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4

        21.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우리나라 주요 재배종인 Muscari armeniacum ‘Early Giant’ 품종을 사용하여 엽절편체로 부터 직접적으로 신초재생과 체세포배 발생에 미치는 생장조절제의 효과를 구명하였다. 무스카리의 엽조직으 로부터 캘러스 과정을 거치지 않은 직접 신초형성은 2,4-D 0.1 mg·L−1가 함유된 배지에서 가장 좋았다. 반면, 체세포배 발생은 생장조절제를 첨가하지 않는 대조구와 IPA 0.1~1.0 mg·L−1가 함유된 농도의 배지에서 비교적 양호하였다. 무스카리의 엽조직으로부터 재생된 자구를 기외로 이식했을 때 맹아율은 모든 처리구에서 80%이상 으로 높았으며 특히 NAA 0.1mg·L−1, IPA 1.0~3.0mg·L−1 배지에서 재생된 자구의 생장이 양호하였다.
        4,000원
        22.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ccurrences of Rhopalosipnum rufiabdominalis damage in the leaves of Japanese apricots were observed in Hadong, Gyeongnam Province, a major producing area. R. rufiabdominalis occurred from early May to mid October, with the peak occurrence of damaged leaves in mid May. To find proper timing of chemical control against R. rufiabdominalis, acetamiprid WP was sprayed weekly from 3 April, before budbreak, to 8 May in 2007. The best time for control R. rufiabdominalis was on 17 April 2007, at which the leaves were still tender and developing up to 3 to 5 leaves.
        3,000원
        23.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바위떡풀의 기내 배양시 MS배지의 농도별로 12주간 배양한 결과 1/2 MS 배지에서 신초길이 1.9 cm, 엽수 24.7매, 뿌리수 8.0개, 신초수 절편당 11.0개로 1 MS나 2 MS 배지에 비해 효과적이었다. 1/2 MS배지를 기본으 로 하여 생장조절제를 첨가하여 8주간 배양한 결과 CPPU 농도처리시 신초길이와 뿌리수는 무처리구에서 많았으나 신초수에 있어서는 농도가 높아질수록 많아져 2.00 mg·L−1농도 처리구에서 8.2개로 가장 많아 증식에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TDZ, zeatin과 BA처리는 무처리에 비해 처리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 로 바위떡풀을 조직배양 방법을 이용하여 대량증식 시키 고자 할 때에는 생장점을 초대배양(MS배지)한 후 신초를 CPPU 2.00mg·L−1을 첨가한 1/2 MS배지에 치상하여 다 신초를 발생시킨 후 다시 신초를 하나씩 분리하여 1/2 MS 배지에 계대하여 배양한 후 순화하면 다량의 식물을 획득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3,000원
        28.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호접란 조직배양시 발생하는 체세포변이의 발생을 줄 이기 위한 적절한 다신초 유기배양 조건과 계대배양 조 건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다신초 유기 및 증식의 적 정 배지로서는 1/2 MS 배지가 VW 배지와 Hyponex 배 지보다 더 효율적이었다. 다신초 유기에 적절한 생장조 절제 농도는 BA 5mg · L-1와 TDZ 1mg · L-1가 적절하였 다. 계대 배양의 횟수가 증가할수록 기형 신초수의 발생 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2개월마다 3회 계대배양할 때까 지는 기형 신초가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특히 핑크계 호 접란 품종에서 6회 이상 계대할 경우 기형 신초 발생율 이 30%에 육박하였고 배지내 페놀 물질의 집적이 더 많 이 관찰되었다. 식물체를 배지에 치상한 후 2개월이 지 나 처음으로 계대 배양하였을 때 모든 품종에서 기형 신 초 발생이 거의 없었지만, 이후 계대배양 기간이 증가함 에 따라 기형 신초 발생율과 고사율이 증가하였다. 그러 므로 적어도 2개월에 한 번씩 계대 배양하는 것이 바람 직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29.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용담의 영양번식시 조직배양을 통한 대량번식 방법 을 찾고자 연구를 수행한 결과 잎을 치상하면 신초 발생이 적거나 느렸고 줄기마디를 치상할 경우에 신초 발생이 많았으며 명·암 조건에서는 암 조건에서 신초 발생이 많았다. CPPU 농도에서는 무처리 MS배지의 0.7개 보다는 CPPU 2.0mg·L-1농도에서 2~3.5개의 신 초를 발생시켜 더 효과적이었다. 결과적으로 많은 신초 를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줄기마디를 NAA 1.0mg·L-1 와 CPPU 2.0mg·L-1를 넣은 MS배지에 치상하여 암 조건에 8일간 두었다가 명조건에서 배양하는 것이 가 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3,000원
        30.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32.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 is a perennial herb that belongs to Campanulaceae. Radix Adenophorae is a dried rhizome of A. triphylla and same genus plant. It has contains chemicals such as cycloartenyl acetate, lupenone, β-sitosterol, taraxerone, octacosanoic acid, and praeruptorin A. Radix Adenophorae considered to be effective regulating humoral and cellular immunity, antimutation, restraining adenocarcinoma cell, strengthening cardiac function, allaying a fever, and easing pain and cough. In this study, we tried to establish a mass production system of A. triphylla which has high economic value as a medicinal herb by plant tissue culture in order to cultivate standard varieties. Methods and Results : In this study, A. triphylla internode was used as a explant and it was surface sterilized by 1% sodium hypochlorite for 5 minutes, consequently several times washed with ddH2O. Further it was placed in to MS medium including with axillary bud. The 1/2MS, B5, SH was used in this research. And the plant growth regulator of 0.1 - 2 ㎎/ℓ auxins (NAA, IBA) and cytokines (BA) were used respectively to achieve multiple shoots. The whole study was carried out in the department of Herbal crop research, Eumseong, RDA. Conclusion : In this study we obtained, 6.2 multi-shoots per an explant, and the shoot growth was also favorable in the presence of 1.0 ㎎/ℓ BA and 1.0 ㎎/ℓ IBA.
        33.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Glycyrrhiza uralensis Fischer is one of most important medicinal (Glycyrrhizae radix) herbs in traditional oriental medication and they are also important commercial products used worldwide in sweetening and flavoring. They contain the similar compounds, such as the triterpenoid saponins and flavonoid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more efficient and sustainable methods for the production of G. uralensis Fischer and its medicinal constituents. This study was accomplish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edium composition on in vitro propagation and plantlet regeneration from nodal explants of G. uralensis Fischer, and to establish a reliable protocol for micropropagation. Methods and Results : Young and actively growing stem segments were excised from adult plants of new cultivar ‘manju’. They were cut into a 1cm nodal segments with single node after sterilization, and cultivated in the different medium supplemented with various plant growth regulators for two weeks. For shoot multiplication, one-node stem segments, approximately 1 ㎝ in length, were taken from in vitro derived shoots and subcultured. After four weeks of culture, the efficacy of each medium on shoot proliferation and growth was determined, and these shoots were transferred onto medium with different auxin hormones for rooting. Conclusion : After seven to ten days of culture, shoots began to emerge from axillary buds. They showed a vigorous growth and elongation in multiplication medium. During culture period, in vitro cultured plantlets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responses to the respective medium with different plant growth regulators. Our experiments confirmed that in vitro growth and multiplication of palntlets could depend on its reaction to the different medium composition, and this micropropagation techniques could be a useful system for healthy and vigorous plant production.
        34.
        201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hoot twist on fruitfulness and fruit quality of ‘Campbell Early’ grapevine. Proper pruning and training are essential to produce a good yield of high-quality fruit and to maintain the balance between vegetative growth and fruiting. The most common problem in spur-pruned ‘Campbell Early’ cultivar is that vigorous buds has low fruitfulness and thereby the shoot become more vigorous the following spring because of lower crop load. Therefore, shoot twists in very vigorous ‘Campbell Early’ canes (above 10.0 ㎜) were performed on the third nodes and the 7 th nodes of each shoot at 7 days before bloom and full bloom, respectively. Sprouting date, blooming dat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reatments while, harvesting date was delayed approximately 3 days. However, number of berries per cluster, cluster weight and fruitfulnes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hoot twist treatment on the third nodes than the control that was topping alone. Combination treatments of shoot twist and topping had an additive effect on increasing cluster weight resulting in higher increase of yield by 12.1 ㎏ per vine.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hoot twist on very vigorous canes of ‘Campbell Early’ grapevine for well fruitfulness seemed to be very effective.
        36.
        201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the influence of vigor of a bearing shoot in ‘Bluecrop’ Highbush Blueberry (Vaccinium corymbosum L.) on growth characteristics of shoots and fruits. Bearing shoots were classified with BS (bearing shoot) and BMB (bearing mother branch). The vigor of bearing shoots were divided into four arbitrary categories; A was thin (< 6.0 ㎜) BMB and short (< 10 ㎝) BS, B was thin BMB and long (≥ 10 ㎝) BS, C was thick (≥ 6 ㎜) BMB and short BS and D was thick BMB and long BS. Shoots from D were longer (6.5 ㎝) and thicker (1.70 ㎜) than those from the others. Shoots of D had more leaves (5.8 ea) than those of the others. Leaf area of D was larger (13.5 ㎠) than those of the others. The first harvest of D was one week faster than the others. Ratio of big berry (> 14 ㎜) from the long BSs was higher (B : 41.7, D : 46.8%) than that from the short BSs. Soluble solid content of small berrys did not show any different according to vigor of bearing shoots, but soluble solid content of big berrys of the long BSs was higher (B : 16.2, D : 15.6 o Bx) than those of the short BSs. The thickness of BMB did not affect ratio of fruit size and soluble soild content. The long BSs would be proper than the short BSs for bearing bigger fruits.
        37.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들깨는 꿀풀과 1년생 식물로 우리나라 주요 유지작물 중 하나이다. 들깨의 국내 재배면적은 2013년 30.1천 ha에서 2014년 37.5천 ha로 약 20% 이상 늘어나고, 2014년 들기름 일본 수출이 늘어나면서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그 이유로 들기름의 지방산 조성 중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알파-리놀렌산이 심장질환 예방, 학습능력 향상, 알레르기 치료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들깨는 주로 조미용이나 착유용으로 많이 이용되므로, 종피가 부드럽고 기름함량이 많은 품종을 선호하고 있다. 2014년에 개발된 ‘소담’은 2004년에 K015926을 모본으로 하고 IT274257(밀양27호)를 부본으로 하여 육성된 품종으로 계통육종법에 따라 육성하였으며, 수량 및 종실특성이 우수하여 2012년 ‘밀양61호’로 계통명을 부여하였다. ‘소담’은 특히 분지수가 11개로 적으며 분지각도가 좁은 신초형이다. 종피는 회백색이며, 부드럽고 기름함량이 46.4%로 높다. ‘소담’은 성숙기 10월 2일로 기존 품종보다 4일 빠르며, 6월 중하순경 파종하였을 경우, 경장이 116 cm이고, 화방군수가 83개로 많았다. 종실의 수량성은 3년간 지역적응시험 결과 표준품종인 새엽실들깨보다 95% 수준이며, ㏊당 수량은 0.97MT이다.
        38.
        201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나리 주요 품종의 종간교잡에서 생기는 삭과의 배 유 퇴화방지와 미숙배 형성 시 발생하는 이상증상을 경감하기 위해 나리 종간교잡계통의 자방배양 했을 때 cytokinin 첨가가 신초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FO계통은 BA 2.0 ㎎/L에서 신초 발생율이 18%로 가장 효과적이었고, BA 3.0 ㎎/L와 5.0 ㎎/L에서는 12%로 다소 저조한 결과였다. TDZ 첨가 의 경우는 대조구와 같거나 비슷한 경향이었다. FA계통은 TDZ 첨가 시 대체적으로 신초형성율이 높았고 0.3 ㎎/L 처리가 효과 적이었다. 반면 BA를 첨가한 배지에서는 14.3%에서 15.7%로 대 조구와 큰 차이가 없었다. FLA계통에서 신초발생율은 생장조 절제에 의해 증가되었으나 대조구 20%와 비교했을 때 BA 20~ 24%, TDZ 22~24%로 처리효과는 미미하였다.
        39.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생물반응장치를 이용하여 조직 배양된 라울리아 신초에 대하여 화장품 성분으로써 응용가치를 평가하였다. 조직 배양한 라울리아 신초에 대한 항산화 및 항염 활성 효과를 연구하였다. 라울리아는 뉴질랜드나 호주에서 자생하는 국화과의 야생초본식물이다. 이미 몇몇 보고 된 논문에서 라울리아는 기관지염, 수막염 그리고 호흡기 질병 등을 유발하는 바이러스에 대한 증식 억제 활성이 있다고 보고되었다. 실험 결과 조직배양된 라울리아 신초 추출물은 자연 상태의 라울리아 추출물과 비교하여 항산화 활성 및 항염 활성 효과가 우수하였다. 조직 배양된 라울리아 신초 추출물은 자연에서 자란 라울리아 추출물보다 50μL/mL 농도에서 10~25% 항산화 활성을 증가시켰다. 또한 조직 배양된 라울리아 신초 추출물은 LPS로 유도된 대식세포에서 iNOS와 COX-2의 단백질 발현이 자연에서 자란 라울리아 추출물보다 억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들로, 조직배양 한 라울리아 신초 추출물은 피부 보호를 위한 천연 화장품 성분으로써 우수한 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