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3

        21.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mprovement in functional gait is one of treatment goals in treatment of cerebral palsy children.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the effects of insoles for postural correction on gait in spastic cerebral palsy patients by investigating changes in gait temporal spatial parameters. As the subjects, 15 spastic bilateral cerebral palsy pati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emporal spatial parameters of gait were measured using GAITRite system under three gait conditions. Bare foot gait, gait in shoes, and gait in insoles for postural correction were conducted. In order to look at differences in temporal spatial parameters according to three gait conditions, repeated one way analysis of variance was conducted. As post hoc test, Bonferroni was conducted. A significant level was set at α=.05.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gait velocity, cadence, step length, stride length of the left lower extremity significantly changed. When the subjects put on customized insoles for postural correction, the effect was greatest.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stance time, single support time, double support time, swing % of gait, and stance % of cycle. Therefore, gait with insoles for postural correction positively influenced functional gait improvement and will be able to be usefully employed for spastic cerebral palsy children as one of gait assistance devices.
        4,000원
        22.
        201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lance control deficits have been indicated to be a primary problem among cerebral palsy (CP) patients. Fabric ankle foot orthosis (AFO) can allow more efficient balance control by facilitating propriocep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mediate effect of fabric AFO on balance, compared to a barefoot condition in children with unilateral CP. Twelve children with unilateral CP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ir balance ability was evaluated using pediatric balance scale and bubble test. Both pediatric balance scale and bubble test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with the use of the fabirc AFO (p<.05). The fabric AFO could improve functional balance ability, and promote better balance among children with unilateral CP. We demonstrated that fabric AFO contributed to improving balance among children with unilateral CP, classified as 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level Ⅰ and Ⅱ. Consequently, fabric AFO might be an assistive device leading to the improvement of balance instead of the typical AFOs.
        4,000원
        23.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본 연구는 전통적인 치료와 비교했을 때, 강제 유도 운동치료가 편마비를 가진 뇌성마비 아동의 상지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메타분석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국내외 검색엔진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2006년∼2013년까지 게재된 14편의 연구를 선정하였다. 선정기준에 적합한 논문을 대상으로 PEDro score를 사용하여 질적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상지기능의 사전-사후 평균과 표준편차, 표본수를 사용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결과:선정된 14편의 연구는 PEDro score가 6점 이상이었으며, 연구 참여자는 527명이었다. 효과크기 분석 결과 환측 상지의 운동 능력, 사용빈도 및 질에서는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이었다(p<.001). 또한 분리된 움직임, 잡기 능력, 시각 운동 통합 능력에서는 “보통 효과크기”를 나타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5).결론:강제 유도 운동치료는 전통적인 치료보다 편마비를 가진 뇌성마비 아동의 상지 기능 회복에 있어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임상에서 편마비를 가진 뇌성마비 아동의 상지 기능을 회복하기 위한 치료 방법으로 객관적인 근거가 될 수 있다.
        4,800원
        24.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s and the Pediatric Evaluation of Disability Inventory (PEDI) functional skills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CP). Two hundred and eleven children with CP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Korean-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K-GMFCS), Korean-Manual Ability Classification System (K-MACS), Korean-Communication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K-CFCS), and self-care, mobility, and social function domains of the Korean-Pediatric Evaluation of Disability Inventory (K-PEDI) functional skills were measured by physical therapists or occupational therapists. All of the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EDI functional skills (rs=-.549 to -.826) (p<.05). Especially, K-GMFCS, K-MACS, and K-CFCS were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mobility, self-care, and social function, respectively. Using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 established that K-GMFCS, K-MACS, and K-CFCS were predictors of self-care skills (74.3%) and mobility skills (79.5%) of the K-PEDI (p<.05). In addition, K-CFCS and K-MACS were predictors of social function (65.9%) of the K-PEDI (p<.05). The information gathered in this study using the levels measured in the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s may be useful to clinicians for estimating the PEDI functional skills in children with CP.
        4,000원
        25.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tivity of the transverse abdominal muscle resulting from changed posture by measuring the thickness of the transverse abdominal muscle in a supine posture, a slouched sitting posture, and an erect sitting postur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8 patients with cerebral palsy. All their transverse abdominal muscles at the end of inhalation were measured at supine, slouched sitting (S sitting) and erect sitting (E sitting) postures by using ultrasonography, and then their dynamic sitting balance was measured at S sitting and E sitting postures by using BioRescue.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Kruskal-Wallis test and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were us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among each the postur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thickness of the transverse abdominal muscle when comparing the supine posture and the S sitting posture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ut the E sitting postur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s compared with the others. In addition, the dynamic sitting balance in comparing the S sitting and E sitting postur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clusion, the E sitting posture has a more positive effect on postural control and balance than generally taking the S sitting posture, for the sitting posture of a patient with cerebral palsy. It is suggested that patients with cerebral palsy mainly experiencing a sedentary life or being in a wheelchair should be seated in the E sitting posture during their daily life, and it may be necessary to continue to monitor and manage the proper E sitting posture.
        4,000원
        26.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본 연구는 선천성 뇌성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경상운동 검사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연구방법:선천성 뇌성마비 편마비 환자로 진단 받은 72명을 대상으로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경상운동 검사들의 항목과 점수체계를 재구성하여 경상운동 정도를 평가하였다. 평가된 자료는 Winstep 3.80 version을 사용하여 라쉬분석을 통해 항목과 대상자의 적합도, 항목 난이도, 평정척도, 분리신뢰도를 분석하였다.결과:72명의 뇌성마비 환자 중에 환측에서는 3명, 건측에서는 2명의 환자가 부적합 환자로 나타났다. 각각의 부적합한 대상자를 제외한 69명과 70명의 환자로 항목의 적합도를 분석한 결과, 양측 모두에서 발가락을 사용하여 구슬 잡기 항목이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항목의 난이도에 대한 분석 결과, 비교적 난이도가 높은 항목은 엄지와 다른 손가락 맞섬하기, 주먹 쥐고 펴기 항목이었으며, 난이도가 낮은 항목은 팔꿈치 굴곡하기, 저항을 이기며 어깨 외전하기 항목으로 나타났다. 평정척도 분석 결과, 4점 척도가 적합한 범주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대상자와 항목의 분리신뢰도는 .90이상의 우수한 값으로 분석되었다.결론:본 연구를 통해 검증된 경상운동 검사가 임상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되기를 기대하며,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신경학적 질환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4,500원
        27.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mediate effect of fabric ankle-foot orthosis on spatiotemporal gait parameters, compared to a barefoot condition i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Eleve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participated in this study. Spatiotemporal gait parameters were measured with the GAITRite system. Fabric ankle-foot orthosis significantly improved Timed Up and Go test time and gait velocit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adence. The step time significantly improved in both the more and less affected foot compared to the barefoot condition. The step length of the affected foot also significantly improved,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ep length of the less affected foot. There was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stride length of both the affected and less affected foot,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ingle stance or double stance. The fabric ankle-foot orthosis could improve stability, and selective control of the joint and promote better walking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Consequently, the fabric ankle-foot orthosis might be an alternative assistive device for neurological populations as a primary role instead of the typical ankle-foot orthosis.
        4,000원
        28.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 목적 : 본 연구는 학령전기 뇌성마비 아동의 감각처리기능과 내현화, 외현화 문제행동 특성을 파악하여 감각통합치료를 제공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연구방법 : 학령전기 뇌성마비 아동의 감각처리기능을 파악하기 위해 감각프로파일(sensory profile)을 사용하였고, 내현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을 파악하기 위해 유아용 행동평가척도-부모용(Child Behavior CheckList for Ages 1.5-5)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뇌성마비로 진단받은 아동을 양육하고 있는 보호자에게 설문조사에 대한 동의를 얻어 총 32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분석은 일반적 특성과 감각처리기능과 내현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특성을 기술통계분석 하였다. ◉ 연구결과 : 학령전기(만 1.5∼5세) 뇌성마비 아동의 감각프로파일 검사결과 전정감각처리 항목이 의심범주, 지구력/근 긴장도 조절이 문제 범주, 신체자세/움직임 조절 항목이 의심범주에 속하였고, 감정반응에 대한 감각입력 항목과 감각처리 행동 항목에서 각각 의심범주에 속하였다. 감각요소 하위항목에서는 낮은 지구력/근 긴장도 항목이 문제범주, 감각등록의 저하, 미세동작/지각력 항목이 각각 의심범주에 속하였다. 유아용 행동평가척도 검사결과로는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에서 준임상 범주에 속하는 결과를 보였다. ◉ 결론 : 학령전기 뇌성마비 아동은 감각처리기능의 문제와 내재화, 외현화의 문제행동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앞으로는 감각처리기능과 문제행동과의 관련성을 알아보는 연구를 통해서 뇌성마비 아동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원인을 파악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4,200원
        29.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연하장애를 가진 뇌성마비 아동의 구강기능에 대한 구강감각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은 OO대학병원 재활의학과에 입원한 뇌성마비 아동 중에서 구강기능척도의 총점이 40점 이하인 18명의 아동이었다. 한 집단의 사전-사후 실험설계로 구강감각치료 전, 후의 구강기능척도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구강감각치료 방법은 손가락으로 눌러주기, 얼음막대로 자극하기, 전동칫솔로 자극하기이며, 자극 횟수는 치료 매뉴얼에 따라 각 부위 별로 10회씩 시행하였다. 구강감각치료는 1회당 30분씩, 주 2회씩 하여 8주 동안 총 16회 실시하였다. 결과 : 구강감각치료는 뇌성마비 아동의 전반적인 구강기능을 향상시켰다. 특히, 구강준비단계에서 필요한 턱과 입술과 혀의 움직임을 향상시켰고, 구강감각치료 후에 미국언어청각협회 연하척도의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임상에서 뇌성마비아동에게 구강감각치료를 적용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후속 연구에서는 뇌성마비의 마비 유형과 장애 유형을 고려해서 각 유형 간의 구강기능의 차이를 알아보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4,300원
        30.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영유아 뇌성마비 아동과 정상발달 아동을 대상으로 K-MBI와 한글 PEDI를 실시하여 영유아 뇌성마비의 일상생활 평가에 있어서 두 평가 도구의 적합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만 1세부터 5세 미만의 뇌성마비 아동 66명과 정상 발달 아동 6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일상생활활동의 검사도구인 K-MBI와 한글 PEDI는 모두 검사자 1명에 의해서 시행되었고. 통계분석은 SPSS version 18.0과 MedCalc version 12.3을 사용하였다. 뇌성마비군과 정상군에서 두 평가의 변별력을 비교하기 위해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s (ROC) 분석을 이용하였고, 두 집단 간에 K-MBI 점수와 한글 PEDI 점수를 비교하기 위해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 K-MBI와 한글 PEDI 모두 정상군과 뇌성마비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K-MBI의 경우 보행, 의자/침대 이동, 계단 오르기 순으로 큰 차이를 보였다. 한글 PEDI에서는 기능적 기술 부분과 보호자 도움 부분 양측에서 이동 영역, 신변처리 영역, 사회적 기능 영역 순으로 큰 차이를 보였다. 또한 두 평가의 적합성 비교를 위하여 Area Under the ROC Curves (AUC) 넓이 차이를 비교한 결과 총합, 신변처리 영역, 이동 영역 모두에서 한글 PEDI가 K-MBI보다 넓었다. 결론 : 영유아 뇌성마비 아동의 장애 유무를 변별하는데 한글 PEDI가 현재 뇌병변 장애 판정 기준으로 사용되는 K-MBI보다 높은 변별력을 가진다. 임상에서 영유아 뇌성마비의 뇌병변 장애등급 판정시 아동의 일상생활을 보다 적절히 평가 할 수 있는 도구로 보완하거나 대체하는 것이 필요하다.
        4,500원
        31.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상호작용식 메트로놈(Interactive Metronome; IM)을 이용한 작업치료가 편마비 뇌성마비 아동의 신체 양측 협응과 균형 능력, 상지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개별 실험 연구이다. 연구방법 : 선천성 뇌성마비로 진단 받은 편마비 아동 1인을 대상으로, 개별실험 연구방법(single-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design) 중 ABA 설계를 사용하였다. 총 20회기로 매주 2회기씩 10주간 진행하였다. 기초선 4회기는 중재 없이 양측 협응을 평가하였고 중재기 12회기는 상호작용식 메트로놈을 이용한 중재를 1일 1회 40~45분씩 실시한 후 양측 협응을 평가하였다. 재기초선 4회기는 중재 없이 양측 협응을 평가하였다. 중재전과 후의 균형검사를 실시하였고, 중재 전, 중, 후에는 상지기능 검사를 실시하여 변화를 알아보았다. 결과 : 상호작용식 메트로놈 훈련을 통한 중재 결과, 양측 협응과 균형능력이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양측 협응의 향상에 따른 중재 전, 중, 후의 상지기능은 향상을 보였으나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 상호작용식 메트로놈 훈련이 편마비 뇌성마비 아동의 양측 협응과 균형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편마비 뇌성마비 아동의 양측 협응과 균형 훈련의 중재방법으로 사용될 임상적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4,300원
        32.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편마비성 뇌성마비 환아들의 편마비측 상지길이 단축의 정도를 평가하고, 길이 단축과 근경직도 및 운동기능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30명의 편마비성 뇌성마비 환아(남아 13명, 여아 17명, 평균연령 6세 4개월)와 17명의 대조군(남아 9명, 여아 8명, 평균연령 6세 2개월)을 대상으로 하였다. 상지의 상완골,척골, 요골, 두 번째와 다섯 번째 중수골의 길이를 단순방사선 촬영을 통하여 길이 측정을 하였고, 건측(대조군에서는 우성측) 대비 편마비측(대조군에서는 비우성측)의 단축의 정도는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근경직도는 Modified Ashworth Scale (MAS)를 이용하였고, 상지의 운동기능은 Quality of Upper Extremity Skills Test (QUEST)를 사용하였다. 결과 : 대조군에 비하여 환자군에서는 편마비측 상지길이의 백분율이 의미있게 단축되어 있었다(p<.05). 이러한 상지길이의 단축 정도와 근경직도의 증가 및 운동기능의 저하는 의미있는 연관성을 보였다(p<.05). 결론 : 편마비성 뇌성마비 환아에서 보이는 편마비측 상지길이의 단축은 근경직 및 운동기능과 의미있게 연관되어 있다. 추후 이러한 환아들에게서 근경직도의 완화 및 운동기능의 향상을 도모하는 재활치료 후 변화되는 상지길이의 단축 정도를 연구한다면 재활치료의 효과를 좀더 객관적으로 증명하고, 치료의 방법과 정도를 정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4,300원
        33.
        2012.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ustom-made foot orthotics on the temporal-spatial gait parameters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Twenty spastic bilateral cerebral palsy (spastic CP) children (11 boys and 9 girls) participated in this study. GAITRite was used to examine the velocity, cadence, step length differential, step length, stride length, stance time, single support time, double support time, base of support, and toe angle while walking with and without foot orthotics. The differences in temporal-spatial parameters were analyzed using paired t-test. The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05. The velocity, cadence, both step lengths, both stride lengths, both bases of support and right toe angle significantly increased when the children with spastic CP with foot orthotics compared to without foot orthotics (p<.05). The step length differential between the two extremities, left stance time and left single support time,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foot orthotics (p<.05). Right stance time, right single support time, both double support times and left toe angle showed little change (p>.05).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foot orthotics were beneficial for children with spastic CP as a gait assistance tool.
        4,000원
        34.
        2012.10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식사보조도구 적용이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자가-섭식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자는 15세의 경직형 뇌성마비 남자 1명이었으며, 연구는 사례연구였다. 식사보조도구는 대상자의 신체기능 및 손기능을 평가한 후 작업치료사가 대상자에게 적합한 형태를 제작하여 적용하였다. 식사보조도구 적용 전과 후 대상자의 자가-섭식 기능의 변화는 일상생활평가도구인 Functional Independent Measure(FIM) 중 먹기(eating) 항목을 이용하여 평가하였고, 수행의 변화에 대한 만족도는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COPM)의 수행도와 만족도 항목을 통해 측정하였다. 결과 : 식사보조도구를 적용한 이후 FIM의 먹기 영역의 점수는 2점에서 5점으로 증가되었고, 만족도 점수는 2점에서 8점으로 향상되었다. 결론 : 대상자의 신체기능 및 손기능을 고려하여 제작한 식사보조도구의 적용은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자가-섭식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35.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e current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backward gait training on the treadmill in patients with spastic diplegic cerebral palsy (CP). Twelve patients with spastic diplegic CP participated in the study. An 8-week course of backward gait training was administered to the subjects for 3 days per week. Pre-intervention and post-intervention assessments of temporal-spatial gait parameters, the symmetry of the bilateral lower extremity weight bearing, and gross motor function were analyzed using motion analysis system, force plate, and Gross Motor Function Measurement (GMFM).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s (p<.05) in the measures of both step length and right stance phase time. Joint kinematics showed increase in right hip abduction in initial contact and terminal swing, right hip external rotation and knee flexion in mid-swing, left ankle dorsiflexion in initial contact and terminal swing (p<.05). The symmetry of the bilateral lower extremity weight bearing and GMFM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p<.05).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backward gait training using a treadmill is beneficial for patients with spastic diplegic CP.
        4,000원
        36.
        201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저 긴장성 뇌성마비 아동의 발달을 향상시키기 위한 치료적 놀이 활동을 적용하여 작업수행과 감각통합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연구방법 : 만 2세 10개월 남아로 감각 면담 검사(Sensory History Checklist)를 통해 감각처리에 문제를 지닌저 긴장성 뇌성마비 1명을 대상으로 캐나다 작업수행 측정(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 COPM), 영/유아 감각프로파일(Infant/Toddler Sensory Profile : ITSP)결과를 토대로 주 3회, 15회기 동안 치료적 놀이 활동을 적용한 뒤, 작업수행과 감각통합기능 향상에 대해서 측정하였다. ◉ 결과 : 본 아동은 캐나다 작업수행 측정(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 COPM), 영아/유아 감각프로파일 (Infant/Toddler Sensory Profile : ITSP), 평가 시 향상이 있었다. 캐나다 작업수행 측정(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 COPM)에서 치료 전․후 평가에서는 수행도는 1.5점에서 6점, 만족도는 2점에서 7.5점으로 점수의 향상이 있었다. 영아/유아 감각프로파일(Infant/Toddler Sensory Profile : ITSP)에서는 치료 전․후 평가에서 청각처리는 12점에서 14점, 시각처리는 9점에서 11점, 전정감각처리는 8점에서 10점, 구강감각처리는 9점에서 14점, 촉각처리는 17점에서 28점으로 5개 영역 모두 치료 전․후에 있어 점수의 향상이 있었다. ◉ 결론 : 본 연구에서는 치료적 놀이 활동이 저 긴장성 뇌성마비 아동의 작업수행과 감각통합기능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37.
        201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the effect of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on forced vital capacity and alternating motion rate i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This study divided 20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into two groups;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treatment group and control group.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treatment group had 20min per day treatment three times a week for four weeks and the control group did not have any treatment.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this study measured forced vital capacity and alternate motion rate(/peo/,/teo/) for all children. Forced vital capacit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for the group with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p<.05) while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increase(p>.05). Alternate motion rat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for the group with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p<.05) while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increase(p>.05). This result shows that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affected the ability of the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who have decreased breathing and phonation capability.
        4,000원
        38.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사물조작능력 분류 체계(Manual Ability Classification System : MACS)를 통한 경직형 뇌성 마비 아동의 사 물조작능력 수준 분류와 신변처리 기술 간의 상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본 연구는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 4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MACS의 검사자간 신뢰도를 평가하기 위해 두 명의 검사자가 동시에 평가하였으며, 주검사자가 평가 시행 시 부검사자가 독립적으로 채점하도록 하였다. 검 사자간 신뢰도는 급간 내 상관계수(ICC)를 통하여 분석하였으며 신변처리 기술 능력을 평가하기 위 해 Pediatric Evaluation of Disability Inventory(PEDI)를 사용하였다. MACS와 신변처리 기술 간의 상관성 분석은 스피어만 상관 분석을 사용하였으며, MACS 단계에 따른 신변처리 기술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크루스칼- 윌리스 검정 과 맨-휘트니 검정을 시행하였다. 결과 : 연구 결과 MACS의 검사자간 신뢰도는 ICC .93으로 좋은 일치도를 보였다. MACS와 신변처리 기술은 높은 수준의 상관성을 보였으며(r=-.921), 신변처리 기술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그 중 신발 /양말 신기 (r=-.852), 단추/지퍼 채우기(r=-.849), 하의(r=-.846)에서 상관관계가 가장 높았다. 또한 MACS 단계 간 신 변처리 기술 총점 및 모든 하위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MACS 1-2단계 간 에는 3가지 항목(얼굴과 몸 씻기, 티셔츠/앞여밈이 있는 의복입기, 단추/지퍼 채우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 2-3단계 간 에는 4가지 항목(손 씻기, 하의, 신발/양말 신기, 화장실 이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4단계 간 에는 단추/ 지퍼 채우기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4-5단계 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항목이 없었다. 결론 : 사물조작능력 분류 체계는 뇌성마비 아동의 사물조작능력을 평가하기에 신뢰할 수 있는 도구 이다. 또한 뇌성 마비 아동의 사물조작능력 분류 체계는 뇌성마비 아동의 신변처리 기술 수행 능력을 잘 반영하는 유 용한 평가 체 계라고 판단된다.
        4,000원
        39.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factors related to the ability of ambulatory patients with cerebral palsy (CP) to walk over vertical and horizontal obstacles. Twenty patients with spastic CP who were able to walk independently for at least 10 m with or without walking devices were recruited for the study. Participants were required to walk over small obstacles (1, 4, and 8 cm in height or width; total of 6 conditions). A 'fail' was recorded when either the lower limbs or the walking device contacted the obstacle. Linear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ge, sex, walking devices, eyeglasses, subtype (hemiplegia or diplegia), ankle foot orthoses, functional level, and score of body mass index on the ability of obstacle crossing. Fifteen participants (75%) failed to adequately clear the foot or walking device over obstacles in at least 1 condition. The chance of failure in crossing vertical obstacle was affected by the use of ankle foot orthoses, eyeglasses, gender, and CP subtype (p<.05). The failure rate crossing horizontal obstacle was affected by CP subtyp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rehabilitation procedures should (1) consider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in order to prepare them to be more independent while performing daily activities, and (2) incorporate environmental conditions that patients encounter at home and in the community.
        4,000원
        40.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자세조절과 시지각 능력은 일상생활 및 학습을 하는 데 있어 기초가 되고 이러 한 요소는 뇌성마비 아동을 치 료하는데 주된 목표가 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에서 안구운동프로그램이 자세조절과 시 지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10년 5월 1일부터 2010년 8월 31일까지 부산에 위치한 P복지관에 내원하는 만4세~8세 경직형 뇌 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10명의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을 무작위로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각각 5명씩 배정 하였다. 실험군에게는 안구운동프로그램과 함께 일반적 작업치료를 제공하고 대조군에게는 일반적 작업치료를 시 행하였다. 안구운동 프로그램은 단속성안구운동, 이접안구운동, 추적안구운동, 전정안구운동 4가지로 구성되어 있 다. 활동 중재는 1회 40분씩 주 3회로 8주 동안 제공되었다. 중재 전∙후에 대한 평가는 대동작기능평가(GMFM), 소아균형척도(PBS), 소아뻗기검사(PRT)와 한국판시지각발달검사(K-DTVP)를 사용하였다. 결과 : 안구운동프로그램을 수행한 실험군에서는 GMFM, PBS, PRT와 시각통합을 제외한 K-DTVP 모든 하위평 가항목에서 중재 전과 후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p<.05), 대조군에서는 PRT와 K-DTVP의 눈손협응과 공간위치를 제외하고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두 집단 의 평가 점수의 변화량을 비교하였을 때 모든 평가항목에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보여 자세조절 과 시지각 기능 향상이 대조군보다 더 좋음을 나타냈다(p<.05). 결론 : 본 연구는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에서 안구운동프로그램 중재가 자세조절 및 시지각능력 향상에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4,3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