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7

        21.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dual effectiveness of Opuntia ficus indica extracts for browning inhibition and microbial inactivation on fresh-cut apples was investigated. Prepared apple slices were treated with 25, 50, 100, 200 mg/mL Opuntia ficus indica extracts, packaged in polyethylene bags, and stored for 10 days at 4, 21oC. Results indicate that Opuntia ficus indica extracts significantly (P < 0.05) inhibited the browning reaction of fresh-cut apples. This treatment also reduced peroxidase activities. The populations of Staphylococcus aureus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ing extract concentration (p < 0.05). In particular, S. aureus was reduced to non-detectable levels after 2 days in 100 mg/mL treatment at 4oC and 21oC. Opuntia ficus indica extracts therefore have antibacterial and antibrowning effects. The results suggest that Opuntia ficus indica extracts could be useful as a natural food preservative.
        4,000원
        22.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건조 전처리로서 염침지가 사과의 건조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사과를 2, 5% 농도의 염수에 10분간 침지한 후 50℃에서 3시간 동안 건조하였고, 건조 간에 수분활성도, 수분함량, 조직감 및 색도를 측정하였고,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수분함량은 염침지에 의해 증가하였고, 반대로 수분활성도는 염침지에 의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수분활성도와 수분함량의 관계를 지수함수를 통해 분석한 결과 염침지에 따라 수분활성도에 해당하는 수분함량이 대조구에 비해 높아져 수분보유력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조직감의 경우 건조가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였는데, 5%에서 가장 균일한 감소를 보였다. 또한 염침지에 따라 전단력이 다소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처리구의 색도는 건조 후 L값이 감소하고 a값은 증가한 반면, 대조구는 L값이 증가하고 a값은 감소하여 상당한 수준의 갈변이 관찰되었다. 외관에서도 염침지한 시료는 갈변이 거의 나타지 않았다. 밀도는 염농도가 높을수록 낮았다. 관능평가결과는 2%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기호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3.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미 FTA가 발효되면서 미국산 사과가 중장기적으로 국내시장을 잠식할 것이 예측되지만, 역발상으로 한국산 사과의대미 수출을 증대시키면 수출시장의 다변화 측면에서 매우 긍정적인 효과를 가질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사과수출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미국 거주 한인들을 대상으로 소비자조사를 통한 한국산 사과 속성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였으며, 분석방법은 중요도-만족도 분석과 로짓 모형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및 함의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먼저 미국 사과 수출을 위해 집중적으로 관리가 필요한 요인은 가격이다. 재미 한인들은 가격에 대해 중요도는 매우 높은데 비해 한국산의 만족도는 매우 낮게 평가하고 있다. 또한 가격의 중요도와 민족도의 차이는 한국산 사과 소비의향에 영향을 미치며, 중요도와 만족도의 차이가 클수록 한국산 사과를 구입할 확률은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므로 한국산 수출사과의 가격인하는 수출신장을 위해 매우 중요한 조건이다. 그렇다면 국내 사과시장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는데 어떻게 수출가격을 인하할 수 있는가의 문제에 직면한다. 이 문제는 적합한 수출시기 선택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추석에 사과소비가 많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추석직후는 사과가격이 하락한다. 이 시기에 수출사과를 매입할 경우 수출가격은 인하하며, 국내 시장가격의 지지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당도, 씹는 느낌, 안전성 등의 내적 요인과, 빛깔은 지속적으로 잘 유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당도, 씹는 느낌, 안전성 등의 내적 요인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의 차이는 한국산 사과 소비의향에 영향을 미치며, 중요도와 만족도의 차이가 클수록 한국산 사과의 구입할 확률은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므로 미국산 사과와 경쟁하기 위해서는 고품질 사과를 엄선하여 수출해야 한다. 이를 위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엄격한 품질관리를 위한 수출조직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수출조직의 육성을 위해서는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수출보조금을 이 조직을 통해서 지불하는 방안을 들 수 있다. 또는 수출사과의 자조금제를 신설하여 이 조직이 운영하는 방안 등을 들 수 있다. 셋째, 표면, 브랜드, 포장은 중요도와 만족도가 모두 낮기 때문에 우선순위를 낮추어도 좋으며, 크기와 모양은 중요도는 낮은데 비해 만족도가 높아 불필요한 과잉 관리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또한 표면, 브랜드, 포장, 크기, 모양은 중요도와 만족도의 차이가 한국산 사과 구입의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소비자의 사회경제적 특성변수 중에서 연령과 가구소득에 대한 추정계수가 양(+)으로 통계적 유의성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국산 배가 미국의 동양식품점에서 거래되는 점을 감안할 때 소매단계의 유통기관으로는 동양식품점이 적합하다. 또한 소비대상은 한국산 사과에 대해 거부감이 적고 신뢰도와 충성도가 높은 한인들이 적합하며, 목표 소비자는 재미 한인 중에서 장년층과 고소득층으로 설정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4,000원
        24.
        201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농업기술을 정보기술과 융합하여 농산물에 대한 in-situ 신속측정기술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농업기술과 정보기술에 대한 가교적 컨텐츠(bridging contents)가 요구된다. 사과의 전분 함량은 성숙도 또는 숙성도를 평가하는 주요 지표 중의 하나이다. 사과의 전분 함량을 현장에서 신속히 평가하게 되면 수확 및 저장 관리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시각에 의해 사과의 전분 함량을 신속히 평가하는 방법을 고안하고자 먼저 3종의 전분지수를 제안한 후, 총 전분 함량 및 아밀로오스 함량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전분함량에 대한 전분지수의 검정력을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전분지수를 HLS(Hue-Lightness-Saturation) 영상으로 전환 후 전체 면적 대비 순청색(pure blue)에 해당하는 면적의 비로 정의할 때 총 전분 함량을 가장 잘 표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총 전분 함량은 수분 함량의 영향을 배제한 건량 기준으로 표시할 때 전분지수의 검정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전분지수 표시법을 정보기술과 접목하면 매우 효과적인 현장 기술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28.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육성 품종인 3년생 '홍로'와 도입 품종인 4년생 '갤럭시갈라' 사과를 대상으로 정아 고사 시 장과지 및 액아의 활용 가치를 알아보고자 결과지 길이 및 꽃눈 위치 따른 개화 및 과실 특성을 조사하였다. '홍로'와 '갤럭시갈라' 모두 개화시, 만개기 및 낙화기는 20 cm 이상 결과지에서 5 cm 미만과 10~15cm 결과지보다 다소 늦었다. 화총당 꽃수도 때 정도 적었다. 과중, 종자수, 당산비 등 대부분의 과실 특성은 5 cm 미만과 10~15cm 20 cm 이상 결과지보다 높았지만, 당도와 산 함량은 반대의 경향이었다. 20 cm 이상 결과지의 정아와 액아 간 대부분의 과실 특성은 액아에서 좋은 경향을 나타내었지만, '홍로' 사과의 종자수, '갤럭시갈라'의 Hunter a값을 제외하고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리고 두 품종 모두 과중과 종자 간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정아 고사 시 장과지로 대체 활용할 수 있고 '갤럭시갈라'의 경우 액화아의 이용도 가능하였다.
        4,000원
        29.
        200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reference and perception on fruits especially, focusing on apples and pears served in elementary school lunch program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106 students (504 female and 595 male students)from seven elementary schools in Seoul. The survey was conducted by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rom July 10 to July 20, 2006. Based on the frequency analysis results, 45% of respondents ate fruits every day and 42% had fruits 2-3 times per week. Approximately, 53% of respondents indicated their usual time to eat fruits was after dinner and secondly 27% had fruits between lunch and dinner. Majority of respondents chose a watermelon as the most preferred fruits and the first chosen among nine fruits (apple, pear, madarin, strawberry, cherry tomato, watermelon, grape, melon, and peach). Cherry tomato was found as the least preferred fruits by 30% of students, however cherry tomato was most frequently offered fruits in elementary school lunch menu. About 50%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served fruits in their school lunch program. In addition, most students said that they would have fruits more frequently in their lunch menu. However, one fifth of students addressed that they were not satisfied with the fruits in school lunch program because of kinds of fruits, freshness of fruits, taste of fruits, and quantity of fruits. Almost 71% of students preferred apples. Seventy three percents of students preferred eating apples without peel and 78% of students ate apples as slices of apples. In addition, 61% of students indicated their preference of apple salads. Many students responded they did not eat apples and pears frequently since they do not have a chance to eat them. The implications to increase the chance to eat fruits and promote elementary children's fruits consumption were discussed.
        4,000원
        32.
        199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바이오 그린 기능수는 지하수 순수화→처리 촉매제 첨가→에너지 imprinting→여과 과정을 거쳐 제조되는 미약 에너지 발생 신소재로서 10년생 사과 쓰가루/M26 품종의 수관하부에 1995년 4월 20일, 5월 20일 및 6월 20일 ‘바이오 그린’ 기능수를 주당 0, 5, l0l씩 관주 처리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과원 토양의 화학적 특성에 있어서 무처리구의 pH 5.73에 비하여 기능수 처리구는 pH 6.31-6.43이었고, 기능수 처리에 의하여 치환성 Ca 및 Mg 함량이 증가되었다. 한편 P2 O5, K 및 B 함량은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기능수 처리에 의하여 수확기 사과 과실의 당함량과 과피의 안토시아닌 함량이 증가되었고, Ca 함량이 현저히 증가되었다. 그러나 N, K, Mg는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기능수가 처리된 사과의 수체특성에 있어서 뿌리활력과 잎의 광합성 능력이 향상되었다. 과실 저장중 (4℃) 기능수 처리구의 과실은 고두병 발생이 현저히 감소되었고, 호흡과 에틸렌 발생량이 상대적으로 적었으며, 높은 과실 경도를 나타냄으로써 과실 저장력이 향상되었다.
        4,000원
        33.
        1997.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variation of free sugar and free amino acid contents of apples during the ripening period was determined by HPLC and amino acid analyzer.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es: Fructose, glucose and sucrose were present in the apples. The contents of fructose was the highest, followed by the order of sucrose and glucose. The contents of total sugar in Red fuji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Fuji. During the ripening period, the contents of fructose increased conspicuously for the harvesting season and then it decreased gradually. The contents of glucose increased gradually for the harvesting season and then it somewhat decreased. The contents of sucrose increased continually, while, the contents of total free sugar reached the maximum for the harvesting season and then it decreased gradually. A variation in the contents of free amino acid and composition during the ripening period didn't make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major free amino acid of the apples was in the order of aspartic acid, serine, threonine, glutamic acid, histidine, arginine, and alanine. During the ripening period, aspartic acid, threonin, serine, alanine, histidine, and arginine increased gradually. Especially, alanine, histidine, and arginine increased remarkably after the the harvesting season. Glutamic acid, valine, isoleucine, and leucine didn't show much change. The contents of total amino acid increased little by little as the apples ripened, dranstically increased during the harvesting season and slowly increased or slightly decreased after the harvesting seasom.
        4,000원
        34.
        198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uji의 감압저장중(減壓貯藏中) 품질변화(品質變化)에 미치는 영향을 효소적(酵素的)인 면(面)에서 관찰하고자 preclimacteric 단계에서 수확하여 상온(常溫)() 및 저온(低溫)(), 감압(減壓)(380mmHg) 및 상압(常壓)(760mmHg)에서 저장(貯藏)하여 경도(硬度), 산(酸), 당(糖) 그리고 효소활성(酵素活性)의 변화 및 전기영동형(電氣泳動型)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Fuji 사과의 Acid-phosphatase는 cell wall fraction에 주로 존재하며 climacteric maximum에서 최고의 활성(活性)을 보였으며 이후로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상온상압구(常溫常壓區)에서 변화의 폭이 가장 크고 활성(活性)이 높았으며 그 다음 상온감압구(常溫減壓區), 저온상압구(低溫常壓區), 저온감압구(低溫減壓區)의 순(順)이었다. 효소(酵素)의 최적(最適) pH는 5.5, 최적온도(最適溫度)는 였다. 열(熱)과 pH의 안정성(安定性)을 조사한 결과 까지는 안정하였으며 pH 5~8사이에 안정하였다. 무기감(無機監) 영향에서는 Fe, Hg에 의해서 크게 저해(沮害)되었다. 저장중 상온상압구(常溫常壓區)와 저온감압구(低溫減壓區)에서 저장기간별로 추출해낸 효소액(酵素液)을 전기영동(電氣泳動)시킨 결과 전기간(全期間)에 걸쳐서 약간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4,000원
        35.
        2017.11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사과는 에틸렌에 의해 호흡량이 일시적으로 상승하는 호흡급등형 과실이다. 에틸렌 발생은 세포벽분해효소 활성화와 세포벽 연화를 진행시켜 사과의 상품성과 저장성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된다. 사과의 에틸렌 생합성 과정에는 Md-ACS1 및 Md-ACO1 유전자가 연관되어 있으며, 두 유전자는 과실의 에틸렌 발생량과 경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사과 국내육성 28품종의 Md-ACS1 및 Md-ACO1 대립유전자형을 분석하고, ‘Fuji(FJ)', ‘RubyS (RS)', ‘Hongro(HR)', ‘Arisoo(AS)', ‘Summer King(SK)', ‘Greenball(GB)', ‘Golden Supreme(GS)'을 대상으로 수확 후 25일까지의 에틸렌 발생량 및 상온저장(20℃) 20일 동안의 경도 연화율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낮은 에틸렌 발생량과 관련 된 대립유전자(favorable alleles0(FA)) ACS1-2, ACO1-1이 많을수록 에틸렌 발생량과 경도 연화율이 낮은 경향을 보였다. GS은 ACS1-1/1, ACO1-1/2(FA 1)으로 모든 품종 중 가장 높은 에틸렌 발생 수치와 경도 연화율를 보였다. SK와 GB은 ACS1-1/2, ACO1-1/2(FA 2)으로 ACS1-2/2, ACO1-1/2(FA 3)인 HR와 AS 보다는 높고 GS 보다 낮은 에틸렌 발생량과 경도 연화율을 보였다. ACS1-2/2, ACO1-1/1(FA 4)인 FJ는 RS를 제외한 모든 품종 중에 에틸렌 발생량과 경도 연화율이 가장 낮았다. 본 실험의 결과 Md-ACS1 및 Md-ACO1 대립유전자형과 사과의 에틸렌 발생량 및 경도 연화율은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Md-ACS1 및 Md-ACO1 분자표지를 사과 국내육성 품종의 저장성 예측과 육종 효율 향상을 위한 Markerassisted selection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 된다.
        36.
        2016.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Jonathan’ apples are relatively small size which contributes to enhancing fruit consumption and gaining popularity. Thu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s of AVG (aminoethoxyvinylglycine, ReTain®), sprayable 1-MCP (1-methylcyclopropene, HarvistaTM), and fumigation 1-MCP (SmartFreshTM) applications on fruit quality attributes and storability in ‘Jonathan’ apple fruits during cold-stored. The Jonathan fruits were dipped with either ReTain (75 mg/L) or Harvista (125 mg/L) solutions for 5 min, or fumigated with SmartFresh (1 mg/L) for 18 hr before storage at 0±1℃ for 75 days. Flesh firmness and titratable acidity remained higher in all pre-treated apples than control ones during cold storage period. Flesh firmness was higher for apples treated with ReTain and SmartFresh than samples treated with Harvista, while soluble solid content and respiration rate were not affected by sample pretreatment. Internal ethylene concentration (IEC) of all pretreated apples remained below about 4.5 μL/L during the entire storage period while that of control sample greatly increased to 10.29 μL/L. Ethylene production was much higher in control fruits than in treated ones during cold storage.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ReTain and 1-MCP treatments would be considerably effective in retention of fruit quality attributes of ‘Jonathan’ apple during cold-stored.
        37.
        2016.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 in the quality of early season Fuji apples that were subjected to eight different storage conditions using the developed controlled atmosphere (CA) storage system. Early season Fuji apples grown at Mungyeong, in the South Korea, were harvested in September 2014 for storage studies. Flesh firmness, titratable acidity, total soluble solid content, weight loss, and internal browning disorder were used as quality indicators for the stored apples. Flesh firmness and weight loss were better than that of the control after 70 days of storage.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itratable acidity or total soluble solid content among the apple samples from eight chambers after storage. The internal browning disorder of apple samples in CA chambers occurred when exposed to 1% CO2+2% O2 and 1% CO2+0.5% O2, resulting in a higher incidence rate of 2 and 8% after 70 days of storage than that in the control. In addition, the CA storage conditions at 3, 4 and 5% CO2+2% O2 increased the rate of internal browning disorder by 26%. Therefore, CA storage can be used to maintain the quality of the apple if the optimal gas concentrations in the CA are applied to the storage strategy.
        38.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nalyzes an economic efficiencies of apples, pears, and grapes farming. We evaluate an annual economic overall efficiency (OE), allocative efficiency (AE), technology efficiency (TE), pure technology efficiency (PTE), and scale efficiency (SE)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We also measure returns to scale of farms, and the change of technical efficiency of frontier farms. Lastly we estimate the effects of some explanatory variables on allocative, pure technical, and scale efficiencies.
        39.
        2014.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정상수확 후지와 늦수확 후지 사과를 속성 발효 효모인 S. cerevisiae SS89로 발효하면서 발효 특성을 조사하는 한편 사과주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정상수확 및 늦수확 후지사과의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각각 13.0, 13.6˚Brix로서 늦수확 후지 사과가 다소 높았으나 총산의 함량과 경도는 낮게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사과주의 발효 중 pH와 총산 함량의 변화는 거의 유사하였으나 가용성 고형분의 감소, 알코올 함량 및 효모 생균수의 증가에 있어서 늦수확 사과의 경우가 빠르게 나타났다. 그러나 발효 말기 잔존 가용성 고형분 함량과 최종 알코올의 농도는 수확기와 무관하게 유사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늦수확 사과주의 경우 정상수확 사과주보다 다소 낮기는 하였으나 총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이 1.27 mg/mL, DPPH 라디칼 소거능이 89.5%로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malic acid 함량과 hue 값, 명도 및 황색도 등이 다소 높았으나 아세트알데히드, 에틸아세테이트, 고급알코올의 함량 등은 매우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관능평가 결과 늦수확 사과주는 향에 있어서는 유사한 값을, 색에 있어서는 낮은 점수를 받았으며 맛에 있어서 정상수확 사과주보다 높은 점수를 얻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40.
        2012.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ffects of dip treatments of chemicals (ascorbic acid, cystein, sodium chloride, magnesium chloride, calcium chloride, histidine: 1% solution) and medicinal herbs (Pueraria thunbergiana, Angelica gigas, Dioscorea japonica, Lindera strychifolia, Cnidium officinale, Astragalus membranaceus: 1% extracts), heat shock (40-60℃ water), and edible coating (albumin, dextrin, sucrose poly ester, whole soy flour: 0.5-4% solution) on the browning degree of fresh-cut 'Fuji' apples were studied. Among the each treatment methods, the surface browning of fresh-cut apples was best retarded by calcium chloride dip, Astragalus membranaceus dip, 45-50℃ heat shock, coating with 3% dextrin or 1% whole soy flour.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treatments of medicinal herbs extracts, heat shock, and edible coating can be used as alternative for the use of chemical agents for the antibrowning of fresh-cut apples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