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7

        43.
        2014.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기호성 및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부가가치 간장을 개발하고자 황기 첨가량에 따른 숙성기간별 간장의 이화학실험 및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황기첨가 간장(AK)의 식염변화에서 실험군 모두 기간별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숙성기간이 지남에 따라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pH 변화는 실험군 모두 숙성기간에 따른 변화는 뚜렷하지 않았으며,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pH가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당도는 숙성기간이 지남에 따라 서서히 증가하였다. 갈색도 변화는 AK 5%는 숙성기간 4~5개월까지 갈변현상이 일어난 반면 AK 10%의 경우 2개월 이후 갈변현상이 진행되지 않고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조단백질 함량은 모든 실험구가 서서히 증가하였으나 그중 AK 5%가 2개월 이후 10.12%로 크게 증가하였다. 아미노태 질소변화 역시 모든 실험구에서 서서히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그 중 AK 5%가 3개월 때 크게 증가한 뒤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결과 AK 5%가 총 폴리페놀 함량이 6개월 때 25.01 mg/mL,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5개월 때 200.15 mg/mL로 다른 실험구에 비해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관능평가에서 AK 5%가 향, 짠맛, 구수한맛, 단맛, 쓴맛 및 전체기호도 모두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미루어 보아 AK 5% 즉, 황기 5% 첨가 간장이 일반 전통 간장에 비해 항산화 활성 및 기호도가 좋음을 알 수 있었으며, 기능성 간장으로의 활용 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49.
        2014.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ix polysaccharide fractions were prepared by chromatographic procedure from the hot water extractsof the aboveground parts of Astragalus membranaceus. These six polysaccharides from aboveground parts of Astragalusmembranaceus Bunge were tested for gut-mucosal immune activity and acute toxicity. In a view of molecular weight, the sixfractions were estimated to be 75000, 88000, 129000 and 345000 Da, respectively. Component sugar analysis indicated thatthese fractions were mainly consisted of galactose (46.3~11.8%) and arabinose (35.4~9.9%) in addition to glucose,rhamnose, fucose, arabinose, xylose, mannose, glucuronic acid and galacturonic acid. Among the six major purifiedpolysaccharides, AMA-1-b-PS2 showed highest bone merrow cell proliferation and lymphocyte of Peyer's patch stimulatingactivity. It may be concluded that intestinal immune system modulating activity of aboveground parts from Astragalusmembranaceus Bunge is caused by polysaccharides having a polygalacturonan moiety with neutral sugars such as arabinoseand galactose. In single oral dose toxicity study,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control and treated groups in clinicalsigns. The results indicated that lethal dose 50 (LD50) of water extracts from Astragalus membranaceus-aboveground partswas found to be higher than 5000㎎/㎏/day in this experiment. From the above results, we may suggest that Astragalusmembranaceus-aboveground parts might have useful as a safe material for functional food and pharmaceutics.
        56.
        2014.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신선편이 연근의 갈변을 저해하기 위해 감초, 황기 추출물로 블랜칭 처리하여 색도, 경도, DPPH radical 소거능, pH 및 가용성 고형분 함량을 분석하였다. 갈변의 지표인 색도 L* 값의 결과, 감초 또는 황기 추출물을 처리한 구에서 대조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경도의 경우 모든 구에서 유의적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으며, DPPH radical 소거능은 모든 구에서 저장 기간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감초 추출물 처리구의 활성이 가장 높게 유지되었다. pH는 저장 기간에 따라 모든 구에서 감소하였으나 대조구가 가장 서서히 감소하였으며, 가용성 고형분 함량의 경우 저장 기간이 증가할수록 처리구의 함량은 증가하고 대조구는 그 수준을 유지하였으며 처리구 사이의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감초와 황기 열수 추출물의 블랜칭 처리가 신선편이 연근의 품질 열화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갈변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57.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establish the optimal extraction process and HPLC analysis method for thedetermination of marker compounds as a part of the materials standardization for the development of health functionalfood materials from Astragali radix. Five extraction conditions including the shaking extraction at room temperature andthe reflux extraction at 85℃ with 30%, 50% and 95% ethanol were evaluated. Reflux extraction with 50% ethanol showedthe highest extraction yield as 27.27±2.27%, while the extraction under reflux with 95% ethanol showed significantly thelowest yield of 10.55±0.24%. The quantitative determination methods of calycosin-7-O-β-D-glucoside and calycosin asmarker compounds of Astragali radix extracts were optimized by HPLC analysis using a Thermo Hypersil column(4.6×250㎜, 5㎛) with the gradient elution of water and acetonitrile as the mobile phase at the flow rate of 0.8mL min-¹and a detection wavelength of 230㎚. The HPLC/UV method was applied successfully to the quantification of two markercompounds in Astragali radix extracts after validation of the method with the linearity, accuracy and precision. The con-tents of calycosin-7-O-β-D-glucoside and calycosin in 50% ethanol extracts by reflux extrac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as1,700.3±30.4 and 443.6±8.4㎍ g-1, respectively, comparing with those in other extract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reflux extraction with 50% ethanol at 85℃ is optimal for the extraction of Astragali radix, and the established HPLCmethod are very useful for the evaluation of marker compounds in Astragali radix extracts to develop the health functionalmaterial from Astragali radix.
        58.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harmacological studies and clinical practices have indicated that Radix Astragali, a dried root of Astragalusmembranaceus possesses a lot of biological activities, including antioxidant, hepatoprotective, anti-diabetic, tonic, diuretic,antimicrobial, antiviral, and immunological activities. These biological activities approved by the modern pharmacologicalstudies are mainly due to the constituents of Astragalus membranaceus including polysaccharides, saponins, flavonoids,amino acids, and trace elements. In resent, the main constituents in the root part showing a lot of biological activities hasbeen isolated also from the aboveground parts such as leaves and sprouts in our laboratory. However, the safety evaluationfor the aboveground parts of Astragalus membranaceus should be checked before expanding their application as one of food.In the study, a 90-day rat oral gavage study has been conducted with the extracts from Astragalus membranaceus-above-ground parts at doses of 1000, 3000, and 5000㎎/㎏/day. The following endpoints were evaluated: clinical observations, bodyweight, gross and microscopic pathology, clinical chemistry, and hematology. Based on the analysis of these endpoints, it wasestimated that NOEL (no observed effect level) for male rats and NOAEL (no observed adverse effect level) for female ratsare 5000㎎/㎏/day of the water-extracts from Astragalus membranaceus-aboveground parts.
        59.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evaluate germination rate of Astragalus membranaceus B. in Korea as affectedby storage temperature, germination temperature and storage period of seed. The highest germination rate was obtainedfrom condition of 25℃ in germination temperature. Seeds were stored at −20℃ and 5℃ for 8 weeks has showed higher ger-mination rate than one at room temperatures. The germination rates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ce by harvested year of2010, 2011 and 2012. The seed of A. membranaceus in harvested year of 2011 and 2012 had germinated well. On the otherhand, seeds in harvested year of 2010 were not nearly germinated. Consequently, the longer storage period after seed har-vest lower germination rate and seed vigor as well.
        60.
        201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과 황기 뿌리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물의 다양한 혼합비율을 이용하여 조골세포의 증식과 활성변화를 확인하고, ALP 활성 및 osteocalcin의 분리량 측정을 통하여 복분자 추출물과 황기추출물의 최적혼합비율을 결정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각 혼합비율(복분자:황기=1:9, 2:8, 3:7, 4:6, 5:5, 6:4, 7:3, 8:2, 9:1)에 따른 혼합물을 MG-63 조골세포에 처리하여 세포의 증식과, 분화마커 ALP의 활성 및 osteocalcin 분비량을 측정함으로써 골다공증 치료에 유용한 복분자 추출물과 황기추출물의 혼합비율을 7:3으로 최적화하였다. 혼합비율 0:0에서 조골세포증식이, 혼합비율 72:28이 세포 내 ALP 활성 증가를, 68:32이 세포 내 osteocalcin의 분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7:3의 혼합물이 항골다공증 효과에 우수한 결과가 있을 가능성을 나타내며, 특히 조골세포의 활성화 촉진으로 인해 골파괴 진행을 억제하는 효과, 즉 병의 진행을 지연시키는 작용기전이 아니라 골을 다시 형성해줄 수 있는 긍정적 효능에 대한 가능성을 제공한다. 이에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결과에 의해서 제공되는 최적혼합비율의 혼합물에 대한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에 대한 임상실험과 그 작용기전에 대한 연구가 더욱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