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8

        61.
        2009.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심비디움, 팔레놉시스, 덴파레 등 서양란에서 발생하는 주요 해충 및 피해 유형을 조사하였다. 조사 기간동안 서양란에서 발생하여 문제가 되는 주요 해충으로는 난총채벌레, 양란혹파리, 응애 류, 깍지벌레 류 등이었다. 난총채벌레와 양란혹파리의 경우 각각 2000년과 2005년 국내에 공식 확인된 유입된 해충으로 분포가 확산되고 있으며 주로 어린 꽃봉오리 내부를 가해하여 농가에 큰 피해를 유발하고 있었다. 바크, 수태 조사를 통한 근권부의 경우 톡토기, 토양응애, 작은뿌리파리 유충, 달팽이, 토양 선충 등 발생이 확인되었지만 조사기간 동안 재배에 영향을 줄만큼 큰 피해를 유발하지는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덴파레에서 품종별 총채벌레 접종 후 피해 및 품종특성 조사 결과 품종별로 피해율이 크게 차이가 발생하였는데 꽃잎의 경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조직의 물리적 특성과 피해 발생 간에 연관이 있는 것으로 여겨졌다. 난에서 꽃봉오리를 가해하는 난총채벌레와 양란혹파리들은 많은 경우 개화하기 전 어린 화아를 중심으로 꽃봉오리 내부에서부터 가해를 시작하기 때문에 발생 초기 정확한 예찰과 향후 침투이해성 약제들 중 방제 효과가 우수한 약제들을 추가로 선발하여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62.
        2009.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꽃매미는 중국에서 유입되어 최근 국내에서 월동이 가능한 것으로 보고되고, 그 개체수가 급격히 증가되면서 심각한 위생 및 농업해충으로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화학살충제에 대해 감수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유기농의 증가에 따라 화학살충제의 처리가 곤란한 곳에서는 더욱 심각한 해충으로 인지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포도나무에 대한 피해로는 나무를 흡즙하고, 그 배설물로 인한 그을음병을 유발하여 포도의 상품성을 저하시킴으로써 농가에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피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조사가 이루어져 있지 않아 그 피해의 심각성 인식 및 방제 대책이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꽃매미의 포도나무에 대한 피해를 포도원에서의 발생현황 및 흡즙피해 조사를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포도원에서 꽃매미의 발생현황을 조사하기 위해 충북지역 10개 시․군, 61개 읍․면, 228개 지점을 선정 그 분포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08년 청주, 청원, 보은, 진천에서만 발견되었으나 09년 8월 현재 기준 청주, 청원, 보은, 진천, 괴산, 증평, 음성, 보은, 옥천 8개 시․군으로 확대되었다. 꽃매미의 흡즙에 의한 포도의 생육 피해를 조사하기 위해 포트에 심겨진 포도유묘를 100×60×45cm 케이스에 넣고 꽃매미 약충과 성충을 유묘당 3마리 또는 5마리씩 방사한 후 한 달 간격으로 포도나무의 생육상태를 조사 하였다. 그 결과 3마리/유묘 처리시 무처리에 비해 초장이 36% 감소하였고, 5마리/유묘 처리시에는 무처리에 비해 초장이 44% 감소함으로써 흡즙에 의해 포도나무의 생육장애가 유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63.
        2009.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열점박이별잎벌레(Oides decempunctatus)는 잎벌레과 곤충으로 몸길이 10~13mm의 타원형의 황갈색을 띄고 있으며 딱지날개의 10개의 흑색 점박이 무늬가 있다. 열점박이별잎벌레는 6월 경 유충이 나타나기 시작하면서 포도나무잎을 가해하고 8월 경 성충이 되어서도 계속 포도나무 잎을 가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포도원의 중요해충으로 인식되고 있으나 포도품종별 피해정도에 대한 조사는 이루어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열점박이별잎벌레의 피해정도에 대해 포도 품종별에 의한 차이를 조사하고자 수행되었다. 그 결과 미국계 품종 중 캠벨얼리, 델라웨어, 버팔로, 세네카 등이 감수성으로 나타났으며, 콩코드, 나이아가라 등이 저항성이었다. 또한 유럽계 품종 중 카르보네, 쇼비뇽, 엘리칸테 등이 감수성이었고, 샤르도네, 머스켓 드 프론티난, 피놋 느와르 등이 저항성이었다. 그리고 일본계 품종 중 블랙올림피아, 킹델라, 노스블랙, 홍부사 등이 감수성이었고, 후지미노리, 자옥, 고묵, 피오네, MBA 등이 저항성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포도원의 품종별에 따라 열점박이별잎벌레에 대한 방제 대책 마련이 필요함을 제시하여 주었다.
        64.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우리나라 벼 재배지에서는 친환경적 잡초관리를 위해 주로 왕우렁이, 쌀겨 및 오리를 이용하고 있다. 이런 유기농업은 화학농약 40% 감축목표 및 농촌 고령화에 따른 일손부족 등 사회경제적 이유로 인해 해마다 재배면적이 증가 되고 있으나 한편으론 병해충 및 잡초의 발생도 더불어 증가하고 있다. 경남 창녕지역은 최근 따오기 복원 사업 등 우포 생태공원 조성에 따른 벼 유기농업면적이 ‘08년 420ha까지 크게 증가하였는데, 이 지역의 주 유기농법 인 쌀겨 이용 벼 재배지에 최근 자귀풀 발생량 증가와 주로 콩에 발생하는 가로줄노린재 등이 많이 발생하여 주변 벼에도 피해를 주고 있다. 창녕군내 쌀겨 및 왕우렁이 이용 벼 유기농업지에 발생하는 주요 잡초는 피, 올방개, 가막사리, 여뀌바늘, 자귀풀 등이었다. 벼 수확기 전후에 발생된 잡초 우점종 은 올방개 및 피로 각각 m2당 13.0 및 6.0본이었고, 자귀풀은 m2당 0.3본으로 발생량은 적었다. 쌀겨이용 벼 유기농업 재배단지인 창녕 우포 및 신기 두 지 역간 노린재 발생량은 9월 상순까지는 자귀풀보다 콩에서 발생량이 더 많았 으나 9월 하순에는 자귀풀에서 노린재 발생량이 더 많았다. 특히 9월 하순 우 포 및 신기지역 자귀풀 10주당 노린재 발생량은 우포가 889마리, 신기 131마 리로 우포가 월등히 많았고, 노린재에 의한 자귀풀 주변 벼의 반점미율도 우 포 및 신기에서 각각 12.7%, 4.3%로 우포에서 더 높았다. 자귀풀에 발생된 노 린재 종류는 가로줄노린재, 풀색노린재,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였고, 가장 우점 종은 가로줄노린재였다.
        65.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자운영에서 알팔파바구미 성충은 3월 중순경부터 발생되어 5월 상순에 발 생최성기를 나타내었으며, 6월 상순경부터 하면처로 이동하였다. 알팔파바구 미에 의한 녹비작물의 피해는 자운영>크림슨크로바>헤어리베치의 순으로 많 았다. 자운영 재배답 주변작물에서 알팔파바구미에 의한 피해는 콩>감자>취나 물>배추>무>고추의 순으로 심하였다. 몇 가지 화학농약과 친환경 제제인 아자디락틴 유제에 의한 알팔파바구미 의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ethofenprox 유제, fenitrothion 유제 및 fenthion 유제 를 4월 중순에 1회 살포한 경우 처리후 7일차의 방제가는 각각 약 96, 95 및 97%로 매우 높았다. 하지만 neem 추출액인 아자디락틴 유제를 4월 중순에 1 회 및 4월 중순과 하순에 2회 처리한 경우 방제효과는 각각 약 30 및 63% 이 었다. 하지만 녹비작물은 화학비료를 대체하는 작물로 친환경 농업에서 규정 한 친환경 작물생산을 위해선 화학농약을 살포할 수 없으며, 아자디락틴 유제 는 친환경 제제이지만 화학농약에 비하여 방제효과가 낮아 자운영의 생체량 을 충분히 확보하기 어렵다. 따라서 금후 알팔파바구미를 보다 효과적으로 관 리할 수 있는 친환경 제제가 조속히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66.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콩의 새로운 문제 해충인 콩꼬투리혹파리의 발생양상, 콩 꼬투리 피해 및 약제에 의한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콩꼬투리혹파리는 구골나무에서 월동하 였으며, 봄철의 구골나무 열매에서 콩꼬투리혹파리의 출현율은 약 9.0% 이었 다. 콩포장에서 콩꼬투리혹파리의 발생은 개화기부터 발생되어 9월 중순경에 최고의 발생량을 보였으며, 콩꼬투리혹파리에 의한 콩 꼬투리의 피해률은 9월 상순경에 가장 높았다. 콩의 노린재 방제약제로 등록된 ethofenprox 유제의 살포횟수 및 시기에 따 른 콩 꼬투리의 피해는 1회 약제살포시의 경우 R2.5>R2>R3>R3.5>R4>R4.5의 순으로 피해가 적었으며, 2회 약제살포시의 겨우 R2.5+R3>R2.5+R3.5, R2.5+R4, R2.5+R4.5>R2+R3>R2+R4>R3+R4의 순으로 피해가 적었다. 따라서 약제살포에 의한 콩꼬투리혹파리의 방제효과는 1회 약제살포의 경우 R.25에서 약 93%로 가장 높았으며, 2회 약제살포의 경우 R2.5+R3에서 약 98%로 가장 높았다.
        67.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화에 발생하는 주요 해충은 아메리카잎굴파리, 목화진딧물, 점박이응애, 총채벌레였다. 총채벌레류는 꽃노랑총채벌레와 대만총채벌레가 발생하였다. 이 조사는 황색끈끈이트랩과 육안조사를 충남지역에서 예산과 태안을 중심으 로 조사하였다. 4월 하순 정식시 목화진딧물은 총채벌레보다 적게 발생하며 대만총채벌레가 생육초기에 가해하다가 꽃노랑총채벌레가 우점하였다. 아메리 카잎굴파리는 5월 중순부터 6월중순까지 밀도가 높아졌고 무방제구에서는 잎 굴파리좀벌에 의한 증가로 아메리카잎굴파리밀도가 낮아졌다. 7월 정식작형에 서는 8월부터 10월까지 노린재와 국화꼬마수엽진딧물이 우점하였고, 10월상순 에는 노린재가 최고 발생기였다. 국화 품종별로 아메리카잎굴파리에 대한 피해는 7월 상순부터 10월 하순까 지 조사하였다. 품종은 노아, 문라이트, 예스모닝, 투마코, 포드, 휘파람, 위니 아, 델리아크림을 이용하였다. 아메리카잎굴파리에 대한 품종별 피해는 10월 중순에 예스모닝은 아메리카잎굴파리 피해엽율이 62.9%, 위니아에서는 54.3% 나타났으며 노아는 24.8%였으며 예스모닝, 위니아, 노아를 선호하였다. 목화진 딧물은 8월 중순에 엽당 마리수가 노아에서 90마리, 투마코에서 58마리였으며 10월 중순에 예스모닝은 엽당 마리수가 28마리, 노아가 4마리, 델리아크림이 3마리 였다.
        68.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rvey the occurrence of stink bugs and pecky rice grain caused by the stink bugs in paddy fields in six districts of Gyeonggi-do. In the levee of the paddy fields, 30 species of the stink bugs were collected, and the dominant species were Paromius exiguus in Hwaseong and Siheung, and Stenotus rubrovittatus in Pyeongtaek, Icheon and Paju. In the paddy fields, 23 species were collected, and the dominant species were Paromius exiguus in Siheung, and Stenotus rubrovittatus in Pyeongtaek, Icheon and Paju. P. exiguus overwintered and proliferated mainly in the west coastal region, where its host plants, Imperata cylindrica and Calamagrostis epigeois, were abundant, and then moved to paddy fields later in the season, resulting in the peak density in September in paddy area. Stenotus rubrovittatus and Cletus punctiger were abundant in paddy area in August and September, and Eysarcoris aeneus was abundant in June and July. When the stink bugs were inoculated on the rice, the rate of pecky rice caused by E. aeneus and P. exiguus at milk ripe stage was 10.2% and 4.8%, respectively, and the rate by S. rubrovittatus and P. exiguus at dough ripe stage was 4.3% and 2.7%, respectively. The damage shape of pecky rice was distinctive according to the species. The surface of pecky rice by P. exiguus was very smooth but the surface of pecky rice by E. aeneus was rough and caved. In the pecky rice by S. rubrovittatus, the spot occurred at the topside of the grain.
        4,000원
        69.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ree lepidopteran insect pests of the legume pod borer, Maruca vitrata (Lepidoptera: Pyralidae), the soybean pod worm, Matsumuraeses phaseoli (Lepidoptera: Tortricidae) and an Ostrinia spp. (Lepidoptera: Pyralidae) attacking adzuki bean, Vigna angularis, were confirmed as the major insect pests during the reproductive developmental stage of adzuki bean, and M. vitrata existed dominantly. Almost all plants in the adzuki bean field were in jured by at least one of the three species, and 15~60% of reproductive organs were injured. Unbloomed inflorescence occurred continuously through the reproductive stage of adzuki bean. While the flower was many at the early stage and its number soon decreased, the pod was few at the early stage, but its number increased soon and maintained at a constant level.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adzuki bean injured by insect pests compensate the flower loss by developing new inflorescence, but the compensation do not cause the development of new pods. While M. vitrata and M. phaseoli were observed in flowers, pods and stem mainly during the first half of reproductive stage of adzuki bean, Ostrinia spp. was observed only in pods and stem during the second half. In addition, while all instars of larvae of M. vitrata were observed, larvae between the third and fifth instars for M. pahseoli and Ostrinia spp. were observed.
        4,000원
        70.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oot-lesion nematode (Pratylenchus vulnus) and pin nematode (Paratylenchus sp.) were detected with high population density at the spray chrysanthemum greenhouse in Gumi, Gyeongbuk. The average density of P. vulnus and Paratylenchus sp. was 667 and 716 nematodes per 100 g soil and P. vulnus density were distributed 87% to the depth of 0~30 ㎝ in greenhouse. When spray chrysanthemum cv Chopin, was transplanted in September 2004 in greenhouse, P. vulnus were 854 nematodes/100 g soil in planting and increased 14,985 nematodes/100 g soils and 1g root after 10 weeks in harvest. Shoot weight and shoot height of spray chrysanthemum decreased 24.8% and 8.0% compared with non-infested P. vulnus after 10 weeks in greenhouse.
        4,000원
        71.
        200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호박과실파리[Bactrocera (Paradacus) depressa]는 한국, 일본, 중국에 분포하는 해충으로 미국에서는 검역 해충으로 박과류 수출시 지정 관리되고 있다. 또한 최근 단호박, 맷돌호박 등 숙과호박 수요 증가로 재배가 증가하여 피해도 같이 늘어나고 특히, 일부 숙과호박 재배 중산간, 고랭지 중심으로 호박과실파리의 피해가 매년 증가(피해과율 : 30~50%)하고 있다. 이에 2007년 5월 초순부터 경기 양평, 강원 홍천 숙과호박 재배지에서 호박과실파리 발생 피해 및 트랩을 이용한 예찰을 실시하였다. 황색, 백색, 청색 평판끈끈이트랩과 유인트랩을 이용한 발생 및 육안 조사를 통해 피해 조사를 실시하였다. 평판 끈끈이트랩을 이용한 예찰법은 호박재배 포장 주변 산기슭 경계 지상부 1m 정도 높이에 종류별로 설치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었으며 포장내 끈끈이트랩 종류별 호박과실파리 유인 수를 조사하였다. 호박과실파리 성충들은 백색끈끈이트랩에서 가장 많이 유인되었고 청색끈끈이트랩에서 가장 적은 밀도로 유인되었다. 우화트랩에 의한 호박과실파리 월동 번데기 우화는 5월 중・하순에서 6월 중순까지 발생하였고, 끈끈이트랩에 유인된 호박과실파리 성충은 5월 하순부터 유인되어 재배가 종료되는 9월 이후까지 꾸준히 유인되었다. 호박과실파리 산란에 의한 호박과실 피해는 6월 하순부터 나타나 재배가 종료되는 시점까지 꾸준히 증가하였다.
        72.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꾸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는 생약명이 자목(柘木)으로 분류학적으로는 쌍떡잎식물, 쐐기풀목, 뽕나무과, 낙엽활엽수, 소교목 또는 관목이며, 한국(황해이남, 800m 이하)ㆍ일본ㆍ중국에 분포하고 있다. 꾸지뽕나무는 플라보노이드계인 모린, 루틴, 모르찐을 함유하여 항암 효과가 탁월하고 아스파라긴산, 글루타민산, 리보플라빈 등과 비타민 B1, B2, C 등을 함유하고 있다. 그러나 자생 꾸지뽕나무 군락지를 발견하기 매우 어렵고 무차별 남획되고 있는 실정이며, 재배에 관한 기술자료가 미흡하기 때문에 자생지 복원과 함께 소득작물로서의 재배기술 체계를 확립하여 안정생산기반을 마련하고자 재배기술체계 확립 및 주요 문제 병해충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병해충 조사결과 주로 병에 의한 피해로 갈색무늬병이 발생하였으나 피해정도는 경미하였으며, 해충 피해로서 잎에는 5월 초~9월 말에 은줄자나방 유충, 산누에나방 유충, 목화진딧물, 명나방 유충, 꽃에는 6월 초~6월 말에 잎벌레류, 과실은 6월 초~7월 중, 9월 초~11월 초 수확기에는 노린재류, 잎벌레류, 초파리, 노린재등과 다람쥐, 까치 등 조수 피해도 나타났다. 줄기는 5월 초~10월 초에 공깍지벌레, 장수풍뎅이, 말매미, 넓적사슴벌레 등이 발생하여 피해를 주고 있었다.
        73.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2002년부터 2005년까지 주요 엽채류 재배지역에서 발생하는 나비․나방류의 발생 종과 발생소장을 조사하였다. 케일, 적겨자, 잎브로콜리 및 적근대에 발생하여 피해를 주고 있던 나비․나방류는 집나방과의 배추좀나방, 명나방과의 흰띠명나방, 밤나방과의 도둑나방, 담배거세미나방, 파밤나방, 흰나비과의 배추흰나비 등 4과 5속 6종이 조사되었다. 시설 엽채류 종류에 따른 주요 나비․나방류의 종, 피해와 발생을 조사한 결과 케일에서는 3과 3속 4종이 조사되었고, 배추좀나방이 가장 피해가 많았으며, 유충 발생최성기는 6월 하순으로 100주당 968마리가 조사되었다. 적겨자에서는 2과 2속 2종이 조사되었고, 배추좀나방이 피해가 많았으며, 유충 발생최성기는 6월 하순으로 100주당 1,105마리가 조사되었다. 잎브로콜리에서는 3과 4속 5종이 조사되었고, 배추흰나비가 가장 피해가 많았으며, 유충 발생최성기는 9월 중순으로 100주당 72마리가 조사되었다. 근대에서는 2과 2속 2종이 조사되었고, 흰띠명나방의 피해가 많았으며, 유충 발생최성기는 8월 중순으로 100주당 108마리가 조사되었다.
        74.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수도권에 소재하고 있는 옥상정원에 발생하는 해충은 진딧물류, 방패벌레류, 깍지벌레류, 나방류, 잎벌레류, 응애류 등이었다. 진딧물류와 방패벌레류는 식물의 생육초기에 주로 발생하였고, 나방류는 생육중기부터 발생하여 후기까지 지속적으로 발생하였으며 잎벌류는 생육후기에만 발생하였다. 깍지벌레와 응애류는 다른 해충에 비해 비교적 발생기간이 길어 거의 생육전체 기간에 걸쳐 피해를 주었다. 봄철에 해충의 발생이 많은 식물은 보리수나무, 조팝나무, 구상나무, 작살나무, 기린초, 철쭉, 반송, 사철나무, 주목, 궹의밥 등이었고, 여름철에는 철쭉, 매실나무, 주목, 원추리, 화살나무, 사철나무, 회양목, 배롱나무, 산수유, 꽃사과 등이었다. 한편 가을에는 화살나무, 철쭉, 매실나무에 해충의 피해가 많았다. 옥상정원의 조성위치에 따라 해충의 발생종류와 피해정도는 크게 다르지 않았다.
        75.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02년부터 2005년까지 배추와 양배추 재배지역에 발생하는 나비나방류의 발생종과 발생소장을 시설 재배지와 노지에서 조사하였다. 노지의 배추와 양배추에 발생하여 피해를 주고 있던 나비나방류는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과 배추순나방(Hellula undalis), 도둑나방(Mamestra brassicae), 담배거세미나방(Spodoptera litura),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 검은은무늬밤나방(Autographa nigrisigna), 배추흰나비(Artogeia rapae) 등 4과 6속 7종이 확인되었다. 시설 배추와 양배추에서 주요 나비나방류 해충 발생종과 피해량 및 발생을 조사한 결과, 배추에서는 4과 6속 7종이 조사되었는데 배추좀나방의 피해가 가장 심하였으며, 배추좀나방 유충의 발생최성기는 6월 하순으로 100주당 378마리가 조사되었다. 양배추에서는 3과 4속 5종의 해충이 확인되었는데 배추좀나방이 가장 많은 피해를 주었으며, 배추좀나방 유충의 발생최성기는 6월 하순으로 100주당 756마리가 조사되었다.
        4,000원
        76.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population dynamics of white grubs and its damages in sweet potato fields. There were three species of white grubs that fed on the roots of sweet potato in Honam area. Among them, Holotrichia parallela was a major insect pest. Damage rate of sweet potato by white grubs were about 2 to 40% differed with regions. In some region where it was severe the damage rate of sweet potato was about 80% or more. H. parallela overwintered as a late 3rd instar larvae in soil from late October to late-June, and the survival rate of them was 92%. The occurrence pattern of H. parallela larvae varied in different seasons. In sweet potato field, H. parallela larvae populations started being observed during late-July to mid.-August. The damage by the grub began to occur late-August in field and lasted to the harvest time.
        3,000원
        77.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occurrence and damage of golden apple snail, Pomacea canaliculata on water seeding area in Jeonnam province. The density of golden apple snail maintained high until October 2003, but quickly decreased from November. They overwintered only in a portion of the water canals but could not find in dried paddy field. They reproduced from May and June in the canal water and paddy field, respectively. Feeding time of golden apple snail on rice seedlings was 235.2 seconds, feeding length of that was 8.4 ㎝. When golden apple snail fed rice seedlings, the stem remain only 2.5 ㎝ from areal part which could not recover. The more density of golden apple snail, the faster feeding rate. Density and number of eggs laid of golden apple snail after overwintering was higher on bank around of paddy field than on middle of that. The percent of shell size after over wintering was higher in small (below 25 ㎜) than big (over 36 ㎜). But in case of Boseong area, the size was reverse because the soil has soft mud. The survival rate of overwintering golden apple snail was lower than that of breeding. They did not move when the temperature changed rapidly, but the temperature increased they start to move. They dead almost below -3℃. The damage of rice by golden apple snail in the direct water seeding was 20%. In machine transplanting, rice damaged only fore-end of leaf and recovered subsequently. When golden apple snail release in direct water seeding field, the percent of damage was 5.6% in immediately release plot. The later release, the lower damage.
        4,000원
        78.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sect pests attacking the leaf of lettuce (Lactuca sativa) were surveyed in environmentally frendly leaf-lettuce-greenhouses in Hwaseong, Namyangju, and Suwon from 2003 to 2004. Sixteen insect species of eleven families in eight orders were collected in greenhouses. Among them, Acyrthosiphon solani, Frankliniella occidentalis, and Autographa nigrisigna were the most serious pest species because of their damage ratio was over 30%. Population of Acyrthosiphon solani showed the highest peak one or two times between mid-April and early June in both the second and the third cropping period. Frankliniella occidentalis reached the highest peak one or two times, the first peak between mid-June and the late July, and the second peak between the mid-August and the mid-October. Autographa nigrisigna reached the highest peak one or times between early June and late July and in the mid-August to late October. The highest peak occurrence of A. solani was observed in early June as many as 4,836 nymphs and adults per 100 leaves. And for F. occidentalis it was in early July occurring 437 larvae and adults per 100 leaves, for A. nigrisigna in early October occurring 42 larvae per 100 leaves. The density of F. occidentalis and its damage as well was greater in soil culture than in hydroponic culture, but in case of both A. solani and A. nigrisigna no such difference between cropping systems was found.
        4,000원
        79.
        200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easonal occurrence of thrips and its damage on fruits were studied at in open field red pepper in Jeonbuk Province. The kind of thrips were Franklinella occidentalis and F. intonsa. The ratio of F. occidentalis was about 30% in periods of survey. Density of thrips increased in late May and showed peak occurrence in early to middle July. The peak occurrence of thrips was appeared at 4 pentad June. 2 pentad July, 3 pentad August, and 4 pentad September. The part of fruit damaged by thrips became discolored and roughed. When turned red, the colors of damaged parts changed from dark brown to yellowish brown. As a result, damage fruits by thrips decreased marketability. The percent of damaged fruits was highest in Imsil at 20.8 % in early August. Density of thrips on flowers was highest in middle July.
        4,000원
        80.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 더덕의 주 재배지인 전라남북도, 경상북도, 경기도, 강원도, 제주도, 울릉도 등 15지역 116개 재배포장을 대상으로 한 식물기생선충의 분포와 피해를 조사하였다. 분포가 확인된 9속의 선충 중 Ditylenchus citri, Meloidogyne hapla, M. incognita, Pratylenchus neglectus, Tylenchorynchus claytoni 등 5종이 동정되었다. 이들 중 M. hapla의 포장검출률이 61.9%로 가장 높았고, Tylenchu spp. 16.1%, Pratylenchus neglecrus 7.8%, Ditylenchus citri 5.1%, Helicotylenchus sp. 5.1%순이었다. 더덕 2년생을 대상으로 한 지역별 당근뿌리혹선충에 의한 피해는 포장감염률과 감염주율이 각각 67.0%, 60.2%였으며 평균 감수율은 10%였다. 전북지역 더덕 재배지에서 당근뿌리혹선충에 의한 피해는 재배년수가 길어질수록 많았고, 평야지가 산간지나 중산간지보다 많은 경향이었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