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4

        21.
        199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치미액은 전통적으로 냉면국물로 이용되어왔다. 냉면국물의 미생물 오염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항균활성이 높은 김치 젖산균 Lactobacillus homohiochii B21과 Leuconostoc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C16을 스타터로 혼합사용하여 동치미액을 제조하고, 이를 냉면국물에 100%, 50%, 10% 및 0% 첨가하여 20℃ 및 10℃에서 보관할 때에 동치미액의 항균력으로 인하여 의도적으로 첨가한 Listeria monocytogenes와 Escherichia coli O157:H7의 증식이 억제되는 정도를 조사하였다. 동치미액 100%인 냉면국물은 20℃에서 보관할 때에 Listeria monocytogenes는 8시간만에, Escherichia coli O157:H7는 40시간만이 10^6CFU/ml에서 10^0CFU/ml로 각각 급격히 사멸하였고, 10℃에서 보관할 때에도 시간경과에 따라 생균수가 급격히 감소하였으나 감소속도는 20℃에서 보관할 때보다 느렸다. 동치미액을 50% 첨가한 육수에서도 Listeria monocytogenes와 Escherichia coli O157:H7는 시간경과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감소속도는 동치미액 100%일 경우보다 느렸다. 동치미액을 10% 첨가한 육수는 20℃에서 보관할 때는 초기에 Listeria monocytogenes 및 Escherichia coli O157:H7의 균수증가가 약간 있었으나 동치미액 무첨가에 비하여 현저히 억제되었으며, 16시간 이후부터는 균수가 서서히 감소하였다. 동치미액을 첨가하지 않은 육수는 20℃에서 보관할 때는 초기부터 Listeria monocytogenes 및 Escherichia coli O157:H7의 균수증가가 급격히 이루어졌으며, 10℃에서 보관할 때는 24시간 이후부터 서서히 증가하였다. Listeria monocytogenes 및 Escherichia coli O157:H7에 대한 본 동치미액의 항균활성은 후자의 미생물보다 전자에 대하여 더욱 강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동치미액을 육수에 50% 첨가하여 냉면국물을 제조한다면 보관중의 미생물 오염문제 해결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2.
        199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치미액은 전통적으로 냉면국물로 이용되어왔다. 냉면국물의 미생물 오염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항균활성이 높은 김치 젖산균 Lactobacillus homohiochii B21과 Leuconostoc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C16을 스타터로 혼합사용하여 동치미액을 제조하고, 이를 냉면국물에 100%, 50%, 10% 및 0% 첨가하여 20℃ 및 10℃에서 보관할 때에 동치미액의 항균력으로 인하여 의도적으로 첨가한 Salmonella typhimurium과 Staphylococcus aureus의 증식이 억제되는 정도를 조사하였다. 동치미액 100%인 냉면국물은 20℃에서 보관할 때는 Salmonella typhimurium은 16시간만에, Staphylococcus aureus는 32시간만에 10^6CFU/ml에서 10^0CFU/ml로 각각 급격히 사멸하였고, 10℃에서 보관할 때도 시간경과에 따라 생균수가 급격히 감소하였으나 감소속도는 20℃의 경우보다 느렸다. 동치미액을 50% 첨가한 육수에서도 Salmonella typhimurium과 Staphylococcus aureus는 시간경과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감소속도는 동치미액 100%일 경우보다 느렸다. 동치미액을 10% 첨가한 육수에서는 20℃에서 보관할 때는 초기에 Salmonella typhimurium과 Staphylococcus aureus의 균수증가가 약간 있었으나 동치미액 무첨가에 비하여 현저히 억제되었으며, 8시간∼16시간 이후부터는 균수가 서서히 감소하였다. 육수에 동치미액을 첨가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20℃에서 보관할 때는 초기부터 Salmonella typhimurium과 Staphylococcus aureus의 균수증가가 급격히 이루어졌으며, 10℃에서 보관할 때는 24시간 이후부터 서서히 증가하였다. Salmonella typhimurium과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본 동치미액의 억제력은 후자의 미생물보다 전자에 대하여 더 강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동치미액을 육수에 50% 첨가하여 냉면국물을 제조한다면 보관중의 미생물 오염문제 해결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5.
        199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L. monooytogenes에 대한 LP system의 항균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초기 접종수준(10², 10⁴, 10^(7) CFU/ml), LP의 농도는(10, 20, 30 ppm), 그리고 저장온도(5, 10, 15℃), 배지종류(TSB-YE, UHT milk)에 따라 L. monocytogenes에 대한 항균효과를 측정 비교한 결과 초기접종수준을 10²cfu/ml로 하였을 때와 LP농도는 10 ppm 및 5℃로 배양에서 항균력이 높게 나타났다. UHT milk를 이용한 LP system의 항균효과는 Tryptic soy agar를 이용한 시험결과와 비슷하게 나타났다.
        3,000원
        26.
        199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 E. coli O157:H7에 대한 LP system(lactoperoxidae/thiocyanate/hydrogen peroxide)의 항균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초기 접종수준(10^2, 10^4, 10^7 cfu/ml), LP의 농도(10 ppm, 20 ppm, 30 ppm), 배지종류 (TSB, UHT milk, raw milk), 배양온도(5℃, 10℃, 15℃) 등에 따라 E. coli O157:H7에 대한 항균효과를 측정, 비교한 결과, 초기 접종수준을 10^2/ml으로 하였을 때와 LP의 농도를 10 ppm 및 5℃ 배양에서 항균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4,000원
        27.
        199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rug Dclivcry System (DDS) purpose to getting better remedial result by improving medication from ordinary methods. Applied for DDS, to improve selectivity and continuity during absorbing and delivery step, polmer drug (prodrug) was prepared by the esterification with dextran in such of biodegradable polymer and phthalylsulfathiazole with is efficient for entilitis. The polymer Burg was prepared with dextran and phthalylsulfathiazole by the esterification. The synthetic procedures of polymer drug was performed by acid chloride and DCC methods. Polymer drug was synthesized in high yield by acid chloride method than DCC method. The antibiotic activitis of polymer drug exhibited growth-inhibitory activity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epidermidis, E. cola, Salmonella typhimurium, Klebsiella pneumoniae at the concentration of 500 ug/ml in general through in vitro. As a result of test, polymer drug has 1/2 MIC than phthalylsulfathiazole. Also, it has high level MIC as much as phthalylsulfathiazole with Proteus, Pseudomonas. We conducted possibility of DDS as an applied for medicine with synthesized polymer drug by using natrural polymer. We consider that clinical research must be followed to verify safety and efficacy for controlled release, activity and toxicity.
        4,000원
        29.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thanol extract from the root bark of Morus alba showed the strongest antimicrobial activity on the growth of almost all the tested microorganisms which were food-borne pathogens and food-related microorganisms. In order to isolate and purify of antimicrobial substance extracted from the root bark of Morus albs, the antimicrobial substance from the ethanol extract which exhibited a strong antimicrobial activity was purified by solvent fractionation,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TLC and HPLC. Among the fractions fractionated by 4 kinds of solvents from the ethanol extract,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ethyl acetate fraction had the strongest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B. subtilis. Unknown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the ethyl acetate fraction by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TLC and HPLC and the compounds showed strong absorbance at 207, 217 and 285 nm, therefore, it was supposed to be a kinds of aromatic compound.
        4,000원
        30.
        198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midazole계(系) 농약(農藥)인 prochloraz와 triazole계(系)인 triadimefon의 사과나무 부란병균(腐爛病菌)(Valsa ceratosperma)에 대한 항균력(抗菌力) 및 지방산(脂肪酸)의 조성변화(組成變化)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균(菌)이 생육(生育)하고 있는 PS액체배지(液體培地)에 두 약제(藥劑)를 각각(各各) 처리(處理)하였을 때의 값은 prochloraz의 경우는 1~5ppm이었고 triadimelon은 5~10ppm이었으며 prochloraz의 저해능(沮害能)이 다소 높았다. 균사(菌絲)의 현미경(顯微鏡) 관찰결과(觀察結果) 약제(藥劑) 처리구(處理區)에서는 모두 균사(菌絲)의 이상생육현상(異常生育現象)이 관찰(觀察)되었다. 균체(菌體)에 약제(藥劑)를 처리(處理)함으로 인해서 지질(脂質)의 변화(變化)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균체중(菌體中)의 총지질(總脂質) 및 지방산(脂肪酸)의 함량변화(含量變化)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36.
        2014.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항산화 및 항균활성을 가진 천연물을 활용해 합성보존료를 대체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한 가운데 국내 자생 식물 중 135종을 대상으로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하였다. 이중 항산화 활성이 10%대로 낮게 나타난 식물 8종에 대해 항균효과를 조사하였다. 식물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0.41~94.84%로 다양하였으며, 가장 효과가 좋은 식물은 꽃향유와 우엉으로 각각 94.84, 80.55%를 나타내었다. 우엉은 잎의 경우 26.87, 뿌리 19.29%의 활성을 나타내 동일 식물이라도 추출부위에 따라 활성의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선이질풀과 비쭈기나무는 각각 그람양성균인 B. subtilis, 그람음성균인 E. coli 및 Candida속인 C. albicans에 대해 2.2~10.8 mm 수준의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각 식물에 대한 다양한 추출법을 적용하여 기능성을 확인하고 이들 항산화성 물질에 대한 추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37.
        200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경산반시'를 8월 1일에 수확하여 신선한 즙액, 4~6℃에서 6개월간 저장한 것 및 상온에서 6개월간 발효시킨 것(발효액), 그리고 감식초의 특성과 항균성을 조사하였다. 명도를 나타내는 L*값은 감식초가 43.5로 다소 밝은데 비해 신선한 즙액과 발효액은 각각 33.1과 33.3으로 다소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신선한 즙액, 발효액 및 감식초의 무기물 함량은 전반적으로 K(1696~2,880 mg/100 g), Ca(166.7~417.9 mg/100 g), Mg(203.9~214.4 mg/100 g), P(37.9~109.8 mg/100 g), Na(13.2~23.3 mg/100 g), Fe(8.4~14.2 mg/100 g) 순으로 많았다. 그람양성균에 대한 항균효과는 발효액과 감식초에서 저해환이 16.0~35.0 mm로 높게 나타났다. 그람음성균에 대한 항균효과는 신선한 즙액에서 9.0~9.5 mm의 저해환을 나타낸 반면에 저온 저장한 즙액은 15.0~21.0 mm, 발효액에서는 22.0~23.0 mm, 감식초에서는 9.0~35.0 mm을 나타내었다. 발효액으로 염색한 면직물의 색상은 YR계열을 나타내었으며, 항균성은 78.5% 이상의 정균율을 나타내었다.
        38.
        200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evaluate the availability of Cudrania tricuspidata Bureau as a natural source of antimicrobials,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of harvested parts was investigated using the paper disc diffusion method. The extracts from leaves and root bark had broa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various bacteria, including Bacillus subtilis, Bacillus cereus, Staphylococcus aureus, Streptococcus mutans, Listeria monocytogenes, Enterobacter aerogenes, Enterococcus faecalis, Salmonella choleraesuis subsp. choleraesuis, Vibrio vulnificus, and Pseudomonas aeruginosa and inhibited Bacillus cereus, Staphylococcus aureus, and Listeria monocytogenes, agents of food poisoning especially well. The extract from ripe fruit had a very high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with a 20.2 mm of clear zone at 50 mg/mL sample concentratio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Cudrania tricuspidata could be used as new source for developing natural antimicrobial agents.
        39.
        2009.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상어 collagens(SC)(ASSC: 산가용성 껍질 collagen, ASMC: 산가용성 육 collagen, PSSC: pepsin 가용성 껍질 collagen, PSMC: pepsin 가용성 육 collagen)의 항산화성, 항균성, tyrosinase 및 elstase 저해활성을 표품(시판 marine collagen)과 비교하였다. SC()의 전자공여능은 로 표품의 에 비하여 배가 높았다. SC()의 SOD활성은 4.67로 STMC
        40.
        200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사철쑥의 수확시기와 부위에 따른 항산화성을 조사한 결과 총 페놀과 프라보노이드 함량은 잎〉종실〉줄기 순으로 낮아졌다. 6월 30일 잎에는 78.8 mg/g DW의 페놀과 78.2 mg/g DW의 플라보노이드가 함유되어 있었다. DDPH에 의한 radical소거능이 50%로 감소되는 시료 농도인 RC50이 6월 30일 잎에서 5.42 μg으로 낮게 나타나 항산화성이 가장 높았다. 이 때 BHA, BHT와 α-tocopherol의 RC50은 각각 3.09 μg, 24.30 μg and 2.87 μg이었다. 또한 종실에서 Bacillus subtilis, Staphylococcus aureus, Enterobacter aerogenes, Citrobacter freundii, Vibrio vulnificus, Pseudomonas aeruginosa, Saccharomyces cerevisiae 등 7종에 대해 항균성이 나타난 반면 잎과 줄기에서는 항균성이 거의 없었다. 수확시기에 따른 종실의 Bacillus subtilis, Staphylococcus aureus, Vibrio vulnificus, Saccharomyces cerevisiae에 대한 향균성은 8월 30일에 높았으며 Enterobacter aerogenes, Citrobacter freundii, Pseudomonas aeruginosa에 대한 항균성은 7월 30일에 높았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