.
        32.
        1998.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포장식품의 유통기한 표시기법에 대한 대구ㆍ경북지역 소비자 222명의 심리를 설문조사 방법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소비자들은 포장식품의 유통기한 표시가 매우 중요한 정보라고 생각하고 있었으나 불분명한 유통기한 표시에 매우 혼란스러워 하고 있었다. 유통기한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식품의 부패성향이 클수록 높았다. 유통기한이 지난 제품에 대해 대부분의 소비자들이 식용을 꺼리고 있었으며 역시 부패성향이 클수록 높았다. 소비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표시기법은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