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79

        521.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C 기준 순환식 양액재배에서 식물의 양분 흡수와 배액율은 재사용 양액 내의 이온 비율과 농도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파프리카(Capsicum annum L. 'Boogie')의 EC 기준 순환식 양액재배에서 시간과 배액율에 따른 이온 농도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첫 번째 실험에서 수집된 배액을 EC 2.2dS·m-1로 조정하고 새로 조성한 양액과 혼합하여 재사용 하고 주기적으로 샘플링 하여 이온의 농도를 분석하였다. 두번째 실험은 7%, 16%, 39%, 51%의 배액율을 적용하고 배액과 배액을 원수로 희석하고 새로 조성한 양액과 혼합하였을 때의 EC 변화와 이온 농도를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재사용 양액에서의 K+ : Ca2+와 SO42- : NO3-와 같은 이온 간의 비율 변화를 조사하였다. 첫번째 실험에서의 이온 농도의 변화 범위는 각각 K+ 1.13, Ca2+ 5.35, Mg2+ 0.92, NO3- 0.9 SO42- 1.10, PO43- 0.19meq·L-1이었다. 이온 간의 비율 변화는 양이온에서는 주로 K+ : Ca2+을 중심으로 음이온에서는 NO3- : SO42-을 중심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실험에서 배액율에 따른 배액의 배액율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배액 내 각 이온의 농도도 배액율의 증가에 따른 감소 경향을 보였다. 배액율에 따른 배액 내 이온 간의 비율 변화에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배액을 희석하고 새로 조성한 양액과 혼합함에 따라 교정 효과에 차이가 나타났다. 7% 의 배액율이 새 양액의 이온 비율에 가장 근접하였으며, 16%, 51% 39% 순으로 교정되었다. 교정에 따른 이온 비율 변화는 K+ : Ca2+와 NO3-와 PO43-를 중심으로 나타났다.
        4,000원
        522.
        2010.1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concentration and emission unit of ammonia and hydrogen sulfide released from domestic chicken buildings by field investigation. Mean concentrations of ammonia and hydrogen sulfide emitted from chicken buildings were 18.25(±4.78)ppm and 807.53(±526.17)ppb for caged layer house, 14.48(±4.13)ppm and 644.82(±312.48)ppb for broiler house, and 6.16(±2.02)ppm and 284.75(±232.08)ppb for layer house with manure belt, respectively. Mean emission coefficients of ammonia and hydrogen sulfide were 0.951(±0.131) g hen-1h-1 and 2.956(±0.968) mg hen-1h-1 based on head whereas they were 0.575(±0.082) g m-2h-1 and 12.44(±3.536) mg m-2h-1 based on time. In conclusion indoor concentration and emission coefficient of ammonia and hydrogen sulfide were highest in caged layer housed, followed by broiler house and layer house with manure belt.
        4,000원
        523.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양액농도에 따른 여러 관엽식물의 생육반응을 구명하여 양분관리의 기준을 설정하고 초기 생육을 촉진시키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재료로 벤자민고무나무, 관음죽, 필로덴드론, 스파티필럼, 아이비 등 많이 이용되고 있는 관엽식물들을 속별로 선택하였다. 화분에 식재한 관엽식물에 0, 1/4, 1/2, 1배액의 Sonneveld 분화전용양액을 저변관수하였으며, 28주 후 식물의 초장, 폭, 엽수, 엽면적, 생체중 및 건물중 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관엽식물은 종류에 따라 영양요구도가 다름을 알 수 있었다. 벤자민고무나무와 필로덴드론은 양액농도가 높아질수록 식물의 생육이 증진되었으나, 아이비와 스파티필럼은 1/4과 1/2배액에서 생육이 가장 좋았다. 관음죽의 경우 l배액에서만 생육이 약간 증진되었고 1/4과 1/2배액에서는 무처리구와 거의 차이가 없었다. 관엽식물의 엽내 무기이온을 정량한 결과 중 N, P, K 등이 생육에 가장 크게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되었다. 관엽식물에 대한 관수와 시비의 기준들이 명확히 제시되지 않고 있고, 재배시 초기생육이 느리다는 단점이 있어 이 기간을 단축시킬 필요성이 있다. 본 실험에서는 이런 점들을 보완하려고 하였고, 양액에 의해 식물의 생육도 증진됨을 알 수가 있었다. 적합한 양액농도로 관리해주면 생육이 빨라지고 품질도 우수해졌다.
        4,000원
        524.
        2010.1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presents residential indoor and outdoor exposure concentrations distribution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benzene, toluene, xylene) and nitrogen dioxide (NO2) in industrial area (case) and agricultural area (control) during 5 days. Concentrations of VOCs and NO2 were measured with passive samplers in residential indoor and outdoor. Most of benzene, toluene and NO2 mean concentrations in case area were higher than those in control area. Considering the indoor and outdoor ratios (I/O) were higher than 1, the residence might be have the sources of indoor air pollutants such as smoking and using of gas range. Residential indoor concentrations of benzene, toluene, and NO2 with indoor smokers were higher than those and without indoor smokers.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personal exposures to air pollutants might be affected by indoor sources as well as outdoor pollutants emitted from industrial complex, and indoor air quality and outdoor air quality should be simultaneously considered to reduce the personal exposure to air pollutants.
        4,200원
        525.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구는 관엽식물 4종을 배지종류, 광도 및 이산화탄소 농도를 달리하여 식물의 광합성 반응을 조사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실내환경 조절에 효율적인 식물을 선정하고자 실시하였다. 식물재료로는 싱고니움, 디펜바키아, 쉐프렐라 홍콩, 드라세나를 사용하였으며, 성분과 성질이 다른 두 배지(peatmoss, hydroball)에 각각 재배하였다. 광도는 PPFD 0, 30, 50, 80, 100, 200, 400, 600μmol·m-2·s-1의 수준으로 조절하고, 이산화탄소 농도는 0, 50, 100, 200, 400, 700, 1000, 1500μmolCO2·mol-1의 수준으로 처리하였다. 광도 및 엽육내 CO2 농도변화에 따른 관엽식물의 광합성 반응을 조사한 결과, 약광에서의 광합성 능력을 나타내는 순양자수율은 쉐프렐라 홍콩과 디펜바키아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두 실내식물은 고농도의 이산화탄소 환경에서도 다른 두 식물에 비해 높은 광합성율을 기록했다. 드라세나 와네키는 두 조건 모두에서 가장 낮은 광합성 효율을 보였다. 두 배지 처리에 따라서는 각각의 관엽식물에서 엇갈린 광합성 반응이 관찰되었다. 쉐프렐라 홍콩은 피트모스 배지에서 광과 이산화탄소 증가에 따라 하이드로볼 배지에 비해 높은 광합성 속도를 보였지만, 디펜바키아는 그와는 정반대로 하이드로볼 배지에서 더욱 높은 광합성율을 기록했다. 싱고니움의 경우는 광처리에 의해서는 피트모스 배지에서 높은 광합성율을 보였지만 이산화탄소 처리에서는 배지간 차이가 없었다. 가장 낮은 광합성 효율을 보인 드라세나 와네키는 광에 의한 배지간 차이가 없었으며, 이산화탄소 증가시에는 피트모스에서 다소 높은 광합성율을 보였다. 따라서 실험한 4가지 관엽식물 중 광합성 효율이 가장 높았던 쉐프렐라 홍콩이나 하이드로볼 배지에서 높은 효율을 보인 디펜바키아가 실내 공기정화 및 실내 환경조절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526.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produce the threshold values of 12 specified offensive odor substances based on the 3 point comparison method instead of the 2 point comparison method of ASTM or CEN. As a result, the threshold values of individual odor substances, including Methyl mercaptane, Hydrogen sulfide, Trimethylamine, and I-Valeraldehyde ranged between 0.0001∼0.001ppm, while the values of Styrene and Ammonia were relatively higher than of other substances at 1.8ppm and 0.04 ppm respectively. The threshold values of the 12 specified odor substances were compared in Korea and overseas, which show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olfactory response varied by substance and nation. When it comes to acetaldehyde or hydrogen sulfide, western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tended to quite insensible compared to Koreans. Japanese people were more sensitive in the 12 specified odor substances than Koreans in general, suggesting that it is not only because of its olfactory ability, but because of the calculation method that produces Japan‘s dilution threshold values approximately 1.5 times as high as Korea"s.
        3,000원
        527.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소식 CO2 발생기 사용시 사용하는 연료에 따라서 발생되는 CO2 농도 및 유해가스 농도를 비교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사용 연료로는 등유, LPG, LNG를 이용하였다. 연소식 CO2 발생기는 등유사용 국내제품을 설치한 온실(A), 외국제품을 설치한 온실(B), LPG 사용 국내제품과 외국제품을 설치한 온실 2개소(C와 D) 및 LNG 사용 온실(E)을 선정하였다. 측정은 서울대학교 농생명과학공동기기원(NICEM)의 실내공기질 분석 시스템의 일부 측정시스템을 온실로 이동하여 측정하였다. 연소식 CO2 발생기 작동 유무에 따른 CO2 가스 증감은 NOx류의 증감에 정의 상관을 보였으며, 사용 연식에 따른 버너의 내구성 저하에 따른 유해가스 발생량이 증가하였다. CO 농도가 매우 높게 나올 경우에는 발생기 내부에 컨버터를 장착하여 농도를 저감시켜 직물의 생리장해를 예방시킬 필요가 있었다. 전체적으로 CO2 발생에 따른 유해가스 농도는 최근 설치된 장치에서는 큰 문제가 없었으며 가장 낮은 유해가스 발생량은 국산 LPG 제품을 사용한 D 온실이었다.
        4,000원
        529.
        201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숲에서 발생하는 음이온의 농도가 임상과 숲 관련인자에 따른 변이를 파악하고자, 강원도 고성군, 양양군에 위치한 국유림지역에서 52개의 방형구에서 산림조사와 음이온의 농도를 측정하고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측정된 음이온의 평균값 2,405개/cm3는 일반적인 숲에서 보고된 2,000개/cm3 보다는 조금 높은 값이었다. 음이온 농도와 지형에서는 5% 유의수준에서, 음이온 농도와 토양수분, 해발고에서는 1% 유의수준에서 각각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조사지의 음이온 농도는 토양수분 수준간 고도의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다습한 지역에서 평균 음이온 농도가 4,524.4개/cm3로 가장 높았다. 지형에서는 계곡부 조사지의 평균 음이온 농도가 3,372.4개/cm3로 가장 높았으며, 사면, 능선 순으로 점차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측정시간대에서는 오전(12시 이전)에 측정된 평균 음이온 농도가 3,133.4개/cm3로 가장 높았으며, 낮(12:00~15:00), 저녁(15시 이후) 순으로 점차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임상에서는 활엽수 혼효림에서 측정된 평균 음이온 농도가 3,503.9개/cm3로 가장 높았으며, 참나무림, 소나무림, 소나무-참나무 혼효림 순으로 점차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치유의 숲 입지선정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4,000원
        532.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improvements caused by silk sericin extract in blood glucose and lipid concentrations in the sera of streptozotocin(STZ, 55㎎/㎏B.W., I.P. injection)-induced diabetic rats fed on experimental diets for 5 weeks. Serum concentrations of blood glucose, total cholesterol, atherosclerotic index, LDL, LDL-cholesterol, free cholesterol, cholesteryl ester ratio, triglyceride(TG) and phospholipids(PL) were remarkably higher in the diabetic group(group BSW) and STZ(I.P.)-plus-silk sericin extract group(group ESS) than in the control group(group CG, basal diet-plus-water). However, the serum concentrations of blood glucose, total cholesterol, atherosclerotic index, LDL, LDL-cholesterol, free cholesterol, cholesteryl ester ratio, TG and PL were lower in the ESS group than in the BSW group, whereas the ratio of HDL-cholesterol concentration to total cholesterol and HDL-cholesterol concentration in the ESS group were higher than in the BSW group. The activities of alkaline phosphatase(ALP) and aminotransferase(AST, ALT) in serum were lower in the ESS group than in the diabetic BSW group. The results shown above suggested that silk sericin extract effectively improves blood glucose and lipid concentrations in the sera of STZ-induced diabetic rats.
        4,000원
        533.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추출물 형태에 따른 파프리카 첨가 식이가 고콜레스테롤 식이 흰쥐의 혈청 지질과 α-tocopherol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Sprague-Dawley 수컷 25마리를 대조군(NC), 고콜레스테롤군(HC), 고콜레스테롤+동결 건조 파프리카 분말 섭취군(HC-FDP), 고콜레스테롤+파프리카 물 추출물 섭취군(HC-WEP), 고콜레스테롤+파프리카 에탄올 추출물 섭취군(HC-EEP)으로 나누어 실험 식이를 6주간 공급하였다. 6주 후 HC군과 파프리카 급여군에서 체중 증가는 각각 85.2%와 65.5~68.88%로 HC군에서 체중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그리고 내장지방 무게는 HC군보다 파프리카 급여군에서 감소하였으며, 파프리카 급여군의 중성지질,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과 atherogenic index 역시 HC군보다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그리고 파프리카 급여군들 중에서는 HC-EEP 군이 혈청지질 농도 감소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혈청 α-tocopherol 농도는 HC-EEP에서 30.5±0.6μMol/ℓ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는 HC-WEP(30.0±0.8μMol/ℓ)>HC-FDP(29.1±0.5μMol/ℓ)>HC(27.7±0.3μMol/ℓ)이었다. 이는 고콜레스테롤 식이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혈청 α-tocopherol이 소모되는 것을 파프리카 급여로 절약 하는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파프리카는 혈중 지질 농도 저하 효과를 보였고, α-tocopherol 절약 작용을 통해 체내 항산화제로서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534.
        2010.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urvival rate of frozen-thawed spermatozoa in equine by glycerol concentration and freezing speed. Two stallions (1 Thoroughbred-13 year old and 1 Arab-7 year old) bred in Korea Racing authority was examined for 1 times in a couple of weeks. Semen was collected by condom method standing heated mare and were centrifuged 650 g for 15 min. and isolated the seminal plasma. Thick fraction of semen was diluted EDTA-Lactose-egg yolk diluents to 1:1 and contained in 0.5 ml straw as 6~14×107cells/ml. Final concentrations of glycerol were 3, 5 and 7% in cryopreseved diluents and added 4 times for 2 hours equilibration. For the freezing, equilibrated straws were located 3 or 5 cm above LN2 gas for 5 or 10 min. Survival rates of pre-frozen sperm were 65.0±13.2%, 68.3±10.4%, 66.7±11.5% and post-frozen were 53.3±23.1%, 45.0±15.0%, 50.0±18.0% in 3, 5, 7% glycerol concentration, respectively.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glycerol concentrations. Survival rates of frozen-thawed sperm on freezing speed were 36.7±10.4%, 40.0±7.1%, 30.0±13.2% at 3 cm-5 min and 33.3±11.5%, 31.7± 2.9%, 21.7±10.4% at 3 cm-10 min in 3, 5, 7% glycerol concentration, respectively. Survival rates of frozen-thawed sperm on freezing speed were 43.3±15.3%, 32.0±17.9%, 22.3±15.7% at 5cm-5 min and were 47.5±15.0%, 43.3±12.6%, 48.3±15.3% at 5cm-10 min in 3, 5, 7% glycerol concentration, respectively.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s (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glycerol concentration did not affect cryopreservation of stallion semen within 3~7% but freezing speed affects. In our experiment, the best cryopreservation condition was at 5 cm above LN2 gas for 10 min for pre-freezing and 7% of glycerol concentration. These results lead to commercial AI with frozen-thawed stallion semen.
        3,000원
        535.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당뇨병 환자의 혈당치 측정을 위하여 폴리우레탄으로 만들어진 진단막을 제조하였다. 혈액 속의 글루코우즈의 농도를 변화시켜가며 폴리우레탄 진단막을 가지고 680 nm에서의 최종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시간에 따른 흡광도 변화량(K/S)의 최종 결과치가 글루코우즈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직선적으로 증가하였다. 헤마토크릿이 글루코우즈의 농도 측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낮은 헤마토크릿에서는 글루코우즈의 농도와 K/S와의 기울기 값(Dose-Response Slope : DRS)이 플라즈마와 비교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높은 헤마토크릿(40% 이상)에서는 상당히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536.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ost wastewater treatment plants are facing odor and sludge disposal problems. In this lab-scale study, odor and sludge from wastewater treatment processes were treated using a combined non-thermal plasma and sludge reactor. The hydrogen sulfide concentration introduced to the reactor was varied at 10, 20, and 50 ppm, and its removal efficiency and system performance were determined. Ozone was produced by the plasma reaction at a concentration of 200 ppm under the given condition. 80% of the hydrogen sulfide was removed regardless of its introduced concentration. In addition, due to the ozone carried over to the sludge reactor, the organic constituents in the waste sludge in terms of TCOD decreased by 30%. The ion concentrations of HS- and SO₄²⁻ in the sludge increased during the four hour experimental period. As a result, the plasma oxidation system can treat waste sludge effectively for the simultaneous reduction of sludge volume and odor.
        4,000원
        537.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팽이버섯 병재배에서 재배사 내의 탄산가스 농도를 조절하여 소비자 요구에 맞는 버섯을 안정적으로 생산하고, 생육과 수확에 관련하여 적정기준 설정을 위해 실험을 수행한 결과이다. 공시균주 특성 값을 종합해보면 탄산가스 농도가 높아지면 초발이소요일수, 생육일수, 수확일수는 증가하는 경향이고, 백색계열보다 갈색계열이 탄산가스 농도에 상관없이 초발이소요일수, 생육일수, 수확일수가 전체적으로 짧으며, ASI 4103 균주와 같이 균주의 유전적 형질이 재배적 특성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병당 수량성은 균주에 따라 처리농도에 따른 증감의 차이는 있으나, 전반적으로 탄산가스 농도가 높아지면 수확량은 감소하였다. 개체중은 균주에 따라 약간씩 차이는 있으나 대체적으로 탄산가스 농도가 증가하면서 약간씩 감소하는 경향이다. 병당 개체수에서는 균주간의 차이가 커서 탄산가스 농도 증가에 따른 일정한 경향을 확인 할 수 없었다. 자실체의 수분함량은 균주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탄산가스 농도의 증가에 따라 수분함량이 감소되었다.
        4,000원
        538.
        201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uman gingival fibroblasts (hGFs) were repor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inflammatory reactions to lipopolysaccharide (LPS) from P.gingivalis in the periodontal connective tissue. Although the biostimulatory effects of hyperbaric oxygen therapy, such as anti-inflammatory activity, have been reported, the pathological mechanism is not completely understood.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s in the inflammatory cytokine profiles, which are produced after exposure to hyperbaric oxygen in P.gingivalis LPS-treated human gingival fibroblasts, and subsequently to examine the 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pathway involved in cytokine production. Gingival fibroblasts with or without P.gingivalis LPS were exposed to hyperbaric oxygen, and the cytokine profiles in the supernatant were observed using a human inflammation antibody array. The expression of cyclooxyginase-2 (COX-2) protein, phosphorylation of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1/2), p38, and c-Jun-N-terminal kinase (JNK) MAPK by western blot analysis, and the amount of prostaglandin E2 (PGE2) in the supernatant by an enzyme-linked immunoassay were determined. COX-2 protein expression and PGE2productionwereincreasedsignificantlyintheP. gingivalis LPS-treated group, and were decreased by treating P. gingivalis LPS with hyperbaric oxygen. Treatment of P. gingivalis LPS in the gingival fibroblasts led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pro-inflammatory-related cytokines interleukin-6 (IL-6) and IL-8 released, whereas hyperbaric oxygen inhibits the irrelease. Ananalysis of the MAPK signal transduction showed that hyperbaric oxygen induc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level of P38 phosphorylation regardless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LPS. In addition, hyperbaric oxygen promoted JNK phosphorylation, significantly in the presence of LPS. Hyperbaric oxygen can inhibit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mediate the MAPK signal pathway, and appears to be useful as an anti-inflammatory tool.
        4,300원
        539.
        201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산균을 고농도로 배양하기 위하여 CaCO3를 각각 15%와 20%씩 첨가하여 직경이 서로 다른 CaCO3-alginate beads를 제조한 후, lactic acid에 대한 CaCO3-alginate beads의 반응 특성과 완충효과를 관찰하였으며, lactic acid에 대하여 완충작용이 있는 CaCO3-alginate beads를 이용하여 S. thermophilus ST-Body 1과 L. amylovorus DU-21을 고농도 배양하여 직접투입식 starter를 제조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조된 CaCO3-alginate beads는 CaCO3, alginate 함량 및 수분 함유율이 beads에 일정하게 고루 분포되어 있으며, 일정한 밀도를 갖는 입자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lactic acid에 대한 beads의 반응은 표면으로부터 일어나기 시작하여 내부로 진행됨을 확인하였으며, CaCO3-alginate beads 양의 증가는 결국 lactic acid와 반응할 수 있는 CaCO3 표면적의 증가를 가져오게 되며, 단위시간당 lactic acid와 반응하는 CaCO3의 상대적 증가를 가져오기 때문에 CaCO3-alginate beads 양의 증가는 lactic acid 용액 내부의 중화작용의 증가를 가져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CaCO3-alginate beads의 직경이 작을수록, 내부의 CaCO3 함량이 높을수록, 단위 부피당 넓은 표면적과 높은 중화작용을 가지므로 CaCO3-alginate beads를 pH neutralizer로 이용하여 유산균을 배양할 경우에는 CaCO3 함량이 높고 직경이 작은 CaCO3-alginate beads의 이용이 유산균 배양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CaCO3-alginate beads를 이용한 유산균의 고농도 배양 시, pH와 생균수와의 상관성과 선형관계를 단순회귀분석법(simple regression)을 이용하여 최소자승추정량(least square estimator; LSE)을 구하여 검증한 결과, 각 X의 회귀계수의 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p<0.05, p<0.01)를 보였다. 또한 R2 값은 S. thermophilus ST-Body 1와 L. amylovorus DU-21의 경우, CaCO3-alginate beads 무첨가구와 첨가구에서 각각 0.6310, 0.7505, 0.7452, 0.7609이였다. 이는 pH가 균 증식에 다소나마 영향을 주는 것을 나타낸다. 고농도로 배양된 S. thermophilus ST-Body 1과 L. amylovorus DU-21 균주를 이용하여 직접투입식 starter를 제조한 결과, 동결건조 보호제로 15% glycerol을 이용하였을 때 각각 91.96±1.35%와 89.09±4.49%의 생존율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확립된 기법은 probiotics 조제나 정장제 조제방법에 있어서도 공히 적용 가능하므로 미생물 세포의 이용기법으로 그 생존율과 발효에 연관되는 기능보존과 수반되는 여러 분야에 적용한다는 면에서 산업적으로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4,000원
        540.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참나무류는 한반도 산림식생의 우점종으로 그 열매인 도토리는 야생동물의 중요한 먹이원이다. 본 연구는 계절에 따라 도토리의 영양염류 함량을 상수리나무, 갈참나무, 신갈나무, 굴참나무, 떡갈나무, 졸참나무가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계절별로 채집해 그 함량을 분석했다. 질소 함량은 갈참나무에서 계절에 관계없이 일정했고, 떡갈나무는 계절의 변화에 따라 뚜렷한 차이가 나타났다. 상수리나무는 계절의 변화에 따라 여름과 가을에 높았으나, 신갈나무는 봄과 여름에 높았고, 가을에 낮아지는 경향성을 보였다. 졸참나무는 가을에 가장 높았고, 굴참나무는 가을에 가장 낮았다. 인 함량은 6종 모두에서 여름에 가장 낮고, 봄과 여름에는 높은 경향성을 보였다. 칼슘과 마그네슘 함량은 계절에 따라 신갈나무에서는 증가하였으나, 나머지 5종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나트륨 함량은 갈참나무, 떡갈나무 그리고 졸참나무에서 계절에 관계없이 일정했고, 신갈나무는 계절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굴참나무에서는 가을에 가장 높았으며, 상수리나무는 가을에 가장 낮았다. 이상으로 볼 때, 도토리의 영양염류 함량은 계절과 종에 따라 매우 다양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