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8

        21.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ith the aim to analyze stability performance of six promising barley genotypes, eleven yield related characters were evaluated employing varied irrigation treatments under the tropical climate of Northern part in Bangladesh. Analysis of variance(ANOVA), phenotypic index, regression co-efficient(bi) and deviation from regression(s2d ) of the individual genotypes were estimated to evaluate the stable performance of the genotypes. A significant interac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genotypes and irrigation period(G~timesT ). Among all the genotypes, BSH-2 showed stable performance for plant height under different irrigation period, where P>~barX,~;bi~1~;and~;s2d~0. High phenotypic index, lower bi value and low deviations from regression were observed in case of spikelet number per spike and grain number per spike for genotype BSH-2 and plant height, spike length and harvest index per plant for BB-2 which suggest that those parameters were not usually affected by irrigation. On the other hand the genotype BSH-2 for tiller number and BB-1 for the fertile tiller number were not suitable for favorable moisture content, where P<~barX,~;bi>1.0~;and~;low~;s2d. Thus we suggest that genotype BSH-2 might have transmit high mean and increased phenotypic stability to the next progenies, which may consider as an ideal genotype for developing improved barely cultivars.
        22.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E interaction is the expression of differential genotypic adaptation across environments. GE interactions through different stability parameters and performance of the traits of genotypes were studied. The traits were days to maturity, pod length, number of pods/ plant, 100-seed weight and seed yield/plant in ten soybean genotypes across five environment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for genotypes, environments and GE interactions. Stability analysis after Eberhart and Russell's model suggested that the genotypes used in this study were all more or less responsive to environmental changes. Most of the genotypes perform better in Env.3. Based on phenotypic indices(Pi), regression (S2di) genotype Garurab was found fairly stable for days to maturity. BS-23 and G-2120 may be considered as stable genotype for pod length. All the genotypes except G-2120 showed that the genotypes were relatively unstable under environmental fluctuation for the number of pod/plant. Genotype BS-23 was found most stable among all the genotypes for 100-seed weight. BS-3 and Gaurab was the most stable and desirable genotypes for seed yield in soybean.
        23.
        200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wenty-five promising lowland rice genotypes of eastern India were studied for genetic variability in twelve quality characters and grain yield. Analysis of variance for all the characters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enotypes for all the phys
        24.
        200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내냉성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우리나라 벼 20개 품종을 대상으로 냉수를 수구, 중구, 배수구, 자연구로 구분 처리하여 벼의 생육 및 주요형질간의 상호관계를 검정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냉수관개가 수도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냉수 처리시 자연구 대비 냉수 유입구인 수구, 중구, 배수구에서 출수지연, 간장단축, 이삭추출억제, 수장단축, 수당립수의 감소 및 임실율이 저하되었고 그 정도는 중생종이 조생종보다 더 크게 나타났으며 수수의 경우는 냉수 처리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수량의 경우 수장과 수당립수, 임실율 등 sink의 크기가 감소하여 수량의 감수를 가져왔다. 간장과 이삭 추출도와의 관계를 보면 간장과 이삭 추출도와는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품종에 따른 수량과 타형질 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간장과 고도의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으며(r=0.6954**), 임실비율과도 고도의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다(r=0.5797**). 또한 추출도와도 유의상관이 인정되었으며(r=0.5066*) 출수기와는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다(r=-0.4826*). 적고정도는 조생종의 경우 유묘기에는 금오벼를 제외한 모든 품종이 1~3의 범위에 있어 강한 편이었으나 분열기에는 3~5정도로 다소 약해졌으며 중생종의 경우 유묘기에는 약한 경향이었고 분얼기에는 다소 강하게 나타났다. 수량구성요소를 살펴보면 주요품종이 모두 냉수처리 시 이삭당 영화수, 등숙비율, 천립중이수구〉배수구〉중구〉자연구 순으로 감소하였고, 등숙비율의 경우 타형질에 비해 감소폭이 현저하였다. 수구로부터 거리에 따른 수량의 구성요소와 수량의 감소는 공시품종 모두 수구에서 수량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중구와 배수구로 갈수록 감소의 폭은 적은 경향이었다. '소백벼'와 '오대벼'가 '상미벼'와 '조령벼'에 비해서 수량의 감소는 더 현저하게 나타나는 경향이었다. 냉수처리 시 중산간지 주요 품종의 현미품질은 수구에 가까울수록 청미 발생율이 증가하였으나, 사미 등의 경우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25.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igher level of KCl application stimulated both leaf area index and leaf area duration in all cassava varieties, while the leaf and tuber number of the bitter varieties (high cyanide-level varieties) decreased in proportion to the level of KCl application. The root/shoot (R/S) ratio and harvest index (HI) were negatively related with the level of KCl application in all cassava varieties. The bitter varieties obtained the lowest R/S ratio at the level of 100 - 150 kg KCl ha-1 , while the sweet varieties (low cyanide-level varieties) acquired the highest values at the level of 50 - 150 kg KCl ha-1 . Also, the sweet varieties showed the lowest HI at the level of 250 kg KCl ha-1 , but the bitter varieties at the level of 150 kg KCl ha-1 . At 6 - 8 months after planting, the sweet varieties tended to obtain higher starch content of roots (tubers) at the level of 50 - 150 kg KCl ha-1 , while the bitter varieties at the level of 150 - 250 kg KCl ha-1 . Relatively lower level of 50 - 150 kg KCl ha-1 was more appropriate for decreasing hydrocyanic acid (HCN) content of roots (tubers) in the sweet varieties at the harvest time, and the level of 250 kg KCl ha-1 was adequate to decrease not only HCN content of leaves but also that of roots (tubers) in the bitter varieties during the growing period. To obtain higher yield and starch content of tubers, and lower HCN content of roots (tubers), it was recommended that the sweet varieties are applied with the level of 50 - 100 kg KCl ha-1 and the bitter varieties with the level of 150 - 200 kg KCl ha-1 , respectively, in Latosol soils of Bogor areas, West Java.
        26.
        200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study on genetic variability and association of yield attributing characters with grain yield was carried out using 35 deepwater rice genotypes. High genotypic co-efficient of variation (GCV) was observed for plot yield, EBT/m2 , plant height and days to 50~% flowering (DFF). For all the traits, estimates of the phenotypic co-efficient of variation (PCV) were higher than GCV, indicating presence of environmental influence. High heritability and genetic advance was observed for plot yield, EBT/m2 and plant height. Plot yield had significant positive association with test weight, EBT/m2 and DFF. However, test weight had the maximum direct effect on grain yield
        27.
        200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functions of supernodulating characters on seed yield determination through the comparison of agricultural traits of supernodulating soybean mutants, Sakukei4, SS2-2, and their parent cultivars, Enrei and Shinpaldalkong2. The plant dry weights of supernodulating mutants, Sakukei4 and SS2-2, were 52~% and 61~% of their wild type parents at full seed stage (R6). However, the relative growth rate (RGR) from the pod set stage (R3) to R6 of Sakukei4 was 0.022 g/g/day and that of SS2-2 was 0.016 g/g/day, which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ir parents. Nodule number and dry weight were increased in two supernodulating mutants by the R6 stage. The nitrogen concentrations of leaf, petiole and stem of Sakukei4 were higher than those of Enrei. SS2-2 showed higher nitrogen concentration in petiole than Shinpaldalkong2 had. The positive correlations were appeared between nodule dry weight, plant dry weight and pod number, in two supernodulating mutants during the period from R3 to R6 stage. Although all of the yield components and seed yield were lower in two supernodulating mutants than their parents at the stage of full maturity (R8), the harvest index was higher in supernodulating mutants. The increasing rates of pod number to stem dry weight in two supernodulating mutants showed the higher than those of two their parents at R8 stage. In conclusion, the relative growth rates during the early to the middle reproductive growth period were higher in supernodulating mutants than the wild types. This could be resulted in an increase in pod number. The increase of relative growth rate was the result of the successive supplement of nitrogen source from biological nitrogen fixation (BNF) of nodules during the middle reproductive growth period in supernodulating mutants.
        28.
        200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세기에 재배되었던 우리나라 벼 품종 중에서 육성년대별로 비교적 널리 보급되었던 15개 품종에 대하여 수량구성요소를 분석하고 수량의 연차간 안정성을 검정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량구성요소 가운데 연차간 변이가 가장 작은 품종은 주당수수에서 다산벼, 수당립수에서 조동지, 등숙비율에서 용문벼, 천립중에서 낙동벼, 수량에서 다산벼였다. 2. Stroike and Johnson의 모델을 이용한 분석결과 자포니카에서 일품벼, 화성벼, 동진벼 통일형에서 안다벼, 다산벼가 평균 이상의 연차간 안정성을 보였다. 3. Grafius의 모델을 이용한 분석에서 universal variety의 만족조건을 충족시키는 품종으로는 자포니카에서 일품벼, 동진벼, 화성벼, 낙동벼, 조동지 등이었고, 통일형에서 다산벼와 삼강벼 등이었다. 4. Finlay and Wilkinson의 모델을 이용하여 안정성을 검정한 결과 자포니카에서 다마금. 동진벼, 화성벼, 일품벼 통일형에서 다산벼와 용문벼가 연차간 환경변이에 대하여 적응성이 높았다. 5. 이상의 3가지 검정방법으로 연차간 수량과 안정성을 추정하여 볼 때 공시품종 중에 최근 육성 품종들이 높은 안정성과 수량성을 보이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29.
        199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最近) 질병(疾病)의 예방(豫防) 및 치료(治療) 한약재(韓藥材)와 국민건강증진(國民健康增進) 식료품(食料品)으로 수요(需要)가 증가(增加)하고 있는 작업(芍業)의 신품종(新品種) 육성(育成)을 위(爲)하여 경북(慶北) 농촌진흥원(農村進興院)에서는 1987년(年)부터 1993년(年)가지 7개년간(個年間) 국내(國內) 산야(山野)에서 지방재내종(地方在來種)을 수집(蒐集) 공시(供試)하여 순계(純系)를 분리(分離)하고 우량계(優良系) 통(統)에 대(對)한 생산력검정(生産力檢定)과 지방적응성(地方適應性) 및 농가실증시험(農家實證試驗)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 기존(旣存)의 지방재래종(地方在來種)보다 양질다수성(良質多收性)인 의성작업(義城芍業)을 육성(育成)하였던바 그 主要特性(주요특성)과 수량성(收量性)을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의성작업(義城芍業)은 홀꽃의 적색(赤色)으로 풍기재래종(豊基在來種)에 비(比)해 맹아수(萌芽數)와 근수(根數)가 많고 줄기도 굵으며 뿌리도 직근(直根)이어서 초기생육(初期生育)이 왕성(旺盛)하여 양질(良質)의 생약재생산(生藥材生産)에 유리(有利)한 품종(品種)이었다. 2. 출현기(出現期)와 개화기(開化期)가 빠르고 경장(莖長)이 짧으며 주당(株當) 경수(莖數)와 근수(根數)가 많아 다수성(多收性) 품종(品種)으로 유망시(有望視)되었다. 3. 일반적(一般的) 품질(品質) 특성상(特性上)으로 의성작업(義략城릇芍)은 근육색(根肉色)이 백색(白色)이고 직근(直根)이며, Paeoniflorin 함량(含量)도 높았다. 4. 화학적(化學的) 품질특성상(品質特性上)으로는 풍기재내(豊基在來) 대비(對比) 총당(總糖)은 12.22%, 전분(澱粉)도 9.8%나 많았으며 조단백(粗蛋白)과 조회분(粗灰分)은 대등(對等)하였고 조섬유(粗纖維)는 1.17% 적었다. 5. 의성작업(義城芍業) 병충해(病蟲害) 및 도복성(倒伏性)도 대비(對比) 품종(品種)인 풍기재래종(豊基在來種)보다 강(强)하였다. 6. 10a당(當) 수량성(收量性)으로 볼때 의성작업(義城芍業) 대비(對比) 품종(品種)보다 생산력검정시험(生産力檢定試驗)에서 총수량(總收量)은 42%, 상품수량(商品收量)은 13% 많았고, 지성적응시험(地城適應試驗)에서 각각(各各) 32%, 17% 증수(增收)되었고 농가실증시험(農家實證試驗)에서도 총수량(總收量)은 27%, 상품수양(商品收量)은 19% 증수(增收)되는 양질(良質) 다수성(多收性) 품종(品種)이다.
        30.
        1994.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노화억제제인 사이토카이닌의 엽면살포가 벼의 등숙기간중 잎의 노화, 수량 및 미질관련 주요 형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합성 사이토카이닌인 BA와 DPU 10ppm을 동진벼의 출수기, 출수후 10일, 21일에 1회 처리 또는 출수후 2회 및 3회 처리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BA와 DPU를 출수기, 출수후 10일 및 21일에 1회 처리한 경우는 잎의 노화억제효과가 낮거나 없었으며, 출수후 10일간격으로 2회 또는 3회 연속처리의 경우는 잎의 노화억제 효과가 현저하였다. 잎의 노화억제 효과는 DPU보다 BA가 켰다. 2. BA와 DPU 모두 처리시기 및 처리횟수에 관계없이 등숙율, 천립중 및 수량의 향상 효과는 없었다. 3. BA처리에 의하여 청치와 복백미의 비율이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사미와 심백미의 비율은 차이가 없었다. 4. 백미의 아밀로스함량은 BA와 DPU처리에 의하여 변하지 않았으나 단백질함량은 BA처리에 의하여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5. 백미중의 지방함량은 1회처리에 의하여는 무처리와 차이가 없었으나 출수후 10일 간격으로 2회 및 3회 처리한 경우는 무처리에 비하여 30∼78%높아졌다. 한편 BA와 DPU처리에 의하여 불포화지방산 조성비가 다소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31.
        1993.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시험은 유ㆍ무한신육형콩의 생육 및 수량형질의 차이와 그 변이 정도를 구명하고 콩 육종 및 재배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1990년 수원 작물시험장에서 실시하였다. 유한신육형인 황금콩과 장엽콩, 무한신육형인 Clark와 Qilliams를 공시하여 재식밀도는 휴폭을 60cm로 동일하게 하고 주간을 10cm (밀도, 33개체/m2 ), 15cm(표준, 22개체/m2 ) 및 20cm(소식, 16개체/m2 )로 달리하여 생육 및 수량형질의 재식밀도 반응을 검토한바 그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단위면적당(m2 ) 분지수와 분지절수는 유한신육형이 무한신육형 보다, 단위면적당(m2 ) 주경절수는 무한신육형이 유한신육형 보다 많았으며 밀식일수록 증가하였다. 2. 단위면적당(m2 ) 입종은 유한신육형이 무한신육형보다 많았고, 밀식일수록 많았다. 3. 수량구성요소의 주경의존도는 밀식일수록 높아 졌는데 이러한 경향은 유한신육형 보다 무한신육형에서 더 컸다. 4. 입경비는 무한신육형이 유한신육형 보다 높았으며 소식일수록 증가하였고,면적경중은 유한신육형이 무한신육형 보다 많았으며 밀식일수록 증가하였다. 5. 개체간 변이 분석 수량형질 > 개체전체의 수량형질 > 주경의 수량 형질 > 주경의 형태적 형질 및 100입종의 순으로 컸으며 유ㆍ무한신종육형간에 뚜렷한 차이는 분지 관련 형질이었다. 6. 재식밀도 변화에 따른 개체간 변이의 변동이 큰 형질은 분지의 수량형질로서 무한신육형이 유한신육형에 비하여 변이폭이 컸다.
        32.
        199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은 유ㆍ무한신육형간의 생육 및 수량형질의 차이와 그 변이정도를 구명하여 콩 육종과 재배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89년에 수원 작물시험장에서 실시하였다. 유한신육형인 황금콩과 장엽콩, 무한신육형인 Clark와 Williams를 공시하여 신육형간의 생육과 수량형질의 차이를 구명한 바 그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무한신육형은 유한신육형보다 개화시로부터 정엽전개기까지의 일수가 평균 30일 더 길었으며 개화시 이후 주경절수도 7-8개 정도 더 증가되었다. 2. 유한신육형은 성숙기의 협실과 경의 건물중이 중하부에서 많았으며, 무한신육형은 중간부위에서 많았다. 3. 전 생육기간을 통하여 유한신육형이 무한신육형에 비하여 단립면적당 건립중이 높게 경과하였으나 무한신육형은 영양생장기간이 길고, 생육후기에 있어서 엽면적의 유특능력이 유한신육형보다 컸다. 4. 개체간 변이는 분지형질>주경과 개체전체의 생육 및 수량형질>주경의 형태적형질과 100립중의 순이었다. 5. 초기에 형성되는 생육형질보다는 후기에 성립되는 수량형질의 변이가 대체로 크게 나타났고, 무한신육형이 유한신육형보다 변이가 컸다. 6. 개체내 1립중의 변이계수가 유한신육형은 13.6-13.8%, 무한신육형은 18.5-21.1% 로서 유한신육형이 무한신육형보다 개체내 1립중의 변이가 작아 립의 평균일도가 높았다.
        33.
        199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들깨의 종실ㆍ엽 겸용 신품종인 '엽실들깨'를 공시하여 정식기별로 채엽회수와 채엽시기를 달리할 경우 생육특성, sink 관련형질 및 종실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시험을 실시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상품가치가 있다고 보여지는 충분히 전개된 잎을 대상으로 채엽한 결과 경장은 무채엽구에 비하여 작아지는 경향이었다. 2. 채엽이 경태, 절수, 분지수 등에는 크게 영향을 주지 않았다. 3. 채엽에 의해 sink 관련형질인 화방수, 천립중을 감소시켜 종실수량이 낮아졌으며, 채엽회수가 많을수록 채엽시기가 늦을수록 영향이 큰 경향이었다. 4. 종실ㆍ엽 겸용 들깨재배시에는 종실수량 감소가 크지 않고 채엽에 의한 소득이 증대될 수 있는 조기채엽이나 1-2회 채엽이 바람직하였다. 5. 재배목적이 종실과 엽을 동시에 생산하고자 할 경우에는 5월 10일 파종 6월 20일 정식이 가장 적기이며, 6월 10일 파종 7월 20일 정식까지는 재배가 가능할 것으로 보였다.
        34.
        199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담배육종에 있어 유용형질이 담배 수량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 및 간접효과들을 잡종초기세대에 분석함으로써 앞으로의 선발육종에 대한 기초정보를 얻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시험방법은 유전적 특성이 다양한 8개 품종을 공시하여 이면교잡을 하고 양성된 F1 , F2 각 세대별 28개 조합을 Orient 및 Burley 종 각 재배법에 따라 1986년부터 1988년까지 본 연구소 대구시험장에서 수행하였다. 조사항목은 초장, 엽수, 엽장, 엽폭, 개화일수 및 수량 등 6개 농업형질과 nicotine, total nitrogen, protein nitrogen, total volatile base, pet. ether extract 등 6개의 내용성분들로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각 형질들의 수량에 대한 직접효과는 세대나 재배법에 따라 다소의 차이는 있었지만 대개 엽장, 엽폭, 개화일수 및 엽수의 순으로 높았으나 내용성분은 낮았다. 2. 간접효과는 재배법이나 세대에 관계없이 대개 엽장, 개화일수, 그리고 total nitrogen의 형질들이 타형질에 미치는 영향이 컸었다.
        35.
        199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새로 육성된 단경종콩의 재식밀도와 시비량 차이가 생육 저형질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분지수는 관행재식거이인 60 10cm 보다 밀식인 30 15cm에서 감소를 가져오지 않고 개체당분지수가 적어 분지보다 주경에 의존하는 밀식적응성 품종의 특성을 보였다. 2. 절위별 협수는 단경콩이 재식거리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나 팔달콩은 재식거리 20 10cm를 제외하고 큰 차이가 없어 밀식적응성이 컸다. 3. 절위별 협당립수는 재식거리 및 품종에 관계없이 상위절위에서 많았고, 절위별 협수나 립수는 중위절에서 변이폭이 작았다. 4. 재식거리에 따른 LAI의 변화는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 증가되었다. 5. 소식에 비해 밀식할수록 주당립수는 적었으나 단위면적당 립수가 늘어 증수되었으며 다수확을 위한 적정재식거리는 25 10cm였다. 6. 근류착생은 무시비구에서 많았으며, 단경콩이 팔달콩보다 많아 질소무시용구에서 질소고정 능력이 큼을 시사하였다. 7. 수량은 3요소시용구 대비 인산 > 가리 > 질소 무시용구 순으로 감수폭이 적었고 질소무시용구는 근골착생량이 많은 단경콩이 팔달콩보다 적게 감수되었다.
        36.
        198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남부지방에서 황금의 직파재배시 재식밀도가 생육과 품질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적정 재식거리를 확립하고자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초장은 밀식일수록 크고, 소식일수록 짧아서 재식주수와 초장은 고도의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2. 경직경과 분지수는 소식일수 크고 밀식일수록 적었다. 3. 수량구성요소인 주당 근장과 건근중은 재식주수가 많을수록 감소되어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10a당 건근중은 재식주수가 많은 밀식구에서 증가되는 경향이었다. 4. 품질은 밀식에서는 1개 건근중이 가벼워 상품비율이 낮았으나, 소식에서는 1개 건근중이 무거워 상품비율이 높았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보아 30 10cm(33주/m2 )가 상품비율이 높고 1개 건근중도 무거워 알맞은 재식거리로 사료된다.
        37.
        198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옥수수 자식계통의 수량 및 주요형질에 대한 조합능력을 조사하고. 사료용 단교잡종 옥수수의 선발을 위하여 7개 자식계통의 이면교배에서 생육된 21개의 F1 을 공시하여 3개 환경조건에서 포장시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총건물중에 있어서는 교잡종 Hi 34 Tx 601이 가장 높았으며, Hi 26 Hi 34와 Hi 29 Hi 34도 비교적 높은 수량을 보였다. 일반적으로 개화기와 숙기가 늦은 교잡종들이 수량이 높은 경향이었다. 2. 초장은 간엽중과 부의 상관을 보였으며, 수량구성요소는 종실수량과 부의 상관을 나타냈다. 엽면적지수는 종실수량 및 간엽중과 고도의 상관을 보였으며 사료용 교잡종 옥수수의 선발에 엽면적지수가 고려되어야 할 하나의 요인으로 생각된다. 3. 공시된 7개의 자식계통 중에 종실수량 및 간엽중에 있어서 자식계통 Hi 34가 일반조합능력이 가장 높았으며, Hi 31과 Hi 33은 낮았다. 자식계통 Hi 34는 수량구성요소에 대한 일반조합능력도 높은 편이었다. 수병(Puccinia sorghi)은 수량 및 모든형질과 부의 상관을 보여 수병이 수량감소에 크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4. 수량 및 주요형질의 일반조합능력은 환경과 유의성 있는 상호작용을 보였으며. 이는 조합능력의 반응이 환경에 따라 상이함을 나타냈다. 5. 종실수량 및 간엽중의 일반 및 특정조합능력은 모두 고도의 유의성을 보여 상가적 및 비상가적 인자가 관여하나, 일반조합능력의 값이 특정 조합능력의 값보다 현저히 크기 때문에 상가적 인자의 작용이 더 큰 것으로 사료된다.벼알의 변색정도가 심할수록 등숙율과 정조 1,000 입중이 현저하게 떨어졌으며 그 감소정도와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7. 방풍망 설치방법별로는 한냉과습한 냉조풍과 고온건조한 편서풍을 모두 방풍할 수 있는 종합방풍시설이 가장 효과가 컸으며 방풍망 설치시기별로는 수잉기에 설치하는 것이 가장 효과가 컸다.관이 있었다. 전당함양과 가용성 고형물과는 관계가 없거나 부의 상관이 있었다.장백콩 및 봉의에서 그 차이가 현저하였다. 그러나 포장시험에서는 이와 같은 경향이 현저하지 않았다. 8. 수량구성요소중 개체당 협수 및 입수는 토양 pH가 낮은 경우에 크게 감소하였고 그 정도는 또한 품종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있어 단엽중과 황금콩에서 코고 장백콩, 봉의 및 외알콩 등에서 작았다. 그러나 협당 입수와 100입중은 토양산도에 따른 유의적 차이를 인정할 수 없었다. 9 종실수량은 품종. 토양산도간 및 이들의 상호작용에 모두 유의성이 인정되어 황금콩은 각 토양pH 수준에서 다른 품종에 비하여 가장 다수이었고 단엽콩과 장단백목은 pH 7 수준에서는 다른 품종에 비하여 다수이었으나 pH 5 수준에서는 황금콩이외의 품종에서는 현저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토양산도간 차이는 장백콩에서는 거의 볼 수 없고 봉의와 외알콩에서는 미미하였으며 그 밖의 품종에서는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10. 수량과 수량구성요소간의 상관은 개체당입수와 협당입수가 수량과 유의적 상관을 나타내었고 특히 토양 pH 5 수준에서 보다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개체당 협수는 pH 5 수준에서는 수량과 유의적 상관을 보였으나 pH 7 수준에서는 유예적 상관을 인정할 수 없었다. 11. 종실중의 단백질 함량도 토양 pH가 낮은 경우에 현저히 떨어졌는데 그 정도는 품종에
        38.
        198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율무 파종기에 따른 생태적 형질, 수량 구성요소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장성 재래종을 공시하여 파종기를 3월 20일부터 10일 간격으로 5월 10일까지 6 처리로 파종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현일수, 출수일수는 만반할수록 빨라지고 주간엽수는 조파할수록 많아지는 경향이었다. 2. 성숙일수는 3월 20 일부터 4월 20일 파종까지는 63∼66일 걸렸고 그후 파종에서는 68∼77일로 지연되었다. 3. 간장은 4월 10 일 파종에서 186.6 cm로 가장 길었고 이보다 조ㆍ만파의 경우에는 짧아지는 경향이었다. 그러나 각 파종기간에 유의차는 없었다. 4. 간직경은 4월 10 일과 4월 20 일 파종에서 10. 1 mm로 가장 굵었고 이보다 조ㆍ만파의 경우에는 세간되었다. 5. 유교 분얼수는 4월 10 일과 4 월 20 일 파종에서 6.2개로 가장 많았고 이보다 조ㆍ만파의 경우에는 줄어들었다. 6. 백립중은 4월 10일 파종에서 10.7gr으로 가장 무거웠고 이보다 조ㆍ만파의 경우에는 가벼워지는 경향이었다. 7. 등숙률은 4 월 10일 파종에서 87.4%로 가장 높았으며 파종기가 늦은 5월 10일에 76.3%로 가장 낮은 경향을 보였다. 8. 수량은 4월 10 일 파종에서 602.8kg으로 최고 수량을 나타내 이 시기를 파종적기로 볼수 있다. 9. 조단백질, 조지방, 조섬유, 조기분은 파종기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는데 이중 조단백질은 파종기와 정상관을, 조섬유는 부상관을 보였다.
        39.
        1986.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x 126조합으로부터 분리된 농녹색업과 담녹색엽 near-isogenic계통의 광합성 정도와 생장특성 및 수량관련형질들을 비교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농녹색엽계통이 담녹색영계통보다 엽록소 a, b 및 총엽록소 함량은 현저히 높았으나 엽록소 a, b의 비율은 큰 차이가 없었다. 2. 출수기 지엽에 있어서 단위엽면적당 광합성율은 농녹색엽계통이며 높았으나 단위엽녹소당 광합성량은 담녹색엽계통이 더 높았다. 3. 이앙부터 출수기까지의 CGR은 농녹색엽계통이 더 높았으며 이는 NAR이 높은 데서 기인된 것으로 해석되었다. 4. 농녹색엽게통의 주당수수, 주당영화수 및 주당수량은 담녹색엽계통에 비해 각각 높았으나 1,000입중과 등숙율은 두 계통간에 차이가 없었다.
        40.
        1982.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맥주나 위스키용 원맥 확보를 위하여 맥주맥과 대과맥의 생육, 수량 및 품질특성을 비교하고 아울러 맥주맥의 질적 개선을 위하여 일본의 맥주맥의 특성과 비교 조사를 하였든 바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맥주맥의 출수기는 대과맥보다 빠르고 성숙기는 대맥과 비슷하나 과맥보다는 빠르며 등숙일수는 비슷하였다. 2. 대과맥품종은 추파성이나 맥주맥품종은 춘파성이고 내한성이 약하며 단일반응에 대과맥보다 둔감한 편이었다. 3. 간장은 대과맥에 비하여 맥주맥품종이 짧으며 수장은 훨씬 길다. 4. 수량구성요소중 m2당 수수가 많고 천립중은 무거우나 수당립수가 적으며 수량은 맥종간에 차이가 적어 비슷하였다. 5. 품질중에 있어서 맥주맥은 대과맥에 비하여 발아율, 발아세가 좋으며 단백질 함?이 낮았다. 또한 맥아수량율, Extract맥즙, Extract수량, Kolback 지수, 효소력도 좋을 것으로 알려졌다. 6조대맥은 맥주용이나 위스키용으로 외국에서 이용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등숙기간이 짧고 등숙이 불량하여 모든 품질특성이 맥주맥보다 불리하여 양조효율이 낮을 것으로 보였다. 6. 검사규격에서 맥주맥은 천립중이 무거운데도 불구하고 대과맥에 비하여 각등급에서 정립율이 오히려 낮고 피해립, 이종맥 등의 최고한도비율은 낮았다. 7. 한국과 일본의 맥주맥의 생육특성은 대체로 비슷하며 한국이 일본품종보다 m2당 수수가 많으며 등숙은 기상적으로 보아 일본의 맥주맥품종이 맥아수량율이 낮으나 발아율, 발아세가 좋고 Extract 맥즙, Extract가 많으며 Kolback 지수와 효소력이 높아 전체 품질면에서 좋았다. 8. 한국의 맥주맥 검사규격을 발아세와 정립율이 낮고 쇄맥, 피해립, 이상맥, 이물 등의 최고한도가 높아 품질적으로 매우 불량하였다.되었다./TEX>의 환자에서 가능하였다. 기간은 1달에서 76개월 사이로 평균 33.73±22.18 개월이었고, 이들 환자의 병기는 각각 1기가 5예, 2A기가 21예, 2B기가 9예, 3기가 15예, 4기가 5예였다. 수술사망환자를 포함한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전체 환자의 생존율은 1년 58.43±6.5~% , 3년 35.48±7.5~% , 5년 18.81±7.7~% 였고 최장 생존환자는 병기 1기로 108개월 째 추적관찰 중이다 세포형별, 성별, 문합위치별, 암의 위치, 술 전, 술 후 병합 요법의 시행과 생존율의 차이에는 통계학적 유의성이 없었지만 병기별, 71, 2, 3, 4 군간의 비교, N0과 Nl군간의 생존율의 차이는 통계학적 유의성이 있었다(p<0.05). 결론: 대개 식도암에 대한 치료는 고식적 치료가 많은 환자에서 이루어지고 있지만 조기 진단 및 적극적인 수술적 절제, 적절한 술 후 치료 등으로 장기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고 생각된다를 보였으며, 수술시간이 단축되는 장점과 합병증 발생이 감소되는 경향을 고려할 때 CCAB보다 우월하므로 좌심실 기능이 심하게 저하된 환자 수술 시 먼저 시도해 보아야 할 것이다.단된다. 또한 차광을 이용한 한국잔디의 녹색기간 연장은 10월 초순부터 11월 중순까지는 비닐피복을 하고 11월 하순부터는 비닐+검정 차광망을 피복하는 것이 효과적인 방법으로 판단된다. 반면 한지형 잔디의 초겨울 녹색기간 연장은 11월 중순부터 비닐을 피복하여 12월 중순까지 광합성을 유도하고 12월 하순부터는 검정 차광망을 피복하여 엽록소 분해를 지연시켜 준다면 동계기간 내내 일정 수준의 녹색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