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65

        421.
        2014.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to review retirement function measures for estimating capital stocks. The measures include Retirement Probability Density Function(RPDF), Retirement 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RCDF), Retirement Survival Function(RSF) and Retirement Rate Function(RRF). The paper also provides the recommendations for using RRF as a distinct identification of the retirement curve functions for empirical service lives data.
        4,000원
        422.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wiss ball program training on lower extremity function of old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The subjects were 30 mild cognitive impairment eldrly people aged between 65 and 80, who were divided into the swiss ball program training group(n=15) and the control group(n=15). The swiss ball program training group engaged in a 50-minute exercise session using. Lower extremity function scale of the two group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According to the swiss ball program training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training on lower extremity function, Moreover, the two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lower extremity func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virtual reality training is effective in improving lower extremity function. To conclusion, swiss ball program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elderly lower extremity function. Swiss ball program training can be proposed as a form of fall prevention exercise for the mild cognitive impairment. Swiss ball program may be helpful to reduce the incidence of dementia and behavioral complications.
        4,000원
        423.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e present study, to examine the effects of somatosensory stimulation of the hands on the hand functions and visuomotor coordina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 total of 24 sessions of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thre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r 60 minutes per session, three sessions per week from January 7, 2013 to March 11, 2013. To examine the effects of somatosensory stimulation of the hands on grasping and visuomotor coordination which are sub-areas of PDMS-2, the A-B study design was used which is a single case study method out of single-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designs. Somatosensory stimulation of the hands was shown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hand function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omatosensory stimulation of the hands showed positive effects on the raw scores and standardized scores of grasping and visuomotor coordination in all the three subject children. Visuomotor coordination functions showed higher scores in post-hoc tests in all three children. In particular, ring throws showed high scores at right 90°, right 45°, center, left 45°, and left 90°among visual directions. In the present study conducted with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ring throws were performed to examine visuomotor coordination. In particular, the numbers of successes of ring throws on the front, left, and right were shown to be high. Therefore, somatosensory stimulation of the hands was effective on the hand functions and visuomotor coordination function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4,000원
        424.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nalyzed the problem of internet game addiction of adolescents, which have recently been considered as serious social problem associated with internet environment, in the developmental perspective and relation with family function by using the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online games and family leisure 2009." The object of the study is students and parents from grade 7 to 9 of middle school nationwide. For the data analysis methods, frequency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by using SPSS 18.0 and AMOS 16.0. In the result of the study, parents' open type communication had negative effect on game addiction, and parents' problem type communication had positive effect; among the influences of parents' open type and problem type communications on game addictions, it was shown that family function (family cohesion and family adaptation) had negative mediated effect. These findings indicated that when family played its role properly, adolescents were able to escape from the game addiction, and such influence is very powerful. The result offers significant implications in the modern society where communication with parents is insufficient, emphasizing the need to better communication between family members.
        4,000원
        425.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진동자극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연구방법 : 연구 기간은 2013년 12월 9일부터 28일까지 뇌졸중 발병 환자 13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모든 참가자는 연구에 동의하에 선별되었다. 대상자 13명은 각각 실험군(n=7)과 대조군(n=6)으로 분배되었고, 실험군에게는 진동자극을 제공하고, 대조군에게는 진동 프로그램이 내장되어있는 SD카드를 제거하여 진동자극이 제공되지 않도록 위약중재(placebo)를 적용하였다. 상지기능 향상을 위한 진동자극기 중재는 주 5회씩 2주간 총 10회기 동안 실시하였고, 두 집단 모두 실험 기간 동안 작업치료와 물리치료를 받았다. 평가는 사전, 사후평가로 총 2회 진행하였다. 종속변인으로는 상지운동기능(upper extremity motor function), 강직(spasticity), 손 기민성(hand dexterity), 감각기능(sensory function), 그리고 3차원 동작분석을 이용한 움직임의 질을 평가하였다. 결과 : 중재 결과, 실험군에서는 팔꿉 관절 움직임의 순발력과 정적 두 점 식별 감각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고(p<.05), 상지운동기능, 손기민성, 강직에서는 유의미하지 않았다(p>.05). 대조군은 중재 전, 후로 통계학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집단간 비교에서는 중재 전엔 실험군과 대조군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p>.05), 중재 후, 실험군에서 팔꿉 관절 움직임의 순발력과 정적 두 점 식별 감각이 대조군 보다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5).결론 :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진동자극을 장기적으로 제공하자 대상자의 환측 팔꿉관절의 움직임과 감각기능 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추후의 연구는 진동자극을 보다 기능적으로 활용하여 일상생활에 실제로 응용할 방법을 연구해야 할 것이다.
        4,800원
        426.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해양환경 문제는 지역적으로 시작하여 광역적으로 확산되기 때문에 지방정부에서 사고 시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상시에 적극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현행 해양환경관리는 대부분 중앙정부가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지방정부의 역할이 아직 미미한 상황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역대 부산광역시의회 안건처리 일람을 분석함으로써 해양환경관리 부문에 있어서 지방의회의 역할 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지방의회의 역할을 강화할 대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역대 부산광역시의회는 해양환경 관련 안건처리에 있어서 전문성 부족, 소극적 역할, 의정활동의 지속성 및 일관성 결여 등의 문제점들이 나타났고, 이러한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한 정책대안으로 의회 내 정책거버넌스의 도입, 국제협력체계의 추진, 해양환경 분야의 우선순위 및 시민의식 제고 등의 대안을 도출하였다.
        6,600원
        427.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 목적 : 본 연구는 평가도구 SFA(school function assessment)를 이용하여 저학년, 고학년의 차이에 따른 학교생활에서의 기능적 과제 수행을 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 연구방법 : 2013년 7월 1일부터 7월 31일까지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일반학급에 재학하고 있는 만 5~12세의 남아11명, 여아 13명을 대상으로 아동의 부모와 담당교사와의 관찰 및 면담을 동의한 자에 한하여 실시하였으며 저학년과 고학년의 학교생활의 기능적 과제 수행을 비교하였다. ◉ 결과 : 고학년이 저학년에 비해 학교생활에서의 기능적 과제 수행이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항목에 따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영역Ⅰ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영역Ⅱ와 영역Ⅲ은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고학년이 저학년보다 더 높은 학교생활의 과제 수행 능력이 요구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앞으로 좀 더 많은 대상으로 한 학교생활 기능적 과제 수행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4,000원
        429.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biomass gasification, efficiency of energy quantification is a difficult part without finishing the process. In this article, a radial basis function neural network (RBFN) is proposed to predict biomass efficiency before gasification. RBFN will be compared with a principal component regression (PCR) and a multilayer perceptron neural network (MLPN). Due to the high dimensionality of data, principal component transform is first used in PCR and afterwards, ordinary regression is applied to selected principal components for modeling. Multilayer perceptron neural network (MLPN) is also used without any preprocessing. For this research, 3 wood samples and 3 other feedstock are used and they are near infrared (NIR) spectrum data with high-dimensionality. Ash and char are used as response variables. The comparison results of two responses will be shown.
        4,000원
        430.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 목적 : 본 연구는 학령전기 뇌성마비 아동의 감각처리기능과 내현화, 외현화 문제행동 특성을 파악하여 감각통합치료를 제공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연구방법 : 학령전기 뇌성마비 아동의 감각처리기능을 파악하기 위해 감각프로파일(sensory profile)을 사용하였고, 내현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을 파악하기 위해 유아용 행동평가척도-부모용(Child Behavior CheckList for Ages 1.5-5)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뇌성마비로 진단받은 아동을 양육하고 있는 보호자에게 설문조사에 대한 동의를 얻어 총 32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분석은 일반적 특성과 감각처리기능과 내현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특성을 기술통계분석 하였다. ◉ 연구결과 : 학령전기(만 1.5∼5세) 뇌성마비 아동의 감각프로파일 검사결과 전정감각처리 항목이 의심범주, 지구력/근 긴장도 조절이 문제 범주, 신체자세/움직임 조절 항목이 의심범주에 속하였고, 감정반응에 대한 감각입력 항목과 감각처리 행동 항목에서 각각 의심범주에 속하였다. 감각요소 하위항목에서는 낮은 지구력/근 긴장도 항목이 문제범주, 감각등록의 저하, 미세동작/지각력 항목이 각각 의심범주에 속하였다. 유아용 행동평가척도 검사결과로는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에서 준임상 범주에 속하는 결과를 보였다. ◉ 결론 : 학령전기 뇌성마비 아동은 감각처리기능의 문제와 내재화, 외현화의 문제행동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앞으로는 감각처리기능과 문제행동과의 관련성을 알아보는 연구를 통해서 뇌성마비 아동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원인을 파악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4,200원
        431.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요리 치료 활동이 학령기 뇌병변 장애 아동의 실행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 연구방법 : 본 프로그램은 학령기 뇌병변 남자 아동 6명을 대상으로아동이 흥미를 가지고 참여할 수 있는 요리치료 활동(12회기)으로 구성되었다. 활동 중 실행 기능 증진을 위해 단서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였으며, 치료 전후 실행 기능의 비교를 위하여 운동 처리 기술 평가(AMPS)를 사용하였다. 처음과 마지막 회기를 제외한 10회기 동안 제공된 단서의 양과 수준을 분석하였고, 사회성숙도 검사, AMPS, 단서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 결과 : AMPS 평가 결과 모든 아동의 실행 기능이 증진되었으며, 3명의 아동에게서 유의미한 기능 증진이 나타났다. 제공된 단서의 양(21.33회에서 7.25회)과 수준(3.50에서 2.00)은 후반기로 진행될수록 감소되었다. 상관관계 조사 결과 사회성숙도는 AMPS 처리 기술(p<.05), 단서의 양(p<.01), 단서의 수준(p<.01)이 서로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고, AMPS 처리 기술은 단서의 양(p<.05), 단서의 수준(p<0.5)과 음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 결론 : 단서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요리 치료 활동을 통하여 일상생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실행 기능이 증진되었으며,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단서의 양과 수준도 감소되는 것으로 확인되어, 추후 작업-지향적 활동으로서 요리 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실행 기능 증진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4,800원
        432.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인간의 수명이 늘어나면서 필연적으로 사람들의 관심은 단순히 오래 사는 것에서 건강하게 오래 사는 것으로 변화 하여 장수 요인을 탐색하기 위한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었 다. 특히 고혈압과 식습관(Lee 등 2009), 대사증후군과 영양 소 섭취(Lee & Kwon 2010) 등 질병 유무와 노인들의 식습 관과의 관계를 조명하여 특정 질병이 있는 노인과 대체적 으로 건강한 노인의 식습관 특성 및 영양 섭취 패턴을 규명 한 연구들도 많이 진행되어 전반적으로 노화와 식생활에 초점을 맞춘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는 특정 질병에 초점을 맞추는 대신, 대표적 장수지역인 전라남도 일부 지역에 거주 중인 노인들의 전반적인 신체적․정신적 기능의 유지 정도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군집분석을 수행하여 기능 원활 노인과 기능 약화 노인을 구별하고, 이 들 노인들의 식생활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기능원활정도를 인구통계학적인 부분과 연계하여 살펴 보았을 때, 기능이 원활한 노인들과 기능이 약화된 노인들의 연령 범위는 동일하였으나, 기능약화집단 노인의 평균연령이 7세 정도 더 높았다. 이는 전반적으로 노화가 신체적․정신 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기능 원활집단의 남성비율이 기능약화집단의 2배에 달하였으며, 기능원활집단 노인의 학력이 더 높고 문맹률이 더 낮은 것으 로 나타나, 문맹률과 노인의 신체적 정신적 기능 원활 정도가 서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었다. 기능원활집단의 배우자 동거 비율과 독거 비중이 높았으며, 기능약화집단 의 자식 동거 비율이 높았다. 두 집단의 경제 수준, 종교, 출 생순위, 자녀 숫자에는 차이가 없었다. 2. 과식 여부, 식욕 상태, 소화 상태, 편식 여부는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평소 과식하는 노 인의 비율이 8.3%, 식욕이 저하된 노인의 비율이 13.0%, 소화 상태가 불량한 노인의 비율이 10.4%, 편식을 하는 노인의 비 율이 14.0% 정도로 나타나, 이들 노인에 대한 지속적인 영양 관리와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3. 기능약화노인들에 비해 기능원활노인들의 김치와 생 채소의 선호도가 높았는데, 이는 노인들의 저작운동 원활정 도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전체적으로 음료 중 물 과 커피의 선호도가 높았으며, 기능약화 노인의 간식 및 외 식 빈도가 기능원활 노인에 비해 유의하게 더 낮았다. 특히 외식빈도가 주 3회 미만인 응답자가 전체 노인의 59.2%이 며, 외식 종류에 대한 질문에 이 노인들의 대다수가 응답을 하지 않아 많은 노인들이 외식을 전혀 하지 않는 것으로 판 단된다. 4. 비타민과 무기질을 비롯한 각종 건강기능식품의 복용에 있어서는 섭취하는 노인이 30% 미만으로 그리 높지 않았으 며, 기능원활 노인들의 건강기능식품 섭취 비율이 기능약화 노인들의 섭취비율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다. 건강기능식품의 복용과 노인들의 기능 유지 간에 관계가 있을 수 있음을 짐작 해 볼 수 있으나, 응답한 노인들의 숫자가 작고 건강기능식품 의 정확한 종류 및 복용 기간 등을 알 수 없어 본 연구에서는 결론을 내리기 힘들다. 향후 이 부분에 있어서 연구가 진행된 다면 노인들의 신체적․정신적 기능 유지와 관련 있는 건강 기능식품을 통해 노인들의 기능 유지 및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건강기능식품 복용 동기는 친척이 나 아는 사람의 권유가 가장 높아, 의사나 약사 등 건강기능 식품에 대해 보다 정확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사람들의 권유가 이에 크게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주요 100가지 식품의 섭취 빈도 조사 결과, 기능약화 노 인들은 48가지, 기능원활 노인들은 46가지 식품을 주 1회 이 상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중 열거된 채소 및 해조류 총 18가지 중 샐러드를 제외하고는 모두 주 1회 이상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채소류 섭취가 매우 빈번함을 알 수 있었다. 기능원활 노인들은 잡곡밥을 흰쌀밥보다 더 자 주 섭취하고 기능약화 노인들은 흰쌀밥을 더 많이 섭취학고 있어서 다소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동물성 단백질 식 품의 경우 등푸른 생선은 기능약화 노인들이, 쇠고기탕/국류, 오징어/낙지/한치류는 기능원활 노인들이 더 즐겨 먹는 것으 로 나타났다. 육류 및 어패류에 비해 콩 및 된장류의 섭취 빈 도가 훨씬 높아, 된장/청국장은 평균 하루 1회 정도는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전라남도 거주 노인들의 신체적 정신적 기능원활 정도에 따라 식생활 패턴에 어느 정도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노화와 비례하여 노인들 의 신체적 정신적 기능 유지 정도가 감소하기는 하였지만, 기능원활로 판명된 100세 이상 노인들과 기능약화로 판명 된 70대 노인의 식생활을 보다 세밀하게 연구하고, 코호트 연구를 통해 70대의 기능약화 노인들과 기능원활 노인들의 식생활 패턴을 앞으로 계속 관찰한다면 곧 다가오는 고령사 회에서 노인 의료비를 경감하고, 건강한 노년을 희망하는 많은 사람들에게 식생활 지침을 마련해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4,600원
        433.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상상훈련과 근전도 유발 신경근전기자극의 결합된 치료가 마비측 상지 기 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2년 8월부터 2013년 2월까지 K의료원에 외래 치료 중인 44명의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무작위 대 조 실험을 하였다. 두 집단은 전통적 재활치료와 함께 실험군은 상상 훈련과 근전도 유발 전기자극의 결합된 치료를, 대조군은 일반적인 전기자극치료를 회당 30분간, 주 5회, 6주간 실시하였다. 상지기능평가로 Fugl-Meyer Assessment (FMA)와 Manual Function Test (MFT)를 사용 하였으며 일상생활활동 평가로 수정바델지수(Modified Barthel Index; MBI)를 사용하여 중재 전·후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 : 1) 6주간의 중재 후 실험군의 FMA, MFT 점수의 비교 결과 통계학적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p<.01). 2) 실험군의 MBI 점수의 비교 결과 통계학적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하지만 개인위생과 옷 입기 항목에서 통계학적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p<.05). 반면 대조군의 경우 약간의 점수 향상은 있었지만 모든 평가에서 통계학적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결론 :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상상훈련과 근전도 유발 전기자극의 결합된 치료가 기능적 전기자극치료에 비해 뇌 졸중 환자의 마비측 상지기능을 향상 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손의 움직임과 관련된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900원
        434.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문항반응이론에 근거한 라쉬분석을 적용하여 뇌졸중 환자의 연하기능 검사를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뇌졸중으로 인한 연하장애 환자 153명을 대상으로 5개 영역에 24개 항목으로 구성된 예비 연하기능 검사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라쉬분석을 적용하여 대상자 및 항목의 적합도와 항목 난이도, 분리신뢰도, 평정척도 분석 을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요인분석을 통해 항목의 영역을 분류하였다. 결과 : 153명의 대상자 중 11명이 부적합한 대상자로 판정되었으며, 23개 항목 중 6개 항목이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부 적합한 항목은 1)폐렴과거력, 2)구강감각, 3)구역반사, 4)비강/구강 역류, 5)삼킴지연, 6)삼킴 후 천명이었다. 항목의 난이도에서 가장 어려운 항목은‘후두거상’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쉬운 항목은‘각성도’로 분석되었다. 연하기능 검사 의 평정척도(0~4점)는 적합한 척도 범주로 분석되었으며, 항목에 대한 분리신뢰도는 .98, 대상자에 대한 분리신뢰도 는 .95로 분석되었다. 최종적으로 요인분석을 통해 4개 영역에 17개 항목으로 구성된 연하기능 검사를 개발하였다. 결론 : 라쉬분석을 적용하여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하기능 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입증하였다. 연하기능 검사 의 각 항목들은 임상적으로 환자의 기능과 회복 수준을 세부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항목들의 난이도 수준을 고려하 여 중재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5,400원
        435.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연하장애를 가진 뇌성마비 아동의 구강기능에 대한 구강감각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은 OO대학병원 재활의학과에 입원한 뇌성마비 아동 중에서 구강기능척도의 총점이 40점 이하인 18명의 아동이었다. 한 집단의 사전-사후 실험설계로 구강감각치료 전, 후의 구강기능척도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구강감각치료 방법은 손가락으로 눌러주기, 얼음막대로 자극하기, 전동칫솔로 자극하기이며, 자극 횟수는 치료 매뉴얼에 따라 각 부위 별로 10회씩 시행하였다. 구강감각치료는 1회당 30분씩, 주 2회씩 하여 8주 동안 총 16회 실시하였다. 결과 : 구강감각치료는 뇌성마비 아동의 전반적인 구강기능을 향상시켰다. 특히, 구강준비단계에서 필요한 턱과 입술과 혀의 움직임을 향상시켰고, 구강감각치료 후에 미국언어청각협회 연하척도의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임상에서 뇌성마비아동에게 구강감각치료를 적용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후속 연구에서는 뇌성마비의 마비 유형과 장애 유형을 고려해서 각 유형 간의 구강기능의 차이를 알아보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4,300원
        436.
        2013.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ich spatiotemporal gait parameters obtained during hemiplegic walking could be a predictive factor for the Timed Up and Go test (TUG). Two hundreds nine subjects who had suffered a stroke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They were participated in two assessments; the TUG test and gait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UG test and spatiotemporal parameters was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In addition, to predict the spatiotemporal gait parameters that correlated most with the TUG scores, we use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es (stepwise method). The results show that the normalized velocity was strongly correlated with the TUG performance (r=-.72, p<.001). Additionally, single support percentage (SSP), double support percentage (DSP), step time difference (STD), and step length difference (SLD) significantly were correlated with the TUG test. Normalized velocity, STD, DSP of affected side, and SSP of non-affected side explained 53%, 8%, 3%, 2%, of variance in the TUG test respectively. In conclusion, an increase in gait velocity and a decrease in STD would be effective indicators of improvement on the functional mobility in the stroke rehabilitation.
        4,000원
        439.
        2013.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recent years, the surroundings of Fire have rapidly changed and citizens need for Fire have been demanding very high. Under these situations, in order for satisfaction to all these demands,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Fire Academy(SFA) have only to improve its educational training program as the fire educational training center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crutinize current educational training program of SFA and measure the relative weight among the hierarchy of disaster management(prevention and mitigation-prepare dness-response-recovery) by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The result of this study presents that how many hours must be allocated and set the educational training program with scientific and systematic way of AHP compared the current program of SFA in 2013. And This study is applied to increase access and comprehension about the AHP and will be able to present guideline for the selection of optimal the educational training of SFA to serve Seoul citizens the best Fire services.
        5,800원
        440.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antigen GA733 is a cell-surface highly expressed glycoprotein on most human colorectal carcinomas. GA733 can be characterized as a cancer vaccine. In this study, GA733 was fused to the human immunoglobulin IgG Fc fragment to become recombinant gene GA733-Fc. Based on this, 4 recombinant genes were constructed as follows: GA733-Fc with signal peptide sequence and fusion of ER retention sequence (KDEL) (spGA733-FcK), GA733-Fc with signal sequence (spGA733-Fc), GA733-Fc fused to ER retention sequence (GA733-FcK) without signal peptide and GA733-Fc without signal peptide. Baculovirus-insect cell expression system is widely used for the high level production of recombinant proteins especially for glycoproteins. Constructed 4 recombinant genes were cloned to baculovirus express vectors. DH10Bac E.coli.-mediated transformation was used to generate recombinant bacmid DNA. Recombinant DNA was confirmed by PCR. Insect cell was transfected by bacmid to produce the recombinant baculovirus infects insect cell to produce recombinant protein. Western blot and sandwich ELISA showed the expression of recombinant proteins. Each cell lines (sf9 and HighFive) differed in recombinant proteins production level and protein secretion capability. N-Glycosylation analysis showed the function of signal peptide and ER retention sequence (KDEL). Taken together, baculovirus-insect cell system can be used to express recombinant GA733-Fc glycoprotei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