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6

        21.
        2017.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Lysophosphatidic acid (LPA) is an important signaling molecule which mediates many different cellular respon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 vitro culture (IVC) medium supplemented with LPA on the preimplantation embryonic development of porcine embryos derived from in vitro fertilization (IVF). Embryos derived from IVF were cultured in PZM-3 medium supplemented with 30 μM LPA on Day 1 to Day 7, Day 1 to Day 3 (early stage), or Day 4 to Day 7 (late stage), or without LPA. Moreover, the messenger RNA (mRNA) expression of obtaining blastocysts from each group were analyzed. Data were analyzed by ANOVA followed by Duncan using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mean ± SEM. There was a significantly higher cleavage rate in Day 1 to Day 7 than control (71.25% and 57.46%, respectively) and significantly higher total cell number of blastocysts in Day 1 to Day 3 and Day 4 to Day 7 than control (56.07,56.53 and 45.19, respectively).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mRNA expression level of PCNA, Bcl-2 and Bax in Day 1 to Day 7 group blastocys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 and the expression level of Bax in Day 1 to Day 3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 Moreover, it also showed that Bcl-2/Bax mRNA ratio in D1-3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control but D4-7 and D1-7 groups were comparable to control group. In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treatment with 30 μM LPA during IVC improves the porcine early embryo cleavage and the blastocyst total cell number after IVF and regulating the mRNA expression of blastocysts during blastocyst formation.
        22.
        2017.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nature of molecular mechanisms governing embryo development is largely unknown, but recent reports have demonstrated that proper execution of programmed cell death is crucial for this process.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 of programmed cell death during nuclear transfer embryos development in porcine. In particular, the relative employment of two major pathways in programmed cell death; e.g. apoptosis (type I) and autophagy (type II) was compared. Oocytes use in the study was matured in vitro in the presence of 10% FBS maturation medium. After nuclear transfer embryos were cultured for each programmed cell death control factor [Cysteamine(Cyst : 0.4mM), 3-methyladenine(3MA : 2.5mM) and Rapamycin(RP : 100nM)] in TCM-199 medium supplemented with 0.1% BSA. In this study results of among the blastocysts development in 3MA; PCNA, MAP1LC3A and ATG5 RNA gene expression level increased in the order of IVF<Cyst < 3MA < RP. However Casp-3 and TNF-r RNA gene expression level decreased in the order of IVF < 3MA and RP< Cyst. The expression of mTOR showed a pattern opposite to that of MAP1LC3A. That is, its expression was the lowest in Cyst group. And next experiments analysis of MMP expression patterns. Analysed this MMPs enzyme activation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high quality brastocyst culture in porcine. In this results of the enzymatic activity of MMP-2 and MMP-9 was assessed in culture, the level of active MMP-9 was higher expression in the medium of each 3MA and RP treatment group, with the level of another treatment group being relatively hig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utophagy activation culture medium is more effective for stable and innovative nuclear transfer embryos development.
        23.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pig, more than half of the recovered cumulus cell-oocyte complexes (COCs) have one or two layers of cumulus cells and are considered morphologically poor. If we could take full advantage of these poor quality COCs, we could potentially improve the efficiency of in vitro embryo production. During in vitro maturation, although some maturation factors are transmitted bidirectionally between the oocyte and cumulus cells of the same COC, transmission also occurs between different COCs. We hypothesized that morphologically poor COCs fail to undergo complete oocyte maturation due to their insufficient secretion of maturation factors. Here, we investigated whether co-culture with morphologically good COCs (having three or more layers of cumulus cells) could improve the maturation and utilization rates of morphologically poor COCs. Our results revealed that the oocyte maturation rate, glutathione level, embryo development capacity, blastocyst quality, and cumulus cell gene expression levels of BCL-2 and PCNA were similar in the co-culture and good quality-groups, and that these levels were all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poor quality-group. Our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the co-culture strategy greatly improved the utilization rate of morphologically poor COCs without reducing their capacity for maturation and subsequent development.
        24.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의료살균기술의 하나인 전극을 이용한 전기 충격 살균법을 순환식 수경재배의 배양액 재순환을 위한 배액 살균기술로 활용하고, 배액의 전기살균소독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할 때, 살균소독 효과가 높으며,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배양액 살균소독기술의 개발 및 전기살균소독시스템에서 사용될 전극의 최적 조건을 구명하고 전기소독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전기살 균소독시스템 구축 시 적정 전극소재 구명을 위해 금속 전도체의 특성 조사 및 전기실험을 실시하여 배액의 pH 와 EC변화유무와 침전물 발생여부 및 배액의 원소변화 유무를 분석하였다. 새로이 개발된 전기살균소독시스템 구축 시 가장 적합한 금속 전도체 전극소재로는 전기전도도가 높고, 저항이 적으며, 소재의 수급이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한 스테인리스 스틸임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스테인리스 스틸을 전극으로 사용하였을 때, 전기를 공급하기 전과 24V 이내의 전기를 공급한 후의 배양액내 원소변화는 거의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극의 두께 보다는 넓이가 증가함에 따라 전류의 양이 증가하였으며 전극의 거리가 멀수록 목표 전류량에 도달하는 시간이 증가하였다. 적합한 전류량에 따른 주요 병원균의 살균 력을 조사한 결과 대표적 세균병인 풋마름병의 원인균인 Ralstonia solanacearum가 전류 15V-3A 170초에서 97% 가 사멸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곰팡이병인 Fusarium oxysporum은 24V-10A에서 98%의 살균력을 보였다.
        4,000원
        25.
        201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배추속은 전세계적으로 재배되는 중요한 경제작물을 포함하고 있으며, 종의 진화 및 배수성 연구를 위해 학문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작물이 교잡육종을 통해 종자를 생산하기 때문에 고정 계통을 육성하는 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인위적인 방법으로 반수체 식물체를 유도하여 형질이 고정된 계통을 단시간에 육성함으로써 연구 및 육종 소재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기내배양법이 시도되었다. 본 논문에서는지금까지 배추속 작물에서 시도된 기내배양법의 연구현황을살펴보고 반수체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조사하여 효율적인 반수체 생산 기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4,000원
        26.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이버섯 봉지재배의 배지 선발은 톱밥85%를 참나무 80%+포플러20%의 중량비로 혼합하였고 이 때 필요한 부재료는 면실박10%와 밀기울5%를 혼합한 배지였다. 개발한 배지자실체 수량검정을 한 결과 버섯생육기간은 대조에 비해 33일 단축되고 수량도 25%증수되었다.
        3,000원
        27.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ree-dimensional (3D) culture system is useful technique for study of in vivo environment and it was used various experiments.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establish of embryo co-culture system and changes of PAs activity in 3D cultured endometrial cells of pigs. In results, growth of stromal cells into gel matrix were detected only with endometrial and myometrial cells. The most rapid growth of stromal cells were confirmed in 2.5x105cells/ml and gel matrix containing 15% FBS. Expression of urokinase-PA (uPA) after treatment of hCG (0.5, 1.0, 1.5 and 2.0 IU/ml) were higher than without hCG, but, there are not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reatment. On the other hand, expression of uPA after treatment of IL-1β (0.1, 1, 10 and 100 ng/ml) were higher than without IL-1β, but, there are not significant difference. Expression of uPA after treatment of estrogen (0.2, 2, 20 and 200 ng/ml) were not difference, but PA activit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Blastocyst was producing in PZM-3 medium containing FBS and endometrial cells were grown in PZM-3 medium. When embryos development with cultured endometrial cells, cleavage rates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 and blastocyst were not produced in co-culture with stromal cells and 3D culture system. 3D culture system had similar activity to in vivo tissue and these features are very useful for study of in vivo physiology. Nevertheless 3D culture system was not proper in embryo co-culture system. Therefore, we suggest that 3D culture system with embryo co-culture need continuous research.
        4,500원
        28.
        2014.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oxidative stress and antioxidant enzyme during in vitro development with washing culture oil in porcine embryos. During the culture, the four types of culture oil such as paraffin oil with or without washing and mineral oil with or without washing were examined. The oil was washed with PZM-3 during 7 days and collected oil only. The embryos were stained with CellTrackerTM Red, DC-FDA and Hoechst 33342 to confirm the effects of the oil. As a results, Cleavage rates and total cell number were no difference among the four oil groups. However, ≥16 cell embryo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fore type oil treat-ment and blastocyst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washing paraffin treatment than in other group(p<0.05). Also, the expression of free radical were lower in washing paraffin oil than in other groups (p<0.05). On the other hand, the expression of glutathion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t among paraffin oil with or without washing and mineral oil with or without washing, however washing paraffin oil and washing mineral groups were higher than other treat-ment groups. In conclusion, the washing oil was expected with positive effects on in vitro development in porcine embryos.
        4,000원
        29.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는 겨울철에 미세조류가 성장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기후조건을 가진다. 따라서, 차세대 바이오매스의 공급원료로서의 미세조류 배양을 겨울철에 이룩하기는 쉽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적은 에너지를 이용하여 미세조류가 성장이 불가한 영외환경에서 미세조류를 성장시키기 위해서, 삼중막의 비닐하우스를 설치하였다. 또한 투명한 아크릴 재질로 수조를 제작하여 빛을 수조의 모든 면에서 받을 수 있게 함으로써, 빛의 이용성을 최대화하였다. 6가지의 다양한 실험조건을 설정하여 겨울철 영하의 기후조건에서 최소한의 비용으로 하수종말처리장 폐수를 사용하여 미세조류를 배양하였다. 또한 미세 조류 바이오매스를 증가시킴과 동시에 환경오염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영양염류 성분 중 질소를 최대 92%, 인을 최대 99%까지 제거시켰다. 본 연구에서 바이오디젤의 원료가 될 수 있는 가장 주된 지방산은 리놀렌산(C18 : 3n3)으로 총 지질량의 최대 61%까지 차지했다. 지방산의 생산성은 2.4 g m-2 day-1이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차세대 바이오매스 생산을 위한 미세조류 배양을 저온 시기에서도 이룩하였으며, 그에 따른 폐수처리에서도 좋은 성과를 이루었다.
        4,000원
        30.
        2013.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eated Kang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of the northeast rural residence, formed a unique " mode of heated brick bed " and " culture of heated brick bed " in the long history of more than two thousand years. Kang bed-stove has many functions, for example, heating residential, communication, emotion and so on. Not only it is the carrier of the northeast family’s material culture, also it plays a major role to spatial organization and building of the rural housing. Kang bed-stove is a way of the repeated skillful use of energy. The traditional heated brick bed built with mud and brick. It connects heat able adobe sleeping platform in its outside and links chimney in its inside. The quantity of heat of Kang bed-stove comes from the waste heat of cooking .In recent years, the new rural construction of northeast is in the stage of development of high-speed. With the progress of technology and the renewal of the concept, based on the traditional heated brick bed, people have made some beneficial attempts to change and have introduced some new heated brick bed: Suspended Kang, energy saving kang and so on. All new heated brick beds both retain the traditional heated brick bed’s functions, and conform to the requirements of sustainable development planning. new heated brick beds are the combination of traditional culture and the new technology. This paper bases on rural housing of northeast area as the research object, discusses the connotation、forms and types、 heating means of traditional heated brick bed and the evolution of new type of Heated Kang.
        4,000원
        32.
        201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자문화권의 한자문화란 한문을 공용문어로 사용하여 영위된 종합적 지식체제 이다. 즉 한문을 지적 수단으로 사용하였던 사람들의 生活知, 學問知, 普遍知, 構想知등이 모여 이루어진 知識地形圖이다. 한자문화의 ‘知的傳統’은 가치의 역사적 축적이다. 특히 한국의 지적전통은 한 국의 지반에서 현실적으로 갖는 의미라고 할 수 있다. 한자기록으로 이루어진 지 적전통은 다양하게 전개되어 왔으며, 그것을 교육하고 학습하는 분야가 한문과목 이다. 우리의 한문문화를 동아시아 한문문화 속에서 비교하여 그 同異와 變化, 나아 가 普遍化를 분석할 때 우리만의 특성을 찾아낼 수 있다. 본고는 한자문화 중 전 통교육과 관련된 지식형성에 관해서 살펴보았다. 이 때 지식형성에 어떤 교재가 어떤 교육방법으로 사용되었는가를 밝히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전통’ 한문 교육에서 그 지식의 분류와 지식의 실천내용을 고찰하여 지식형성의 틀을 찾아내고자 하였다. 전통적 몽학 한문교재는 天地人분류체계를 기반으로 지식을 형성하고 있다. 우선 자연에 대한 개괄적 이해를 토대로 하고, 그 위에 이상적 인간의 모습으로서 사회의 질서체제와 예교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분류체계는 고대사회의 식자교재 인 『급취장』을 비롯하여, 가장 널리 사용된『천자문』등의 중국교재는 물론이고, 조선시대의 『유합』이나『訓蒙字會』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이런 분류체계 안에 서 초학자들은 識字와 함께 자연스럽게 전통적 세계관과 인간관에 접하고 수용할 수 있었다. 한편 교화용 교재는 자연에 관한 이해에 앞서 인간에 대한 이해를 다양하게 제 시하고 있다. 중국 宋代에 만들어진 『소학』,『삼자경』의 분류체계가 율곡의 『성학집요』나『격몽요결』등의 계몽서에 수용되어 계승되었다. 이러한 교화용 교재의 분류체계는 학습자로 하여금 심신의 수양과 독서를 통한 자기계발의 학습방법과 사회 속에서의 처신을 체득하게 한다. 이러한 전통적 몽학교재에 보이는 분류체계를 현대 한문교육 교재에 활용하게 되면,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전통의 이해와 계승의 한 방법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6,900원
        33.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면실박을 대체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유기성 폐자원으로 생산되는 홍삼박의 첨가량을 구명하기위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홍삼박의 총 탄소함량은 45%, 총 질소함량은 2.7%이었으며, C/N율은 16.7이었다. 혼합배지의 이화학성 중 pH는 4.6∼4.9이였으며, 총 질소함량은 2.5∼2.8로 처리간에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홍삼박 첨가량에 따라 인산(P2O5), 칼륨(K2O), 마그네슘(MgO)함량은 감소하였으나, 홍삼박만 20% 첨가시에는 오히려 증가하였다. 그러나 칼슘(CaO)함량은 홍삼박 첨가량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나트륨(Na2O)의 함량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느타리버섯 균사 생육은 홍삼박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균사생장 속도는 늦었으며, 자실체 수량은 면실박의 50%까지 첨가하여도 대조구와 뚜렷한 차이가 없었지만, 면실박 대신 홍삼박만 20%첨가시에는 수량이 급격하게 줄어들었다. 자실체 갓직경은 처리간에 뚜렷한 차이가 없었고, 대의 굵기는 홍삼박처리에서 조금 높았으나 길이에는 차이가 없었다. 수확기 갓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 L값은 홍삼박첨가량에 따라 감소하였지만 a, b값은 처리간에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4,000원
        34.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방화 시대를 맞아 전통문화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복원, 전승노력 등이 활발해 지면서 전통한옥의 자원화를 통한문화관광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전통한옥마을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대 할 것으로보인다. 전남은 한옥관련 시책은 추진하고 있으나 관광자원화를 위한 문화콘텐츠 발굴 및 자원화 개발전략 수립 등이미흡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전통한옥과 한옥마을이라는 문화자원을 활용한 활성화 방안을 중심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한옥마을 관광자원화활성화방안은 관련 문헌연구, 현지조사, 2차 자료 분석, 해외선진사례연구의 연구방법을 통해 운영 실태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전통한옥마을의 운영 실태와 시사점을 도출해 관광자원화를 위한 활성화 과제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한옥마을 특성에 맞는 핵심소재 발굴이다. 둘째, 관광수요자 중심의 체험프로그램 개발이다. 셋째, 한옥마을 관리운영을위한 인력과 조직의 운영관리 체계화이다. 넷째, 다양한 정책지원 요건 구비이다. 다섯째, 홍보와 마케팅 강화이다.여섯째, 한옥마을 운영 표준화 매뉴얼 작성이다.
        4,200원
        36.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랭지 시금치의 여름철 수경재배에 적합한 품종과 육묘 배지의 선발, 적정 양액조건의 구명 및 시설비가 적게 들고 생산성이 높은 수경재배 방식의 개발을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고랭지에서 여름철 수경재배에 적합한 시금치 품종은 '퀸토'로 다른 품종에 비하여 생육이 좋고 수량도 많았다. 시금치의 생육에 적합한 양액의 조건은 pH 6.0, EC 2.0dS·m-1 및 NH4-N의 비율은 30%이었다. 육묘용으로 피트모스와 펄라이트를 7:3의 용적비로 혼합한 상토를 200공 트레이에 채우고 시금치 종자를 파종하여 육묘한 경우 우레탄스펀지나 암면 플러그에서 육모한 것보다 입묘율이 높았다. 이렇게 육묘한 묘로 수경재배를 한 결과 혼합상토로 육묘한 경우의 수량은 암면 및 우레탄스펀지에 비하여 18% 및 24%가 증가하였다. 토양 위에 비닐을 깔아 만든 박막재배 베드에 lcm 두께로 혼합배지(피트 : 펄라이트 = 7 : 3)를 채운 후 스티로폼 정식판을 올려놓고 시금치를 재배할 경우 담액재배에 비하여 초장은 18% 길었고 수량은 9% 증가하였으며, 근권 온도 pH 및 EC는 담액재배와 비슷한 양상으로 변화하였다.
        4,000원
        37.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ptimization of the preimplantation mammalian embryo culture condition was widely focused on refining medium composition under the name of chemically defined media. However, recent research revealed that the alteration of physical environment can be a crucial factor to a successful embryo development. In this study, under the same embryo density, a novel culture device named oil-free micro tube culture (MTC) system was evaluated using porcine parthenogenetic embryos. The activated oocytes were placed into the 0.2 ml thin-wall flat cap PCR tube and cultured to the blastocyst stage. As a preliminary step, embryo density and culture medium volume were optimized under a standard drop culture system. The optimal embryo density range for in vitro culture was 0.5 embryos per in drop (20.5%) and 1.0 embryos per in drop (20.6%). Based on these results, we compared drop culture system and 'MTC' system in terms of the developmental rate to the blastocyst stage. In medium volume, the 'MTC' system showed similar blastocyst formation rate when compared with drop culture system (20.2% versus 20.5%, respectively) while the 'MTC' system showed lower blastocyst formation rate than drop culture system in one (12.7% versus 20.0%, respectively). Therefore the MTC system may be an alternative incubation system for short-distance embryo transport without carrying the incubator and this provides novel embryo culture device to clinical veterinary embryologists.
        3,000원
        38.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co-culture of bovine oocytes with cumulus cells on in vitro maturation and development following in vitro fertilization in bovine oocytes. Bovine cumulus-oocyte complexes (COCs) and denuded oocytes (DO) were co-cultured with the cumulus cells in TCM199 for 20~22 hr, and evaluated the nuclear type of oocyte. After in vitro maturation, oocytes were coincubated for in vitro fertilization with frozen-thawed spermatozoa selected by 65% percoll in DM-Heparin and DM-Caffeine for 15~18 hr. Presumptive zygotes were cultured for 48 hr in CR1aa in vitro culture medium with 10% FBS, and evaluated the cleavage rates.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 highest percentage of metaphase II (M-II) stage was observed in COCs (30.1±3.5%, 24.2±1.8%) as compared to DO (7.1±1.3%, 17.4±13.9%) (p<0.05). In addition, the increased cleavage rates were obtained from COCs (69.6±2.1%, 75.6±2.9%) when compared to DO (21.6±7.5%, 29.5±12.6%) (p<0.05).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cumulus cells secreted positive factors during in vitro maturation of oocytes and early embryonic development after in vitro fertilization of bovine oocytes.
        4,000원
        39.
        201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존의 타이머제어법과 일사량제어법 (ISR), 수분장력이나 수분함량센서를 사용하는 방법이 아닌 새로 운 저가 정밀 급액관리법을 개발하고자 수행하였다. 본 논문은 배액전극제어법 (집액용기 안의 배액 높이 에 따라 설정된 센서에 의해 급액)의 급액제어 기술을 개발하여 경제성과 환경문제를 고려할 수 있는 효 율적인 급액관리 시작기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제작된 고형배지경 급액관리기 시작기의 특징은 재배틀과 수위센서 및 간단한 제어반에 의해 구성되어지며 암면, 펄라이트, 피트, 코이어 등 모든 고형배지경 수경 재배에 적용할 수 있다. 장점은 저렴하고 제어원리가 간단하며 식물체와 직접적으로 연계되어 있어서 배 지의 수분관리에 최적이며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점이다. 기계의 구성은 센서가 총 4개이며 4군데의 서 로 다른 구역을 정하여 급액 제어할 수 있다. 센서의 형태는 2접점의 간단한 수위센서 이며 외부 배액수 위에 의한 On/Off 접점식이다. 급액단계를 3단계로 나누어 급액시간과 량을 조정할 수 있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