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0

        41.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진선」은 경기도농업기술원에서 1993년에서 전국에서 수집한 잇꽃 재래종 36계통에 대하여 1995~1998년까지 특성 검정한 결과 조숙 내병 다수성으로 유망한 계통을 순계 분리하여 육성한 품종으로 탄저병에 강하고 수량성이 높은 우량품종으로 주요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개화기는 6월 22일이었으며 주당성숙화두수는 청수홍화 13.9개에 비하여 0.8개 많고 등숙율은 청수홍화 78%에 비하여 2% 높았다. 2. 조단백질 함량은 청수홍화 13.8%에 비하여 2.3%, 주요지방산비율은 리놀 레산이 청수홍화 78.3%에 비하여 1.7% 많고 올레산이 청수홍화 11.7%에 비하여 3.4% 적었다. 3. 탄저병 발병주율은 청수홍화 22.3%에 비하여 3.7%로 낮았으며 10a당 종 실 수량은 237.7kg으로 청수홍화 214.9kg에 비하여 11% 증수하였다.
        42.
        200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홍화 탄저병에 방제 효과가 높은 약제를 선발하고자 지오판.리프졸 수화제 등 5종의 약제에 대하여 약효 및 약해시험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m2당 수확주수는 무처리 16.8주에 비하여 이미녹타딘트리스치람 수화제 처리에서 21.2주로 가장 많았다. 2. 이미녹타딘트리스치람 수화제와 메티람과립 수화제 처리시 방제가가 49.4~57.2%를 나타내어 효과적 이었다. 3. 약해는 시험약제 5종이 모두 기준량과 배량처리에서 약해가발생하지 않았다. 4.홍화 종실수량은 무처리 75 kg/10a에 비하여 이미 녹타딘트리스치람 수화제와 메티람과립 수화제 처리에서 47~48% 증수되었다.
        43.
        2002.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홍화씨의 식품재료로서의 이용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서 양갱의 주원료인 건조 팥소 분말에 대한 볶은 홍화씨 분말 20, 35, 45 및 60mesh별로 첨가한 제품과 홍화씨 45mesh분말의 첨가량을 0, 5, 10, 15 및 20%로 하여 제조한 제품 및 배합수로 녹차추출물을 이용한 제품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수분함량은 20mesh 체분리 분말 첨가 제품에서 가장 낮은 27.6% 이었고, 동일한 45mesh 분말의 첨가량에 따른 양갱제품
        44.
        2002.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볶은 홍화씨 열수추출분말을 첨가한 쿠키의 제조 및 품질 특성 등은 다음과 같다. 열수추출분말은 수분 4.7%, 조지방 6.5%, 조회분 15.6%, 조단백질 32.6%로 구성되었고, oleic acid, linoleic acid 등의 불포화지방산을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유리아미노산은 asparagine과 arginine의 함량이 각각 12.69, 2.21 mg/g으로 매우 높게 함유되어 있었고, K과 Mg이 주된 무기질 성분이었다. 쿠키 제품의
        45.
        2002.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김치 담금시부터 숙성 13일경까지 홍화씨 분말을 첨가한 시험구들은 대조구보다 대체적으로 낮은 pH를 나타내었으며, 그 이후에는 시험구간에 큰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숙성 2일까지는 적정산도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그 이후 13일경까지는 대조구가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홍화씨 분말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숙성 20일 이후에는 시험구간에 큰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김치가 숙성되는 동안 환원당 함량은 지속적으로
        47.
        200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홍화 수집종들의 작물학적 특성을 통하여 유전적 다양성 및 유연관계를 밝히고, 품종군을 분류하여 품종육성의 기초자료로 이용코자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개화일수는 74~88일 분포로 평균 83일이었고, 80일 이하의 조숙성을 가진 수집종은 21개 이었으며, 1차분지수와 2차분지수는 각각 3.8~14.8개와 0~26.9개의 범위로 분포하였고, 다분지형의 특성을 가진 품종은 IT201434, IT202723 등 이었으며, 생육특성 중 2차 분지수의 변이가 켰다. 수량구성 요소로서 두상화수는 5.0~40.7개, 두상화당 종실수는 25~68개, 100립중 및 주당 종실중은 각각 2.9~5.4g, 3~47.5g의 범위로 분포하였고, 종실중 〉 두상화수 〉 두상화당 종실수 순으로 변이가 큰 경향이었다. 수집종들은 작물학적 특성에 따라 11개군으로 분류되었으며, I군은 25%, II군은 33%, III군은 14%, IV군은 8%, VI군은 3%, IX군은 2%, X군은 1%, ?군은 1%가 속하였으며, III군은 모두 국내재래종 이었다. 분류된 군중 X군은 출아소요일수가 짧고, 개화소요일수가 길었으나 수량 구성 요소인 두상화수, 주당 종실중 및 두상화당 종실수가 가장 우세한 군으로 분류되었다. 수량구성요소인 두상화수와 주당 종실중은 경직경, 제1차분지수, 제2차분지수, 엽수 및 엽장과 높은 정의 상관을 보였다.
        48.
        200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APD분석을 통하여 홍화 수집종들의 유전적 다양성 및 유연관계를 밝히고, 품종군을 분류하여 품종육성의 기초자료로 이용코자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RAPD 분석에 적용한 30개의 10mer primer 중 20개의 적정 primer를 선발하였고, 증폭된 PCR산물은 3.0~0.2Kb에서 재현성 있는 밴드를 보였으며, 각 primer에 의해 증폭된 밴드의 수는 2~11개로 다양하였으며 평균 5.6개이었다. PCR 반응에 사용된 20개의 selected primer에서 111개의 밴드가 관찰되었으며, 다형성을 보이는 밴드 수는 84개(75.7%)이었고, RAPD-PCR에 의해 얻어진 dendrogram에서 유연계수 0.14를 기준으로 11개의 군으로 분류되었고, VII군은 7종(23%), VIII군은 8종(27%)이 속하는 큰 군이었으며, 7군은 대부분이 국내종(85%)이었다.
        51.
        200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황시용(硫黃施用)에 따른 토양(土壤) 및 홍화(紅花)의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기 위하여 유황시용량(硫黃施用量)에 따른 토양화학성(土壤化學性) 및 홍화종실(紅花種實)의 수량(收量)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유황시용후(硫黃施用後) 홍화종실(紅花種實)의 수확기(收穫期)에 토양(土壤)을 분석(分析)한 결과(結果) 토양(土壤)의 pH와 유효인산(有效燐酸)의 함량(含量)이 감소(減少)되었다. 유황처리후(硫黃處理後) 시간(時間)이 경과(經過)함에 따라 유황(硫黃) 처리량(處理量)이 많을수록 활성철함량(活性鐵含量)과 SO42- 함량(含量)이 증가(增加)하였다. 유황시용량(硫黃施用量)이 증가함에 따라 건물중(乾物重)이 증가하였으며, 홍화종실수량(紅花種實收量)은 증가(增加) 하는 경향(傾向)이었으며 유황(硫黃) 20 kg/10a시용구(施用區)에서 가장 높았다. 따라서, 홍화재배지(紅花栽培地)의 유황처리(硫黃處理)는 수량(收量) 및 품질(品質)에 효과적(效果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 측면(側面)에서 20 kg/10a 처리(處理)가 효과적(效果的)인 것으로 판단(判斷)되었다.
        52.
        200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홍화의 새로운 품종육성을 위하여 국내외에서 수집된 홍화의 외관상 나타나는 형태적인 특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집된 홍화의 16계통중 단간(90∼110cm)인것이 6계통, 중간(111∼130cm)인 것은 5계통, 장간(131cm이상)인것은 5계통이었으며 장간은 국외 도입계통이었다. 2. 국내 수집 종 2계통은 주당 분지수가 11∼13개의 소분지형이었으며 도입종들은 50개이상의 다분 지형이었다. 3. 잎의 형태는 장타원형이 3계통, 피침형이 10계통, 넓은 선상형은 3계통으로 피침형이 가장 많았으며 잎의 가장자리 거치형태는 파도 물결 모양의 둔거치가 7계통으로 가장 많았고 4계통은 거치가 있었으며 깊게 찢어진 심열거치는 5계통이었다. 4.꽃의 색깔은 백색 1계통, 황색 13계통, 주황색 2계통이었으며 두장화의 형태는 원뿔형이 대부분이며(14계통)편형이 2계통이었고 화두 포엽의 끝은 가시형이 11계통이었고 무가시형은 5계통이었다. 5. 종자의 형태는 원뿔형이 11계통, 타원형은 5계통으로 국내 수집계통은 모두 원뿔형이었으며 도입계통은 타원형으로 대립이었다.
        53.
        200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홍화종실의 볶음처리에 따른 성분의 변화를 조사하고 볶음처리 후 저장기간에 따른 산패의 정도를 측정한 결과 홍화씨의 볶음처리에 따른 수율의 변화에서 볶음온도 및 시간이 증가 할수록 수율이 감소하였다. 홍화의 볶음온도 및 시간에 따른 색도의 변화에서 볶음온도가 높고 볶음시간이 길수록 명도(L)값은 감소하고 적색도(a) 값과 황색도(b) 값은 증가하였으며 전체적인 색차인 δE 값은 증가하였다. 관능평가의 결과에서는 홍화종실의 적정 볶음조건은 190℃ 20분 이었다. 홍화종실에서는 raffinose와 sucrose만이 분리 확인되었다. 이들 유리당은 볶음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그 함량은 급격히 감소하였다. 홍화종실의 산패 정도를 나타내는 과산화 물가 (POV, meq/kg)를 측정 해 본 결과 볶음처리직후에는 거의 과산화물이 생성되지 않았지만 저장기간이 지남에 따라 과산화물값이 높아짐을 보였다. 특히 150℃를 제외하고는 10개월 이상 저장하는 것은 부적절하였다.
        54.
        2000.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rink and tea-bag were processed with safflower seed powder. Drinks were processed with 90C hot water extraction. Yield, soluble solid, pH and centrifugation residue of drinks were ranged in 79.2~89.3%, 0.6~0.99%, 5.98~6.40 and 1.00~1.18, respectively. Sensory score of overall acceptance in drinks were highest at that of enzyme treated drink. Tea-bag was processed with roasted safflower seed powder, alone(1.2g) and the mixtured tea-bags were consisted of persimmon leaves, pine needle and angelica gigas powder in same amount, respectively. Teas were prepared with extraction at 80C water for 2 min. Soluble solid and sensory evaluation score of teas were the highest when the tea was processed with safflower seed alone.
        55.
        2000.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processed with the addition of roasted safflower seed powder were evaluated Safflower seed powder was roasted at 180 for 20 min and pulverized below 45mesh size. Bread was processed by addition of control, 1, 2, 3 and 4% safflower seed powder at basic formulation. Dough raising power was increased as the addition of safflower seed powder increase, but Hunter's L value was decreased, From the sensory evaluation of safflower seed bread, color score was decreased significantly as the addition of roaste safflower seed powder increase, but overall acceptance had no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control and added 4% of safflower seed.
        57.
        199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athamus tinctorius, Coptis japonica and Asarum sieboldii were tested as substrate for the production of Flammulina velutipes. Among the C. tinctoris , C. japonica and A. sieboldii , C. tinctoris was the best substrate for the production of fruitbody. The effects of addition of C. tinctoris to sawdust substrate resulted in the increased mycelial growth on inoculum culture, 3.1% in ratio of fully culture and shorted one day in culture period. C. tinctoris was decreased 6.1% in ratio of fully culture, 11.0% in ratio of fruitbody productive culm. The addition of C.tinctoris, C.japonica to sawdust substrate increased 134.6%, 114.1% on the yield of the mushroom fruitbody respectively . But A. sieboldii decreased the mycelial growth and pineheading ratio delayed the production of fruitbody.
        58.
        199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잇꽃 재배시 홍화수확적기 및 이에 따른 종실 (홍화자) 수확적기를 구명하고자 홍화를 개화성기 후 2, 4, 6일, 종설을 개화 성기후 10, 15, 20, 25일에 수확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건홍화의 수확적기는 개화후 4일로 수량은 개화 후 2일(28.1kg/10a)에 비하여 유의차가 없었고 색채색차 (δEab) 로 본 품질도 개화 후 6일에 비하여 1.07로 차이가 작았던 개화 후 4일로 판단되었다. 2. 홍화의 수확유무 및 수확시기에 따른 종실수량은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3. 수확시기에 따른 ha당 종실수량은 개화성기 후 10일 수확 284.8kg에 비하여 수확이 늦추어짐에 따라 백립중이 증가하여 20일 수확시 17%, 25일 수확은 8% 증수되어 홍화의 종실수확적기는 개화후 20일 전후로 판단되었다.
        59.
        198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홍화증수를 위한 알맞는 재식밀도를 구명하고 그에 따를 수량 및 농업 형질의 변이를 조사하기 위하여 1980년 3월부터 10월30일까지 강원도 원주상지대학 실습포장에서 실험을 실시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초장은 휴폭과 주간이 좁을수록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양자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2. 주당 분지수는 휴폭과 주간이 좁아짐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이를 양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3. 지표면에서 제1분지까지의 높이는 주간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좁을수록 그 위치가 높아졌다. 4. 초장은 휴폭과 부의 상관을 가지며, 초장과 제1분지까지의 높이는 휴폭x주간과 부상관을 갖는다. 또한 주당 분지수는 휴폭, 휴폭x주간과는 정상관, 초장과는 부상관을 보였다. 5. 수량은 주간, 휴폭x주간에 관하여 부상관을 가지며 제 1분지의 높이와는 정상관을 가졌다. 6. 수량은 주간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으며 다음은 주간xs휴폭이 영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휴폭은 수량에 크게 영향하지 않으나 30cm 또는 40cm구가 가장 증수되었으며 주간은 5cm구가 가장 증수되어 30cm x 5cm구, 또는 40cm x 5cm구가 홍화의 증수를 위한 적철한 재식밀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60.
        1981.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은 홍화에 대한 파종기 7수준(3월 17일부터 5월 16일까지 10일 간격)과 질소 비료 5개 수준(무배비, 0.5배비, 표준비, 1.5배비 및 2배비)으로 각각 파종하여 알맞는 파종 적기 및 시비량 수준에 따른 형질간의 변이를 구명하기 위하여 상지대학 농학과 실습 포장에서 실시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발아율은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 감소되고 발아세는 파종기가 늦어질 수록 증가하였다. 발아 최감기는 위의 결과와 반대로 반종기가 늦어질수록 단축되였다. 발아 소요 기간도 파종기가 늦어갈 수록 단축되었다. 2.초장, 분지수, 치경에서도 파종기가 늦어질 수록 감소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또한 질소 시비량이 증가할 수록 초장 및 분지수는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3. 꼬투리와 1,000입중도 파종기가 지연될수록 감소되었고 1,000입중은 파종기가 이를 수록 무거워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질소 시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꼬뚜리수와 수량에서토 현저한 증가를 보여 주었다. 4. 파종기 차이에 따른 등황색 및 등홍색 꽃의 중량은 4월 상순 파종구가 가장 무거웠다. 그러나 질소 시비량의 증가는 개화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5. 본 실험의 결과로서 파종 적기는 4월 상순이라고 믿어졌고 홍화 재배에서는 다비의 효과가 있는것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