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9

        41.
        2012.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퍼블리시티권의 향유 주체인 사람이 사망하였을 때 그가 가지고 있던 퍼블리시티 가치가 당연히 소멸하는지 아니면 그 상속인에게 상속되는지 및 퍼블리시티권의 상속성을 인정한다면 그 보호기간을 언제까지 인정할 것인지가 문제된다. 이와 같은 퍼블리시티권의 상속성 문제는 퍼블리시티권의 본질론과 직결된다. 일반적으로 퍼블리시티권을 재산권으로 보면 상속성을 인정하게 되고, 그 권리를 인격권으로 보게 되면 상속성은 부정되기 때문이다. 또한 퍼블리시티권이 사후존속기간을 가지는지에 대해서는 미국 법원과 학자들 사이에서도 찬반양론의 논의가 계속되어 왔다. 퍼블리시티권의 재산권성을 인정한다면 퍼블리시티권의 상속성을 인정할 수 있을 것이다. 상속성을 인정하면 그 존속기간을 제한하기 어려워 영원히 권리가 존속하는 결과가 되어 다른 지적소유권과 비교하여 과잉보호가 되는 불합리는 물론 언론의 자유와도 충돌할 우려가 있다고는 하지만, 존속기간의 제한을 통하여 조율할 수 있기 때문에 그와 같은 우려가 있다고 하여 상속성 자체를 부정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공공정책의 관점에서도 퍼블리시티권의 상속성을 인정하는 것이 사회 전체로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존속기간에 관한 주요 학설로는 민법(물권법)상의 소멸시효 유추적용설과 저작권법 상의 보호기간 유추적용설, 한 세대설 등이 있으나, 물권법상의 소멸시효 규정의 준용 내지 유추적용보다는 퍼블리시티권의 재산권성을 지적재산권으로 보되, 본질적으로 저작권보다 재산권적 성격이 약한 특수한 지적재산권이라는 점을 감안하여 저작재산권의 존속기간을 넘지 않는 범위에서 헌법 상 알 권리 및 학문과 예술의 자유가 지나치게 제한되지 않도록 규정되어야 할 것이다. 향후 퍼블리시티권의 도입 방안에 대한 충분한 이론적 검토와 사회적 합의 형성을 거쳐 별도의 단행법으로 입법화되어야 할 것이다.
        5,500원
        42.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온기에 재배된 오리엔탈나리의 절화는 절화장이 짧아지고 꽃수와 꽃봉오리가 적어지기 때문에 절화 품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구근 정식 전 적정 온도에 서 싹틔우기 처리를 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오리엔 탈나리 ‘시베리아와 ‘카사블랑카의 절화품질에 미치는 정식기별 정식 전 구근의 싹틔우기 처리 효과를 구명 하기 위하여 강릉 고랭지에서 정식기를 6월 10일, 6 월 24일, 7월 10일로 하여 12oC에서 0, 10, 15, 20 일간 싹틔우기 처리를 하였다. 정식시기에 관계없이 15-20일간 싹틔우기 처리시 절화장, 절화중 및 화뢰장 이 증가하였고, 생리장해인 블라인드 발생율도 57-77% 감소시켰으며, 수확소요일수는 약 7-8일 정도 단축되었 다. 줄기 휨 정도는 ‘시베리아’의 경우 정식 전 싹틔우기에 의해 약해졌으나 ‘카사블랑카’의 경우 강해져서 품종간의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고온기 오리엔탈나리 의 고랭지 절화 생산 시 정식 전 12oC에서 15-20일 간 싹틔우기 처리로 생리장해 경감 및 절화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를 나타냈다.
        4,000원
        43.
        201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교통사고 발생시점부터 사고처리가 완료된 시점까지를 돌발상황 지속시간(Incident Duration Time)이라고 정의하는데, 이를 단축시켜야만 교통사고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고속도로 교통사고를 대상으로 돌발상황 지속시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찾아내기 위한 모형을 개발하였다. 모형은 모든 사고자료에 포함한 통합 모형(모형1)과 일반구간, 교량, 터널 등 교통사고 장소별로 구분하여 분석한 세부 모형(모형 2, 3, 4) 등 모두 4개의 모형을 구축하였다. 분석 결과, 교통사고가 발생한 장소에 따라 돌발상황 지속시간에 다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장 처리를 위한 작업차량 도착시간이 가장 민감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차-차 사고, 화물차에 의한 사고, 야간 사고, 주말 사고 등의 시사점 있는 요인들을 찾아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교통사고 관리대책을 수립하는 데 있어 중요한 판단지표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44.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s between pain intensity, physical impairments, disability, and psychological factor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duration of low back pain. This study was a cross-sectional survey of 102 participants with low back pain, divided into two groups equal in number: The first group consisted of patients with acute and subacute low back pain, while the second group consisted of patients suffering from chronic low back pain. The results showed that gender, age, pain intensity, physical impairment, disability and Fear-Avoidance Beliefs (FABs) for work activiti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FABs for physical activities of the first group were significantly more prevalent than in the second group. More than moderat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pain intensity, physical impairment, and disability in the first group. Less than moderat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pain intensity, physical impairment, disability, FABs, and depression in the second group. These findings suggest that we must consider psychological factors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pain intensity and FABs for work activities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prediction of disability in the first group. Also, pain intensity and FABs for physical activities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prediction of disability in the second group. Pain intensity was most important predictor of disability in two groups.
        4,000원
        45.
        201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원전구조물의 내진설계에 적용되는 인공지진파의 강진지속시간과 포락함수에 대한 현행 국내 설계기준의 개선과 보완을 위해서 필요한 기반연구에 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USNRC와 ASCE 4-98에서 제안한 응답스펙트럼과 강진지속시간에 대한 규정이 현재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첫 번째로 두 기준에 대한 비교와 검토를 수행하였다. 다음으로 총 209개의 암반사이트에서 실제 계측된 규모 5.0 이상인 강진기록을 ASCE 4-98의 강진지속시간기준에 적용한 결과를 통계 처리하여 지진규모에 대한 함수로 표현되는 강진지속시간의 실험적 예측모델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강진지속시간이 원전구조물의 지진응답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6초에서 20초까지 약 2초 간격으로 강진지속시간을 달리하는 10가지 Case에 대한 인공지진파를 각 30개씩 작성하고, 이들을 적용하여 대만 Hualien 지진시험구조물과 국내 울진 원자력발전소 원자로 격납구조물에 대한 광범위한 지진응답해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4,200원
        46.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repellency, insecticidal activity and repellency duration effect of dagalet thyme, Thymus quinquescostatus against Asian tiger mosquito, Aedes albopictus larvae and adults was investigated. Whole plant body of T. quinquescostatus proved to have the repellent activity of 91.2% against A. albopictus adults. The constituents of T. quinquescostatus were analyzed using GC-MS as follows: α -pinene (1.1%), α-thujene (2.7%), camphene (1.3%), myrcene (4.7%), α-terpinene (5.0%), ɤ-terpinene (33.0%), ρ-cymene (8.3%), β-caryophyllene (4.0%), β-bisabolene (8.9%), thymol (29.9%), and carvacrol (1.2%). Among them, thymol has the perfect repellency on A. albopictus adults and confirmed the electrophysiological response on the antenna of A. albopictus adults. To enhance the maintenance, vanillin was added. Duration of effectiveness of mixture with vanillin (0.18 : 0.36 ㎕/㎠) were significantly more prolonged than thymol alone. The constituents on its original oils were applied onto A. albopictus larvae. The thymol, α-terpinene and carvacrol (LC50 = 9 mg litre-1) revealed to have high insecticidal activity.
        47.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저온처리기간, 온도 및 광의 유무가 초롱꽃 4 종의 생장과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모주로 사용된 고성종인 자주초롱꽃, 왜성종인 애기초롱꽃 2 품종과 이들의 교잡 육성된 ‘직녀’, ‘견우’ F1 2 품종의 조직배양묘를 식물재료로 사용하였다. 조직배양묘는 광 도가 약 75 μmol·m2·s−1이고 온도가 25oC인 기내에서 5주 동안 발근시켰다. 광의 유무는 알루미늄 호일로 포장한 암처리와 명처리(약 10 μmol·m2·s−1 PPFD)를 사 용하였고, 저온처리기간은 3, 6, 또는 9주로 하여 4와 25oC 온도에서 저장하였다. 저온처리 후 식물을 10 cm 화분에 상토를 채워 이식하여 생장조절챔버에서 순화시 켜 온실로 옮겨 재배하였다. 4종 중 자주초롱꽃에서 생존 율이 가장 높았다. 생존율은 암처리보다 명처리에서 더 높았다. 기내에서 6주 이상 저장된 처리구는 생존율이 감소하였다. 4종을 실험한 결과 개화를 한 품종은 ‘직 녀’로 저장기간 3주, 명처리, 25oC에서 62.8%의 높은 개화율을 보였다. 개화는 온도, 저장기간, 그리고 광의 유무에 따라 영향이 있었다. 저장기간 3주, 암조건, 4oC 에서 저장한 처리에서 현저하게 개화소요일수가 단축되 고 개화특성도 좋았다. 이 결과는 개화를 위해 저온을 요구하는 것은 질적인 것보다 양적임을 암시한다. 이 실험은 조직배양묘를 사용하여 저온처리를 하고 순화 하는 과정에서 많이 고사하였으므로, 식물의 개체수를 더 늘려서 이 결론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4,000원
        48.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저장 기간 중 양파 구의 pyruvic acid와 당 함량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저장 중의 pyruvic acid 함량은 저장 3개월까지는 큰 변화가 없었으나 저장 120일경부터 발근이 시작되면서 서서히 증가하기 시작하여 맹아기 이후 급격히 증가하였다. 그와 대조적으로 건물함량은 저장 기간 동안 큰 변화가 없었다. Sucrose 함량은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증가하다가 맹아가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였다. Fructose 함량은 저장 45일째 이후로 서서히 감소하여 맹아기 이후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Glucose 함량은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저장기간 중 총당(TS) 함량에 대한 pyruvic acid(PA) 함량 비율(PA/TS ratio)은 수확시에 비해 저장 한 달 이후부터 감소하였으며, 이 후 내부맹아가 관찰되는 135일째부터 급격하게 증가하여 저장 150일에는 수확시에 비해 83% 정도 증가하였다. 저장기간 중 감미도는 저장 한 달 까지는 서서히 감소하였으나 그 이후 증가하였고, 저장기간 중 큰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단 양파 선발은 휴면이 타파되기 전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49.
        201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hich took place in an Italian restaurant in Seoul, investigated the impact of meal duration on the evaluation of satisfaction and service quality, according to the service stages (order, cook, check) of a restaurant. Research procedures included two phases: during the first phase, data on expected-perceived meal duration, and 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 were collected by surveys, which were distributed at the restaurant. The second phas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among meal duration, customers’ satisfaction, and service quality. T-tests and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examine relationships between these variables. Results indicate that both failing to meet customers’ expected meal duration, as well as the perceived meal duration could negatively impact the satisfaction and evaluation of service quality. The study confirmed that meal duration is indeed related to the responsiveness aspect of service quality. The important aspect of meal duration management is to improve 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 which can lead to a restaurant’s success. Therefore,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s among meal duration, satisfaction, and service quality is a part of a good foundation for effective meal duration management.
        4,000원
        50.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OPU를 통한 체내 유래 난자를 이용한 수정란 생산 시 1개월에서 6개월까지의 연구 기간에 따른 난포 생성수, 난자 회수율, 난자 등급율, 배반포 생성률을 분석하여 공란우의 활용 기간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1. 채란 기간에 따른 난포 생성수는 1개월에서 5개월까지의 난포 생성수는 , , , , 개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6개월째에는개로 급격하게 줄어든 것을 알 수 있었다. 2. 채란 기간에 따른 난자 회수개수는 1개월에서 3개월까지는
        4,000원
        51.
        200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국내 고추종자 12 품종을 대상으로 SMP 처리시 최적의 발아온도와 건조기간을 구명하고, 3 종류의 종자처리기술을 적용하여 고추종자의 입모율과 수확량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발아온도에 따른 결과는 무처리 종자가 15℃에서 12 품종 모두 전혀 발아가 되지 않았다. SMP 처리종자는 발아율이 77(여명)∼100%(대왕)로 높았으며, 15℃ 여명품종의 77%와 35℃의 부강품종 85%를 제외한 나머지 품종은 모든 온도에서 93% 이상으로 높은 경향이었다. 건조조건은 45℃에서 3시간이 적절한 품종으로 금수레, 동방, 종가네, 향촌, 여명, 광복, 왕 품종이었으며, 35℃에서 6 시간이 적절한 품종은 마니따, 조양 품종이었고, 25℃에서 12시간이 적절하다고 판단된 품종은 부강, 다보탑, 대왕 품종이었다. 건조기간에 따른 고추종자의 수분 함수율 변화는 품종마다 다소 차이는 있겠으나, 45℃에서 3∼6시간으로 판단되었다. SMP, osmopriming, pH조절처리에 따른 입묘율을 비교한 결과 낮은 입모율을 보이는 처리는 향촌품종의 pH 조절처리, 다보품종은 무처리, osmopriming 처리였다. 또한 광복품종은 입모율이 낮았고, 대왕품종은 다른 품종에 비해 양호한 경향이었다. 정식 후 90일째 수량에서 무처리가 낮은 경향이었으며, 결주율 또한 높게 나타났다. 품종에 따라 수량의 차이는 있었으며, pH 조절과 osmopriming의 처리 또한 모든 품종에서 안정된 입모율을 보이는 것은 아니었다. 결론적으로 SMP 처리조건은 모든 품종에서 안정된 입모의 확보를 가져올 수 있었으며, 다양한 환경조건에서 반복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4,000원
        52.
        200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추 12 품종의 SMP 처리시 carrier와 수분의 배율, 처리기간 및 처리온도에 대한 조사 결과 적정 처리기간과 carrier와 수분의 배율은 품종마다 차이는 있었지만, 처리 중 발아가 일어나지 않았고, 발아율을 높이며, T50을 단축시킬 수 있는 처리로 왕과 마니따 품종은 carrier와 수분의 배율이 1 : 3에서 7일이었다. 나머지 10 품종은 1 : 7의 비율에서 3일이 좋았다. 종가집 품종은 다른 품종에 비해 처리기간과 수분배율에 따라 발아율과 T50이 불규칙한 경향을 나타낸 품종으로 조사되었다. 처리온도는 15℃에서 35℃로 설정하여 조사한 결과, 처리 중 유근돌출의 억제와 발아성 향상에 안정적인 처리는 20℃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4,000원
        55.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종자의 priming은 종자의 발아율 향상과 유식물의 초기정착에 중요한 기술 중의 하나이다. 본 시험에서는 목초의 주요 초종인 tall fescue, orchardgrass, alfalfa 및 white clover의 발아율 향상과 발아 균일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priming 처리기간과 처리온도에 따라서 목초의 발아율을 조사하였다. 본 시험은 분할구 배치법으로 주구는 priming 처리시간으로 화본과 목초는 2일, 4일, 6일 및 8일을 두었으며, 두
        4,000원
        56.
        200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콩나물로부터 고 isoflavone 함량의 콩 식품원료를 얻고자 콩나물 재배 시 빛을 쪼여주고, 재배한 콩나물의 저장온도를 달리한 조건에서 isoflavone 함량변이를 조사하였다. 공시 품종들의 7일 재배 후 저장하기 전 isoflavone 함량은 아가 3호>아가 1호>아가 2호>아가 4호>장기콩>보석콩>은하콩>풍산나물콩 순이었는데 아가 3호의 isoflavone 함량은 이었다. 재배한 콩나물의 isoflavone 함량은 저장온도에 따라 품종별로 상이한 차이를 보였는데, 저장온도 와 에서 isoflavone 함량이 높은 반면 저장온도 와 에서는 대부분 콩 품종들의 isoflavone 함량은 낮았다. 저장일수에 따른 isoflavone의 함량은 품종들 간에 일정한 경향이 없었으나 대부분의 품종들은 저장기간 3일 이내에 가장 높은 isoflavone 함량을 보였고, 아가 4호와 장기콩은 저장기간 5일에서도 높은 isoflavone의 함량을 보였다. 저장기간과 온도처리를 하여 재배한 콩나물의 isoflavone 함량을 높이고자 한 결과 아가 3호를 포함하여 공시한 8품종 중 4품종에서 에서 하루 동안 저장했을 때 가장 높은 isoflavone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재배한 콩나물들 중 저장을 통해 가장 높은 isoflavone의 함량을 보인 품종은 아가 3호로써 저장후의 isoflavone 함량은 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콩나물 저장기간 동안 수분공급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콩나물이 계속 성장한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저장기간 동안 온도처리를 달리하여 isoflavone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보다 확실한 방법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4,000원
        58.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al signs and duration of estrous in Hanwoo and Holstein cattle for the prediction of optical insemination. Fifty two of 58 and 71 of 89 in Hanwoo and Holstein cows or heifers showed estrous exhibition within 72 h after 2 days following administration, respectively. The number of mounting and standing heat were 54.2 and 57.6, 59.4 and 53.5, 42.0 and 30.8 and 16.2 and 10.7 times in Hanwoo cows, Hanwoo heifers, Holstein cows and Holstein heifers, respectively. Duration of mounting were no significantly difference for Hanwoo cows (), Hanwoo heifers (), Holstein cows () and Holstein heifers (). Duration of standing heat were significantly (p<0.05) shorter for Holstein cows () than for Hanwoo cows (), Hanwoo heifers () and Holstein heifers (). Time until mounting after injection of were significantly (p<0.05) longer for Holstein cows () than for Hanwoo cows (), Hanwoo heifers () and Holstein heifers (). Time until standing heat after injection of were significantly (p<0.05) longer for Holstein cows () than for Hanwoo cows (), Hanwoo heifers () and Holstein heifers ().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duration of standing heat was the shortest in Holstein cows (). The estimation of estrous with Holstein cows has more difficulty because to significantly shorter duration of standing heat than for Hanwoo cows, Hanwoo heifers and Holstein heifers. The standing heat can be a good predictor for time of ovulation but it is concluded that mounting behavior could be the best predictor for time of ovulation.
        4,000원
        59.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s a fundamental study for chronic test (definitive test), the range finding test must have been done prior to conducting chronic test. The aims of this study were 1) to search the effective concentration range of two different heavy metals (cadmium and nickel) to indigenous collembolan species (Paranura rosea) 2) to compare the toxicity of cadmium and nickel depending on exposure durations. Toxicity tests were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standardized toxicity test proposed by OECD. In this study, there were no mortality occurred at all test concentrations for 7-days exposure. In contrast to 7-days exposure, there were slight increases in mortalities were observed at the concentration higher than 400 mg/kg for both heavy metals for 14-days exposure. The estimated LC50s for cadmium and nickel were 3980.65 (2036.08-64668.61) and 1597.85 (1087.87-3817.61) mg/kg,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used as a fundamental toxicity data for two heavy metals to proceed in chronic test in the future study.
        60.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present experiment was to examine hatching rate as in vitro indicator of viability of porcine embryos before early stage embryo transfer such as zygotes or 2-cell stage embryos. Cumulus-oocyte complexes (COCs) collected from ovaries were matured in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23 (NCSU-23) containing 10% porcine follicular fluid (pFF), 10 ng/ml epidermal growth factor (EGF),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FSH), luteinizing hormone (LH), and 1mg/ml cysteine. After 24 hours, the COCs were transferred to the same medium without hormones. After 65h of maturation, oocytes were exposed to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with 7% ethanol (v/v) for 7 minutes, and then the oocytes were washed and cultured in tissue culture medium (TCM) 199 containing 5 ug/ml cytochalasin B for 5h at in an atmosphere of 5% and 95% air with high humidity. After cytochalasin B treatment, the presumptive parthenotes were cultured in porcine zygote medium (PZM)-5 and cleavage of the parthenotes was assessed at 72h of activation, Normally cleaved parthenotes were cultured for an additional 8 days to evaluate their ability to develop to blastocyst and hatching stages. The fetal bovine serum (FBS) were added at Day 4 or 5 with concentrations of 2.5, 5 or 10%. The blastocyst rates were ranged within in each treatment. However hatching rate was dramatically decreased in non-addition group. In this experiment, embryo viability in female reproductive tract may be estimated before embryo transfer with in vitro culture adding FBS by hatching ability.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