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5

        41.
        199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제주도에 있어서 인산 시용량 차이가 (0,4,8,16,32kg/10a) 사료용 청예동부의 수량 등 형질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초장, 생초중,경중, 엽중, 엽수, 주경절수, 1차분지수,협수. 협중 등은 조사시기에 관계없이 인산시비량이 증가할수록 증가되었다. 2. 초장 및 주엽절수는 8월 25일 이후 증가가 없었고 경중 및 생체중은 시비량에 관계없이 8월 25일 (파종후 60일)에 가장
        4,000원
        42.
        199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 of harvesting dates on the dry matter yield and quality of "Kool grazer" winter rye(Seca1e cereale L.) as a soilage crop at the Forage Experimental Field of College of Agrlc. and Life Sciences, SNU,
        4,000원
        43.
        199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남주지방에 알맞는 청예 사초용 율무의 질소시비수준을 구명코자 1989년 4월부터 1990년 8월까지 순천대학교 부속 동물사육장 내 사료작물포장에서 시험을 수행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질소의 시용은 13.5kg/10a까지 직선적인 증수를 나타냈으나 18kg/a의 다비구는 시비방법에서 2구의 추비 결과로 도복과 과번무가 나타나 오히려 감수하였다. 2. 적정 시비수준은 NP2O5-K2O=13.5-6.6 kg/10a로 사료되
        4,000원
        44.
        199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남부지방에 적합한 청예사초용 율무의 파종적기를 구명코자 다수성으로 인정된 승주 재래종을 공시하여 시험했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초장, 경태, 엽수 등의 수량 구성형질은 4월 15일에 파종한 구가 가장 우수하였다. 2. 생초수량과 건물수량은 역시 4월 15일에 파종한 구가 증수되었다. 3. 조단백질 함량은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높았고 NDF, ADF 등의 조섬유 함량은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저하되었다.
        3,000원
        45.
        199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experimented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on the changeable aspect and improvement of soil fertility in newly-reclaimed sloped land. Silage corn was cultivated under the six different treatments for 4 years. The relation between the amou
        4,000원
        46.
        198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provide comparative data on the newly imported thirteen sorghum-sudangrass hybrids(Sorghum bicolor(L.) Moench), TE Goldmaker sorghum hybrid (S. Bicolor (L.) Moench), NC+ 88SS sudangrass hybrid (S, bicolor (L.) Moench)
        4,000원
        48.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luble silicate and germanium on the characteristics of soil and growth in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cultivated in blue-white plastic houses. Methods and Results : Seedlings (n = 63 per 3.3 ㎡) of Korean ginseng cultivar were planted on April 10, 2015. Shading material of plastic house [8 m (W) × 3.5 m (H) × 50 m (L)] was blue-white vinyl. From May to September of each year, 1,000 times diluted sol. of germanium and silicate and these mixed solutions were drenched once a month. The chemical properties of the soil are as follows : pH, EC, organic content, and P2O5 of the soil were within the proper range, and the Mg content of the Ex-cations was lower than the standard value in 3 treatments except treatment of germanium 1,000 times. The total nitrogen content was 0.13 - 0.14%, which was higher than the optimum value. The number of soil microorganisms (Actinomycetes etc.) was higher in the treatment than in the non-treatment of inorganic components. The photosynthetic rate of ginseng leaves was 2.25 μmole CO2/㎡/s in the non-treatment and 2.91 to 3.17 μmole CO2/㎡/s in the inorganic treated.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the aerial parts (leaf and stem) of the ginseng plants were generally better than that of non-treatment. Especially, in the treatment with silicate 1,000 times showed better growth, leaf area and leaf width growth. The growth of the underground part (root weight etc.) were also better than non-treatment. Specially, at 1,000 ppm treatment with soluble silicate, the root length and diameter were longer and the weight was was 72.2 g per plant. The ginsenoside content of each treatment is under analysis. The disease incidence (Alternaria panax etc.) rate was 20.1% in the untreated and 6.4% to 10.0% in the inorganic components treatment. Conclusion : By soil drench of inorganic compononts such as soluble silicate in ginseng blue-white plastic house cultivation, the growth of the aerial and root parts in ginseng were more improved than non-treatment. There are a lot of soil microorganism and less disease.
        49.
        2016.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Omija-cheong, concentrated extracts from sugar-treated Omija fruit (Schisandra chinensis Baillon), is produced by traditional manner in Korea.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Omija-cheong processed at low temperature with a pilot-scale were investigated to optimize the incubation time. With increasing incubation time in processing Omija-cheong, the pH level of Omija-cheong remained constant, while titratable acidity and organic acids increased. Fresh Omija fruits contained citric, malic and succinic acids, most of which were extracted into concentrated extracts after 37 days of incubation and reached to the stable concentration after 47 days of incubation. Titratable acidity in Omija-cheong gradually increased from 1.18% to 2.71%, and also was correlated with total concentration of organic acids. About 80% of supplemented sucrose for manufacturing Omija-cheong was converted into glucose and fructose until 68 days of incubation, and the composition of free sugars was maintained to be stable up to 138 days of incubation. The contents of total flavonoids and phenolic compounds in Omija-cheong were 24.1 mg-GAE/L and 1,635 mg-QE/L at 57 days of incubation, which were more than 9 and 5 times higher than those in Omija fruits, respectively. From the quality characteristics in processing Omija-cheong by low-temperature incubation, more than 60 days of incubation is required for the constant quality and value-added beverage.
        50.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710년 청나라에서 해적이 출현하자 황제는 해적을 소탕하고 餘賊이 있을 까 걱정하여 조선에 알린다. 조선에서는 이에 대한 화답으로 謝恩使를 준비하여 謝恩兼三節年貢使로 정사 鄭載崙과 부사 朴權, 서장관 洪禹寧을 북경에 보낸다. 이들보다 앞서 10월 5일, 당시 39세 였던 한범석을 都摠府都事의 자격으로 북경에 보낸다. 한범석을 포함하여 1710년에 북경을 다녀온 조선 사람들이 개인적으로 남긴 기록은 현재 발견할 수 없다. 다만 한범석이 조정에 狀啓로 올린 「單使赴燕時」와 「到義州報狀」이 남아 있는데, 이 때문에 한범석이 북경을 다녀온 전후의 과정과 목적은 이들 장계와 「赴燕詩」,『조선왕조실록』같은 자료를 함께 살펴보아야 한다.당시 청나라는 강희가 황제로 있었을 때였다. 즉위 초부터 왕실의 반대파인 鰲拜를 제거하고 三藩의 난을 평정하였지만 중국 전역에는 여전히 작은 소란이 일어나고 있었다. 浙江, 湖光 등에서는 苗賊이 해변에 출몰하였고, 陝西와 階州 지방에서는 라마교의 난리가 일어났으며, 甘肅省 서쪽에서는 喝爾靼이 반란을 기도하고 있었다. 조선에 영향을 끼쳤던 해적은 金州에서 소탕되었다. 원래 이들은 남방에서 일어나 북상하면서 登州와 萊州 지역에 출몰하였고 이어 북쪽 요동반도의 旅順 부근에 있는 金州까지 세력을 뻐친다. 한범석은 이 전후의 과정을 자세히 조사하여 보고하고 있다. 특히 해적의 규모라든가 전술방법 같은 것도 소상하게 보고하고 있다. 이들 기록들은 주로 북경으로 가는 동안 鳳凰城에서 얻은 정보와 심양에서 들은 것, 해적의 피해를 입은 李重德에게 들은 이야기들을 정리하여 보고한 것도 있다. 북경에서는 정보입수가 어렵게 되자 청나라 하급관리에게 뇌물을 주고 자료를 얻기도 한다.그런데 한범석과 일행들이 북경에 도착했지만 오히려 청나라 예부는 한범석과 일행을 의심했다. 선발대가 이렇게 사은사보다 먼저 온 것이 당황스럽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한범석 일행은 예부관원들과 한 차례 갈등을 겪게 된다. 당시 황제는 도성에 있지 않고 薊州와 永平 등지에서 사냥을 하며 지역을 시찰하고 있었다. 한범석이 얻은 정보는 당시 조선과 청나라의 상황을 알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특히 三藩의 난 이후에도 청나라에 크고 작은 규모의 전란이 있었다는 것은 시사하는 점이 크다. 한범석의 선발대는 다른 목적을 가지지 않고 당시 정세 파악에 주력하였으므로 그의 장계는 정치와 종교의 변화에 자세하다. 朱氏 후손을 세워 멸망한 명나라 왕조를 재건하려는 세력이 있다는 것도 알 수 있다. 조선 후기 최고 산문 중의 하나인 열하일기의 「허생전」을 보면 북벌에 대한 삼대책을 허생이 이완장군에게 언급하는 내용이 있다. 朱氏왕손을 세운다거나 자제들을 빈공과에 보내고 강남에 상인을 보내어 북벌을 도모한다는 내용이다. 「허생전」은 허구적 요소가 가미되어 있지만 소재가 역사적 사실에 근거를 두고 있다는 것을 한범석의 장계를 통하여 거듭 확인 할 수 있다.
        51.
        2014.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중국은 1990년대부터 대외개방을 천명하고 외국자본을 유치하거나 선진기술을 도입하기 위하여 연해항만지역을 중심으로 보세구, 수출가공구, 보세물류원구 등 특별 경제구역을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은 WTO 가입한 이후 판세수준이 낮아져서 기존의 보세지역의 보세기능은 약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청부는 보세항구를 특별구역으로 다시 지정하여 새로운 개념으로 성장시키고 있었다. 중국의 보세항구는 물류 가공 무역 등 기능을 통합 운영하여 보세물류의 구성 단위로서의 장점을 강화시키고 있다. 2005년에 중국정부는 보세항구로서의 상하이 양산항을 항만배후단지로 지정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어서 2010년까지 총 14 개 지역 의 보세항구를 지정하여 국제적인 환적 및 배송 그리고 중계무역 혹은 수출가공을 담당하는 고도의 대외개방 시범구역으로 육성시키고 있다. 중국 청도항만은 세계 허브항만이 되기 위해 2000년 7월 청도 전만 항만을 건설하고 개발했다. 전만항이 개발된 이후 아시아 허브항만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졌다. 싱가포르항, 한국부산항은 항만을 재개발하면서 항만경쟁력을 제고하여 최종 허브항만 경쟁에서 이기는 것을 도모하고 있다. 이런 배경에서 중국은 청도항의 개발을 시작했다. 2008년에 청도 보세항구를 설립하여 항만을 전면적으로 개발했다. 그러나 보세항구의 보세항구 제도 실시가 오래되지 않고 초기단계이어서 많은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중국정부는 항만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고 항만의 기능설치, 발전모델이 명확하지 않았다. 이로 인해서 중국 청도 보세항구를 개발하는 과정에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현재 청도보세항구는 발전이 잘 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환경에서 청도보세항구는 해외선진구의 발전방안을 참조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선진항구의 발전방안을 참조하여서 자신의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52.
        201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청다옥은 다수성 사료용 옥수수 품종 개발을 목표로 2010년에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자식계통 KS159과 KS155의 교잡으로 육성된 다수성인 단교잡종이다. 청다옥의 종피색은 황색이며 입질은 마치종이다. 2006~2007년까지 생산력검정시험을 거쳐, 2008~2010년까지 3년간 4지역에서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하였다. 청다옥의 출사일수는 광평옥보다 1일 빠르고 간장은 광평옥보다 다소 짧고 착수고율은 광평옥보다 낮다. 도복은 광평옥과 비슷한 정도로 강하다. 후기녹체성은 광평옥과 비슷하며 이삭비율은 광평옥과 같다. 깨씨무늬병 저항성은 중정도이고, 그을음무늬병에는 강한 편이다. 검은줄오갈병, 이삭썩음병 및 조명나방 저항성은 중정도를 보인다. 청다옥의 건물수량(20.24 톤/ha)은 광평옥과 비슷하였으며, TDN수량(13.80 톤/ha)도 광평옥과 비슷하였다. 청다옥의 종실수량(8.51 톤/ha)은 장다옥보다 많았다. 4∶1(모본:부본) 재식비율로 동시 파종하여 채종시험한 결과 모본의 출사기와 부본의 화분비산기간이 일치하였으며 채종수량은 1.8 톤/ha이었다. 청다옥은 전국적으로 재배가 가능하다.
        53.
        201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청옹 이명기는 17세기 후반 숙종조 조선왕조의 사대부들 사이의 당쟁이 격화되고 있었던 시기에, 중앙정부의 정치권력에서 점차 더욱 멀리 소외되고 있었던 밀양 사림을 대표하였던 인물의 한 사람이다. 그는 임진란 전후로 밀양의 내진리에 정착한 벽진이씨의 후예로서, 한강 정구 및 여헌 장현광의 학문 연원에 접속하였던 부형들이 전수한 家學을 토대로 학문을 성취하고, 부형들로부터 이어진 世交를 이어받아, 과거를 통하여 중앙정부의 관직에 진출하려고 노력하였다. 그는 25세의 젊은 나이에 진사가 되었는데, 집안의 喪故와 경신환국과 임술고변, 기사환국, 갑술환국 등 더욱 격화되어가는 당쟁의 와중에 到記科에서 直赴會試의 은전을 받았지만 실현되지 못하였고, 예순이 넘은 만년에 문과에 급제하였지만 그 또한 관직에 임용되지 못한 채로 별세하였다. 나는 이 글에서 청옹의 생애 전 과정이 숙종조의 당쟁이 격화된 시점과 맞물려 있음을 주목하고, 그 생애 이력의 파란이 당쟁과 관련이 있음을 방증하는 한편, 당쟁의 시대에 지방 학교의 건설과 교육에 종사하였던 지방 사림의 역할과 그 시문의 문학적 성취와 특징적 면모를 드러내려고 하였다. 이를 위하여 ��청옹문집��에 실린 시문을 개관하는 한편, 문집에 수록되지 않은 시문 십여 건을 찾아내어 그 내용을 소개하였고, 또한 청옹의 시문은 시어가 平順하고 義理가 雅正하다는 기왕의 논평을 기반으로, 이와 관련됨직한 몇몇 시문을 예로 들어 그 의미와 의의를 유추하여 논증하고, 산문으로 「紅紙說」 한 편을 분석하여 당대의 인재등용에 대한 풍자의 의의와 小品文으로서의 의의와 특징을 논하였다.
        54.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청아’는 내재해 다수성 장류용콩 신품종을 육성하기 위하 여 내도복, 다수성 품종인 ‘신팔당콩 2호’를 모본으로 1999년 도에 인공교배한 SS99505 조합으로 계통육성법으로 선발하였으며 계통명은 ‘강원 110호’이다. 꽃색은 백색이고 잎모양 은 난형이며, 종자모양은 구형이다. 종피색과 배꼽색은 황색 이고 백립중은 25.2 g으로 ‘태광’보다 2.4 g 무거운 대립이다. ‘태광’에 비하여 개화기는 7월 20일로 11일 빠르고 성숙기는 9월 30일로 5일 빨라 조숙종이면서도 등숙기간은 6일 길다. 특히, 도복에 강하며 불마름병과 바이러스에 강하다. 수량성 은 ‘태광’보다 생산력검정시험에서는 15% 증수하였고, 철원 등 4개 단작지역 적응성검정시험에서는 14% 증수하여 평균 종실수량이 ha당 2.72톤이다.
        55.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imothy Richard(1845-1919), a Welsh missionary, acted as the spearhead of the missionaries in China who were interested in the reform of the late Qing society. Being sent by the Baptist Missionary Society, he worked in the areas including North China and Shanghai from 1870 to 1916 and his works included relief, literature, education, and social reform as well as evangelism. Sublating the hagiographical writings on him published in the first decades following his death and the socialist historiography utterly criticizing him as the agent of imperialism from the other side, this study tries to take a look both at his missionary motivation for the reform of Chinese society and politics and at his problematic toleration of the imperialistic Western Powers that was implied in his suggestions. Richard was convinced that Western civilization was benefited from the discovery of “the workings of God in Nature.” Communicating with the highest Chinese officials like Zhang Zidong and Li Hongzhang of the Self-Strengthening Movement, which was started in the 1860s, he made an effort to provide the society with scientific education and reform ideas in many areas including agriculture, industry, commerce, transportation, education, and religious education. Serving as the general secretary of the Society for the Diffusion of Christian and General Knowledge among the Chinese (SDK/SDCGK) since 1891, he had a great opportunity to help the Chinese society with writing essays, translating books, publishing books and periodicals. Especially, his translation of History of Nineteenth Century and the periodical titled The Review of the Times edited by Young J. Allen were very popular among the Chinese intellectuals seeking the ways to reform Chinese society.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in terms of the ideology of reform, he did not agree on the overriding Chinese motto of reform, ‘zhong-ti-si-yong,’ which meant ‘the Chinese in mindset and the Western in technology.’ Rather, his idea started from the Western Civilization, not Chinese traditional value system. His suggestion was based on his conviction that Western civilization, comprising of the materialistic development based on natural sciences and ‘the true Christian civilization,’ was superior to Chinese civilization. Thus, his suggestion tends to be a universal reform including modernization, opening of the nation to foreign nations, improvement in commerce and international trades, Western education in sciences, and toleration of Christian education. Even though he did not deny the classical education coming from Chinese tradition and only did ask adding Western subjects to the current education, his respect for Chinese tradition rather came from missiological considerations and his reform ideas came from Western and Christian influences. Furthermore, at the base of Richard’s political activism was his evangelical conviction that made him a missionary to China. In addition to his evangelical faith, through his experiences in China, he developed a type of social gospel emphasizing the Kingdom of God seeking for the salvation of both ‘body’ and ‘soul’ and both ‘individuals’ and ‘nation.’ His effort of reform was at its peak at the 1898 Reform Movement, in which the young rising reformers like Kang Youwei and Liang Qichao co-operated with the Emperor Guangxu to drive forward more progressive reforms following after the Chinese’s defeat at the Sino-Japanese War (1894-1895). He was very influential to the top leaders of the movement in many directions. However, a series of foudroyant ideas that he suggested were not accepted or administered by the leaders and the Court. For example, he suggested 1) a protectorate by the Powers, 2) an annexation or union of China with Japan, the United States, and the British Empire at least in some areas including defence and diplomacy, and 3) a united cabinet with the same number of Chinese and foreign representatives. His ideas were shared by Chinese officials and, in fact, even some similar ideas were coined by Chinese themselves in the great crisis of the fall of the Empire in the encroachments by imperialist Western Powers. His ideas listed above, in spite of the consideration of the context, had implications of Western colonialism trespassing Chinese sovereignty. They especially show the lack of his understanding in the commercial expansion of the Western colonialists. However, despite this point, it does not seem that he was directly connected to the officials or colonialists of the Britain or other Western countries. His idea of protectorate, annexation, or united cabinet was foreign to the current British position in diplomacy. In conclusion, Richard’s reform idea, first, came from his revised evangelical faith including the idea of the Kingdom of God and missiological consideration seeking for cultural adaptation. second, he contributed to the late Qing reform movement in promoting the discourse of reform and educating the younger reformers. Third, his reform had limitations due to his own political and cultural identities as a British subject. He, in his imperialists-friendly suggestions, came to be in the line of supporting the Western colonialists and he never approached republican ideas, which some progressive Chinese already had in their mind by the end of the century.
        56.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청아’는 중부지역 적응 중생 고품질 벼를 육성할 목적으로 1994년 하계에 외관 품위와 밥맛이 우수한 일본 도입품종인 기누히까리를 모본으로, 농가포장에서 수집된 유전자원 중 숙색 등 외관과 밥맛이 좋은 ‘양주선발’을 부본으로 인공교배한 후, 1995년 하계에 F1 15개체 양성, 1996년 하계에 F2 세대에서 집단선발 하였고 F3∼F5 세대를 집단육종법으로 양성한 뒤 F6 부터 계통육종법에 따라 우량계통을 선발 고정시켰다. 2002년부터 2003년까지 2년간 생산력검정 시험을 실시하였고 품위가 양호하며 밥맛이 좋은 SR21159-B-B-B-26-1을 선발하여 ‘수원495호’로 계통명을 부여한 후 2004년부터 2006년까지 3년 간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그 우수성이 인정되어 2006년 12월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위원회에서 국가목록등재품종으로 선정됨과 동시에 ‘청아’로 명명하였다. ‘청아’의 평균 출수기는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8월 6일로 ‘화성벼’보다 4일 빠른 중생종이고, 간장 87 cm, 이삭길이 20 cm, 주당 수수 14개, 수당립수 106개, 등숙률 89.1%로 ‘화성벼’와 비슷한 특성이며, 현미천립중이 20.6 g으로 중립종이다. ‘청아’는 잎도열병, 흰잎마름병(K1, K2, K3), 바이러스병 및 멸구류 등 병해충에 대한 저항성은 약하다. ‘청아’의 내냉성은 중강 정도였으며, 불시 출수는 ‘화성벼’보다 약한 경향으로 나타났다. 쌀 품질 특성에서 ‘청아’는 쌀 외관은 심복백이 거의 없이 외관품위가 우수하며, 이화학적 특성 중 아밀로스함량은 19.3%로 ‘화성벼’ 보다 낮은 편이다. ‘청아’의 쌀 수량성은 지역적응시험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평균 쌀 수량이 5.56 MT/ha로 ‘화성벼’보다 5% 증수되었다. ‘청아’의 재배적지는 중부평야, 남부중간지 및 중서부해안 지대이다.
        58.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다청’은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에서 2008년도에 육성한 중만생 고품질 복합내병충성 품종으로 주요특성과 수량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남서해안지, 호남 및 영남평야지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평균 출수기가 8월 19일로 ‘남평벼’보다 2일 늦은 중만생종이다. 2. 간장은 87 cm로 ‘남평벼’보다 크며, 수당립수는 많고 등숙비율이 다소 낮은 중립종에 속한다. 3. 위조현상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성숙기 하엽노화가 늦고 수발아는 ‘남평벼’보다 잘 되는 편
        59.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조사료용 조숙호밀을 개발하고자 1995 년에 ‘조춘호밀’등 10개 품종을 방임수분으로 혼합교배하여 그중에서 형질이 우수한 계통(SR95POP-S1-119-2-11)을 선발하여 생산력을 검정한 결과 그 특성이 우수하여 ‘호밀30호’로 계통명을 부여하고 5개 지역에서 4개년간 지역적응성을 검정하여 조숙이면서 조사료 수량이 많을 뿐만 아니라 지역간, 연차간 재배안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2006년 직무육성신품종 선정위원회에서 ‘다그린’으로
        60.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은 중국의 17세기 말엽의 혁신적 사상가였던 顔元의 개혁사상을 학문 론과 교육론을 위주로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안원의 사상에 대한 그 러한 논의는 이후에 전개할 남명 사상과의 본격적인 비교 논의를 위한 예비적 작업으로서의 성격을 지닌다고 하겠다. 안원은 초기에 朱子學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나 이윽고 생명을 잃을 뻔한 실존 적 체험을 겪고 난 뒤에 품은 의문을 계기로 사상적 전환을 행하게 된다. 이후 그는 주자학 체계에 대한 철저한 비판을 행하면서 당대의 지식인들이 현실의 위기에 직면하여 실제적인 공헌을 하지 못하는 원인이 그들의 사유가 주자학적 인성론에 얽매여 있음을 깨닫고서 이를 비판하여 새로운 인간 개념을 공식화하 기에 노력하였다. 그러한 그의 인성론에 대한 논의가 지니는 실천 지향적 특성 은 이후 그의 사상이 후대에 나타나는 實學 사상의 한 선구적 존재가 되게끔 하 였다. 안원은 우주를 생명력이 가득한 공간으로 보고 인간도 본질적으로 선악을 벗 어난 주체적 존재로 보고 있다. 이렇듯 인간성을 자아실현의 진정한 도구로서 낙관적이면서 구체적으로 보았던 그의 관점은 이윽고 학문과 수양의 과정에서 실천적 주체로서의 자아의 존재를 강조한다. 그러한 실천적 주체로서의 자아는 학문과 수양의 과정을 통해서 구체화되는데, 그러한 과정에서 그가 발견한 길 은 공자의 원시유학에서 제시하는 三事와 三物, 특히 六藝의 학문을 習行하는 방법이었다. 그가 강조하는 習行의 방법론은 끊임없이 현실적 과제나 구체적 사물과 관련을 맺으면서 이루어지는 학습과 실행을 강조함으로써 주자학 체계 가 지니는 개념적이고 초월적인 성격과 뚜렷하게 대립하였다. 이렇듯 현실의 구체적인 경험세계를 중시하는 안원 사상의 특징은 格物致知 에 대한 새로운 해석에서도 잘 나타나고 있다. 곧 그는 이 말이 지니는 의미를 ' 실제로 그 일을 한다'라는 뜻으로 해석하고서 그 행위의 대상이 곧 六藝라고 해 석한다. 이러한 해석의 전환을 행함으로써 그는 학문과 수양의 주체를 수동적 이고 관찰자적인 입장에서 해방시켜 현실의 경험 세계 속에서 대상 사물과의 동적인 관계를 맺는 주체적 자아로 바꾸어 놓았다. 이상과 같은 맥락에서 안원이 학문과 수양을 통해 자아를 실현하는 진정한 목 적을 轉世之人, 곧 '세상을 변화시키는 사람'이 되는 데 두고 있는 것은 그의 이 론의 당연한 결론이라 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해 안원의 사상적 탐구는 자아 수 양의 정신적 역량을 어떻게 하면 유교적 이상에 부합하는 세계 형성을 위한 사 회정치적 힘으로 변화시킬 것인가 하는 문제에 시종일관 향해 있었던 것이다. 아울러 현실 세계를 변혁하는 주체적 자아를 강조하는 안원의 사상을 그보다 앞선 16세기 조선의 대표적인 실천 사상이었던 남명 조식의 사상과 비교의 관 점에서 논의해 보는 것은 남명사상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동시에 동아시 아 유학사를 연구하는 데에 있어서도 하나의 중요한 기초적 작업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