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5

        21.
        200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풋마름병과 역병에 복합저항성인 계통을 육성하기 위한 노력으로서 앞서 역병 저항성으로 육성한 계통(16-2-3-2 = 역병 저항성 '칼미초', 19-1-3-7-1-1, 19-2-4-5-3-2 = 역병 저항성 '수비초', 김 등, 1996)과 풋마름병 저항성 계통(KC350 = MC 4, KC353 = PBC631)을 교배하여 육성한 와 , 와 세대에 대해 1999년과 2000년에 각각 풋마름병과 역병에 대한 복합저항성을 검정하였다. 풋마름병과 역병에 복합 저항성을 보인 개체를 선발하여 다음 세대의 종자를 채종하였다.
        4,000원
        22.
        200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hytophthora capsici에 의한 고추 역병은 세계적으로 피해가 심할 뿐만 아니라 방제도 매우 어려운 병으로서 효과적인 병 방제를 위해 새로운 시도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취지에서 감마선의 hormesis효과를 이용하고자 시도되었다. 저선량 감마선 조사가 고추의 역병 저항성을 유도하는지 여부를 밝히기 위해 광복과 다복 두 품종을 공시하였다. 저선량 감마선은 두 품종 모두 조사선량에 관계없이 발아율을 크게 제고시켰다. 병 저항성
        4,000원
        23.
        199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감미종(甘未種)고추에 역병저항성(疫病抵抗性)을 도입하기 위하여, 품질이 우수하면서 국내 적응성이 뛰어난 피만계 품종 Keystone Resistant Giant #3과 역병에 저항성이며 과실이 피만계와 가까운 PI201232를 교배하여 그 후대(後代)의 유전적인 분리 양상을 조사하였다. 에서는 저항성이 우성(優性)으로 나타났으나 집단의 경우 고사(枯死)한 개체가 살아남은 개체보다 월등히 많아 저항성이 한 개 혹은 두 개의 우성유전자(優性遺傳子)에 의해 지배된다는 기존의 보고와는 다른 양상으로 나타났다. 뿌리에 대한 조사 결과를 볼 대 지상부가 건전한 개체간에도 뿌리 썩음 정도에 변이(變異)가 나타나기 때문에 저항성 품종을 육성하는 과정에서 지상부와 뿌리의 상태를 함께 관찰한 후 선발(選拔)하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전반적으로 발병(發病)이 심한 것은 품질친(品質親)이 역병에 매우 약하여 분리(分離) 집단(集團)에서 높은 이병성(罹病性)의 유전적(遺傳的)인 배경을 형성한 것과 동시에 접종(接種) 후의 기상 및 환경조건이 역병 발생에 최적조건을 만든 영향으로 사료된다. 개체가 모두 고사(枯死)하였으므로 에서 저항성 개체를 선발한 후 여교잡(戾交雜)과 자식(自殖)을 반복하는 순환적 여교잡(戾交雜)을 실시하는 것이 저항성의 수준을 유지하면서 품질친의 실용 형질을 회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24.
        199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역병에 저항성인 PI201232와 더뎅이병 저항성인 PI271322와 PI163192를 교배하여 각 병해에 대한 저항성과 두가지 병해 저항성간의 유전적 관계를 검토하였다. 더뎅이병균 race 3에 대한 PI271322의 비과민반응형 저항성은 양적으로 유전하였다. PI201232의 역병에 대한 저항성은 2개의 우성유전자에 가까운 양식으로 유전하였다. PI271322의 더뎅이병균 race 1에 대한 과민반응형 저항성은 한개의 우성유전자 양식으로 유전하였다. PI163192는 더뎅이병균 race에 비특이적으로 저항성이었으며 우성효과가 큰 양적유전 양식으로 유전하였다. 더뎅이병균에 대한 저항성은 역병에 대한 저항성과는 독립적으로 유전하였다.
        4,000원
        25.
        198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81년 전북고창, 전남영광, 경북달성, 경남진양 지역에서 참깨병해의 발생과 피해를 조사한 결과 참깨역병의 피해가 가장 심하였다. 참깨역병의 발생은 포장에 따라 차이가 컸으며 발병이 심한 포장에서는 발병주율이 나 되었다. 참깨역병을 일으키는 병원균 Phytophthora spp.는 유주자낭의 형태적특성과 참깨에 대한 특이적인 병원성에 의하여 Phytophthora nocitianae var. parasitica (Dastur) Waterhouse로 동정되었다. 참깨역병의 병징은 줄기가 암갈색으로 변색, 부패되어 식물체가 도태고사하는 특징을 보였다.
        4,000원
        26.
        198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추 역병균의 균사생장 및 유주자낭 형성에 미치는 광선 및 pH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PC7971외 2균주를 공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역병균의 생육적온은 내외이었고, 2. 생육적정 pH는 6.0부근이었다. 3. 유주자낭 형성에는 광이 필요했으며 에서는 2,000Lux의 광도가 유주자낭 형성에 가장 효과적이었고, 4. 광처리후 56시간까지 급속한 형성을 보였다. 5. Oat meal배지와 V-8 Juice 배지가 Bean meal배지보다 현저히 많은 유주자낭을 형성하였다.
        4,000원
        27.
        197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우리나라 씨감자 주요 생산지인 대관령지방에 분포되어 있는 역병군의 생리형을 조사 판별하기 위해 71-73년에 걸쳐 수행되었던 바. 1. 1971년에는 68계통을 분리 접증 했는데 Race 0, Race 1, Race 2, Race 3, Race 1.3, Race 1.4, Race 3.4, Race 1.3.4, Race 2.3.4, Race 1.2.3.4등 10가지 생리형이 간별 되었으며 그중 Race 0와 Race 3가 제일 널리 분포 되었었고 2. 1972년에는 62계통을 분리 하였던 바 Race 0, Race 1, Race 4, Race 1.3, Race 1.3.4등 5가지 생리형이 나타났으며 그중 전해에 이어 Race 0가 널리 분포되어 있었다. 3. 1973년에는 76계통비서 Race 0, Race 3, Race4, Race 1.3, Race 3.4 Race 1.3.4 등 9가지 생리형이 나타났던 바 Race 0와 Race 4가 가장 널리 분포 되어있는 생리형으로 나타났다. 4. 이로써 우리나라에는 Race 0, Race 1, Race 2, Race 3, Race 4, Race 1.3, Race 1.4, Race 3.4, Race 1.3.4, Race 2.3. 4,Race 1.2.3.4 등 11가지 Race가 존재함이 밝혀졌으며 Race 0, Race 3과 Race 4가 가장 널리 분포 되어있는 생리형으로 나타났다. 5. 이와 같이 생리형은 매년 기후조건의 차이에 따라 발생정도가 다름을 알 수 있다.
        4,000원
        29.
        2015.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en empirical disinfection models for the plasma process were used to find an optimum model. The variation of model parameters in each model according to the operating conditions (first voltage, second voltage, air flow rate, pH, incubation water concentration)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explain the disinfection model. In this experiment, the DBD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plasma reactor was used to inactivate Phytophthora capsici which cause wilt in tomato plantation. Optimum disinfection models were chosen among ten models by the application of statistical SSE (sum of squared error), RMSE (root mean sum of squared error), r2 values on the experimental data using the GInaFiT software in Microsoft Excel. The optimum models were shown as Log-linear+Tail model, Double Weibull model and Biphasic model. Three models were applied to the experimental data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the operating conditions. In Log-linear+Tail model, Log10(No), Log10(Nres) and kmax values were examined. In Double Weibull model, Log10(No), Log10(Nres), α, δ1, δ2, p values were calculated and examined. In Biphasic model, Log10(No), f, kmax1 and kmax2 values were used. The appropriate model parameters for the calculation of optimum operating conditions were kmax, α, kmax1 at each model, respectively.
        30.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lasma reactor was used for the inactivation of Phytophthora capsici which is phytophthora blight pathogen in aquiculture. Effects of first voltage, second voltage, air flow rate, pH, incubation water concentration were examined. At the low 1st voltage, under 80 V, the lag phase was noticed within 30 sec, however, it was not shown over 100 V. The variation of optimum operation condition was not shown by the variation of microorganisms. However, the inactivation rate was different by the variation of species of microorganisms. The inactivation rate and efficiency were increased by the increase of 2nd voltage. The highest initial inactivation rate was shown at pH 3 and the rate was decreased by the increase of pH. The inactivation rate increased by the increase of air flow rate, however, it was shown as similar at the rate of 4 L/min and 5 L/min. The inactivation rate was distinctly decreased at the three times concentration of incubation solution comparing at the distilled water and basic incubation solution.
        31.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강흑깨’는 2003년에 국립작물과학원에서 육성한 품종으로 다수성 계통인 S8826을 모본으로 하고 내병성 강한 S190033’의 F1에 복합내재해성인 ‘SB764’를 교잡하여 육성한 품종으로 표준품종에 비하여 역병 및 도복 저항성이 강하고 수량성이 높으면서 총 아미노산 및 리그난 함량이 많은 다수성 고품질 품종이다. 경장은 119 cm이고, 주당 삭수는 70개이다. 1,000립중은 2.63 g이고 기름함량은 표준품종보다 약 1.7%가 높은 47.1%이다. 총 아미노산 함량은 14.2 g/100 g 으로 표준품종보다 약 5%가 높으며 리그난 함량도 3.2 mg/g으로 표준품종 보다 약 15% 정도 높은 고품질 품종이다. ‘강흑깨’의 평균수량은 지역적응시험결과 95 kg/10a이었다. 
        37.
        200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work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resistance of potato germplasm against late blight in Korea. Seven races ofPhytophthora infestans were detected from the main potato growing areas. Three races of pathogen were isolated from mono-crop-ping areas a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