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0

        21.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최대 규모의 마르형 분화구 내에 형성된 하논은 제주도에서 유일하게 벼농사가 약 500년 동안 유지되고 있는 논 생태계이다. 이러한 하논의 식물상 특성과 복원 방안을 파악하고자 2015년부터 2018년 사이 총 8회에 걸쳐 식물상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관속식물은 55과 151속 194종 1아종 26변종 4품종으로 총 225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과별 분포현황은 벼과가 가장 많은 36분류군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국화과 29분류군, 사초과 20분류군, 콩과 13분류군, 마디풀과 11분류군으로 나타났다. 하논에 출현한 식물의 생활형 조성은 일년생식물-단립식물-중력산포형-총생형 (Th-R5-D4-t)으로 나타났다. 희귀식물로는 물질경이 (Ottelia alismoides (L.) Pers.), 창포 (Acorus calamus L.), 물잔디 (Pseudoraphis ukishiba Ohwi) 3종이 확인되었다. 멸종위기야생식물은 멸종위기야생생물 II급인 삼백초 (Saururus chinensis (Lour.) Baill.) 1종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15과 34속 41종 2변종으로 총 43분류군이 확인되었고, 도시화지수는 13.3%, 귀화율은 16.9%를 나타냈다. 현재 제주도 하논은 멸종위기야생식물, 희귀식물을 포함하여 높은 식물 다양성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제주도 유일의 벼농사 지역으로서 지속적으로 보전해야할 충분한 경관생태적, 사회문화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판단된다.
        5,100원
        22.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농경지에서 해충억제 등의 유익한 역할을 하는 거미와 딱정벌레 군집에 대해 논의 휴경이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2018년 3월 비경작기에 전라북도 정읍 소재의 휴경지와 인근 논에서 pit-fall trap 방법으로 지표서식성 거미와 딱정벌레를 채집하여 조사하였다. 휴경지와 논에서 관찰된 거미의 총 종수는 각각 25종 및 21종이었고, 평균 종수는 6.6 및 5.4 종으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군집구성에서는 차이가 있었으며, 휴경지에서는 광릉논늑대거미(Arctosa kwangreungensis)가17.1% 논에서는 별늑대거미(Pardosa astrigera)가 42.5%로 우점하였다. 딱정벌레의 총종수는 휴경지와 경작논에서 23종으로 같았으며, 평균 종수도 4.1종 및 4.5종으로 비슷하였다. 휴경지에서는 가는청동머리먼지벌레(Harpalus chalcentus)가 11.1%이었고, 논에서는 남방폭탄먼지벌레(Pheropsophus javanus)가 9.0%로 우점하였다. 거미와 딱정벌레의 개체수는 두 유형에서 모두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논의 휴경에 의해 지표서식성 딱정벌레와 거미의 밀도보다는 종구성이 크게 달라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23.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존에 주로 논 수서생물의 채집을 위해 사용된 방형구법과 뜰채법은 높은 노동력을 요구했기 때문에 광범위한 지역을 대상으로 한 모니터링이 어려웠다. 이 연구는 논 수서 생물을 보다 신속하게 채집할 수 있는 수중트랩을 사용하여 지역 및 시기별 논 수서생물의 군집 조성을 확인하였다. 수 중트랩은 논을 대표하는 수서생물 중 환경 변화를 지표하거나 수조류의 먹이가 되는 이동성이 높은 종이 포함된 분류 군을 채집하는 데 유용했다. 사과우렁이과 (Ampullariidae), 미꾸라지과 (Cobitidae), 물벌레과 (Corixidae), 물방개과 (Dytiscidae), 물땡땡이과 (Hydrophilidae), 물달팽이과 (Lymnaeidae) 등 15개 분류군은 논 수서생물 군집 조성을 결정했다. 주요 분류군 중 환경 교란에 강한 깔다구과 만이 논 수서생물 군집의 시기 변화를 대표했다. 인위적인 영향에 민감한 사과우렁이과, 물땡땡이과 그리고 물방개과는 지역 별로 분포가 상이했다.
        4,000원
        24.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벼 이앙기별 인산에 의한 논조류 발생과 제초제에 의한 방제 효과는 다음과 같다. 1. 단작 및 이모작 벼 재배지에서 총출현 종수는 61종으로 녹조류 34종, 규조류 16종, 유글레나 7종, 그리고 남조류 4종이 발생하였고, 녹조류, 규조류는 이모작지가 많았고, 유글레나는 같았으며 남조류는 단작이 많았다. 2. 인산을 이앙전에 50%처리하고 분얼기에 50% 시비하였을 때 총인이 0.06 mg L-1로 가장 높았고, 조류 발생량도 무인산 대비 6월 6일 이앙한 구에서 14.8 mg 20 ml-1으로 3배 이상, 6월 20일에 이앙한 구에서 9.8 mg 20 ml-1 2배 이상 증가하였다. 3. 벼 생육단계별 분얼기, 유수형성기, 그리고 수잉기의 토양 인산의 함량은 관행 및 인산분시별로 유수형성기가 인산의 함량이 116.5~191.8 mg kg-1으로 가장 높은 경향이었으며 무 처리구에서는 15.5~29.1 mg kg-1로 낮았다. 이앙시기별로는 이앙이 빠를수록 높은 경향이었으며, 인산분시별로는 관행에 비해 분시하였을 때 높은 경향을 보였다. 4. 클로로필-a 함량은 6월 6일 이앙한 구에서는 제초제 처리 후 7일에 가장 낮은 6.3 mg m-3 이고, 7월 상순에 무처리구에서 75.8 mg m-3 로 가장 높았다. 6월 20일 이앙한 구에서는 제초제 처리후 7일에 가장 높은 경향이었으며 제초제 처리 후 14일과 21일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5. 논조류 억제율은 quinoclamine이 단작에서 59.2%, 이모 작에는 44.4%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bromobutide + imazosulfuron + pyraclonil > benzobicyclon + mefenacet + peno xsulam >무처리 순이었다.
        4,000원
        25.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occurrence characteristics of major insect pests infesting organically cultivated maizes, millets, sorghums, and soybeans were surveyed from 2015 to 2017 in paddy-upland rotation and continuing upland fields. In grain fields, the main damage of maizes and sorghums was caused by Ostrinia furnaclais and Helicoverpa spp. The occurrence pattern of O. furnacalis was 3 times and that of Helicoverpa spp. was 3-4 times. In soybean fields, Riptortus clavatus was the most important, but the pest was not observed at geumhwajaerae and bongeui varieties. Interestingly, the more high the invasive rate of lepidopteran larvae was, the more low the yield of maizes and sorghums was. The surveyed results indicate that the focused management on lepidopteran larvae or hemipteran pests in maizes and sorghums or soybeans cultivated in paddy-upland rotation and continuing upland fields is an important strategy.
        26.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논 생태계는 일부 생물의 개체군 유지를 위한 중요한 서식지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논 생태계를 대상으로 농법에 따른 수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따라서 친환경농법 및 관행농법과 같은 재배 방식의 차이는 생물서식지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두 농법에 따른 미꾸리 개체군의 서식특성 및 성장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조사기간은 2015년 5월부터 9월까지였고, 대호 간척농지를 대상지로 하였다. 영농방법에 따라 개체수, 미꾸리 개체군 분포, 전장-체중 상관도 및 비만도 지수 비교, 미꾸리 개체군의 전장크기 등을 비교하였다. 미꾸리 개체군의 크기는 친환경 논에서 월등히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연령대 분포는 친환경 논이 다양한 연령층의 미꾸리가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관행 논은 Age 0+ (28~51 mm)의 개체들이 대부분 성장하지 못하고 사멸하며, 일부 내성을 지니는 개체만이 성장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5월에 관행 논과 친환경 논에서 거의 비슷한 미꾸리 개체수를 보이는 것은 로터리 및 경운에 의해서 토양의 얕은 깊이에 서식하는 미꾸리가 폐사된 것으로 판단되어 무경운이 미꾸리 개체군 유지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친환경 논의 미꾸리는 먹이섭식 및 영양상태가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6월에 관행 논 및 친환경 논에서 성장도 및 비만도가 낮은 것에 대하여는 추가적인 조사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관행 논에서 미꾸리 개체군의 개체수 회복 및 연령대 회복을 위해서는 농약과 같은 화학물질 사용을 제한해야할 것으로 사료되며, 또한 관행농법보다 친환경농법으로 재배할 경우 미꾸리 개체의 유지 및 회복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27.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need for an efficient sampling technique to collect aquatic organisms has risen with the increase of interest in rice paddy fields, which have been recognized as important ecosystems supporting biodiversity. In the present study, a submerged funnel trap used with the assistance of attracting agents (fish meal and chemical light) was designed as an easy, objective and quantitative tool for collecting aquatic organisms in the rice paddy fields. The preference for collecting aquatic organisms as a means for attracting agents was analyzed using a generalized linear mixed model. Also, based on the data of previous research, we compared the community composition of the aquatic macroinvertebrates, which were collected using the quadrat method, and newly designed submerged funnel traps, by analyzing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atching efficiency of 18 of the total 65 taxa was affected by the attracting agents. 12 taxa including Pomacea canaliculata, Hippeutis cantori, Austropeplea ollula, Erpobdella lineata, Ostracoda spp. Branchinella kugenumaensis, Hydaticus grammicus, Rhantus pulverosus, Chironomidae spp., Rana nigromaculata, Cobitidae spp. etc., favored fish meal and 6 taxa including Ischnura asiatica, Coenagrionidae spp. Sternolophus rufipes etc., were attracted by chemical light. The submerged funnel trap used as a measurement tool for biodiversity was less applicable than the quadrat method; however, it was more effective for the selective collection of specific taxa. We expect that this newly designed trap can be a simple and quantitative method for collecting aquatic organisms, and could be used for long term and extensive surveys in rice paddy fields in the future.
        4,000원
        28.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length frequency and weight-length relationships within the loach population of Misgurnus anguillicaudatus were investigated in environment-friendly (EFP) and conventional paddy fields (CP) in South Korea, in order to identify the influences of farming practices to the loach population living in paddy ecosystem. The size-frequency of distribution of M. anguillicaudatus populations noted to differ significantly when the loach populations of the EFP and the CP were compared. The mean weight and length of the loach population in EFP was greater than those of the loaches in CP. The equations based on weight and total length relationship in EFP and CP were W=0.000004L3.0747 and W=0.000002L3.2106, respectively. The condition factor (K) against total length of loaches at two paddy field types with different farming practices indicates that the loach population in EFP (mean K=0.95) had access to better nutritional conditions than those in CP (mean K=0.67). It therefore appears that the size and structure of loach populations in rice paddy fields might be affected by farming practices.
        4,000원
        29.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quantify and characterize the inorganic nitrogen and phosphorus outflow loading from different water managements in paddy fields. We investigated the NO3-N, NH4-N, and PO4 in runoff from paddy fields in Iksan. The three different water management treatments were conventional continuous irrigation at 4 and 8 cm water levels, and intermittent irrigation at a 4 cm water level. The concentration of NO3-N at the early growth stage in surface water was 6.11 mg L-1, and then it gradually decreased. The downward curve increased slightly with additional nitrogen fertilization at the panicle initiation stage, and then it continued to decrease. The NH4-N concentration was 5.26 mg L-1, and that of PO4 was 0.70 mg L-1 at the early growth stage. However, the concentration of NO3-N peaked at 8.79 mg L-1 directly after transplantation and then decreased rapidly throughout the growing season. The amount of NH4-N runoff was 1.86 kg ha-1 in the plot with intermittent irrigation, and 2.0 kg ha-1 and 2.1 kg ha-1 in the plots with water depths of 4 and 8 cm, respectively. The NO3-N runoff was 7.43 kg ha-1 in the plot with intermittent irrigation, 8.62 kg ha-1 in the plot with a water depth of 4 cm, and 10.25 kg ha-1 in the plot with a water depth of 8 cm. In addition, the PO4 runoff was 0.42 kg ha-1 in the plot with intermittent irrigation, 0.48 and 0.55 kg ha-1 in the plots with water depths of 4 and 8 cm, respectively. The saving effect of irrigation water was 28.5% than that of conventional water management treatments, and the amount of nitrogen runoff was decreased by 18.5% with intermittent irrigation. However, the phosphorus runoff was not different between the different water management treatments in paddy fields.
        4,000원
        30.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occurrence pattern of lepidopteran adults in a paddy-upland rotation field and an organic upland field for 8 maize and 7 sorghum varieties was surveyed from May 8 to September 27, 2016. In addition, their damage ratio and the invasive pores by Ostrinia furnacalis larvae as well as harvest yields were monitored. The density of the lepidopteran adults in two fields showed similar pattern, although a little different pattern in Heliothis assulta. The damage ratio of maize and sorghum varieties by O. furnacalis at harvest periods was depended on both varieties and cultivated environments. A middle negative linear correlation was observed in damage ratios vs yields, the number of invasive pores vs yields, and the number of larvae in corn ears vs yields, but there was not a specific correlation between the damage ratio vs the number of invasive pores. These results may be useful for the establishment of a management strategy to control oriental corn borer in paddy-upland rotation or organic upland fields for maize and sorghum.
        31.
        201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논에서 이앙시기에 따른 화본과와 사초과 잡초의 발생 양상을 확인하고 벼에 대한 피해 정도를 알아 보기 위해서 벼 이앙기를 4월 30일부터 6월 19일까지 10일 간격으로 달리하여 이앙 한 후 5월 20일부 터 잡초발생과 벼의 생육을 확인하였다. 잡초들의 발생본수는 화본과와 사초과 잡초 모두 1차와 2차 이 앙시기에 이앙한 시험구에서 발생본수가 많았으며, 크게 1, 2차 이앙구와 3, 4, 5, 6차 이앙시기 두 개 의 그룹으로 나누어지는 결과를 보였다. 개체 당 건물중이 비교적 큰 피는 7월까지는 조기 이앙한 경우 건물중이 큰 값을 보였으나 8월 이후에는 만기 이앙한 시험구에서 건물중이 더 큰 값을 보였다. 반면 사초과 잡초는 지속적으로 빨리 이앙한 경우가 늦게 이앙한 경우보다 건물중이 높은 값을 보였다. 논의 써레질 시기가 빨라짐에 따라 조기에 잡초가 발생하고 높은 잡초생장률을 보이며 잡초의 경합력이 커져 벼의 생육과 수량이 줄어들었다. 잡초생장율을 기준으로 볼 때 화본과는 사초과 잡초에 비해 출수기 이 후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4,500원
        32.
        2014.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묵논(abandoned paddy field)은 사회·경제적 여건으로 인하여 의도적 또는 일시적으로 휴경상태에 있거나 경작을 포기한 농 경지를 일컫는다(윤광성, 2007). 산지습지라 함은 산지 혹은 산 지와 인접한 지역에 소택지, 늪원 및 이탄지 등 습지식물이 자생 하는 지역을 의미하며 산지라는 매우 특수한 환경에 적응하고 진화된 특이한 산림생물들이 살고 있는 특수한 생태계로서, 산 지소생물권을 보전하기 위한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산지형 묵논습지는 이러한 묵논습지와 산지습지의 특성을 동시 에 갖는 장소로서 생물다양성 및 습지생태계의 중요한 축으로 작용할 수 있다(김달호, 2009). 진관동 습지의 경우 이러한 산지 형 묵논습지로서 북한산 국립공원과 인접하여 풍부한 생물다양 성과 주요 생태축으로서 중요성을 인정받아 생태·경관보전지 역으로 지정·관리되고 있다. 진관동 습지는 경작이 중단된 시기에 따라 크게 3구역으로 구분되어진다. A지역의 경우 1996년부터 경작이 중단되었으며 B지역은 1994년, C지역은 1991년에 각각 경작이 중단되었다. A지역의 경우 2002년 토지소유주가 습지 가운데 부분에 물길을 조성하여 물을 뺀 뒤 쟁기질을 하였고 B지역은 그대로 방치되 었으며, C지역은 2002년 토지소유주가 물길조성 및 복토를 하 여 현재 묘포장(조경수목식재지)로 전용되어 훼손된 상태이다. 본 연구는 현재 진관동 습지가 훼손으로 인하여 얼마나 천이가 가속화되었고 육화가 진행되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훼손지와 훼손이 일어나지 않은 인접한 휴경지를 대상으로 초본군락의 식생을 비교해보았다. 식생조사는 2013년 5월부터 2014년 5월까지 실시하였으며 각 지역별로 1m×1m 방형구 10개구를 설정하여 출현된 식물의 종을 분류하여 피도(C)와 초장(H)을 측정하였다. 이들 자료를 토대로 적산우점도(summed dominance ratio, Numata 1969)를 산출하여 우점종을 산출하고 출현빈도를 분석하였다. A지역의 경우 적산우점도의 순위는 고마리(73.08)-갈대 (62.86)-미국개기장(18.06)-쇠뜨기(15.02) 순으로 나타났으며, 출현빈도는 고마리 92.86%, 갈대 50.00%, 미국개기장 28.57% 로 고마리가 가장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지역의 경우 적 산우점도의 순위는 갈대(100.00)-고마리(18.30)-골풀(12.66)-갈 풀(5.83) 순으로 나타났으며, 출현빈도는 갈대 100.00%, 고마리 76.92%, 골풀 30.77%, 갈풀 7.69%로 갈대가 가장 우점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묘포장으로 훼손이 일어난 C지역의 경우 적산우 점도의 순위는 개망초(96.03)-애기똥풀(81.79)-쇠뜨기(72.50)- 쑥(57.74) 순으로 나타났으며, 출현빈도는 개망초 86.67%, 애기 똥풀 60.00%, 쇠뜨기 66.67%, 쑥 60.00%로 개망초가 가장 우점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인수(2013)에 따르면 고마리군락은 천이단계에서 선구식 물 군락에 해당하며 묵논의 초기단계에서 낮은 빈도로 출현하 였다가 중기 묵논에 접어들면서 우점도가 증가하며, 후기 묵논 에서 높은 우점도를 나타낸다고 기록하였다. 갈대군락은 묵논 에서 주로 척박한 환경의 4-58년 이상의 중기단계에서 발달하 며 고마리, 쉽싸리 등과 함께 출현하나 단순군락으로 발달한다 고 기록하였다. 또한 쇠뜨기는 다년생식물로 묵논의 식생천이 계열에서 초기에는 출현빈도가 높지 않은 종이나 중기 묵논을 거쳐 후기 묵논으로 진행할수록 출현빈도가 증가하는 종으로 기록하였다. 또한 이창석(1998)에 따르면 폐경 후 3년 이내의 초기 묵논에서는 사마귀풀, 뚝새풀, 벼룩나물 등 일년생 식물과 다년생 식물이 우점하고, 폐경 후 7년 이내의 중기 묵논의 초본 층에는 골풀과 고마리가 우점하고 있으며, 폐경 후 10년 이상 된 묵논의 초본층에서는 골풀, 쇠뜨기, 물봉선 등이 우점한다고 기록한 바 있다. 이를 바탕으로 A지역의 경우 고마리가 가장 우점하고 있으 며 쇠뜨기 등 다년생 초본의 출현빈도가 B지역에 비해 높다는 점에서 중기 묵논에서 후기 묵논으로 넘어가는 단계를 거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B지역의 경우 갈대 순군락이 우점 하고 있다는 점에서 묵논의 중기 단계로 판단된다. 휴경연차는 비슷하지만 A지역에서 과거 물길을 빼고 쟁기질을 하는 등 일 부 지역에서 이루어진 훼손에 의한 영향으로 B지역에 비해 묵 논의 천이가 다소 빠르게 진행된 것으로 판단된다.C지역의 경우 중기 묵논이나 후기 묵논에서 볼 수 있는 갈 대, 고마리 등이 아닌 개망초, 애기똥풀 등이 주요 우점초종으로 출현하고 있는데 이는 C지역이 훼손으로 인해 복토를 하여 건 답 상태로 유지되어 왔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강병화 등(2003) 에 의하면 같은 묵논이라도 습한 상태로 휴경한 경우와 건조한 상태로 휴경한 경우 식생의 차이가 크게 나타난다고 기록한 바 있다. 진관동 습지 역시 습답 조건으로 유지되어 온 A지역이나 B 지역과 달리 C지역에서는 다른 양상의 천이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앞으로도 다른 형태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묵밭 및 묵논은 버려진 연도를 확실히 알 수 있고, 주변과의 경계가 뚜렷하여 다양한 천이 이론의 시험장으로 활용되어 왔 다(Osboronova, 1990, 이규송, 1995). 그러나 천이의 경우 이에 영향을 미치는 교란의 유형이 다양하고, 지역의 특수성이 강하 게 작용하기 때문에 이론적으로 천이 계열을 일반화하기는 어 렵다. 특히 본 연구에서 다루었던 진관동 습지의 경우 산지형 묵논 습지로서 일반적인 묵밭이나 묵논과는 입지 조건이 다르 고 또한 일부지역에서 인위적인 훼손이 일어남으로써 선행연구 들과는 결과적인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식생 천이를 분석함에 있어 한 장소에서 시간에 따른 식생 변화를 연구하는 장기 모니터링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산림 내 묵논습지들은 단순한 소규모 인공습지나 개인 사유지로 분류되어 방치되고 있어 진관동 습지와 같이 장기적으로 보전이 이루어지는 대상 지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향후 정확한 습지 평가를 위해 지속적인 보전 및 꾸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33.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물체 내에서 HPPD(4-hydroxy phenylpyruvate dioxyge-nase)를 저해하여 카로티노이드 생합성을 억제하는 제초제benzobicyclon 및mesotrione+pretilachlor의 처리 약량에 따른통일형 벼의 약해 발생 정도와 약해발생에 따른 수량영향을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Benzobicyclon과 mesotrione+pretilachlor(MP) 처리 후6~12일에 통일형 벼인 한아름벼, 한아름2호, 다산벼는 모두잎의 백화약해 증상이 나타났고, 기준량 처리시 약해는 각각34~64%, 63~75%이었으며, 배량 처리에서는 약해발생이 더심해 각각 76~83%, 83~89% 이었다. 또한 벼식물체는 기준량 처리시 고사되지 않았으나 배량 처리시 식물체 고사율은benzobicyclon은 6.5~11.5%로 MP 2.1~3.3% 보다 고사율이 높았다.2. 출수기는 benzobicyclon 및 mesotrione+pretilachlor처리에 따른 약해로 대조인 butachlor 처리보다 1~2일 지연되었다.3. Benzobicyclon과 mesotrione+pretilachlor 처리시 통일형 벼 생육은 butachlor 처리에 비해 한아름벼, 한아름2호 및 다산벼 모두 기준량 처리시 m2 당 수수가 14~67개가 적고 등숙비율이 2.7~8.6% 낮아져으며 현미천립중이 0.0~1.2g 가벼웠다.4. Benzobicyclon과 mesotrione+pretilachlor 처리시 쌀 수량은 대조인 butachlor처리의 644~725kg/10a에 비해 한아름벼는 5~9%, 한아름2호와 다산벼는 5~8% 감소되었고, 2배량 처리시 수량감소는 더욱 증가하여 한아름벼는 16~28%,한아름2호는 20~24%, 다산벼는 14~23% 감소하였다.
        4,000원
        34.
        2014.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floristic status of six paddy fields with different chronosequences after rice crop closure. The study sites are located on the highlands and near an abandoned farm house of Gosanri Wanjumyeon Iksangun, Joeonbuk. All sites are adjacent to each other. We established a line transect along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 within each site. The flora, plant cover and height of plants within 1 m × 1 m quadrat along the transect were recorded. We counted 34 Salix koreensis on 8 year old abandoned paddy field in 2008 and 23 Salix koreensis invaded more in this field until 2010. Typha orientalis, Salix koreensis, Phragmites japonica, Bidens frondosa and Persicaria thunbergii dominated on 13 year old abandoned paddy field. Phragmites japonica, Bidens frondosa and Persicaria thunbergii were recorded on 13 year old abandoned paddy field. Leersia japonica, Persicaria thunbergii and Typha orientalis dominated on 7 year old abandoned paddy field. No trees were discovered on 6 year old abandoned paddy field because of high water depth generated from bad draining. The exchangeable Ca content increased in each site as time goes by. The total mean species number of soil seedbank analysis did not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tudy sites. It is suggested that colonization of plants on abandoned paddy field depend upon the condition of drain and soil chemical contents.
        4,000원
        35.
        2010.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주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 주변 논에 대한 방사성 요오드 및 테크네튬의 토양-쌀알 전이계수를 조사하 기 위하여 온실 내에서 포트재배로 방사성 추적자 실험을 2 년에 걸쳐 수행하였다. 모내기 전에 상부 약 20 cm 깊이의 흙을 125I(2007 년) 및 99Tc(2008 년)와 고르게 혼합한 다음 포트에 관개하여 물이 찬 논같 이 만들었다. 전이계수는 토양 중 방사성 핵종 농도에 대한 쌀알(현미) 내 농도의 비로 나타내었다. 쌀알 의 방사성 요오드 및 테크네튬 전이계수는 토양에 따라 각각 1.1×10-3∼6.4×10-3(세 토양) 및 5.4×10-4∼2.5×10-3(네 토양)의 범위였다. 이러한 변이에 대해서는 토양 간 점토 함량의 차이가 유기물 함량이나 pH의 차이보다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보였다. 쌀알의 방사성 요오드 및 테크네튬 전이계수의 대표치 로서 각각 2.9×10-3 및 1.1×10-3이 제안되었다. 앞으로 보다 대표성이 높은 값을 얻기 위하여 관심 부지 들을 대상으로 조사가 지속적으로 수행될 필요가 있다.
        4,000원
        38.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plant flora, the occurrence of insect pests and natural enemies in the fallow paddy fields of Jeonnam and Jeonbuk provinces from 2004 to 2005. They were identified as 124 plant species in 32 families, 58 insect pest species in 30 families and 11 natural enemy species in 9 families. Plant species belonging to Poaceae and Asteraceae were founded as 28 and 18 species, respectively, and dominated significantly among plants growing in the fallow paddy fields. In insect pests, Conocephalus chinensis, Nysius plebejus, Cletus punctiger, Eysarcoris aeneus, Nephotettix cincticeps, Laodelphax striatellus and Tipula sp. occurred significantly in the fallow paddy fields. Among them, occurrences of N. cincticeps and L. striatellus were low from May to June, and that of L. striatellus was high in August and September. In insect natural enemies, Coenagrion sp., Harmonia axyridis, Propylea japonica and Eristalis tenax occurred significantly in the fallow paddy fields.
        4,000원
        39.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rvey the occurrence of stink bugs and pecky rice grain caused by the stink bugs in paddy fields in six districts of Gyeonggi-do. In the levee of the paddy fields, 30 species of the stink bugs were collected, and the dominant species were Paromius exiguus in Hwaseong and Siheung, and Stenotus rubrovittatus in Pyeongtaek, Icheon and Paju. In the paddy fields, 23 species were collected, and the dominant species were Paromius exiguus in Siheung, and Stenotus rubrovittatus in Pyeongtaek, Icheon and Paju. P. exiguus overwintered and proliferated mainly in the west coastal region, where its host plants, Imperata cylindrica and Calamagrostis epigeois, were abundant, and then moved to paddy fields later in the season, resulting in the peak density in September in paddy area. Stenotus rubrovittatus and Cletus punctiger were abundant in paddy area in August and September, and Eysarcoris aeneus was abundant in June and July. When the stink bugs were inoculated on the rice, the rate of pecky rice caused by E. aeneus and P. exiguus at milk ripe stage was 10.2% and 4.8%, respectively, and the rate by S. rubrovittatus and P. exiguus at dough ripe stage was 4.3% and 2.7%, respectively. The damage shape of pecky rice was distinctive according to the species. The surface of pecky rice by P. exiguus was very smooth but the surface of pecky rice by E. aeneus was rough and caved. In the pecky rice by S. rubrovittatus, the spot occurred at the topside of the grain.
        4,000원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