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9

        41.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 and apply an English class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order to allow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ho lack an understanding of language and culture (both their mother tongue and Korean) to participate successfully in regular English classes. For the purpose, 6 third-year students from multicultural special classes were observed and analyzed to identify difficulties experienced during regular English classes. Their difficulties were classified into lack of background knowledge and basic English words, insufficient use of learning strategies, lack of academic language understanding, and lack of self-confidence. To solve these difficulties, an English class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as developed and applied, based on the theory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 sheltered instruction model.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introduction of an English class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s presumed to have had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English abilities and confidence. Based on this program, more special English teaching programs for th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re expected to be developed for their successful English learning.
        6,900원
        42.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다문화대안학교에 재학 중인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제행동과 그 원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은 한국 사회에서 생활하는 데 문화적 수용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겪는 문제들은 그들의 우울, 불안 등 내면화 혹은 공격적 행동 등 외현화 문제로 발전할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청소년들의 문제행동 원인을 알고, 다문화청소년을 위한 심리프로그램 개발과 다문화청소년을 교육하는 교사들에게 도움을 주는 데 있다. 다문화가정 청소년에 대한 지원정책을 어떻게 제공하느냐에 따라 한국 사회의 미래 인적자원으로 글로벌 시대에 적합한 인재로 활약할 것인지, 아니면 사회에서 이탈하여 향후 잠재적 문제가 될지 결정될 수 있다. 한국 사회에서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이 사회의 주요한 구성원으로 차별받지 않고 자신의 권리를 존중받을 수 있다면 향후 다문화가정 자녀들은 국가 간 교류 확대에 기여할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
        6,000원
        43.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건강한 가정은 가족 구성원의 욕구가 충족되고 인간다운 삶이 보장되는 가정을 말한다. 급변하는 시대 환경 속에서 가족과 가정생활에 대한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가정의 건강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다시금 가족과 가정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는 건강한 가정을 형성하는 일이 개인에게 뿐만 아니라 사회와 국가 차원에서 중요한 작업임을 모두가 공감하고 있음을 반증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동안 부모교육은 한마디로 어머니 교육이었다. 어머니를 위한,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는, 어머니 중심의 부모교육이 주를 이루었다. 하지만 지금부터는 부모교육의 중심에 아버지의 자리를 마련해야 할 필요가 높아지고 있다. 아버지를 중심에 두는 부모교육은 건강한 가정 형성과 가정에서의 아버지 역할 재정립에 기여할 수 있다. 단순히 아버지의 정체성 찾기 중심 교육활동에서 벗어나 부부 관계 증진과 역할 강화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부부 중심의 프로그램에 자녀를 참여시키는 가족 공동체 체험 활동으로 프로그램 내용을 편성함으로써 공동체로서의 건강한 가정을 형성하고 사회적 자본을 구축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건강한 가정을 형성하기 위한 아버지 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하기 위해서 행복한 교실 만들기 수업 컨설팅 활동,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 등 북유럽 3개국 교육실태 조사, 위기 아동에 대한 개인 및 가족 상담 등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구상한 아버지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은 ‘나는 누구인가?, 아버지교육 왜 필요할까?, 부부건강 가족건강, 아빠와 요리해요, 가족 놀이마당, 가족과 함께 문화 체험을 떠나요, 1박2일 가족캠프, 밥상머리교육 이렇게 해봐요, 행함으로 가르치는 봉사교육 예절교육, 아버지가 살아야 가정이 산다’ 등 총10회기로 구성되었다. 어머니와는 차별화 된 아버지의 역할은 경제적 부양자의 역할을 넘어서 남성으로서의 아버지 됨, 자녀와의 관계 향상, 부부관계 개선, 일과 가정의 양립 등에 이르기까지 개인적 차원에서 사회적, 국가적 차원으로 확대되고 있다. 향후 아버지 교육 프로그램의 보편화를 통해 가정에서 아버지의 역할이 충실해지는 동시에, 가족 구성원 사이의 이해와 소통이 활발해지는 건강한 가정이 형성되기를 기대한다.
        4,600원
        44.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사회복지적 차원에서 다문화가족을 위하여 교류분석을 적용하여 효과적으로 원조하는 방법을 찾고자 하는 탐색적인 연구이다. 문헌연구 및 다문화가족 실천현장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다문화가족에 대한 인식을 묻는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인터뷰 결과를 근거로 교류분석적 프로그램을 구성하였으며,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전문가에 의해 실시되는 다문화가족의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한 교류분석적 프로그램의 진행과정을 관찰하였고 참가자들의 프로그램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따라서 다문화가족들이 갖는 의사소통의 어려움, 문화적 차이, 생활양식의 차이에서 나타나는 문제들을 대처하기 위해 교류분석적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더니 교류분석적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집단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왔으며, 다문화가족의 문제점 해결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교류분석적 프로그램은 다문화가족의 의사소통능력 향상과 문화적 차이와 생활양식의 차이 이해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예측할 수 있다.
        6,600원
        45.
        201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ain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ide dishes served to guests of head families (Jong-ga) in Korea. In order to conduct of this research, we analyzed two books published by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on the foods and the stories from head families: "Sharing beyond succession, stories and foods from the head families" and "Aesthetics of Serving". The total number of head families serving foods to guests was 10: 5 from Gyeongsangbuk-do, 2 from Jeollanam-do, 1 from Gyeonggi-do, 1 from Gyeongsangnam-do, and 1 from Chungcheongbuk-do. We classified the foods into 7 categories, staple dishes, side dishes, rice cakes, desserts, beverages, alcoholic beverages and others, on the basis of previous studies. Most foods served to guests were side dishes (119). These were further classified into 14 categories: Guk Tang, Namul, Hwe, Bokkeum, Mareunchan, Gui, Jorim, Pyeonyuk Jokpyoen Suran, Jiim Seon, Jeon Jeok, Jangajji, Kimchi, Jeotgal Sikhae and Jang. The most common side dish was Jangs (17), served by 8 head families. The next most common side dishes were Marenchan (15), Jeon Jeok (14) and Kimchi (11).
        5,400원
        46.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to examine Kwa-Jung-ryu, a traditional Korean confectionery, made by head families. We examined the materials and recipes of Kwa-Jung-ryu, which were classified into Yumilgwa, Yugwa, Jeonggwa, Dasikgwa, Yeot-Gangjeong, Dang (Yeot), and others. There were 13 head families that introduced Kwa-Jung-ryu, two each from Gyeonggi-do, Jeolla-do, and Chuncheong-do, and seven from Gyeongsang-do. There are 33 types of Kwa-Jung-ryu, which averages to about 2.5 types per family. But the Pungsan Ryu, Yeoju Lee, and Andong Kwon families introduced the most Kwa-Jung-ryu with 5 types each. The most popular types of Kwa-Jung-ryu were Yumilgwa, introduced by 7 families (Yakgwa by 6 and Maejakgwa by 1), then Jeonggwa by 6 families (Jeonggwa by 3, Pyeon-gang by 1, and Jeonggwa and Pyeon-gang by 2), and Dasikgwa and other Kwa-Jung-ryu by 5 families (Gotgam-mari by 4 and Seopsansam by 1). Classifying Kwa-Jung-ryu by recipe, the most frequently introduced were 8 types of Jeonggwa-ryu, 7 types of Yumilgwa, 5 types of Dasikgwa, 3 types of Yeot-Gangjeong and Dang (Yeot), and 2 types of Yugwa.
        4,000원
        47.
        201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적 원조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치매노인 부양 가족 101명의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지각된 주관적 건강상태, 자아효능감, 사회적 지지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조사 대상자들은 임의표집하여 자기보고 건강 척도, 자아효능감척도, 대인관계 지지 평가 척도, 건강증진 생활양식 척도를 사용한 자기보고질문지로 응답하였다. 조사 자료의 분석은 SPSS 13.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t-검정,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 대상자들의 건강증진행위의 평균점수는 132.21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세부 영역으로 실천 정도가 가장 높은 영역은 스트레스 관리이며, 가장 낮은 영역은 자아실현으로 나타났다. 둘째, 건강증진행위와 지각된 건강상태,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간에는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자기효능감은 치매노인 부양 가족의 건강증진행위 예측 요인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자기효능감과 자아실현의 증진, 사회적 지지망의 이용을 반영하는 복지서비스 투입이 사회복지 실천에 있어서 부양 가족을 위한 효과적인 개입으로 제안되었다.
        6,000원
        48.
        201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스마트기기 보급의 활성화로 광고에서도 ‘Smart Korea’를 내세울 정도로 정부와 사회구성원 모두의 스마트기기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한국은 최근 몇 년 사이 스마트기기의 사용 인구가 급증하면서 그 활용에 대한 요구 또한 높아지고 있다. 다문화사회로 진입한 한국에서 다문화가정 아동들은 스마트코리아의 일원으로 한국 사회에서 뿌리내리고 자라야 하는 일꾼으로 소중한 인적자원이다. 이에 다문화가정 자녀의 교육은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문제이다. 이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스마트기기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영어수업에서 아동들의 수업 몰입도와 집중도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았다. 처음 스마트기기 애플리케이션 활용수업을 할 때 아동들은 새로운 도구에 대한 호기심으로 수업 집중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스마트기기 애플리케이션의 다양하지 못함 등으로 인한 학습 욕구 충족 부족으로 아동들의 몰입감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첫째, 아동들의 수준에 맞는 애플리케이션개발 즉, 다양한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스마트기기 애플리케이션 활용 수업 시 단일 도구가 아닌 다양한 도구 활용 전략이 필요하다. 셋째, 한국어에 서툰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자기 주도 학습과 집중력 향상을 위해 다양한 언어 지원이 필요하다.
        5,400원
        49.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자기격려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으로 하여금 자기격려를 통하여 아동기의 발달과 적응뿐만 아니라 가정 및 사회환경으로부터 오는 다양한 어려움을 잘 극복하여 긍정적 자기개념을 형성하며, 청소년기를 앞두고 자기정체성을 긍정적으로 확립할 수 있도록 아동이 자기 성장을 스스로 주도함으로서 자긍심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기격려의 구성요인을 자기이해, 자기수용, 자기존중, 자기칭찬, 자기표현, 자기확신의 6가지로 설정하여 프로그램의 개발준거로 사용하였으며, 에니어그램을 활용하여 머리형, 가슴형, 배형 중심에너지를 가진 세 집단의 다문화가정 아동 21명을 대상으로 10회의 프로그램을 주 2회로 5주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머리형 중심에너지, 가슴형 중심에너지, 배형 중심에너지를 가진 각각의 다문화가정아동이 자기격려프로그램의 효과에서 프로그램 적용 전의 자기격려 평균보다 프로그램 적용 후의 자기격려 평균이 높게 나타나 각 중심에너지별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기격려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100원
        50.
        201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needs of bilingual education for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specially the bilingual classes performed by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in Korea. Following a brief overview of the meaning and goals of bilingual education, the present study provides the results of the survey that was conducted on 45 program managers, 55 teachers, and 114 mothers of multicultural children who take bilingual classe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current status of the bilingual programs reflects that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For example, the number of Korean-Chinese bilingual programs is the biggest one as that of immigrant women through marriage from China. The findings from this research tell us that the programs play efficient roles for improving the bilingual abilities of multicultural children although there remain many problems in terms of systematized curricula, interesting materials, and teacher training. Most of respondents (managers and teachers) say that they need to have standard teachers' manuals and workbooks for better educational servic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lso show that it is urgent and important to enrich the substance of teacher training programs for enhancement of bilingual teachers' qualification.
        6,400원
        51.
        201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대형사고나 자연재난 등 재난으로 인한 피해자들이 겪는 위기를 이해하고, 이들이 지속되는 역경과 상실, 스트레스를 견디고 이전의 삶을 회복하도록 돕는 가족 레질리언스의 접근을 통해 우리나라 재난피해자와 가족들이 위기를 극복할 수 있도록 돕는 사회복지개입모형을 탐색해보았다. 가족 레질리언스 접근은 문제해결과 성장을 위한 가족의 잠재력을 확신하게 하고, 고통받는 문제있는 가족으로 보던 것으로부터 도전받고 있는 가족으로 보는 관점의 전환을 가져오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Walsh(1998)의 가족 레질리언스의 주요과정을 설명하는 은유로서 방패연을 활용하여 방패연의 주요 구조와 기능을 레질리언스의 핵심개념(신념체계, 사회적 지지, 의사소통, 연결성, 융통성)과 연결시킨 연(鳶)모델을 제시해 보았다. 방패연의 모든 구성요소가 상호작용해서 연을 더욱 높게 날게 한다는 점은 가족 레질리언스의 접근과 유사한 관점을 제공해준다. 또한 가족 레질리언스 접근은 외상과 상실로부터 살아남는 것에서 더 나아가 다시 희망을 가지고 살아갈 수 있도록 가족과 지역사회가 협력을 통해 무엇이 가능한지에 대한 비전을 확장시키도록 돕는다.
        5,400원
        52.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을 통하여 발달 장애아동의 가족 특히 부모를 대상으로 자녀양육의 역량강화를 위하여 장애부모 자신의 양육스트레스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모바일 기능성 게임 프로그램을 기획하였다. 본 게임은 장애아동의 부모들을 교육시킬 수 있는 3가지의 미니 게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게임을 통해 장애아동의 부모들에 대한 일상생활의 심리적 안정을 도모한다. 이를 위하여 사회복지학, 유아교육학, 특수교육학, 심리치료학, 게임학 등 각 분야의 의견을 수렴해 융합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노력을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스마트폰용 게임 콘텐츠가 개발되었다.
        4,000원
        55.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lthough DNA barcode coverage has grown rapidly for many insect orders, there are some groups, such as scale insects, where sequence recovery has been difficult. However, using a recently developed primer set, we recovered barcode records from 373 specimens, providing coverage for 75 species from 31 genera in two families. Overall success was >90% for mealybugs and >80% for armored scale species. The G·C content was very low in most species, averaging just 16.3%. Sequence divergences (K2P) between congeneric species averaged 10.7%, while intraspecific divergences averaged 0.97%. However, the latter value was inflated by high intra-specific divergence in nine taxa, cases that may indicate species overlooked by current taxonomic treatments. Our study establishes the feasibility of developing a comprehensive barcode library for scale insects and indicates that its construction will both create an effective system for identifying scale insects and reveal taxonomic situations worthy of deeper analysis.
        56.
        2009.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들어 우리사회는 국제결혼이 증가하여 다문화가정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우리사회는 아직도 다문화가정에 대한 준비가 미흡한 상태이다. 이로 인하여 다문화가정의 구성원들은 다양한 문제에 직면하고 있으며, 이는 곧 사회문제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다문화가정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그들 또한 우리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받아들여 함께 더불어 사는 사회를 만들어 나가야만 한다. 이에 사회복지적 차원에서 제도적, 교육적, 경제적으로 접근하여 그들의 입장을 대변하고, 사회에 적응해 나아갈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과 전략을 개발하고, 실천해 나가야 할 것이다.
        4,600원
        57.
        2008.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저소득 가정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끼친다는 이론적 전제하에 강북구 내 방과후 공부방을 이용하는 청소년 초등학교 5․6학년과 중학교 1․2학년 56명을 대상으로 학업성취도의 상․중․하에 따른 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학업성취도 간, 성별에 따른 자아존중감과 학업성취도 간의 상관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저소득 가정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학업성취도와 유의미한 관계가 있음이 나타났으며 또한 자아존중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하여 자아존중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이 58.9%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 요인 중 사회적 자아존중감과 가정내 자아존중감, 일반적 자아존중감 순으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쳤으며 이들 요인이 클수록 학업성취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소득 가정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자아존중감을 높게 지각할수록 성적에 대하여 만족하고 있으며 학업성취도 또한 높게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자아존중감과 학업성취도 간에 상관관계가 있음이 나타났고 이를 통해 저소득 청소년에게 긍정적 자아존중감과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을 찾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강북구 관내 방과후 공부방을 이용하는 56명의 청소년만을 대상으로 조사한 것으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5,700원
        58.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기계고장 시 대체경로를 고려한 새로운 유사계수와 주어진 기간 내 수요변화를 고려하여 제조 셀을 구성하는 방법론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방법론은 2단계로 나누어진다. 1단계에서는 기계고장 시 이용 가능한 대체경로를 고려하여 새로운 유사계수를 제시하고 유전자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부품 군을 식별하는 것이다. 셀 응용의 성패를 좌우하는 주요한 요소들 중 하나는 수요변화에 대한 유연성으로서 수요변화, 이용 가능한 기계의 능력 및 납기일에 따라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