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10

        505.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evaluated properties and items for selecting on a forest healing village. In order to assign a weight value-between factors, this study was conducted the primary survey first and then the secondary survey for measuring the importance of items. Experts'surveys were conducted on 3 items on level 1, 9 items on level 2, 35 items on level 3 with use of AHP technique. In level 1, the main analysis result was that physical resource properties(0.387) indicated the highest importance. in level 2, healing resources of physical properties(0.402), community participation of human resource properties(0.425), and business competency in part of vision(-.438) showed the highest importance. The analysis result of 35 items on level 3 was that in physical resources properties, securing public land in the village(0.220), possessing recreation space(0.440) and resources available for link with healing(0.413) showed the highest importance. In part of human resources properties, the average age of residents(0.465), commitment to the promotion of the villagers(0.367) and support of local leaders(0.318) showed the highest importance. Adequacy of development plan(0.274), forest work experience-related(0.293), and building profit sharing system(0.282) were also evaluated to have a relatively high importance.
        507.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grain appearance and cooked rice taste preferred by Africans for the rice ecotype of one Japonica variety, one Indica variety, and two varieties of Tongil type as compared with Korean’s preference. The preferred grain appearance by Africans who have participated as panelists was in the order of grain length, aroma, and shape, while Korean preferred rice quality in the order of appearance(head rice) and grain length. Africans preferred imported Indica rice from Thailand the most, while Korean preferred Japonica Haimi the most. Overall, African preferred aromatic rice with long grain, while Korean preferred short grain rice with high head rice ratio. In the evaluation of cooked rice taste, there was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varieties preferred by Africans. Whereas, Koreans showed clear preference in the order of Haiami > Dasan 1 = Hanareum > Indica rice. The preference analysis results of cooked rice taste subjected to Japonica and Indica which showed clear preference by Koreans revealed that Africans from Cameroon, DR Congo, and Tanzania preferred Haimai. Meanwhile, the Africans from Uganda, Mali, and Nigeria preferred imported Indica rice from Thailand. The Africans from Kenya, Malawi, Ghana, and Sudan showed similar preference among Japonica and Indica varieties. The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Africans had different preference of cooked rice taste for eco-type rice varieties by different nations. It is regarded that additional research would be conducted to evaluate cooked rice taste by the appropriate numbers of panelists from various field and by the various rice varieties including rice variety preferred by different African countries.
        511.
        201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의 외국인 관광시장이 빠른 성장을 하는 가운데 ‘방한 아시아여성 관광객’의 비중이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아직 ‘문화관광기념품’의 기획 및 제작에 이를 반영 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환경 변화 속에서 문화 관광기념품의 질적 발전을 위해 방한 아시아여성 관광객의 디자인 선호도를 조사하여 앞으로의 문화관광기념품 기획 및 제작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 하나의 지표를 만드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방한 아시아여성 관광객의 ‘한국 상징 디자인’ 선호도는 평균 24%(동남아 28%, 중국 26%, 일본 17%)로 ‘기타지역 여성 평균’ 41%보다 낮게 나타났다. 2. ‘한국화 기법 디자인’ 선호도 또한 평균 32%(일본 40%, 중국 30%, 동남아 28%)로 ‘기타지역 여성 평균’ 62%보다 낮게 나타났다. 3. ‘한국 상징 디자인 별’ 선호도는 ‘남산’ 36%, ‘숭례문’ 20%, ‘한글’ 17% 순으로 나타났다. 조사결과에 나타난 디자인 별 선호도로 볼 때 방한 아시아여성 관광객의 취향에 적합한 디자인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지표 결과, 방한 관광객의 기존 상품에 대한 구체적 자료를 토대로 한 세부적 선호도 분석 자료는 앞으로 문화 관광기념품의 기획과 제작에서 보다 구매가치가 높고 매력적인 상품기획에 유용한 지표로서 의미를 지닐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512.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공간의 효율성을 높이고 우수한 디자인 특성을 갖는 기능성 식물용기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개발된 기능성 식물용기를 상품화하기 위해 소비자의 디자인 선호도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실제 주거환경에서 시제품을 사용한 후 선호도와 디자인을 평가하였다. 시제품은 스탠드형과 걸이형 2가지 형태로 제작하였다. 먼저, 372명을 대상으로 두 가지 형태의 기능성 식물용기에 대한 경관선호도와 디자인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다음으로 38명을 대상으로 실내환경에서 한 달간 사용 후 선호도와 디자인 평가를 수행하였다. 평가도구는 경관형용사쌍을 이용한 SD scale을 사용하여 요인분석을 하였으며, 디자인 평가는 한국디자인진흥원(2010)에 제작된 굿디자인(GD) 척도를 사용하였다. 식물화분에 대한 기본인식에 대한 조사 결과, 일반화분(2%) 보다 디자인화분(47%), 특수화분(36%), 기능성화분을(15%)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식물용기에 대한 소비 욕구가 디자인과 기능성에 따라 좌우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경관선호도 요인분석 결과, 본 연구의 기능성 식물용기는 심미성, 장식성, 선호성, 공간성, 편안함의 5개의 요인으로 유형화 되었으며, 두 가지 형태 모두 주거공간에 적합하고 아름다운 디자인과 편안함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디자인 평가 결과, 스탠드형이 걸이형에 비해 경제성을 제외한 적합성, 합목적성, 만족성, 사용성, 제품성, 심미성 등 6 항목에서 유의하게 높은 평가를 받았다. 구매의사도 스탠드형이 높게 나타났다. 사용 후 디자인 평가 결과, 스탠드형이 걸이형 보다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스탠드형의 기능성 식물용기는 협소한 장소에 수직적 공간의 활용도를 높여주며, 주거환경에서도 식물을 잘 기르고 감상할 수 있는 디자인으로 판단된다.
        513.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숲길 경관과 숲길 가장자리 임목밀도에 대한 대중의 관념적, 시각적 선호도를 조사 분석한 것이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관념적 조사로 행해진 숲길 경관 선호도의 경우, 울창하고 아늑하고 좁은 숲길을 울창하고 밝고 넓은 숲길보다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곡선으로 구불구불한 숲길이 직선으로 곧게 뻗은 숲길보다, 포장되지 않은 숲길이 포장된 숲길보다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숲길 가장자리 수종 구성과 관련하여 침엽수와 활엽수가 섞여 있는 숲길의 선호도가 침엽수, 활엽수로 조성된 숲길보다 높게 나타났다. 자연 그대로의 숲길을 길가에 꽃나무나 풀꽃 등을 심어놓은 숲길보다 더 선호했고, 숲 길가를 자연 그대로 살려 둔 숲길의 선호도가 풀깎기 등으로 잘 정리된 숲길보다 높게 나타났다. 숲길 가장자리의 잣나무림의 흉고직경별 입목간격에 따른 모습을 모델링하여 시각적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일반소경재(D<25)에 해당하는 흉고직경 24(cm)의 경우, 2∼5(m) 범위의 입목간격에서 3m, 우량중경재(25≤D<40)에 해당하는 흉고직경 35(cm)의 경우, 3∼6(m) 범위의 입목간격에서 4m, 우량대경재(40≤D)에 속하는 흉고직경 45(cm)의 경우 4∼7(m) 범위의 입목간격에서 5m의 경관 선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현재 치유의 숲 조성 정책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는 반면, 치유의 숲 조성을 위한 산림경관의 조성 및 관리에 대한 연구와 체계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치유의 숲 조성정책에 부응하여 경관의 시각적 질 향상을 통해 치유효과를 높이기 위한 산림경관관리의 기초자료로써 활용을 기대한다. 한편, 본 연구결과는 방문객이 기대하고 요구하는 숲길 경관의 이미지 파악은 가능하나, 가상의 풍경이나 응답자의 관념적 선호도에 기반하여 도출된 것이므로 실제 산림현장에 대한 반응과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향후 풍부한 현장감을 통해 경관반응을 도출할 수 있는 후속 연구와 더불어 선호도 파악에서 나아가 선호 경관이 실제 인체의 생리적 반응과도 일치하는지에 대한 고찰이 필요한 바이다.
        516.
        2013.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다문화 이주여성을 위한 화훼장식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자의 만족도, 프로그램 수강동기, 국적별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기관의 권유 및 원예활동의 관심에 따라 참여한 참여자 모두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국적별로 러시아 그룹에서 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화훼장식 프로그램 참여 후의 다문화 이주여성의 자아효용감의 변화에 있어서 전체적인 자아효용감 및 하위요인 별로 사회적 자아효용감 영역에서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증가를 나타낸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다양한 화훼장식 프로그램의 참여가 다문화 이주여성들에게 특정한 상황이나 행동에 얽매이지 않는 상황에서 자기 자신의 능력과 효용감을 표출할 수 있었다는 결과라 하겠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다문화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한 화훼장식 프로그램은 다문화 이주여성들의 자아효용감을 상승시키고 화훼장식 프로그램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자아효용감이 높아졌다는 연구 결과를 알 수 있었다.
        517.
        2013.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경쟁지상주의와 개인주의의 확산으로 도시민의 정서와 심리적 불안이 사회적 문제로 확대되는 현대사회에서, 일반가정 대상으로 정서적 안정 및 친밀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도시농업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가족과 함께하는 시간을 갖는 과정 속에서 도시농업 원예활동이 가족의 정서적 안정 및 친밀도 형성 모두에서 긍정적인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518.
        201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창의 ․ 인성 교육 목표에 적합한 원예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 연구를 통해 창의․인성 교육의 목적과 요소를 분석하고 창의적 사고기법을 연구하고 교수·학습안을 구성하여 학교교육용 원예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원예교육 프로그램에 대하여 교사들에게 프로그램에 대한 적합성 및 선호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여 프로그램에 대한 검증을 받았다. 본 연구를 통해 얻게 된 결론을 종합해 볼 때, 개발된 원예교육 프로그램은 창의․인성 교육이 추구하는 덕목들과 부합하는 교육적 요소와 관련 사고기법을 활용한 교수·학습안으로 다수 개발할 수 있었으며 이들은 학교 현장에서 효과적인 창의적 체험활동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고려되었다. 또한 설문결과를 살펴 볼 때 교사들에게 원예교육 프로그램은 창의·인성교육 용으로서 높은 적합성과 개발된 활동 전반에 대한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다, 인구통계학적 특성별로 원예교육 프로그램 선호도를 알아본 결과 연령별로는 창의성 요소에 대한 선호도는 전 영역에서 높은 편이었으며 이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도 주생활을 제외한 의.식 영역에서 연령별 차이가 유의미함을 알 수 있었다. 영역별로는 대부분 주생활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이 창의성 선호도가 높았으며 인성영역에서는 연령별로 전 영역에 걸쳐 비교적 고른 선호도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향후 원예교육을 위한 교육기회의 증대, 관련 자료 및 교육현장시설의 문제 및 차시부족 등은 문제점으로 고려되었다.
        519.
        201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공동주택 옥외공간에 도입된 이용프로그램의 현황을 파악함으로써 옥외공간 이용 활성화를 높일 수 있는 이용프로그램 도입 및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370개소 공동주택 관리소장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론은 다음과 같다.1.공동주택 옥외공간 이용프로그램은 총 조사대상지역의 16.5%가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 단지규모, 준공시기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모두 옥외공간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 옥외공간 넓이의 증가, 설계요소의 다양성, 공익적 기능의 강화 등이 옥외공간에서의 이용프로그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2.공동주택 옥외공간에서 현재 실시하고 있는 이용프로그램은 운영이 쉬운 체육강습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주민의 선호도가 높은 축제, 장터, 정원관리, 텃밭가꾸기도 높게 나타났다. 운영방식은 외주보다 주민이 자체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었다. 따라서 향후 프로그램 도입시 운영하기 쉽고 주민 선호도가 높은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주민과 관리자가 쉽게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매뉴얼을 제작 보급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3.이용프로그램 참여 연령층은 성인과 노인이 대부분으로 모든 연령층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 및 연령별 요구에 맞는 프로그램을 모두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프로그램 진행시 활용되는 옥외공간은 대부분 커뮤니티 공간이었는데 최근 커뮤니티 공간의 계획 및 설계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어 앞으로 이들 공간을 활용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4.이용프로그램을 진행하는데 있어 문제점으로는 낮은 참여도가 가장 많은 빈도를 보이고 있었고 이용프로그램이 도입되지 않는 이유로도 낮은 참여도가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이고 있었다. 이용프로그램의 도입과 원활한 진행을 위해서는 주민 참여율이 관건이며, 이를 위해 주민들의 참여를 독려하는 홍보를 하고 아파트 자생단체와 커뮤니티 전문가 제도들을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5.공동주택 주민이 좋아할 것으로 예상되는 이용프로그램은 바자회가 가장 많았고 요가, 꽃밭가꾸기, 영화상영, 음악회, 텃밭가꾸기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주민 선호도가 높은 프로그램들은 프로그램 개발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며 특히 영화상영이나 음악회와 같은 문화예술프로그램은 선호도는 높으나 현재 공동주택 옥외공간에서 실시하고 있는 빈도는 낮아 앞으로 주민 재능 기부 등의 전문인력 도입시 활발한 참여가 이루어질 것으로 판단된다.이상과 같이 공동주택 옥외공간 이용프로그램 도입현황 및 선호도를 조사하였으며 향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주민을 상대로 프로그램 만족도 및 선호도 조사를 실시하여 프로그램에 대한 주민의 요구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여 진다.
        520.
        201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서울 소재의 도심공원을 대상으로 이용자들의 일반적인 이용행태와 도시농업 관련 체험에 대한 선호 및 요구를 분석하여 도심공원에 적용 가능한 도시농업 체험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수립하고자 수행하였다. 이용자들의 도심공원 이용 목적은 산책, 동반자는 가족이나 친지, 공원을 이용하는 계절은 가을, 이용시간은 오후 시간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도심공원 내 도시농업 관련 체험프로그램의 도입과 관련한 내용에서 도시농업 체험 활동별 필요성에서는 채소수확이 가장 유의하게 높았고, 그 필요성이 가장 낮게 응답한 항목은 화학비료 이용하기였다. 체험활동 유형에 대한 선호도 조사에서는 감성체험이 관계체험과 비교하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감성체험 내에서는 재미있고, 마음이 편안해지는 체험을 프로그램의 차별성을 느끼는 것보다 유의하게 높게 요구하였다. 인지체험 내에서는 전문지식 및 기술을 습득하는 것보다 식물에 대한 관찰력 및 주의력이 증진되는 체험을 유의하게 높게 원하였다. 도시농업 체험프로그램 개발 시 고려해야 할 연령층은 ‘만 13세 미만의 어린이’, ‘가족을 위한 프로그램’ 적정 운영 계절은 ‘봄’, 요일은 ‘주말’, 운영시간은 ‘오후’가 유의하게 높았다. 도시농업 프로그램을 운영할 주체로 ‘전문가’가 필요하며, 도시농업 체험프로그램을 통하여 예상하는 효과로는 ‘정서 및 교육적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