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7

        21.
        2018.0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기 통계에 따르면 용문석굴 당대 기년관음보살상은 53구가 있으며, 기년이 없는 상은 140여구가 있다. 필자는 현장조사에 의거해 기년관음 상에 대해 구체적 기록 및 분석을 진행하고, 역사문헌과 비석의 내용들 을 참고하여 용문석굴 당대 관음상의 특징 및 형상변천 규율에 대해 정리하였다. 또한 당대 관음상에 관한 다른 문제들에 대해서도 검토하여 당대 용문을 비롯하여 낙양지역의 정토신앙 및 관음신앙에 대해 살펴보 고자 한다.
        10,100원
        22.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is a study on the discrepancies between Liu Yuxi’s 劉禹錫 (772-842) biographies contained in the Jiu Tangshu 舊唐書 (Old Tang History) and the Xin Tangshu 新唐書 (New Tang History). For this study, Liu's biographies in the two Tang histories are cho sen as primary sources for Liu's official life. Then, I try to find out the discrepancies bet ween the two biographies. This paper contains an annotated translation of Liu's biograph y in the Jiu Tangshu and discrepancies between his two biographies in the Tang historie s. In addition, other pertinent materials including Liu’s autobiography Zi Liuzi zizhuan 子 劉子自傳 are also employed. In the translation, the biography is divided into twenty sectio ns by my own determination in order to effectively compare with Liu's biography in the Xin Tangshu.
        5,800원
        23.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사군자탕 구성 재료의 기능성을 연구하고자 사군자탕가루를 스폰지 케이크에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케이크에 대한 한약재의 첨가량은 6%로 5개(S1(사군자탕가루), S2(인삼가루), S3(백복령가루), S4(백출가루), S5(감초가루))의 첨가군으로 구성하였다. 한약 재료의 첨가에 따라 완제품의 부피감소가 SC> S1>S3>S2>S4>S5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제품의 저장 중 미생물학적 품질 평가에서 생균수는 SC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SC는 저장 7일째에 9x107 CFU/g로 가장 높다가 저장 10일째에는 2.5x106 CFU/g 으로 감소하였다. 한약재가 들어간 다른 시료에서는 낮게 나타나 특히 S5의 경우 같은 7일째에 1.2x102 CFU/g 으로 적게 나타났다. 제품의 조직특성은 견고성, 점착성, 씹힘성이 SC에 비해 다 높은 값을 가졌다. 항산화성을 측정한 결과 과산화기질 생성억제효과의 크기는 스폰지 케이크에서 S5>S4>S3>S2>S1>SC의 순으로 나타나 한약 재료의 첨가군의 항산화효과가 나타났다. 관능검사에서는 전체적인 기호도는 SC에 비해 S3가 가장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냈고, S3>SC,S2>S1>S5>S4순으로 전체적인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4,000원
        24.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aid in the development of a food nutrient database that provides the dietary fiber composition of eat-out Korean foods, we determined the total dietary fiber (TDF) content in the eat-out Korean foods Muchim, Bokkeum, and Guk (Tang) using a dietary fiber autoanalysis instrument. A total of 59 samples were collected from Gangwon-do, Gyeonggi-do, Gyeongsangdo, Seoul, Jeonla-do, and Chungcheong-do. First, among 14 samples of Muchim, the TDF content of Kkaennip namul, Goguma-julgi-namul, and Dallae-namul (4.33~6.24, 3.16~5.07 and 3.70~4.99 g/100 g, respectively) was higher than the other types of Muchim.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DF content of Muchim (p>0.05) among locations. Among 13 samples of Bokkeum, the TDF content of Pyogo-beoseot-Bokkeum (4.77~6.66 g/100 g) and Miyeok-julgi-Bokkeum (4.16~7.47 g/100 g) was higher than the other types of Bokkeum. The TDF content of Pyogo-beoseot-Bokkeum in Gyeongsang-do was the lowest and the TDF content of Miyeok-julgi-Bokkeum in Gangwon-do was the highest (p<0.05). The TDF content of spinach soybean paste soup (1.34~2.21 g/100 g), Dakgogi-yukgaejang (1.61~2.45 g/100 g), duck stew (1.25~2.80 g/100 g) and spicy yellow croacker stew (1.70~2.27 g/100 g) were higher than the other types of Guk (Tan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DF content of Guk (Tang) among locations (p>0.05).
        4,000원
        25.
        201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iting Zhouyi has formed a considerable number of allusive forms in Stone Inscriptions from WeiJin,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to Sui Tang and the Five Dynasties, many of which has disappeared from the Chinese Dictionary. This paper mainly collates the allusive forms of citing Qian、 Zhun and Meng in Stone Inscriptions, and interprets the meanings of the allusive forms which are not in the Chinese Dictionary, and differentiates the meanings of the allusive forms in the Chinese dictionary.
        4,900원
        26.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한국과 중국이라는 국경의 한계를 불문하고 양국의 시인들이 각자 마주한 인생의 고뇌를 해결한 양상을 살펴보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중국 唐代와 한국 新羅時代의 문인 王維와 崔致遠의 禪詩를 고찰 대상으로 삼아 그들의 인생과 사상을 앞서 살펴보고, 이 어서 그들이 구현한 창작 세계를 선 수행(習禪)과 시 창작(詩作)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상이한 시공간을 살았음에도 불구하고, 두 시인 모두 인간적 방황과 고뇌를 존재의 실 상에 관한 선적 가르침과 대자연을 향한 회귀에서 해결하였음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그러한 선 체험적 깨달음(禪悟)이 시 작품에 공통적으로 체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양국 선시에 내재된 선사상의 보편적 특성과 시 창작 활동의 선수행적 가치에 대해 논의를 시도한 본고의 고찰이 차후에 진행될 선시 관련 연구에 일조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5,400원
        27.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당대(唐代) 신라인(新羅人) 김일성(金日晟)의 묘지(墓志)는 최근 중국 서안(西安) 응탑구(雁塔區) 삼교촌(三爻村)에서 출토되어 2010년에 대 당서시박물관(大唐西市博物館)에 소장되어 있다. 묘지 내용을 보면, 김 일성은 신라왕의 종형(從兄)으로 어린 나이에 당나라에 귀의하여 벼슬이 종삼품 광록경(光祿卿)에 이르고 대력(大歷) 9년(774)에 장안(長安)에서 생을 마감했는데, 그의 생애가 전설적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신라인의 묘지가 극히 드물기 때문에 이 묘지는 당과 신라의 관 계를 연구하는데 매우 귀중한 사료적 가치가 있다. 본고에서는 김일성 묘지와 관련된 제반 문제를 고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해 내었다. 첫째, 전래문헌과 출토자료의 기록에서 신라왕실 자제 중에 ‘김일○ (金日○)’라는 이름은 보이지 않는다. 당대 제왕이 하사한 이름이 자주 발견되는데, 여러 변방의 수장으로 당나라에 귀의한 것이 대부분이다. 또한 ‘김일성(金日晟)’은 ‘김일제(金日磾)’와 비슷하기 때문에 김일성은 당나라에 귀의한 후 개명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둘째, 묘지에 기록된 김일성의 생존연대를 추정해 보면, 김일성은 효 성왕(孝成王) 혹은 경덕왕(景德王)의 종형일 가능성이 크다. 또한 혜공 왕(惠恭王)의 종형일 가능성에 대해서도 배제할 수 없다. 신라 왕실의 자 제 중에 당나라에 들어가 숙위(宿衛) 학습하는 연령을 근거하면 김일성 은 성덕왕(聖德王)이 당나라로 조공을 보내어 숙위로 머물게 되었다. 개원(開元) 8년(730)에 성덕왕의 조카인 김지만(金志滿)이 당나라에 들어 와 숙위가 되어 오랫동안 당나라 조정에 있었는데, 그 행적이 김일성과 여러 방면에서 중복된다. 셋째, 김일성은 당나라에 들어와 은청광록대부(銀青光祿大夫)와 광록 경(光祿卿)을 제수 받았다. 현재 전래문헌의 기록에 당나라에 들어가 숙 위가 된 신라 왕실 자제에게 하사한 벼슬의 현황을 보면, 김일성이 제수 받은 광록시경(光祿寺卿)의 직책밖에 보이지 않는다. 구시(九寺)의 여러 경(卿)은 예악제향(禮樂祭享)과 민족외교(民族外交) 등의 업무를 담당하 였는데, 신라 왕실 자제들이 숙위관례(宿衛觀禮)에서 배운 것과 일치한다. 넷째, 김일성이 당나라에 들어간 후에 벼슬이 광록시경(光祿寺卿)에 이르렀고 장씨(張氏)와 혼인하였다. 오랫동안 장안(長安)에 거주하는 사 이에 안록산(安祿山)의 난이 발생하였는데, 그가 오랫동안 장안에 체류하 고 높은 관직에까지 승진한 것은 이 난과 깊은 관련이 있다. 김일성의 묘 지는 문장이 간략하고 크기도 비교적 작아 그 직책의 등급과 부합되지 않는데, 이는 장씨의 무덤을 이장하고 부부 합장묘지를 다시 썼기 때문이다. 다섯째, 김일성은 장안 영수(永壽)의 필원(畢原)에 장사 지냈는데, 영 수향(永壽鄉)의 처음 설치는 수대(隋代) 대흥현(大興縣)까지 거슬러 올 라갈 수 있다. 당나라에 들어와 영수향은 장안현에 관할되어 범위가 북 쪽으로 장안성 교외까지 이르고 동쪽은 천문가(天門街)를 경계로 하고 남쪽은 위곡(韋曲)까지 이르고 서쪽으로는 강촌(姜村) 일대까지 관할에 들어갔다.
        5,400원
        28.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당대시인들은 언어의 “생소화”에 상당히 집착했다. 어법적 생소화가 바로 시어의 생소화 신드롬이 당대를 풍미한 이유는 시가 권력과 결합했기 때문이다. 당대의 궁정창화와 과거는 시와 권력이 결합한 “현장”이었다. 당대 초엽은 궁정창화가 시의 발전을 견인했고, “以詩取 士”가 확정된 중엽부터는 과거가 시의 번영을 강력하게 추동했다. 응시자의 신분제한이 철폐 되면서 시인층도 엄청나게 불어났기 때문에 시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졌다. 시의 경쟁은 번영 을 낳았다. 시어의 생소화는 번영의 단면이다. 당시의 어법적 생소화는 주로 근체시에서 목도 된다. 특히 근체시에서 가장 미학적 연이라고 일컬어지는 2연과 3연에 나타난다. 어순의 도치 와 문장성분의 생략은 생소화의 전략이다. 어법적 도치는 앞으로 환위된 요소들이 전경화 효 과를 가진다. 문장성분의 생략은 독자의 상상력이 다양하게 작동할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시 정을 풍부하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4,900원
        29.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udy mainly focuses on the non-classical words in Dunhuang manuscripts of Tang Dynasty. We built a visualized database which not only showes the process of evolution and variation in detail of the non-classical words, but also illustrates the causes of formation, the principles of variation, the product of evolution in this period, and other relative issues. This paper is divided into four sections. The first section is to introduce some achievements of Dunhuang non-classical words, then explain what will be demonstrated in this paper. In section two we make a statistics about what had happened to Dunhuang non-classical words in three periods of Tang Dynasty. For the sake of clarifying the principle of evolution and variation in non-classical words of Dunhuang manuscripts, microscopic research and macroscopic analysis are operated in the third section. The final section makes a conclusion about the whole study. The target of this paper tries to set up a modeling with clue of time so as to conduct a systemic research at the macro level.
        8,100원
        30.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re are many allographs in Sui Tang and 5-Dynasty periods Carved stone Regular script character.This paper is a corpus-based study which chooses and analyzes 9874 allographs extracted from the corpus of Sui Tang and 5-Dynasty periods Carved stone Regular script character for the exploration of its general features.It indicates that, the primary reason of character variation is the variation of the component; the second reason is the variation of the stroke; a distinguishing feature of the allograph is generalizability.
        5,200원
        31.
        201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일부 연구자들은 9세기 장보고 휘하의 신라인들이 항해에 나침반과 첨저선을 이용하여 동북아 해역을 자유롭게 항해하였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항해에 나침반이 이용된 것은 중국이 11세기이고, 유럽이 12세기이다. 게다가 우리 선조들은 평저선을 사용하였다는 것이 학계의 중론이다. 이 논문은 중국 주산군도에서 흑산도를 잇는 동중국해 사단항로(서해남부 사단항로)의 이용 시점에 관하여 해양기상학적 관점에서 재검토해 보려는 시도이다. 이를 위해 고대 동중국해 사단항로에 관한 이제까지의 연구성과를 정리한 뒤, 동중국해의 해황(海況)을 바람과 해류, 안개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뗏목으로 동중국해를 항해함으로써 장보고 선단이 동중국해 사단항로를 이용하였음을 입증하였다는 주장을 비판적으로 재구성해 보았다. 분석 결과 6 7월 해황은 동중국해 사단항로의 범주 항해가 가능함을 보여주고 있지만, 그것도 기상 조건이 아주 유리했을 경우에 한하여 한정적으로 가능했음을 확인하였다. 뗏목 탐사의 경우 제시된 항로도와 실제 선위간 이동경로와는 다소 상이하였고, 속력 또한 1.7 2노트 내외로 빠르게, 그것도 직선에 가깝게 이동한 것으로 분석되어 아주 이례적이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명확한 사료와 확실한 근거가 없는 한 동중국해 사단항로는 1068년 이후 주항로로 이용되었다는 설이 견지되어야함을 재확인하였다.
        4,000원
        32.
        201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唐 傳奇는 中國文學史上 작가가 意圖的으로 虛構的 내용을 小說 로서 創作하기 시작한 최초의 문학장르이다. 이런 傳奇 혹은 傳奇 小說은 그 形式이나 登場人物의 描寫 등에 있어서 史記, 左傳, 戰國 策 등과 같은 史傳文學 (historiographical literature)의 영향을 받 았다. 일반적으로 歷史 혹은 列傳과 같은 歷史的 傳記(historical biography)는 그 形式에서 登場人物의 姓名과 字, 出身地, 및 先祖 등을 먼저 紹介한다. 그 다음에 人物의 科擧及第를 시작으로 官僚 經歷, 隱退, 死亡, 및 諡號 등의 순서로 나열된다. 바로 傳記의 이러 한 形式이 六朝의 志怪는 물론이고 唐代의 傳奇에까지 영향을 미쳤 던 것이다. 그 이유는 傳奇作家들이 歷史的 事實인 實存人物, 實在 事件, 정확한 날짜와 地理的 位置 등을 이야기 속에 使用함으로써 虛構的인 小說을 事實感과 信賴性을 强調함으로써 史實的 構造 속 에서 虛構가 아닌 진짜 事實인 것으로 꾸미고자 했기 때문이다. 다 른 한편으로는 社會 政治的 倫理의 목적으로 歷史에서 列傳이 자리 를 차지하고 있는 것처럼, 傳奇 역시 現實에 대한 敎訓的 目的으로 創作되기도 하였다. 本稿에서는 이러한 唐 傳奇가 形式(formation)에 있어서 歷史的 傳記를 어떻게 模倣하고 있는지를 먼저 살핀 후, 唐代의 時代的 背 景과 時代順을 우선하여, 편리상 이야기의 內容別로 神怪 (supernatural story)․愛情(love story)․歷史(historical story)․豪俠 (knight-errant story) 등 4가지로 나누어 그에 代表되는 作品들을 예로 들면서 登場人物, 事件, 날짜, 실제 地名 등의 歷史的 事實 (historical fact) 여부를 파악하고 또한 이를 어떻게 使用하고 描寫 하였는지를 考察하였다. 간혹 이야기 속의 歷史的 事實이 史實과 부합되지 않는 점이 발견되기도 하는데, 이는 傳奇라는 虛構的 틀 에서 그 내용이 반드시 實在 事實과 일치해야할 필요가 없기 때문 이다. 사실, 傳奇는 일종의 似而非 傳記인 까닭에 이야기 속에서 인 용되는 歷史的 事實은 虛構 속에서 假想의 現實性을 構築하는 役割 을 하여 作家의 意圖를 반영하기만 하면 충분하기 때문이기도 하 다. 이를 통해, 唐 傳奇는 中國 史傳文學의 寫實主義 전통을 계승 발전시키고, 후세의 문학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6,000원
        33.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bracket sets which are supporting the weight of the roof, has to meet both requirements which are structural functions and act as an ornamental element. Therefore the bracket sets differ in many types from time and space and has done an important role in the history of architecture with many studies being presented. The first form of the bracket set has been found in the bronze table relics in zhōng shān wáng líng (中山王陵). Through the Eastern Han dynasty (A.D. 25-220) it became more specific in the shique (石闕) and huaxiangshi (畵像石) in the Han dynasty (206 B.C.-A.D. 220). Afterwards, as Buddhism was introduced to China, the bracket construction techniques shown in the Mogao Caves, Yungang Grottoes, and Longmen Grottoes has given much help for understanding the building techniques of wooden architecture. Especially the Xia-ang structure seen in the Mogao caves shows a vast development in wooden structure and a typical building would be the main hall of Fo Guang Shan monastery in Mt. Wutaishan from the Tang dynasty (A.D. 618-907). This accumulated techniques is inscribed in the 'Ying Zao Fa Shi (營造法式)' wooden structure designs which was published during the Northern Song dynasty (A.D. 960-1127) and many buildings were constructed following this technique after the publication. During this period, it is assumed that Baek-jae (B.C.18-A.D.660) in the Korean peninsula also used the Xia-ang technique, but there havn't been many studies on this field. In this thesis it is introducing the development of the building techniques and structural features of the Xia-ang wooden architecture during the Tang and Song dynasty.
        4,800원
        34.
        201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explores the concept of leanness in Tang Song Ci in three aspects; external leanness, internal leanness derived from longingness, and internal leanness triggered by perceiving lean objects. As for external leanness, Tang Song Ci refers to apricot flowers and chrysanthemums - symbolic plants which persevere the winter cold and come into bloom. The first spring blossoms of apricot flowers symbolizes hope, so without any additional metaphors or emotional expressions, the implication and metaphorical nature of the image itself becomes an excellent medium for describing external objects and articulating thoughts in Ci. On the other hand, the Ci of the Subtle & Concise School in the age of late Tang and the five dynasty period abounds in poetry that depicts leanness caused by inner longing. The early Cis take the form of subtlety and conciseness and have the motif of ladies' longingness; the longing emotions between man and woman are portrayed in the image of leanness. The internal leanness triggered by perceiving lean objects is found in the Cis of late Tang and the five dynasty period as well as those in Song dynasty. Among them all, Li Qing Zhao's distinguished work stands out as they reflect her unique emotions regarding leanness, which developed from her feminine nature as well as her personal tragedy of being widowed and witnessing North Song fall. The same lean objects can be verbalized through different emotions by different poets, creating various meanings; the introspection by the self regarding the object leads to a variety of expressional forms.
        6,700원
        35.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explores the concept of leanness in Tang Song Ci in three aspects; external leanness, internal leanness derived from longingness, and internal leanness triggered by perceiving lean objects. As for external leanness, Tang Song Ci refers to apricot flowers and chrysanthemums - symbolic plants which persevere the winter cold and come into bloom. The first spring blossoms of apricot flowers symbolizes hope, so without any additional metaphors or emotional expressions, the implication and metaphorical nature of the image itself becomes an excellent medium for describing external objects and articulating thoughts in Ci. On the other hand, the Ci of the Subtle & Concise School in the age of late Tang and the five dynasty period abounds in poetry that depicts leanness caused by inner longing. The early Cis take the form of subtlety and conciseness and have the motif of ladies' longingness; the longing emotions between man and woman are portrayed in the image of leanness. The internal leanness triggered by perceiving lean objects is found in the Cis of late Tang and the five dynasty period as well as those in Song dynasty. Among them all, Li Qing Zhao's distinguished work stands out as they reflect her unique emotions regarding leanness, which developed from her feminine nature as well as her personal tragedy of being widowed and witnessing North Song fall. The same lean objects can be verbalized through different emotions by different poets, creating various meanings; the introspection by the self regarding the object leads to a variety of expressional forms.
        6,700원
        36.
        200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ingredients and cooking methods of side dishes in "Chosunmusangsinsikyorijebub" during the year of 1924, approximately. In the recipe for Tang (Guk), there was much use of various parts of beef, fish, shellfish, vegetables, and mushrooms, and soybean paste, hot pepper paste, and soy sauce were used as seasonings. For Chootang and Byulchootang, cinnamon powder was added at the end of cooking. In foods such as Tang (Guk), Gigimi, Chigye, Chim, and steamed dishes, which were made of beef, pork, chicken, various fish, Chinese cabbage, and over ripened cucumbers, and thickened by adding buckwheat powder or wheat powder, the taste of the food was changed by controlling the gravy content. In the recipe for Gorim-Cho, ingredients such as beef, pork, chicken, and various fish were used, which were cooked in boiling water and soy sauce. Boiling or steaming were employed as the cooking methods for Baeksuk, where beef rib Baeksuk was seasoned with salt and fermented shrimp and then boiled. For porgy and herring Baeksuk, the internal organs of the fish were first removed, and then they were steamed with pine needles. Hoei incorporated the flesh of various meats, various beef organs, pork skin, and fish as ingredients, and different dipping sauces and pine nut powder were also used.
        4,200원
        37.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8,400원
        38.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7,800원
        39.
        199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팔당호와 북한강, 남한강 및 경안천의 3개 지류에서 식물플랑크톤에 의한 일차생산력과 광합성 parameter의 계절적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92년 4월, 8월과 10 월 그리고 93년 5월에 걸쳐 4회의 조사를 행하였다. 정점과 계절에 따른 secchi-depth는 0.8 (92년 10월, 경안천 정점 3)에서 2.0 m (92년 4월, 팔당댐 정점 4)까지, chl. a값은 1.7 (93년 5월, 남한강 정점 2)에서 32.8 mg m-3 (92년 8월, 팔당댐 정점 4)까지 변화하였다. 단위체 적당 일차생산력은 92년 8월(605~672 mgC m-3 hr-1)에 가장 높았으며, 정점 사이에서는 경안천 정점 3 (75~ 111 mgC m-3 hr-1)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이외의 정점에서는 16~68 mgC m-3 hr-1의 값을 보였다. 단위면 적당 일일 일차생산력은 역시 92년 8월에 가장 높았으며(8,195~9,341 mgC m-2 day-1), 92년 4월과 10월 그리 고 93년 5월에는 유사한 값을 보였다. 단위면적당 일일 일차생산력은 광도, 유광층의 깊이와 온도에 의해 영향 을 받는 것으로 밝혀졌다. Pmax와 α값은 8월에 가장 높았고, 정점간의 비교에서는 북한강 정점 1에서 가장 높았으며, 팔당댐 정점 4에서 가장 낮았다. 8월(하계)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은 4, 5월(춘계)과 10월(추계)에 비해 강한 빛에 적응되었다. Pmax와 α값은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Pmax와 Ik 그리고 Ik와 α 사이에는 상관관계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4,000원
        40.
        199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hazard analysis which included watching operations, measuring temperatures of foods throughout preparation and display, and sampling and testing for microorganisms of total plate counts and coliform bacteria was conducted in various phases of product flow of Korean soups (Galbitang, Sullungtang, Jangkuk) prepared at Korean restaurants. Cooked foods were sometimes held at room temperature long enough to permit multiplication of bacteria that might have been present. This was confirmed by the finding of large numbers of aerobic mesophilic colonies (106) in samples of such foods after handling and holding for several hours before served. These bacteria decreased down to 101~102 while the contaminated Tang were served. And internal temperature of Tang served was approximately 70℃. Critical control points identified were, pre-preparation, handling after cooking and holding on display. Guidelines were suggested for effective quality control of Tang (Korean soups) production. Handlers of these foods need to be informed of the hazards and appropriate preventive measures.
        4,000원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