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6

        22.
        200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식 소비자들의 외식행동과 한식에 대한 선호도를 연령별로 살펴봄으로써 연령에 따른 소비행동의 차이와 한식에의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대한 요약은 다음과 같다. 1) 연령대별 외식행동의 동기는 아침식사의 경우 전 연령층에서 시간이 없다, 식사준비가 번거롭다, 식사 때이어서 순으로 이었으며, 점심의 외식행동의 동기는 식사 때이어서라는 경우가 가장 높았으며, 40대와 50대에서는 사교적인 목적도 외식의 중요한 동기로 작용하고 있었다. 저녁의 외식행동의 동기는 연령별차이를 가장 많이 나타내었는데 30세 이하와 30대에서는 모임이나 데이트를 위한 사교적인 목적의 응답이 가장 높은 반면, 40대 이상에서는 가족과의 외식을 가장 중요한 동기라고 응답한 비율이 50%이상을 차지하여서 연령이 높을수록 가족을 중심으로 한 외식소비행태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가족간의 외식행동은 주 5일제 근무의 확산과 여가시간의 확대로 인한 가족중심의 공동 소비행태의 행동양식이 반영되어진 결과라고 보여 진다. 2) 각 연령대별 끼니의 유형에 따른 외식의 빈도는 전 연령층에서 주 1-2회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나, 30대의 외식 빈도가 가장 높아 사회활동과 사교생활이 활발한 연령대의 특징을 잘 반영하였고, 50세 이상에서 가장 낮게 나타나 연령이 높을수록 외식 빈도는 줄어드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점심과 저녁 외식은 증가하고 있고 반면 아침외식의 빈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특히 30세 이하의 연령층에서는 50%이상이 주1회 이상 아침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3) 외식비 지출은 30대 이하와 30대 연령층에서는 아침과 점심식사보다 저녁식사에 더 높은 비용을 지출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는 한편, 아침과 점심 식사는 타 연령층에 비하여 지출비용의 분포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40대 이상의 연령층은 점심비용으로 더 많은 지출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끼니별 한식에 대한 선호도는 아침식사의 경우가 가장 높았으며, 이는 40대와 50대에서 높게 나타났다. 점심 식사로 가장 선호되는 음식은 중식, 일식이었으며 저녁 식사에서 가장 선호되는 메뉴는 전 연령층에서 일식, 분식류 이었으며, 한식에 대한 선택 정도는 전 연령층에서 매우 낮게 나타났다. 5) 각 연령층에서 선호하는 한식에 대한 조사에서는 된장찌개가 전 연령층에서 가장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고, 김치는 40대 이상의 선호도가 30대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흥미롭게도 30세 이하의 선호도는 30대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 외에도 떡과 죽에 대한 선호도는 전 연령층에서 낮게 조사되었다. 장아찌류의 선호도는 전 연령대에서 낮았으며 특히 30세 이하에서 매우 낮게 조사되었다. 한식의 맛에 대한 만족도 조사에서는 연령이 올라갈수록 한식의 맛에 대한 만족도는 낮아지고 있었으나, 한식의 맛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양과 가격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전반적으로 한식에 대한 선호도는 식사 때와 식사 목적에 따라 연령대 별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으나, 선호도는 성별이나 세대에 관계없이 폭 넓은 선호도를 반영하고 있으며, 이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 등에서도 나타난바 같다. 주 5일 근무제의 확산과 초 중 고생들의 토요일 휴무와 더불어 여행과 엔터테인먼트산업은 더욱 더 발전을 거듭하고 있으며, 외식은 여행과 여가 활동의 필수적인 요소로써 그 역할을 일조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여가시간의 증가는 독신자들에게는 좀더 많은 여유시간을 가족을 이루고 있는 가족구성원들에게는 가족과의 유대를 강화하는 휴식과 오락의 소비 트렌드를 창출시켰다. 이와 더불어 외식은 식사를 해결하기 위한 단순한 수단에서 벗어나 동기와 동반자에 따라 달라지는 행동 패턴을 나타내고 있으며, 연령과 목적에 따라 세분화되는 분명한 선호도를 나타낸다. 지난 10여 년간 외국으로부터 수입된 다양한 음식과 레스토랑 업태 등은 우리나라의 외식문화 발전과 소비자들의 외식 선택 행동 등에 많은 영향을 끼쳤으며, 서구식의 패스트푸드점이나 패밀리 레스토랑 등이 외식의 주요 업태로서 비쳐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한식은 여전히 세대의 구별 없이 가장 선호되고 있는 음식이며, 소비자들의 높아진 외식문화 인식도와 더불어 형식적인 발전과 내용적인 발전을 꾀하고 있다. 그러므로 연령과 라이프 스타일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는 다양한 소비자들의 외식 소비 행동을 분석하여 이해하고, 그들의 선호도에 알맞은 메뉴구성과 마케팅 전략을 구사함은 복합문화 공간으로의 변화를 꾀하고 있는 미래 한국 외식산업의 중요한 전제 조건이 될 것으로 기대 한다.
        4,000원
        24.
        200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ral cavity offers a good environment for the bacterial growth. 까le species diversity of oral bacteria has been studied for many years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liable bacteria. In order to acquire more comprehensive insight into the baα.erial community of human oral cavity, we used molecular ecological methods to clone 16S rDNAs from human saliva. DNA was direαly extracted from saliva collection of human according to age. By 27F, 1492R primer for 16s rDNA’s amplification were enforced. Cloning was achieved from the amplified DNA using pGEM-T Easy Veαor and competent cellJM 109. 159 different base sequences were obtained from saliva samples of four different persons, chosen according to the age group. In all samples, Streptococcus sp. were the most abundant rnicrobes, followed by Prevotella sp., except in the saliva of an old person where Rothia sp. presented the second dominant group 까lis saliva sample showed another and more irnportant characteristics that there were increased species diversity, from pathogenic bacteria like Haemophilus sp. and lautropia sp. to the higher pr'φ。rtion of unculturable bacteria. The same tendency, but less clearly, was found for the saliva of adult smoker in the fort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oral caviψ of smoker and older person makes favourable condition for the infectious bacteria.
        4,200원
        29.
        200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bjective: Play may be important determinants of children’s occupa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find play history of 5∼7 years old using Takata’s Play History. Method: The number of subjects were 63 kindergarten children whose ages were 5∼7 yeras ol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 questionnaires in from June 27 to July 3, 2002. The study using survey questionnaires was based on Takata’s Play History. The previous play was analysed from the 4 different categories of play characteristics. The χꊔ test was performed to analyze play of each age group. Results: The playing characteristics (toy, playing form, playing time., etc) have been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age groups. Overall, Different play trends have been found among different age group by applying Takata’s Play History. Conclusion: The play trend of child can be forecasted by appling Takata’s Play History to the subjects. It is expected that development of screening play ability for normal child and abnormal child. Therefore Takata’s Play History will help occupational therapists to evaluate children’s play ability.
        4,600원
        31.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향에 대한 연령별 감성구조를 밝히고, 향 감성에 따른 자율신경계 반응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실험 참여자는 연령별(10대, 20대, 40대)로 24명씩 총 72명이고, 자극향은 cederwood, grapefruit, teebaum, peppermint, rose향을 사용하였다. 향이 제시되는 동안 혈류량, 피부온도, 피부전기 반응, 심전도 반응을 측정하였고, 향에 대한 주관적 감성을 측정하였다. 향에 의한 심리적 감성구조는 심미성, 강도, 자연성, 개성성, 낭만성의 다섯 요인이 확인되었고, 연령별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향 선호도를 예측하는 감성요인은 연령별에 따라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감성적으로 “나쁜” 향은 “좋은” 향보다 교감신경계 활동에 의한 자율신경계 반응이 더 크게 일어났다.
        4,000원
        32.
        2001.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know the conscious of eating habit of housewif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50 housewives who were the age group of 20-60's in Sang-Ju. The survey was taken place from May to June in 2000.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ating habit's consciousness according to housewife's age group: 1. As the age goes up, the housewife had less consideration herself when they purchased food and decided cooking method. 2. As the age goes down, the order in having meal was depended on conditions. But as the age goes up, they considered the order as important thing like followings; eating together, eating separately according to the sex, male first, senior first, housewives lastly. 3. The survey showed that there was distinction depending on sex in meal as age goes up. And The subject was conscious that the delicious and valuable meal served to male, senior and child before. 4. Regardless of senior, the consciousness for the skipping meal was high as the age goes down. 5. As the age goes up, female and seniors showed that leftover was not so good. 6. The consciousness that housewives were responsible for preparing the meal was high as the age goes up, but they had further difficulty in preparing meal as the age goes down. 7. In considering that male and senior should be participated in the kitchen work, they had high consciousness as the age goes down. 8. About role of cooking, the consciousness was hish in case of male as the age goes down, in case of female and housewife were high as the age goes up. 9. As the age goes up, The consciousness was high that Female must buy the food. 10. As the age goes up, they had high consciousness in considering that the meaning of meal was related to survival, that noodle and bread were not meal. And the consciousness about that eating out was not good for health was high as the age goes up.
        4,000원
        33.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6세에서 79세사이의 안과적 수술을 받지 않은 남자 32 명, 여자 31 명, 총 63 명 126 안을 대상으로 Keratometer를 사용해서 각막전변의 곡율반정을 측정하고, Refract() meter로 조절마비제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굴절이상을 측정하였다. A-mode Utrasonography로 안축의 길이, 전방의 깊이, 수정체의 두께, 유리체의 깊이 등을 측 정하여 비교한 결과 젊은충(1 6-40 세, 76 안)은 각막곡률반경, 전방의 깊이, 유리제의 깊이, 안축의 길이 등이 노년층 (41-79 세, 50 안)에 비해 크게 나타났으며, 노년층은 수정체의 두께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전방의 깊이, 유리 체의 깊이, 안축의 길이는 감소하는 반면, 수정체의 두께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p<O.O u. 한편 굴절이상과 안광학적 요소와의 상판성을 비교한 결과 AL/CR비가 (-0.90)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안축의 길이( -0.78) , 유리체의 깊이( -0.77), 전방의 깊 이( -0.36), 각막곡률반경(0.29) 순으로 나타났으며, 수정체의 두께는 상관성이 없었다.
        4,200원
        34.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r the accident prevention, it is necessary to identify common factors and characteristics contributing to the industrial accidents. This study concerned with the accident characteristics by age of injured person in the manufacturing industries. To make the statistical comparisons for the accident characteristics by age group, we derived the distributions of occupational injuries in terms of accident time, accident type, activity at time of accident, injury type, injured part of body, agency of accident, and workday losses. The results show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occupational injuries by age group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a31 characteristics investigated in this study.
        4,000원
        37.
        201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오늘날 유아들은 성장함에 따라 신체적인 발달과 함께 인지력, 지적능력, 사고력 등 많은 능력이 발달하고 있다. 이 시기에 유아들의 상상력과 사고력을 자극할 수 있는 새로운 경험이 그들이 사용하는 놀이기구나 완구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부모는 유아들에게 지적능력이 높은 완구의 제공과 함께 성별, 연령별 그에 적합한 인지발달에 도움을 주는 완구를 선택해 주어야 한다. 또한, 이를 근거로 지적능력 사고력이 높은 완구개발에 기초로 활용하고자 한다. 7가지 유형별 완구를 대상으로 유아들에게 30분의 놀이를 진행한 후 그를 관찰하고 측정한다. 실험 준비물로는 ① 7가지 유형별 완구 ② 관찰기록지 ③ 자료입력 노트북 ④ 자료정리 엑셀프로그램 ⑤ 통계분석 SPSS 12.0 사용하여 분석한다. 실험 결과로는 첫째, 7가지 유 형별 완구가 성별에 따라 몰입도 차이 정도를 분석한다. 둘째, 7가지 유형별 완구가 연령별에 따라 몰입도 차이 정도를 분 석한다. 셋째, 몰입도의 차이 정도를 분석하고 원인을 규명해 본다. 이 연구를 통하여, 7가지 유형별 완구의 사고력에 의한 지적능력이 뛰어난 완구의 유형은 어떠한 것들이며, 성별, 연령별 차이에 따라 어떠한 차이와 변화가 있는지를 분석하여, 차후, 완구 선택에 있어서 사고능력 개발과 건강한 자아실현을 추구할 수 있는 완구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38.
        2018.04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누리과정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인식을 살펴보아 누리과정의 효율적인 적용과 유치원교사의 누리과정 운영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공·사립 유치원에 근무하고 있는 현직 교사 1469명을 대상으로 2017년 2월 10일부터 15일까지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SPSS 21.0v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들은 누리과정에 대해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교사들은 누리과정의 도입으로 인해 교사의 교수학습 편성·운영 및 교육활동 계획이 긍정적으로 개선되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누리과정 연수가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교사들은 누리과정을 통해 교사의 교육과정 구성 능력과 교수-학습 능력이 긍정적으로 향상되었으며, 유아교육기관의 재정 운영이 안정되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형식적인 수준의 연수에는 아쉬움을 나타냈으며, 교사의 근무여건 개선 및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연계는 아직 미흡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에 교사의 근무 여건 개선에 대한 방안 및 교사연수에 대한 보완이 요구되며 유아교육과 초등교육과의 연계방안에 대한 꾸준한 노력이 필요하다.
        39.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게임 산업이 크게 발전하고 있는데 온라인 게임과 모바일 게임이 크나큰 비중을 차지하 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게임 콘텐츠 제작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서 초등학생, 중학생, 대학생을 무작위로 선발하여 콘텐츠 제작 능력을 나타내었다. 콘텐츠 제작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초등학 생과 중학생은 단 기간의 교육을 실시하였고, 콘텐츠의 완성도가 조금 낮은 레벨의 결과물을 제작하였다. 대학생들은 이들 보다 몇 배의 교육 기간이 많았고, 콘텐츠의 완성도기 이들보다 더 높은 콘텐츠를 제작하였다. 평가 방법은 동일 인원과 동일 항목 평가 기준으로 하였다. 평가 점수는 100점을 기준으로 초등학생은 80.5, 중학생은 88.3, 대학생은 78.3 점을 나타내었다. 따라 서 중학생 시절부터 게임 잠재력을 개발하기 위해 체계적인 전문 교육을 실시한다면 게임 콘텐 츠 제작 전문 인력을 조기에 양성 할 수 있고, 국가 경쟁력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고 사료한다.
        40.
        2011.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삼을 지하부는 물론 지상부 경엽 부위를 채소용 또는 식품첨가물로 이용하기 위해 낮은 연령 인삼의 지상부 및 지하부의 메탄올 추출물을 이용한 생리활성물질 함량, 항산화성 및 세포독성을 분석하였다. 연령별 인삼의 초장, 근장, 근직경, 지상부 및 지하부 생체중을 기준으로 생육의 차이가 뚜렷하였다. Folin-Denis 방법에 따라 인삼의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총페놀함량을 측정한 결과, 지상부(22.0 - 76.3 mg kg1)가 지하부(19.0 - 28.3 mg kg1)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다. 특히, 지상부는 연령이 낮을수록 지하부는 연령이 높을수록 높은 함량을 보였다. 한편, 연령별 인삼의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역시 지상부(23.3 - 138.6 mg kg1)가 지하부(0 - 10.8 mg kg1) 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 특히 지상부는 연령이 낮을수록 높은 함량을 보였고 지하부는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인삼연령별 항산화성을 분석한 결과 인삼의 지상부는 낮은 연령에서, 지하부는 높은 연령에서 높은 DPPH 라디컬 소거능을 보였다. 특히, 지상부의 경우 3년생이 추출물 2,500 mg kg1에서 82.8%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고 그 다음이 l년생 75.3%, 2년생 68.6% 순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으나 나머지 4, 5, 6년생은 40% 이하의 낮은 활성을 보였다. 한편, 지하부(14.8-39.4%)는 지상부 보다 낮은 활성을 보였고, 5년생, 6년생, 4년생, 3년생, 2년생, 1년생 순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인삼연령별 세포독성은 연령과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폐암세포주(Calu-6)에 대한 5년근의 세포생장 억제율은 52.8%로 가장 높았고, 대장암 세포주(HCT-116)에 대한 억제율은 3년생에서 79.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령별 생체중은 생리활성물질 함량 및 항산화성에 관련이 있으며, 특히 항산화성을 나타내는 DPPH 라디컬 소거능(r2=0.7366-0.7870 )과 아질산염 제거능(r2=0.5604-0.8794 )은 총페놀함량과 각각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