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4

        41.
        199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iming, manure application, and inoculation with Rhizobium on the early growth, nodulation, seedling establishment, winter survival, and forage yield and quality of alfalfa(Medicago sativa L.)
        4,000원
        42.
        198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도열병 병저항성의 기작을 구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서 친화성균과 비친화성균을 혼합접종하였을 경우의 병반장 변화와 전후접종하였을 경우의 경시적 변화, 아울러 질소를 다식하였을 경우의 이들 변화관계를 조사하고 또한 인접부위에 전후접종하였을 경우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밀도 23호에 침화성이고 진흥에 비친화성을 나타내는 와 이것에 완전 반대의 반응을 나타내는 N-2 Race를 여러 가지 비율로 혼합하여 Punch 접종하였을 경우 양품종 모두 비친화성균의 혼합량이 클수록 친화성균 단독접종구 보다 병반장이 감소되었고 비친화성균의 어떤 간섭작용이 인정되었다. 2. 비친화성균을 전접종하고 일정시간후 동일부위에 친화성균을 후접종하면 비친화성균 전접종 18시간후부터 병반이 억제되기 시작하여 24시간에 Peak에 달했다. 반면 친화성균을 전접종하고 비친화성균을 후접종 하면 친화성균 전접종 18시간 후부터 병반이 확대되기 시작하여 24시간에 Peak에 달했다. 3. 질소를 다시하면 혼합접종에서는 비친화성균의 간섭작용능력이 떨어졌다. 전후접종에 있어서는 유도시기에는 차가 없었으나 저항성유도능력이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4. 친화성균과 비친화성균을 전접종하고 일정시간후 3cm 떨어진 상부 부위에 친화성균을 후접종하였을 경우 비친화성균을 전접종하면 전접종하면 48시간부터 병반장이 억제되기 시작하여 60시간에 최고로 억제되었고 친화성 균을 전접종하면 72시간부터 억제되기 시작하여 그 이후 계속 억제되는 경향이었다. 반면 친화성균을 전접종하고 비친화성균을 후접종하였을 경우에는 경시적변화에 별 차이가 없었고 억제경향도 나타나지 않았다.10일 처리에서는 각각 561.4kg, 463.4kg인데 비하여 Carbofuran 3월 13일과 20일처리에서는 각각 1070.6kg, 1018.3kg이었고 4월 3일과 10일처리에서는 각각 963.8kg, 843.3kg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Carbofuran 이른 봄철(3월 중하순) 근계주변 1회 골처리는 고자리파리의 방제효과가 높었을 뿐만 아니라 마늘의 초장, 줄기의 굵기 및 구경의 생육을 크게 촉진하여 마늘의 수량성을 높일 수 있었다., r=-0.47**,r=0.38*로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다.ysiphlebus ambiguus, Lysiphlebia japonica에 대한 기생활동능력을 비교한 결과, L. ambiguus가 기생활동능력을 비교한 결과, L. ambiguus가 기생활동능력이 컸었다. 7. 장난수 조사결과, Lysiphlebus ambiguus와 Lysiphlebia japonica는 각각 272개, 279개로서 차이는 없었으나 mummy형성율에 있어서는 각각 182개, 120개로서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8. 진디벌 성충과 중기생봉 성충의 생존기간을 꿀을 먹이로 사용하여 조사한 결과 진디벌의 평균수명은 일인데 비하여 중기생봉은 일로서 중기생봉들이 훨씬 길었다.서 Y=-4.272X+155.39 (r=0.9105), (Y=전 생육기기간을 완료하는데 소요되는 일수, X=처리온도)를 얻었으며 실측치와의 오차는 일로 생육단계 특히 유충기와 개체간
        4,000원
        43.
        197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 록 벼이삭 선충의 피해를 구명코저 접종시험을 실시하였다. 1. 선충의 기생은 벼의 생육 특히 분얼수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2. 피해경율은 온도 상승과 더불어 증가하여 출수후에는 약 3배로 늘었다. 3. 생육 및 수량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피해경율은 이상이다. 즉 피해발현 초기에 이하일 때는 생육과 수량에 영향이 없었고 일때 이면 의 감수를 초래하였다. 4. 수량구성요소별로는 1000립중 립수 수수의 순으로 영향을 받았다.
        3,000원
        44.
        197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벼 이삭선충(심고선충), Aphelenchoides besseyi Christie의 접종밀도가 벼의 생육 및 본선충의 자성충의 체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온실내에서 포트시험을 수행하였다. 선충을 접종하였을 경우에 벼의 초장, 분벽수 및 지상부의 건물중의 감소를 초래했으며 접종밀도가 높아짐에 따라 자성충의 체장도 감소하였다.
        3,000원
        45.
        197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갈색엽고병(Fusarium niwate)의 효과적인 접종방법을 찾아내기 위해 본 시험을 수행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본 균의 분생포자의 증류수 현탁액을 벼 유묘에 분무접종할 때, 접종 후 습실에 1일 보존했을 경우에는 거의 발병이 되지 않았으나 2일간 보존한 겅우에는 어느 정도 병반이 나타났다. 2) 벼 유묘에 바람이나 또는 나무막대기로 물리적인 상처를 입힌 다음 증류수 포자현탁액을 분무한 결과 상당한 병만이 형성되었다. 3) 포자현탁액에 벼 잎 추출액, glucose, polypeptone, yeast exract 등의 용액을 첨가 분무접종했을 때 병반형성이 양호하였다. 4) 포자발아상태는 종류수중에서는 불량하였으나 영양분을 첨가한 용액중에서는 발아력도 좋았고 균사의 융합도 양호하게 일어났다. 5) 본 접종시험의 결과 통일품종은 재래 장려품종인 풍광에 비해 본 병에 대해 약했다.
        4,000원
        48.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ndophytic bacterium Herbaspirillum spp effect on seed germination and sprout growth of tartary buckwheat. Inoculant concentration (%v/v) and seed soaking time were applied 10, 20 and 40% and 0, 4, 8, 12 hour, respectively.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a growth chamber maintained temperature at 20, 25 and 30ºC without light for 7 days. Results showed that, 10 to 20% (v/v) inoculant concentration by 4 to 8 h seed soaking time at 20°C temperature increased seed vigor rate and total seed germination rate 80-95% and 90-100%, respectively. On the other and, seed inoculation with Herbaspirillum spp. increased hypocotyl length (13-15 ㎝), root length (8-11 ㎝), total fresh weight (135-296 g) and total dry weight (7-10 g), compared to control. It is indicated that sprouts growth and yield depends on inoculation concentrations, seed soaking time and temperature. Therefore, it would be suggested that seed inoculation with Herbaspirillum spp. at concentration of 10 to 20% (v/v), soaking time 4 to 8 h and temperature 20°C promote seed germinations and sprout growth rate of tartary buckwheat.
        49.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resistance to disease among genetic resources for development of disease resistant grap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creen the resistance to crown gall in muscadine and Florida hybrid bunch grapes by pathogen inoculation. In order to compare the responses to infection with different pathogen strains, muscadine and Florida hybrid grapes were inoculated with 3 strains of Agrobacterium vitis. Although there were different levels crown gall formation among grape cultivars, there little variation in response to inoculated strains. Among 29 muscadine cultivars tested by inoculation of A. vitis ‘C4612’, most of them were shown to be susceptible, and ‘Gold Isle’ and ‘Africa Queen’ were highly susceptible, and two cultivars, ‘Welder’ and ‘Jumbo’ were found to be resistant to crown gall disease. Among Florida hybrid grapes, ‘Daytona’, ‘Stover’, and ‘Swanee’ were susceptible and ‘Blanc du Bois’ was moderately susceptible to crown gall. Because muscadine grapes have been actively utilized as useful genetic resources for development of new grape varieties by intersub-genus cross, this result from the screening of resistance among muscadine grapes can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in breeding programs of grape resistant to crown gall.
        50.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인산가용화 균주인 Kluyvera sp. CL2 처리시기가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토양의 화학성 변화는 경핵기 처리구에서 인산이 가장 많이 증가하였고, K, Ca, Mg도 증가됨을 알 수 있었으며, pH의 변화는 토양 완충능에 의하여 적었다. 인산가용화균 처리에 따른 수용성 인산의 변화는 처리 시부터 20일 까지 효과적이었으며, 과립연화기 처리구부터 인산가용화율이 좋았다. 또한 과립연화기 처리구에서 과방중과 당도가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인산가용화 균주 처리구에서 안토시아닌, 명도, 적색도, 황색도가 경핵기와 과립연화기 처리구에서 유의성을 보였으며, 특히 적색도가 향상되어 착색증진 효과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과실특성과 과실품질을 모두 비교하였을 때 과립연화기에 인산가용화 균주를 투입하는 것이 수량성과 품질면에서 가장 효과적이라고 생각된다.
        51.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V. nashicola에 의해 발생하는 배 검은별무늬병 에 저항성을 가지는 유전자를 선발하고자 고도 저항성 ‘93-3-98’과 고도 감수성 ‘스위트스킨’에 병 접종후 24시간, 48시간후 엽을 채취하여 suppression subtractive hybridization 을 수행하였다. ESTs 분석결과 ‘93-3-98’에서만 발현된 유전 자는 24H(tester, 24시간 ’93-3-98; driver, 24시간 ‘스위트스킨’)과 48H(tester, 48시간 ’93-3-98; driver, 48시간 ‘스위트 스킨’)에서 각각 9개, 14개였으며 방어 또는 스트레스에 관련 된 유전자의 비율은 각각 40%와 42%였다. 식물의 방어반응에 관련된 PR protein family 유전자로써는 24H에서 pathogenesisrelated protein 1a, major allergen Pyr c 1과 allergen mal d 1, 48H에서는 major allergen Mal d 1.03B 유전자가 특이 적으로 발현되었고 다수의 방어반응에 관련된 유전자들도 확 인되었다. Major allergen Pyr c 1, F-Box/kelch-repeat protein, flavoprotein wrbA, hypothetical protein POPTRDRAFT_ 783792은 고도저항성 ‘Bartlett’과 ‘93-3-98’에서만 높게 발 현 되었으며 중도저항성 ‘감천배’와 감수성 ‘원황’, 고도 감수 성 ‘신고’와 ‘스위트스킨’에서는 낮게 발현되어 검은별무늬병 저항성 연관 유전자로 확인되었다.
        52.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atermelon (Citrullus lanatus) is one of the most economically important cucurbitaceous crop over the world. Anthracnose disease caused by Colletotrichum orbiculare, result to severe damage to cucurbits worldwide. Anthracnose is a typical plant disease which significantly affecting the yield of cucurbit crop. Pathogeneis-related (PR) proteins are well-known plant defense proteins against pathogens. Therefore, we observed PR genes expression patterns when watermelon got anthracnose disease. We did RT-PCR experiment to evaluate differences of PR genes expression pattern among Au-Producer(R), one of the representative of resistance watermelon varieties against anthracnose, and 920533(S), one of the representative of susceptible watermelon varieties against anthracnose. As a result, there were differences of the expression of several PR genes between the R and S watermelon. Analysis of the function of these genes is expected to perform in the future.
        54.
        2013.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experiment conducted to identify the changes of the response when white-back planthopper (WBPH, Sogatella furcifera), were inoculated in 10 days rice leaves after germination. We confirmed the difference between inoculated and uninfected plants by in the different time period (1day, 1 week, 2 weeks, and 3 weeks after inoculation). Breeding rice and WBPH maintained at 26∼28℃ with 60 % humidity. 3 leaves plants (TN1, Cheongcheong, and Nagdong) were inoculated with 2∼3 instars WBPH. Harvested rice plant samples were completely dried in dark condition and then samples were completely immersed in a solution of methanol for 3 days under darkness. Dissolving in water and then de-fatted three times with hexane. 100 ppm samples were applied to HPLC, eluting with acetonitrile and 0.1 % acetic acid by C18 (5ph column Agilant) and detected at 254 nm. We confirmed the difference of peak using LC/MS/MS (API-2000). The results showed that three weeks from the day of inoculation was increased at the molecular weight 118.1, 264.2 and 364.2.
        55.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조생종 벼 품종인 오대, 운광과 HR28021-AC16 계통에 대한 벼흰잎마름병 저항성 유전자분석과 K1과 K3a 균계를 접종한 후에 수량 및 품질 관련 형질들의 변이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오대는 저항성 유전자를 보유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운광은 Xa3 유전자를, HR28021-AC16은 Xa21 유전자를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오대는 K1과 K3a 균계 모두에 이병성을 보였고, 운광은 K1에는 저항성을 K3a에는 이병성을보였다. HR28021-AC16은 K1 균계에는 이병성을 나타냈고K3a 균계에는 저항성 반응을 보였다. 균계접종에 의한 이병성 정도와 2차 감염 정도로 볼 때, K3a 균계가 K1 균계에 비해 병원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K1과 K3a 균계 접종에따른 생산력검정시험에서 균계 처리와 반응에 의해 변이가발생한 형질들 중에 등숙률, 정현비율, 현미수량과 완전미도정수율은 서로 간에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이들 형질들과 현미 및 백미 단백질 함량은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사미는 등숙률 및 완전미도정수율과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주성분분석에서 주성분 1을 기준으로 등숙률, 정현비율,현미수량 및 완전미도정수율과 사미, 현미 및 백미 단백질 함량이 다른 방향성을 나타냈고, 주성분 2를 기준으로는 등숙률과 사미가 다른 방향성을 나타냈다. Xa21 유전자를 가지고있는 HR28021-AC16은 K3a에는 저항성 반응을 보였으나K1 균계 접종구에서는 등숙률, 정현비율, 현미수량 및 완전미도정수율은 감소하였고 사미는 증가하는 등 이병성 반응을나타냈다. Xa21 유전자는 최근 큰 피해를 주는 K3a 균계에대해 강한 저항성을 보이나, 우리나라 우점 균계인 K1에 이병성을 보이기 때문에 K1 균계에 저항성인 다른 유전자와의집적을 통한 활용이 안정적인 저항성 증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56.
        2012.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둥근마 액체배양에서 소괴경의 생산을 위하여 배양온도와 일장의 전환과 배양 배지의 교체 효과를 조사하였다. 둥근마 액체배양에서 식물체의 증식을 위한 일장시간은 6주의 배양기간 동안 25℃에서 16시간보다는 24시간이 효과적이었다. 기내소괴경의 생산을 위하여 배양기간을 12주로 연장하여 배양하였으며, 배지교체의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배양 중기인 배양 후 6주째에 새로운 배지로 교체하였더니, 배지를 교체하지 않은 것보다 소괴경의 형성수가 평균 5개씩 더 많았고, 소괴경무게도 70% 이상 증가하였다. 배양환경의 전환이 소괴경 형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12주의 배양기간 중에 식물체 생장이 활발한 초기 6주간은 25℃에서 24시간의 일장환경에서 배양하고, 이후 6주간의 배양온도와 일장시간을 전환하였다. 배양온도는 25℃가 15℃보다 효과적이었고, 25℃에서 일장시간은 24시간이 암처리 또는 8시간 일장처리보다 효과가 있었다. 12주간의 배양기간중에 배지 교체의 적절한 시기는 배양 후 2, 4, 6, 8, 10주째 또는 배지 무교체 처리구중에서, 생체중, 마디수, 소괴경수에서는 2주 또는 6주째에 교체하는 것이 좋았고, 소괴경중은 8주째 교체 처리구에서 가장 무거웠으나 소괴경의 수와 무게를 모두 고려하였을 때, 초기 배양 후 6주째에 배지 교체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었다. 12주간의 배양기간 중 배양 후 6주째에 교체할 배지의 성분은 sucrose 30, 60 g·L-1 또는 sucrose 60 g + BA 0.1 mg·L-1 함유 배지 중에서 sucrose 60 g·L-1이 함유된 배지로 교체하였을 때, 소괴경의 총무게가 가장 무거워 소괴경의 비대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둥근마의 액체배양시 25±1℃, 24시간 광조건으로, 마디접종 후 6주째에 sucrose 60 g·L-1를 함유한 배지로 교체하여 6주간 추가 배양하는 방법이 기내 식물체와 소괴경의 생장과 형성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58.
        2008.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illus subtilis를 메주 제조 시 starter로 접종하여 발효시킨 메주를 이용하여 된장을 담근 후 일정기간 숙성시킨 다음 된장의 이화학적 성질 등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Amylase와 protease의 활성은 숙성 60일 후 4.11 unit/mL와 7.75 unit/mL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숙성이 더욱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Tyrosinase의 저해활성과 ACE 저해 활성은 숙성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
        60.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벼흰잎마름병 저항성유전자 Xa1, Xa 3 및 Xa7을 가진 단인자 근동질 유전자계통에 일본의 대표균주(T7174, T7147, T7133)를 단독 및 혼합 접종하여 친화적 및 비친화적 균주의 상호작용에 따른 벼흰잎마름병 발병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Xa1 유전자를 갖는 IRBB 101 계통은 벼의 생육기간 전반에 걸쳐 T7147와 T7133 균주에는 친화적 관계로, T7174 균주에는 비친화적 관계로 작용하였다. Xa3 유전자를 갖는 IRBB 103 계통은 유묘기에서는 3 균주가 친화적 관계로 반응하였으나 출수기에 비교적 안정된 저항성을 나타냈다. Xa7 유전자를 갖는IRBB 107은 유묘기 접종에서는 3 균주가 비친화적 관계에 유사한 반응을 나타냈고, 최고분얼기 접종에서는 대부분 저항성으로 반응하였으며, 출수기에는 모두 강한 저항성으로 반응하여 비친화적 관계로 변화하였다. 친화적 균주와 비친화적 균주의 혼합접종에서는 비친화적 균주의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병반장이 감소하는 경향 이였고, 친화적 및 비친화적 관계가 확실치 않는 경우는 병반장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 친화적 균주의 혼합접종에서는 친화적 균주의 단독 접종보다 대체로 병반장이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비친화적 균주의 혼합접종에서는 단독 접종과 유사한 반응을 나타내어 병반장의 변화가 적었다. Xa7 유전자를 갖는 IRBB 107 계통은 벼의 생육기간동안 사용된 3 균주 모두에 저항성으로 반응하여 가장 안정된 저항성원인 것으로 판단된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