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8

        21.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Rehmannia glutinosa L. that is a perennial plant belonging to the family Scrophulariaceae is one of the most popular local income crops. Recently, the cultivation area of Chungnam (2017) accounts for 50.5% (106 ha) of the whole country. In July and August, which is the off-season at the highest price of R, glutinosa L.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develop early harvest cultivation technology for the improve farm income. Methods and Results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growth characteristic and yield of R, glutinosa L. by using the rhizome of 'Tokang' were transplanted four times at intervals of 10 days from mid-March to mid-April 2017 and 2018. Growth characteristics of the above and under ground part were investigated by 3 repetitions for 10 ea harvested in mid-July.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lanting time and fresh root weight. The highest emergence rate was 88.7% in the mid-March, and the highest above ground part growth was observed in the plant height, leaf number, leaf length, leaf width, and fresh leaves weight. The number of days to flowering tended to be shortened to 60, 53, 52, and 49 days from the mid-March to the mid-April. The growth of underground part was also highest in mid-March and the total root weight per 10 a was also 1,127.4 ㎏ in mid-March. The faster the planting time, the higher the yield. The results of the linear regression on the roots weight according to the planting time showed that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relation between the planting time, the marketable roots weight, rhizome weight and total roots weight. Conclusion : The total roots weight improved by 80% in the mid-March than mid-April. Therefore, mid-March is considered optimal planting time for off-season production of R. glutinosa L.
        22.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eucrium veronicoides Maximowicz is a perennial plant affiliated to labiate. Ther e were many oil components such as methylchavicol, anethole, anisaldehyde, p-methoxycinnamal dehyde, 3-ocatanone and p-cymene. It has been used for indigestion, stomachache, vomit, diarrhe a in the chinese medicine field. Besides it used as medicine, it used increasingly as food additiv es, tea and air fresheners etc. This experiment was focused on plugs and planting date. That's why the plug plants are very useful for transplanting. It saves time and labor for farmer with well-management system. During the raised seeding time, they could has gotten plant health and maximum potential state. The planting date which would have something related to the growth of plug. Methods and Results : Plug plants raised in the greenhouse during 30 days. The interval of planting date was 10 days and five time planted in planting density of 60*30cm sized area with three repeat treatments. The first treatment was middle April. The last planting date was late May. Before planting period, the length of plant and the length of leaf were the highest at the middle April, respectively. The stem diameter was highest at late March. The number of leaf was the most in the late March and early April than other planting date. In the planting period, the length of plant was highest at early April. The stem diameter was also highest at that time. There were no differences on the length and the width of leaf. The number of leaf per plant was the most at the early May. The branches per plant and number of node per plant were the highest in middle April. In the respect of yield, early May had the highest dried yield than that of other treatments. It was 492.2kg/10a. The index of which was 122. The lowest was 317.2kg/10a in late May. Conclusion : About the characteristics on the growth and the yield of Teucrium veronicoides Maximowicz plug in accordance with the planting date, the yield of early May was the highest than that of other in this study. Therefore planting date of early May would have high possibility of optimum planting date.
        23.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Schizonepeta tenuifolia Kitagawa is a herbaceous plant affiliated to labiate. It has many oil components which has antimicrobial activity for health with limonene, menthone, pulegon e, piperitenone, schizonepetoside A, schizonepetoside C, spatulenol. The planting area of which is com paratively small than other medicine crop as 5ha area and 15MT in the n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the cause of characteristics on the planting life in accordance wit h the planting date used plugs. Plug plants are very useful for transplanting. It gives well-mana gement effects to the farmer such as time saving, convenience of planting, plant health, and ma ximum potential state during the raised time. Methods and Results : The number of treatment for planting date was five. Those are early May, middle May, late May, early July and middle July. The interval of the planting date was 10 days. And the raising seeding period was 30 days. During the raising seeding period, in late July treatment the length of plant and the stem diameter were the highest respectively. The number of stem was also the most in late July. In the planting period, the length of plant and the stem diameter were the highest at early May.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stem per plant. The length of ear and the width of ear were the highest at the early July. The number of ear per plant was the highest in the early May as 768.7. In the respect of yield, the weight of fresh body at early May was the highest as 587g per plant. The next higher weight of fresh body was middle May as 530.0g per plant than that of other planting date. Conclusion : The effect of planting date on the growth and the yield of Schizonepeta tenuifolia Kitagawa mainly focused to early May treatment. The earlier planting treatment was the better for planting it in this study.
        24.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Senna tora L. is a herbaceous plant affiliated to legumes. It has many components good for health with emodin, chrysophanol, aloe-emodin, physicion, rhein, obtusin. It is believed to have many medicine effects, as well as to good for the eyes. This study carried to find ou t the difference of characteristics on the growth according to the planting date used plugs. Plu g plants are very useful for transplanting. It gives well-management effects to the farmer such a s time, plant health, and maximum potential state during the raised time. Methods and Results : Plug plants had 30 days in raising seeding. The planting date was five time. Fist planting date was late April. The last planting date was early July. In their raising seeding period they were taken care of in the green house. And after 30 days, they were planted on the ground in planting density of 50*40cm sized area with three repeat treatments. When the raising seeding period, the length of plant and the length of leaf were the highest at the middle May, respectively. The number of leaf per plant was highest in late May as 11. In the planting period, the length of plant was highest at early July. The lowest was the length of plant at late May. Except the stem diameter in early April, they were no differences among other treatments and the stem diameter was the highest in early April. The number of node per plant could be found the most in middle May and late April. The number of node per plant was the lowest in early July. In the respect of yield, middle May had the highest yield than that of other treatments. It was 849.0kg/10a. The lowest was 740.6kg/10a in the early May. Conclusion : About the characteristics on the growth of Senna tora L. according to the planting date, the yield of middle May was highest than that of other date in this study. The planting date of late May had also shown strong tendency of optimum planting date. Therefore middle May and late May of planting date would be optimum planting date.
        25.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ridge and mulching cultivation and adapted sowing(planting)time in stable medicinal herbs production of Lithospermum erythrorhizon Siebold et Zuc. And it accomplished one’s purpose to GAP guide manual established standard method of cultivation technology, contribute to the enlargement of farm’s income. Methods and Results : Method of cultivation type with the ridge and covering material were conducted under two condition compose to open cultivation (level row : 120㎝ ridging, black polyethylene mulching) and plastic greenhouse cultivation (high row : 90㎝ ridging, non-woven fabric mulching). Sowing with Daehong varieties in April 17, transplanting July 25 by growing pot seedling for 40 days in 2015. Planting density were spaced 30㎝ apart in inter-rows 10 ㎝ apart intra-row. Fertilizing level of N-P-K-Compost (fermented mixed oil cake fertilizer) applied at 6-4-6-300 ㎏․10 a−1, 60% of basal fertilizer in March 14, 40% of top dressing were four times application in April 14 ~July 15. Plot design randomized block 3 repetition. Conclusions : Compared to level ridging on black polyethylene mulching open cultivation for growing plastic greenhouse with the high ridging non woven mulching cultivation, seed yields havesting 1.4 times, the dried roots yields increased in 0.7 times. Also, Growth characteristics by sowing time in April 16. compared to planting time in July 25. Length of stem and main root of above-ground, subterranean part growth increment rising highest. Seed and dried roots yields with increased by 71%, 30%. respectively.
        26.
        201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impact of transplant timing of mother plants for seedling strawberry on growth and development of daughter plants and field stage. The leaf growth of treated mother plants and crown thickness were low when transplant was performed on April 10th. Based on the results collected until July 13th, the numbers of daughter plants with more than two leaves were 20.6 and 19.5 for March 10th and March 25th, and these values decreased by April 10th and April 25th showing values of 15.1 and 11.8, respectively. After seedling growth was complete, leaf area and fresh weight of the saplings were remarkably low beginning from the transplant on April 10th. Crown thickness of saplings was generally lower when transplant timing was late. After 45 days of transplant leaf length and width were noticeably lower than the transplant on April 10th and 25th. First cluster was 100% for both the March 10th and 25th transplant, followed April 10th and 25th with values of 66% and 43%. The results revealed that transplant on March 10th and 25th had a greater positive impact o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strawberry cultivar ‘Seolhyang’. A supplementary study will have to be conduct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arvest period of the first cluster and the yield of marketable strawberries depending on the transplanting time of mother plants.
        27.
        201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은 튤립 ‘Kees Nelis’, ‘Dreaming Maid’, ‘Merry Christmas’ 3품종의 구둘레 7cm인 자구를 10월 15일, 11월 15일, 12월 15일, 1월 15일, 2월 15일에 정식한 후 줄기와 구근의 생육을 조사하였다. ‘Kees Nelis’ 품종은 10월과 11월에 정식한 처리에서 초장이 길었고, 지상부의 생체중 및 구근의 무게가 무거웠으며, 구둘레 10cm 이상의 구근을 수확할 수 있었다. ‘Dreaming Maid’ 품종은 1월 15일 정식한 처리구에서 줄기와 구근의 생육이 가장 불량 하였으며, 11월 15일 정식한 처리에서 구무게가 가장 높았고, 다른 구근생육에는 통계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Merry Christmas’ 품종의 경우에도 1월 15일에 정식한 처리구에서 생육이 가장 불량하였으며, 10월~12월 정식 처리구에서는 구근의 생육에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전반적으로 11월 15일에 정식한 처리에서 가장 생육이 양호한 경향을 보여 주었다.
        29.
        200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초로 되고 있는 바위솔은 일임성 식물이다. 본 연구는 정식 시기가 바위솔의 생장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추적하여 출하시기를 조절할 수 있는가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본엽이 15매 정도인 유묘를 5월 30일, 6월 30일, 7월 30일에 정식하여 추대가 일어나는 8월 25일부터 매일 암기중단 처리하면서 8월 25일부터 4주 간격으로 생장과 개화 반응을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초장과 화서장은 정식시기가 늦어질수록 길어졌던 반면, 엽과 포엽수 및 경직경은 6월 30일 정식시 가장 많거나 굵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2. 소화중은 정식시기가 늦어질수록 많아졌던 반면, 엽과 포엽중, 경중, 근중, 지상부중과 전체건물중은 6월 30일 정식시가장 많았다. 3. 형성되는 소화수는 6월 하순경에 정식할 경우 가장 많았으나, 암기중단 처리로 인하여 정식시기에 관계없이 소화의 개화는 전혀 일어나지 않아 개화개체 비율은 전무하였다.
        31.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제주지방에서 야콘의 적정 정식시기를 구명하고자 50일 프러그묘를 3월 24일부터 6월 7일까지 15일 간격으로 6회 정식하여 생육 및 수량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초장, 경장, 주경직경, 주당 절수 등은 5월 23일 이후 정식부터 크게 감소되었다. 2. 주당 상품성 있는 괴근수는 3월 23일∼4월 23일 정식시기 간에는 6.0개 내외로 차이가 없었으나 5월 8일 이후 정식할 경우 크게 감소되어 6월 7일 정식구에서는 1.9개에 불과하였다. 3. 상품수량은 3월 24일과 4월 8일 정식구에서는 27 MT/ha 내외로 비슷하였고 4월 23일 정식구에서 32.4 MT/ha로 증가되었다가 그 이후 정식구에서는 크게 감소되어 6월 7일 정식구에서는 5.4 MT/ha에 지나지 않았다. 4. 괴근의 건물율과 가용성 고형물함량은 정식시기에 따른 차이 없이 각각 14%, 15% 내외였다. 평균 괴근중은 3월 24일∼4월 23일 정식에서는 153∼183.9g으로 큰 차이가 없었으나 5월 7일 이후 정식할 경우 크게 감소되었다. 5. 수량과 품질, 만상해 우려, 육묘비용 등을 고려할 때 제주지방에서의 야콘의 적정 정식시기는 4월 중∼하순으로 조사되었다.
        32.
        200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참당귀 품종별 정식시기에 따른 생육 및 추대반응을 구명하고자 수행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생존율은 만추당귀, AGJ90-1, 진부재래 공히 정식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생존율이 낮아지는 경향이었으며 4월 25일 이후 정식에서는 현저히 낮았다. 2. 초기생육은 품종별 모두 조기 정식에서 생육량이 많고 만기 정식에서 생육량이 적어지는 경향으로 정식시기별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나 생육후기에는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3. 품종별 추대율은 내추대성인 만추당귀는 1.0~8.1%, 중간형인 AGJ90-1은 5.9~20.3%, 추대성인 진부채래 58.5~74.6% 범위로 품종의 추대성 정도에 따라 추대율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4. 정식시기별 추대율은 만추당귀, AGJ90-1, 진부재래공히 조기정식에서 추대율이 높고 만기정식에서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5. 품종의 정식시기별 추대반응은 내추대성 품종은 둔감하게 반응하고 추대성에서는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6. 10a당 수량은 만추당귀는 4월 5일 정식에서 389 kg으로 가장 높고, AGJ90-1은 4월 15일에 377 kg, 진부재래는 4월 25일에 133 kg으로 가장 높았다.
        34.
        199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경북 북부지역에서 큰삽주의 1년생 종근 정식적기를 구명하고자 1996년부터 1998년까지 3개년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정식시기별 출현일수는 만식할수록 단축되는 경향이었고 정식시기별 지상부 생육은 3월 20일 정식시 초장이 가장 크고, 주당 지상부 생체중 및 건괴근중은 4월 5일 정식이 각각 51.9, 11.5g으로 가장 양호하였다. 2. 10g당 최대 건괴근수량을 보이는 생육일수는 209일이었으며 경북 북부지역의 큰삽주 1년생 종근 정식 적기는 4월 5일부터 4월 10일 사이로 판단되었다. 3. 생육초기 적산온도가 267℃일 때 출현일수가 14.4일로 가장 짧았으며 전 생육기간 동안의 적산온도는 3600℃일 때 10a당 건괴근수량이 233kg으로 가장 많았다.
        35.
        199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optimum planting data and fertilization level of Aruncus dioicus var. kamtscacus HARA. Plant height was increased as the seeding date was delayed. There was no transparent difference on plant height indifferent fertilization level. Nuber of stems was remarkably increased in the fertilization 14-14-12kg. Fresh leaf yield in the fertilization of 24-18-15kg was incresed about 31% comparing in the fertilization of 14-14-12kg. As a result, the optimum planing date and fertilization level was Jan. 15 and 24-18-15kg per 10a, respectively.
        36.
        198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골풀 정식기에 따른 주요형질 및 수량변이를 구명하고자 오까야마 002, 사자나미, 세도 004의 3품종을 공시하여 정식거로 10월 25 일, 11월 5일, 11월 15 일, 11월 25 일, 익년 3월 5일로 하여 시험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개화기와 성숙기는 정식기가 지연됨에 따라 늦어지는 경향이 있다. 2. 경장은 10월 25일 정식에서 오까야마 002는 119cm, 세도004는 118cm, 사자나미는 117cm로 가장 길었고, 가장 늦은 정식구에서는 101∼103 cm 로 짧아졌다. 3. 주당경수는 10월 25 일 정식에서 오까야마 002는 143본, 세도 004는 138본, 사자나미는 135본으로 가장 많았고 정식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감소하여 가장 늦은 정식구에서는 101∼106본이었다. 4. 생경수량(kg/10a)에서는 가장 정식기가 빨랐던 10월 25 일 정식이 가장 수량이 많아서 오까야마 002 3202, 세도 004 3727, 사자나미는 3784kg/10a로 많았고 가장 늦은 정식구에 서는 1785∼1972로 10월 25 일 정식의 반정도의 수량에 그쳤다. 5. 장린중, 중린중의 정식기별 수량성은 가장 빨랐던 10월 25 일 정식이 가장 높았고 정식기가 늦어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단린중에서는 10월 25 일 정식구와 익년 3월 5 일 정식구가 가장 높았다. 6. 총건경중(장린중, 중린중, 단린중)에서는 10월 25 일 정식에서 세도 004가 1324 kg/10a로 가장 많았고 오까야마 002가 1282kg/10a, 사자나미 1088kg의 순으로 많았으며 가장 늦은 정식구에서는 642∼724kg로 가장 낮았다. 7 수량형질간의 상관에서 수량은 경장 및 주당경수와 고도의 정의 상관이었고 분산분석에서 품종, 정식기, 품종과 정식기의 교호작용에서 대부분의 형질들이 고도의 유의성을 나타냈다.2p1/2의 binding energy들은 각각 780.3과 795.8 eV에서 나타났다. 반응 전 후 촉매상에서 Co 2p3/2의 binding energy 차이는 1.0 eV이고, Co 2p1/2의 binding energy 차이는 1.3 eV이다. 표준 Co3O4 에 대한 XPS 측정결과, 반응 후 촉매상에 존재하는 CoOx 는 Co3O4 로 존재하고, 반응 전의 경우에는 이와는 다른 chemical state를 보여주었다. XRD 및 XPS 결과를 바탕으로, 촉매표면에 존재하는 Co3O4 의 외부표면이 Co2TiO4 와 CoTiO3 같은 CoTiOx 로 encapsulation되어 있는 모델구조를 제안할 수 있고, 이는 반응시간의 함수로 나타나는 촉매활성에 있어서 전이영역의 존재를 잘 설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XRD와 XPS에서 얻어진 촉매의 물리화학적인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다. 나타냈고, 골격근과 눈 조직에서 피루브산에 대한 LDH의 친화력이 상당히 크므로 LDH가 혐기적 조건에서 효율적으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5) and "Cleanliness of clothes & features" (p <0.05) of VIP ward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a general ward.tive to apply.아울러 고려(考慮)해야 한다. 이것은 고무기술자(技術者)가 당면(當面)해야할 과제(課題)에 속(屬)하며 바람직 한것은 본장(本章)의 내용(內容)이 여러 상황하(狀況下)에서 당면(當面)한 문제(問題)에 대(對)해 어떻게 대처(對處
        37.
        197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채 추묘춘식의 파종시기와 정식기 이동이 수량형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저 목포에서는 유달, Asahi, Miyuki의 3품종을 가지고 9월20일, 9월30일, 10월10일, 10월20일에 파종하여 익년 3월에 춘식하였고 충남에서는 유달로 상기와 같은 묘상기간동안 12.1~2.28 Vinyl과 11.1~2.28 Vinyl 처리로 시험을 실시하였던바 유묘의 생육은 목포의 파종기가 늦을수록 초장이 짧고 엽수가 적으며 생체중이 가벼운데 대해 충남은 Vinyl 피복처리에 의한 영향으로 정반대의 경향을 나타냈다. 이와같은 경향은 본포의 초장, 추태, 개화등 숙기에서도 같았다. 주요 수량 구성형질인 분지수, 1수협수, 수장, 1협결실수에서도 파종기가 늦을수록 적고 조기 파종일수록 많았는데 다만 추묘춘식에서 10월10일 이전의 파종기에서는 도장으로 인한 영향때문에 오히려 10월20일 파종보다 적고 짧았다. 종실수량에서는 목포에서 9월20일, 충남에서 9월30일 파종구가 가장 수량이 높았다. 또한 상관에서도 1차분지수, 1수협수, 결실비율과 수량 간에는 고도의 정상관이었다. 따라서 유엽 추묘춘식의 파종적기는 목포에서는 9월20일, 충남에서는 9월30일에 파종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사료된다.
        38.
        197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감자추작의 알맞는 재배법을 구명하기 위하여 1976년 천안에서 시마바라(도원)품종을 대상으로하여, 7월13일 4절종서를 GA2 ppm과 Ethrel 250ppm의 혼합액에 60분간 처리하여 노지의 최아상에 파종하고, 7월 24일 몇가지 재배처리를 하여 정식한 성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정식당시의 아장(아경)을 4cm(3.5mm), 7cm (4.5mm) 및 10cm(6.0mm)로 구분한즉 싹이 크고 굵은것이 발아 생육 수량 및 품질이 모두 증대향상 되었다. 2. 질소시용량을 10a당 요소 10, 20 및 30kg으로 구분한즉 질소시용량이 많을수록 생육 수량 및 품질이 모두 증대향상되었다. 3. 질소를 정식기(7월24일)에 전량기비로 주는 것 보다 정식기와 8월15일 또는 8월15일과 9월5일로 분시하는 것이 발아 생육 수량 및 품질이 모두 증대향상되었다. 4. 재식거리 60 20cm 또는 70 17cm이상의 밀식은 도장을 유발하여 수량 품질이 저하되었다. 5. 정식후에 밀짚을 4, 8, 12cm로 피복한즉 피복이 두꺼울수록 성하기의 최고지온을 낮추고 추냉기의 최저지온을 높이는 효과가 컸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