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87

        61.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hoto responsive polymer(PRP) is well known for its photo deformation under UV light, and goes back to its original shape in visible light due to the photoisomerization of the azobenzene inside the PRP. In this paper, dynamic study of the vibration in PRP is discussed. In order to predict photo-deformation of the PRP a multiscale modeling is introduced which covers quantum level photo excitation, microscopic morphology, and macroscopic deformation of the PRP. A simple 1D beam model is introduced to model dynamic bending behavior of the PRP. Through fast Fourious transformation analysis, we identify that vibration frequency of the PRP can be controlled by light polarization angle.
        4,000원
        62.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effect that Chinese tourists’ perceptions of beauty products and their friendliness toward Korean culture have on beauty tourism, particularly on Chinese tourists’ intent to purchase, re-purchase, and recommend beauty products. Between the 10th and 21st of June, 2016, a total of 277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in Seoul, Busan, and Daegu using SPSS 21.0. Cronbach’s α was undertaken to test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s and an analysis of the frequency, factors, t-test, and Sobel test used in the study. Korean beauty was derived from two factors: “product favorability” and “product excellence and credibility.” Product favorab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 to purchase, as did participants’ friendliness toward Korean culture. Re-purchases and the intent to recommend beauty products were also significantly affec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beauty products and the intent to purchase, the study revealed partial mediation effects of the participants’ friendliness toward Korean culture on product favorability and complete mediation effects on product excellence and credibility. Friendliness toward Korean culture had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that product favorability had on the intent to re-purchase and recommend. Tourists’ friendliness toward Korean culture had complete mediation on the effect that product excellence and credibility had on the intent to re-purchase and recommend. According to the Gender Equality and Family Act, the difference between buying and selling beauty depends on the difference between purchase and intentions. Friendliness toward Korean culture has become an important variable thanks to product superiority and reliability.
        5,400원
        63.
        2016.11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report on the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novel Cu2O/CuO heterojunction structure with CuO nanorods embedded in Cu2O thin film as an efficient photocathode for photoelectrochemical (PEC) solar water splitting. A CuO nanorod array was first prepared on an indium-tin-oxide-coated glass substrate via a seed-mediated hydrothermal synthesis method; then, a Cu2O thin film was electrodeposited onto the CuO nanorod array to form an oxide semiconductor heterostructure. The crystalline phases and morphologies of the heterojunction materials were examined using X-ray diffraction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s well as Raman scattering. The PEC properties of the fabricated Cu2O/CuO heterojunction photocathode were evaluated by photocurrent conversion efficiency measurements under white light illumination. From the observed PEC current density versus voltage (J-V) behavior, the Cu2O/CuO photocathode was found to exhibit negligible dark current and high photocurrent density, e.g. −1.05 mA/cm2 at −0.6 V vs. Hg/HgCl2 in 1 mM Na2SO4 electrolyte, revealing the effective operation of the oxide heterostructure. The photocurrent conversion efficiency of the Cu2O/CuO photocathode was estimated to be 1.27% at −0.6 V vs. Hg/HgCl2. Moreover, the PEC current density versus time (J-T) profile measured at −0.5 V vs. Hg/HgCl2 on the Cu2O/CuO photocathode indicated a 3-fold increase in the photocurrent density compared to that of a simple Cu2O thin film photocathode. The improved PEC performance was attributed to a certain synergistic effect of the bilayer heterostructure on the light absorption and electron-hole recombination processes.
        4,000원
        64.
        2016.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광이’는 2015년 전남농업기술원에서 육성한 목이 품종으로 2009년 JNM21008과 JNM21013의 단포자를 분리 한 후 2010년 단포자 교배하였다. 2011년 1차 우수계통 선발을 거쳐 2011년부터 2014년까지 특성 및 생산력 검정을 실시한 결과 갓 모양은 파도형으로 연흑갈색이며 분지형의 연락맥이 많고 아래쪽 표면에 선형의 짧 은털이 있는 흑목이를 최종 선발하였고 2015년 품종보호출원하였다.(출원번호 2015-19) ‘광이’의 균사 생장적 온은 25~30°C이며 버섯 발생 및 생육온도는 19~22°C가 적합하였다. 자실체 색은 대조품종보다 더 연한 연흑 갈색을 띠며 더 큰 편이며 장미꽃처럼 봉우리모양이 형성되는 특성이 있다. 갓의 식이섬유 함유량은 63%, 총 폴리페놀은 1.59%㎎이였으며 흑목이 특유의 연하고 부드러움이 있어 관능평가시 맛이 가장 좋은 것으로 평 가되었다. 톱밥 봉지재배시 자실체 특성으로 유효경수는 19개/0.9㎏로 많았고 장경 8.6㎝, 단경 5.7㎝로 갓 크 기는 큰 경향이었다. 배양기간은 20°C에서 40~50일이며 발이 및 생육기간은 23±3일로 대조품종과는 비슷하 나 품종 용아 보다는 길었다. 교배모본 및 대조구와의 대치선이 형성되었으며 RAPD를 이용한 유전적 다형 성 검정 결과 모균주와 유의적 구별성을 보였다.
        65.
        2016.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LED 혼합광에 따른 표고 품종별 특성을 1주기를 기준으로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다. ‘산조701호’의 경우 백 색광 보다 white+green에서 수량이 147g으로 가장 많았고, 유효경수도 4.7개로 백색광원 보다 많았다. 갓크기 는 white+blue에서 60.1로 다른 처리구에 비해 가장 컸고, 갓굵기도 26.4mm로 가장 컸다. 대길이와 대굵기는 처리구 모두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다. 갓의 명도값은 white+green에 34.4로 다른 처리구에 비해 다소 높았으 며, 황색도와 적색도에서는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다. 갓의 경도값도 처리간 차이가 크게 발생하지 않았다. ‘농진고’의 경우 수량은 white+green에서 80.3g으로 가장 많았고, 유효경수도 1.2로 다른 처리구에 다소 많은 경향이었다. 갓직경은 white+blue에서 68.3mm로 가장 컸고, 갓굵기는 white+green에서 24.8mm로 다른 처리구 에 비해서 크게 나타났다. 대길이는 white+green에서 43.3mm로 가장 컸고, 대직경은 White에서 16.1mm로 가 장 컸다. 갓의 명도, 황색도, 적색도는 모두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 갓의 경도도 처리간 차이가 크게 발 생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수량성과 유효경수는 ‘산조701호’와 ‘농진고’ 모두 white+green에서 우수한 결과 가 나타났으나 갓의 생장특성에서는 다소 다른 차이가 나타났다.
        67.
        201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멸종위기식물인 섬시호를 대상으로 기후변화의 원인인 CO2+온도상승과 식물의 생육 및 분포에 중요한 광, 수분, 영양소를 조합 처리하여 지구온난화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는지 알아보고, 기후변화환경 하에서의 보전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실험은 야외의 CO2 농도와 온도를 반영한 대조구와 유리온실에서 대조구보다 CO2 농도가 약 2배, 온도가 약 2°C 높게 유지한 CO2+온도상승구로 구분하여 2010년부터 2011년까지 생육시켜 관찰하고 비교하였다. 섬시호의 생육반응은 광, 수분, 영양소보다 CO2+온도상승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았고, CO2+온도상승구에서 영양소가 많은 조건일 때 잘 자랐다. 잎 수는 대조구에 비해 CO2+온도상승구에서 광이 낮은 구배와 영양소가 높은 구배에서 많았고, 잎 폭은 대조구에 비해 CO2+온도상승구에서 광과 영양소가 중간 구배에서 좁았다. 그러나 지상부 길이, 잎몸 길이 그리고 잎자루 길이는 대조구와 CO2+온도상승구 간에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미래기후환경 하에서 섬시호의 보전을 위해서는 섬시호 자생지에 NH4 +, NO3, P2O5, K2O 등이 포함된 영양소를 공급하고, 섬시호 자생지가 파괴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섬시호의 자생지와 유사한 환경조건을 가진 곳을 발굴하여 복원함으로써 서식지를 확대하여야 한다.
        4,000원
        68.
        201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how Chinese tourists’ beauty tour preferences and attitudes toward Korean culture impacted their purchasing behaviors, repurchasing intentions, and the likelihood that they would recommend the products and services they received. Between the 10th and 21st of June, 2016, a total of 277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in Seoul, Busan and Daegu using SPSS 21.0. On the surveys, beauty tour preferences we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categories: human service, high quality service, convenience․accessibility & cost, and facility & atmosphere. The study found that high quality service and convenience & accessibility significantly affected respondents’ purchasing intentions, with high quality service showing the higher standardized beta value. Friendliness to Korean culture also had a significant impact on beauty tour purchasing intentions. Preference for human service, high quality service, and facility & atmosphere significantly affected the purchasing intentions and the likelihood o f respondent recommendations, with higher standardized beta values shown (from high est to lowest) in the preference for facility & atmosphere, and preference for human service and high quality service respectively. Concerning perceptions of beauty products, preference for qualit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repurchasing intentions and intentions of respondents to make recommendations, as did the respondents’, friendliness toward Korean culture. This study suggests that, to be most effective, beauty tours should emphasize human service and facility & atmosphere, as well as high quality service. In addition, preference for beauty services or products, and friendliness to Korean culture must be considered.
        5,100원
        69.
        2016.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for the safety display device to the transportation of the road that are installed on the boundary stone. This device includes an upper side that is located and fixed on the boundary stone top, and a side that is fixed on the boundary stone front. Solar cell convert light of solar to electric energy is equipped inside the upper side. the device’s side part is consisted 3 part. the charging unit for charging the electric energy generated from the solar cell to charge the battery, the illuminance sensing unit for detecting the night, and the LED unit for flashing traffic sign in night. furthermore this device can be installed easily on the boundary stone. and it can help driver to aware road and boundary stone by improving visibility in night time.
        3,000원
        70.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자외선 투과 및 차단 농업용 비닐로 피복된 미니온실 내에 노란색 점착트랩을 설치한 후 충남 부여군 장암면 소재 무농약 토마토 온실에서 담배가루이를 채집하여 방사한 다음날 자외선에 대한 담배가루이의 광 반응 행동을 조사하였다. 전체 포획량 비교 결과 자외선 차단보다 투과비닐 내에서 훨씬 많은 담배가루이가 포획되었다. 방사지점으 로부터 두 종류 거리(50 및 80 ㎝, 높이 1.5 M)에 설치된 점착트랩의 방위별 전체 포획량 비교에서는 모두 동>북>남>서쪽 의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점착트랩의 앞면과 뒷면에 포획된 개체수는 자외선 투과 및 차단비닐에서 반대의 결과가 나타났다. 투과비닐 내 50 ㎝ 거리의 점착트랩 앞면에서는 동쪽>남쪽이었고 80 ㎝ 거리에서는 동쪽> 북쪽이었던 반면 차단비닐에서는 각각 동쪽>북쪽과 동쪽>남쪽 순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해질 무렵보다는 이른 아침의 자외선 광에 대한 높은 선호도와 함께 담배가루이의 비행에 자외선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71.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폐쇄형 식물생산시스템에서 세가지 혼합 LED와 형광등에서 자란 적치마 상추의 생육과 광 이용효율을 비교하는 것이다. 18일간 육묘한 적치마상추 묘를 적색(R, 655nm), 청색(B, 456nm), 녹색(G, 515nm), 백색(W, 456nm + 558nm)의 혼합 LED(R:B=8:2, R:W:B =8:1:1, R:G:B=8:1:1)와 형광등이 설치된 폐쇄형 식물생산시스템에 정식하였다. 형광등에서 자란 상추는 모든 LED 처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엽형지수를 보였다. 지상부와 지하부 생육에서 LED 처리간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모든 LED 처리가 형광등에 비해 약 34% 지상부 생체중의 증가를 유도시켰다. 한편, 정식 후 4주차에 형광등의 총 소비 전력은 145kW인 반면, LED 처리구들에서 형광등의 약 1/3배인 54kW를 나타냈다. LED 처리구들의 건물중에 대비한 광 이용 효율은 약 34mg/W였으며, 이는 형광등 보다 약 3.5배 높은 값이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식물 생산 시스템에서 적절한 조합의 LED 조사는 형광등에 비해 상추 생장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에너지 절감을 통해 광 이용효율도 극대화 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4,000원
        72.
        2016.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다양한 질량비의 SiO2, Hollow SiO2 나노 파티클들을 Poly(methylmethacrylate) (PMMA) 용액에 분산하여 OLED 내부 광추출용 산란층을 제작 하였다. 구형의 실리카 나노 파티클들은 약 300 nm의 평균 입자 사이즈를 나타내었다. 실리카 나노 파티클 고분자 분산액은 스핀코팅을 통하여 기판위에 코팅 되어 제작되었다. 내부가 비어 있지 앉은 SiO2 나노 파티클 산란층의 경우 높은 산란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30wt%, 588 nm, Haze 0.37) Hollow SiO2 나 노 파티클의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산란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0 wt%, 588 nm, Haze 0.16). 하 지만 Hollow SiO2 나노 입자의 경우 매우 낮은 back-scattering으로 인한 높은 투과 특성을 나타내었다 (30 wt%, 588 nm, 85%). 또한 입자의 함량 증가에 따른 투과도의 감소와 산란의 증가 비가 상대적으로 매우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73.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본 연구는 광 변색 콘택트렌즈 제조에 필요한 spiropyran을 합성하여 캐스트몰드공법과 샌드위치 공법으로 광 변색 콘택트렌즈를 제조하고, 각각의 특성을 비교하여 광 변색 콘택트렌즈의 가능성을 확인하 고자 한다. 방 법: 캐스트몰드공법은 spiropyran과 HEMA, EGDMA, NVP, MMA와 함께 공중합 하여 제조하였고, 샌드위치공법으로는 HEMA, EGDMA, NVP, MMA를 1차 공중합 하여 제조한 콘택트렌즈 표면에 spiropyran을 바인더와 혼합하여 흐름 코팅 후 그 위에 HEMA, EGDMA, NVP, MMA를 2차 공중합 하여 제조하였다. 그리고 각각 제조된 렌즈의 물리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함수율, 접촉각을 측정하였다. 자외 선에 의해 광 변색 기능을 확인하기 위해 자외선을 1분간 조사 후 색상 변화 및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이 후 암실에서 10분 후에 다시 측정하였다. 결 과: 캐스트몰드공법으로 제조한 콘택트렌즈의 함수율과 접촉각은 35.21%와 70.80°이었으며, 자외선 에 의한 광 변색 기능은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샌드위치공법으로 제조한 콘택트렌즈의 함수율과 접촉각은 40.35%와 47.85°이었으며, 자외선에 의해 보라색으로 변색되었고 암실에서 투명해지는 광 변색 기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 론: 캐스트몰드공법으로 제조한 콘택트렌즈의 경우 자외선에 의해 변화가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나 광 변색 콘택트렌즈의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샌드위치공법에 의해 제조된 광 변색 콘택 트렌즈는 함수율과 접촉각 등에 큰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빠른 광 변색 특성을 나타내어 광 변색 콘택트렌즈 의 제조에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74.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elevational and seasonal variation of moth diversity of Mt. Baegun-san, Gwangyang-city, Jeonnam. Moth collecting was carried out using a UV light trap at three different elevational sites from September to October 2014 and from April to October 2015 (9 times) except winter. A total of 288 moth species and 1,444 individuals in 15 families were identified. Geometridae (97 species and 740 individuals) were the most dominant in the numbers of species and individuals, followed by Noctuidae (62 species, 193 individuals), Erebidae (52 species, 177 individuals) and Notodontidae (16 species, 111 individuals). Elevational change showed that the lower elevation, the higher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Seasonal change of numbers of species and individuals showed the M-shaped pattern with June and August peaks. Compared to the previous records from historical literatures, 197 species were newly added and the total moth species richness of Mt. Baegun-san comprised 449 species in 20 families. The Chao 2 estimated number of species using the observed species including unpublished data set was 1,530 species that comprised about 43% of the Korean Lepidopteran fauna. This large number of estimated species requested the more extensive and long-term survey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total moth fauna in this area.
        4,000원
        75.
        2016.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입자 크기가 약 16 및 5 nm인 두 다른 크기의 TiO2 나노입자들과 titanium tetraisopropoxide (TTIP) binder 와 ethanol 용매만으로 제조된 코팅액을 사용하여 130 oC 저온 열처리로 ITO/PEN substrate 위에 메조다공성 TiO2 박막들을 형성하였다. 이들 TiO2/ITO/PEN 박막들을 활용한 유연 염료감응 태양전지들을 제작하여 광변환 특성을 비교 연구하였다. 크기가 다른 두 TiO2 나노입자들을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여 제작된 cell들의 경우에 크기가 16 nm 인 TiO2 나노입자 cell이 5 nm인 나노입자 cell에 비해 박막의 porosity가 훨씬 크고 같은 질량에서 표면적이 훨씬 넓어 광변환 효율이 훨씬 높으나 염료 흡착량에 대해 상대적으로 작은 광전류는 입자간의 연결성에 기인되며 큰 입 자에 작은 입자를 10% 정도 혼합한 경우에 표면적 증가와 함께 입자간의 연결성을 강화시켜 큰 입자 단독으로 제작 된 cell에 비해 광변환 효율이 크게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4,000원
        76.
        2016.0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iO2 nanoparticles were synthesized by a sol-gel process using titanium tetra isopropoxide as a precursor at room temperature. Ag-doped TiO2 nanoparticles were prepared by photoreduction of AgNO3 on TiO2 under UV light irradiation and calcinated at 400 oC. Ag-doped TiO2 nanoparticles were characterized for their structural and morphological properties by Xray diffractometry (XR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energy dispersive spectroscopy (EDS),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The photocatalytic properties of the TiO2 and Ag-doped TiO2 nanoparticles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gaseous benzene under UV and visible light irradiation. To estimate the rate of photolysis under UV (λ = 365 nm) and visible (λ ≥ 410 nm) light, the residual concentration of benzene was monitored by gas chromatography (GC). Both undoped/doped nanoparticles showed about 80 % of photolysis of benzene under UV light. However, under visible light irradiation Ag-doped TiO2 nanoparticles exhibited a photocatalytic reaction toward the photodegradation of benzene more efficient than that of bare TiO2. The enhanced photocatalytic reaction of Ag-doped TiO2 nanoparticles is attributed to the decrease in the activation energy and to the existence of Ag in the TiO2 host lattice, which increases the absorption capacity in the visible region by acting as an electron trapper and promotes charge separation of the photoinduced electrons (e−) and holes (h+). The use of Ag-doped TiO2 nanoparticles preserved the option of an environmentally benign photocatalytic reaction using visible light; These particles can be applicable to environmental cleaning applications.
        4,000원
        77.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visual threshold of nigro (Cichlasoma nigrofasciatum) on white LED light. Thevisual threshold was obtained by analyzing electrocardiogram (ECG) of the nigro. 5 individuals (body weight: 15.62~45.49 g; TL: 8.9~12.4 cm) were trained for lights by an electric stimulus. And then the heart rate (beats/10s) before and after switching on the light were compared. Light intensity range was from 0.00 to 226.4 lux. Average heart rate was 10.36 beats/10s in the normal condition. When the fish perceived the light, the heart rate was decreased. Visual threshold of the fish was 2.59 lux.
        4,000원
        78.
        2016.01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fabricated high quality color conversion component with green/red phosphor and low melting glass frit. The color conversion component was prepared by placing the green and red phosphor layer on slide glass via screen printing process. The properties of color conversion component could be controlled by changing coating sequence, layer thickness and heat treatment temperature. We discovered that optical properties of color conversion component were generally determined by the lowest layer. On the other hand, the heat treatment temperature also affected to correlated color temperature (CCT) and color rending index (CRI). The color conversion component with a green (lower) - red (upper) layer which was sintered at 550 oC showed the best optical properties: CCT, CRI and luminance efficacy were 3340 K, 78, and 56.5 lm/w, respectively.
        4,000원
        79.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hotoaging is the main extrinsic aging factor that is induced due to UVB. Many studies have revealed that application of hyaluronic acid to the skin is effective in healing photoaging. However, the effect of hyaluronic acid through oral administration is unclear.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skin photoaging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hyaluronic acid. During a ten week study, hyaluronic acid was fed to hairless mice, which were illuminated by UV radiation. After ten weeks, wrinkle indicator and histological changes were determined.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sample group had a decrease in wrinkle depth, thickness, and number. Especially, the HA 160 mg/kg group had a similar value of wrinkle depth (19.44±0.75 μm), number (654.00±98.34), and thickness (1.35±0.08 mm), when compared with the RA (retinoic acid) group (19.28±0.95 μm, 653.57±83.54, and 1.34±0.07 mm respectively). Also, the treated group showed improved elastosis and decreased collagen degradation resulting from UV irradiation. Thus, we can conclude that hyaluronic acid has a positive effect in improving skin photoaging induced by UV radiation. Hyaluronic acid therefore has the potential to be an ingredient in skin health function foods.
        4,000원
        80.
        201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는 차세대 조명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으며, 디스플레이로서의 상용화에 이미 성공하였고, 대체 조명 시장에까지 그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OLED의 급격한 기술 발전에도 불구하고, OLED의 유 기층/투명전극과 기판에서 발생하는 내부 전반사에 의해서 일반적인 OLED의 외부 광자 효율은 현재 20~30% 정도에 머무르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고효율의 OLED의 구현을 위해서는 고성능의 광추출 구조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 다. 내부 광추출 구조를 소자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특히 소자의 누설전류를 방지하기 위해서 광추출 구조의 표면 거칠기를 최소화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ZnO 나노파티클-투명 고분자 복합 구 조의 광추출 구조를 쉬운 제작 방법으로 구현하였으며, 나노파티클의 분산에 따른 광추출 구조의 광학적 특성 및 표 면 구조의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