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33

        61.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향기를 가진 미니다화성계 품종을 육성하기 위해 강하 고 향기를 가지는 P. violacea 와 붉은색 화색을 가지는 중륜계 품종인 P. George Vasquize 간 인공교잡을 통해 잡종후대를 육성하였다. 무균파종과 조직배양을 통해 약 280개의 잡종후대를 얻어냈으며 각각의 개체들이 향기의 강도와 종류가 달랐지만 대부분 모든 잡종개체들에서 향 기가 있었다. 개화기에 화색과 화형 그리고 향기의 유무 등을 고려하여 7개체를 1차 선발하였고 2차 개화시기에 꽃배열, 화수, 생육속도 등을 조사하여 최종적으로 향기 가 강하고 화색이 밝은 적색인 미니다화성 한 계통(06- SC-29) 을 선발 육성하였다. SPME-CG/MS를 통한 향 기 분석에서 51개의 성분을 검출하였고 그 중 myrcene, sabinene, ocimene, cineolebergamototene, cardinene 과 linalool 등이 성분함량이 높게 검출되어 이 물질들이 주 요 향기성분 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향기발현 관련유전 자를 분리하기 위해 유향성 꽃에서 mRNA를 분리 후 NGS 분석을 시도하여 염기서열정보를 확보하고 이미 알려 진 향기관련 유전자의 정보를 통해 호접란 향기발현관련 유 전자 정보를 가진 contig와unigene을 찾아내었다. 꽃향기 발 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4개의 효소 linalool synthase(LIS), geranyl diphosphate synthase(GDPS), ocimene synthase(OS), farnesol kinase(FNK)를 coding하는 유전자 염기서열정보를 확보하여 다른 식물의 향기 유전자와 homology를 비교 하고, 꽃의 발달단계별, 꽃의 화기조직별 향기관련 유전자들에 대한 발현 정도를 검정하였다. 꽃의 발달 단계별 향기유전자는 유향종에서는 정도 차이는 있지만 거의 모 든 단계에서 발현이 관찰되었으나 무향종에서는 발현되 지 않거나 아주 약하게 발현되었다. 유향종의 화기조직 별 발현유무검정에서는 4개의 유전자가 꽃잎, 꽃받침, 암 술, 꽃술대에서 모두 고르게 발현되었다.
        4,000원
        62.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수원을 비롯한 전국 5개 지역에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를 채집하였고, 이미 가지고 있던 21개 계통을 바탕으로 미토콘드리아의 Cytochrome Oxidase I 유전자 를 분리, 염기서열을 조사하여, 각 지역 계통 간 DNA의 염기서열과 비교, 분석하였 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의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유전자 최초 변이 발생 및 전파 경로는 크게 2가지로 분류되며 이들의 유전적 거리는 매우 가까운 것으로 밝혀졌 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발생, 전파 경로를 유추하면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조사 유전자형은 화성과 단양이 유전자 변이의 근원으로 생각된다. 이후 급격히 전국으 로 퍼져나가 전국 어디에서도 지역별 유전적 변이가 거의 같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 서 CO1 유전자의 분석만으로는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이동 경로 추정이 매우 어려우며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이동 경로에 대한 보다 정확한 추정을 위해 마이 크로새터라이트를 이용한 집단 유전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63.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수원을 비롯한 전국 26개 지역에서 이화명나방를 채집하여 미토콘드리아의 Cytochrome Oxidase I 유전자를 분리, 염기서열을 조사하여, 각 지역 계통 간 DNA 의 염기서열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의 이화명나방 유전자 최초 변이 발생 및 전파 경로는 크게 2가지로 분류되며 이들의 유전적 거리는 상대적으 로 가까운 것으로 밝혀졌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발생, 전파 경로를 유추하면 이화 명나방의 조사 유전자형은 벼 재배 시기가 빨라짐에 따라 전남과 경남에서 독자적 으로 도태, 적응하여 북상한 것으로 추정된다. 첫째는 경상남도에서 적응한 개체 들이 증식하며 충청남북도를 거쳐 경기도와 강원도로 전파되었으며, 전남에서 독 자적으로 적응한 개체가 거쳐 전라북도와 경상북도로 전파된 것으로 사료된다. 다 만 경상남도에서 먼저 적응한 개체가 전라남도로 이동하였으리라는 추정도 가능 하다. 이화명나방 이동 경로에 대한 보다 정확한 추정을 위해 마이크로새터라이트 를 이용한 집단 유전 분석이 필요하다.
        64.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수원을 비롯한 전국 29개 지역에서 썩덩나무노린재를 채집하여 미토콘드리아 의 Cytochrome Oxidase I 유전자를 분리, 염기서열을 조사하여, 각 지역 계통 간 DNA의 염기서열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미국 5개 지역으로부터 수집된 표본도 분석에 포함하여 유전적 근친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의 썩덩나무노 린재 유전자 근친도는 미국에 비해 국내 지역 계통간 서로 매우 가까운 것으로 밝혀 졌다. 발원지는 경기도 북부 지역으로 추정되며, 이 후 남쪽으로 계속 확대해간 것 으로 추정된다. 미국 종과 비교해 보면 차이가 많으나, 일부 지역에서는 미국 종과 유사성을 보이고 있다. 썩덩나무노린재가 국내 고유종으로 인정되고 있으나 미국 종들 보다 유전적 변이가 적고, 일부 중북부 지역에서 채집한 지역종이 미국 종과 유전적 근친도가 높은 점, 그리고 국내 지역 종들 간 유전적 친화도가 매우 높은 점 은 이들의 원산지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하게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중북부 지역에 서 속하는 계통이 비교적 짧은 시간에 전국적으로 퍼져나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 서 썩덩나무노린재는 북쪽에서 남쪽으로 전파한 것으로 생각되어 북쪽의 썩덩나 무노린재의 유전적 다양성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며, 보다 면밀한 연구를 위해 개체 변이를 측정할 수 있는 마커를 가지고 심도 있는 집단 유전 연구가 필요하다.
        65.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파주를 비롯한 전국 24개 지역에서 미국선녀벌레를 채집하여 ribosomal DNA 유전자의 ITS(Interna transcribed spacer) I 영역을 분리, 염기서열을 조사하였으 며, 지역 개체별로 조사된 미국선녀벌레의 염기서열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 과, 우리나라의 미국선녀벌레는 크게 3가지 방향으로 침입하여 전파된 것으로 추 측된다. 첫 번째 경로는 부산으로 침입하여 중부 내륙지방인 괴산으로 전파되었으 며, 두 번째 경로는 목포로 침입하여 서울 쪽으로 전파된 것으로 생각된다. 세 번째 경로는 인천으로 침입하였으며, 이때 침입한 미국선녀벌레가 급격히 전국으로 분 산된 것으로 사료된다. 전파경로는 물동량이 많은 고속도로를 따라 부산에서는 내 륙중부고속도로로 괴산으로, 목포에서는 서해안고속도로를 따라 서울 쪽으로, 그 리고 인천으로 침입한 미국선녀벌레는 전국 고속도로를 따라 급격히 전파된 것으 로 추정된다.
        66.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김해를 비롯한 전국 11개 지역에서 미국선녀벌레를 채집하여 미토콘드리아의 Cytochrome Oxidase I 유전자를 분리, 염기서열을 조사하였으며, 이들을 NCBI에 기록 보관된 지역별 미국선녀벌레의 염기서열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우 리나라의 미국선녀벌레 유전자 타입은 크게 3가지로 분류되며 이들의 유전적 거리 는 매우 가까운 것으로 밝혀졌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침입 경로를 유추하면 약 2번 에 걸쳐 우리나라에 침입한 것으로 추정된다. 원산지는 플로리다로 추정되며, 이들 이 프랑스와 북아메리카 전체로 퍼지며, 프랑스에 유입된 미국선녀벌레가 슬로베 니아와 스페인으로 전파된 것으로 생각된다. 우리나라는 첫째로 김해로 침입한 계 통은 미국으로부터 오래전에 들어와 있던 것으로 생각되며, 두 번째는 최근 스페인 과 슬로베니아로부터 침입하여 중부지방 전역에 급격히 전파된 것으로 사료된다.
        67.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혈청 내 존재하는 효소 중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GPT)는 근육이나 간세포의 손상에 대한 임상 화학적 지표로 사용 된다. 본 연구는 Landrace와 한국재래돼지의 F2 교잡 축군(N=1,105)에 대해 Porcine SNP 60K beadchip을 사용하여 유전자형 분석을 실시하고, GPT 형질과의 관련성을 검증하기 위해 Genome-Wide Association Study(GWAS)를 수행하였다. F2 교잡축군의 가계구조를 보정한 GWAS를 수행하기 위하여 혼합모형과 회귀분석을 조합한 GRAMMAR방법을 관련성 분석에 사용 하였다. 유의성 있는 SNP 표지들은 Sus scrofa chromosome(SSC) 6, 7, 그리고 13에서 동정되었다. 이들유의성 있는 SNP marker들에 가장 근접한 염색체상 위치의 유전자를 그 유전자의 기능을 고려하여 SSC7에서 2개의 위치후보유전자(BCL11B, AHNAK2)를 선정하였다. Pyrosequencing법을 통하여 이 들유전자 내에 존재하는 4개 SNP 표지들의 유전자형을 분석하여 GPT 형질간의 관련성 분석에 이용하였다. 관련성 분석결과, BCL11B g.267 T>C에서 nominal P=7.23×10-8 과 AHNAK2 g.1439 C>T에서 nominal P=5.64×10-6, g.1736 C>A에서 nominal P=3.51×10-6의 결과를 얻었다. 이 들 중 가장 유의한 결과를 얻은 BCL11B 유전자의 g.267 T>C SNP 표지는 추가 연구를 통하여 혈청 GPT 변이에 영향을 미치는 위치상 후보 유전자 표지로 사용 되어 질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되어진다.
        4,000원
        68.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소의 14번 염색체에 위치한 2,4-Dienoyl CoA reductase1(DECR1) 유전자는 polyunsaturated fatty enoyl-CoA의 β-oxidation과 연관된 호르몬으로 지질대사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자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우의 경제형질 관련 DNA 마커 개발을 목적으로 DECR1 유전자 내의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SNPs)를 탐색하고, 경제형질간의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수행하였다. 먼저 부모가 서로 다른 한우 종모우에서 DECR1 유전자 내의 SNP를 탐색한 결과 총 13개의 SNPs를 확인하였고, 이 중 G20788A는 valine(Val)에서 methionine(Met)으로, A23262G는 isoleucine(Ile)에서 valine(Val)으로 바뀌는 missense mutation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도체 성적을 보유한 200두의 한우를 대상으로 missense mutation으로 확인된 G20788A와 A23262G의 유전자형과 경제형질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G20788A는 근내지방도와 도체중에서 A23262G는 등지방두께, 배최장근단면적, 근내지방도와 도체중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 할 수 있었고(P<0.05), 이를 통해 missence mutation인 G20788A와 A23262G는 각 경제형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탐색된 한우 DECR1 유전자의 SNP 유전자형은 한우 선발 및 개량을 위한 DNA 마커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69.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염 또는 건조 스트레스 처리에 의한 톨 페스큐 종자의 발아율 변화와 유식물체 수준에서의 유전자 발현을 조사하기 위하여 in vitro 조건에서 NaCl과 PEG를 처리하여 분석하였다. NaCl 처리시 톨 페스큐 품종별 발아율은 50 mM 농도에서 발아율이 서서히 감소하기 시작하였으며 350 mM의 농도에서는 모든 품종에서 발아가 되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NaCl 처리 농도에 따른 발아율 감소율은 Fawn 품종이 가장 큰 변화를 보였으며 Kentucky-31(E-) 품종이 가장 강한 내성을 보였다. 또한, PEG 처리시 톨 페스큐 품종별 발아율의 변화도 NaCl 처리시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고농도인 30% PEG 처리구에서는 모든 품종에서 발아가 되지 않는 경향을 보였으며 Kentucky-31(E-) 품종이 가장 강한 내성을 보였다. 톨 페스큐 유식물체 수준에서 염해와 건조 스트레스에 의한 유전자 발현양상을 조사하기 위하여 DEGs(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탐색을 위한 ACP-based GeneFishingTM PCR 분석을 통해 NaCl 또는 PEG 처리에 따른 발현량의 차이를 보이는 총 4개의 DEG를 선발하여 클로닝하고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무처리구에 비해 NaCl 처리시 4개의 DEG가 증가하였고 감소하는 DEG는 확인 되지 않았으나, PEG 처리에서는 3개의 DEG (DEG 1, 3, 및 4)가 증가하였고 1개의 DEG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발굴된 DEG들을 blastx 검색에 의하여 rubisco large subunit (DEG1), microsomal glutathion S-transferase (GST) 3-like isoform 1 (DEG2) 유전자로 동정되었다.
        4,000원
        70.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with the increase of meat production, high quality and safety of meat have been strongly emphasized by Korean consumers. Marbling in beef has been regarded as an important criterion deciding meat quality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transcriptional level of insulin-like growth factor-1 (IGF-1) in longissimus muscle samples of 46 Hanwoo. The level of IGF-1 transcripts was measured by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nd molecular connection of IGF-1 was analyzed using the Pathway Studio program (Ver 9.0). Increase of marbling score (MS) induced increase of IGF-1 transcripts level in the muscle and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p<0.05) between IGF-1 mRNA expression and MS. The pathway study showed that IGF-1 genes are regulated in insulin, fatty acid synthase, leptin, and corticotrophin releasing hormone. These results suggest that IGF-1 might be used as a useful marker for the improvement of economic traits in Hanwoo.
        4,000원
        71.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콩 재배지에서 선충 피해가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수량감소와 직·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나 국내 콩 재배품종에서는 씨스트 선충 저항성 품종이 전무한 실정이다. 콩 씨스트선충 저항성 유전자는 양적형질로 알려져 있으며 기 보고된 유전자 외의 씨스트선충 저항성 유전자를 탐색함으로써 콩 씨스트 선충 저항성 품종 구별을 위한 마커개발과 씨스트선충 저항성 콩 품종 육성에 기여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유전적 다양성 집단의 HG-type 분류를 위하여 사용되는 Lee74를 포함한 지표 8품종을 실험재료로 RAPD 분석을 통하여 저항성 기대 유전자를 선발 분석하였다. 520개의 Operon사의 random primer를 이용하여 다형성을 확인하고 저항성 기대 유전자를 선발하였다. 전체 520개의 primer를 이용하여 2327개의 band를 확인하였고 74(3.1%)개의 다형성 band를 나타내었으며, 콩 씨스트선충 저항성에 기대되는 다형성 band를 16(0.7%)개 선발하여 sequence 분석과 유전자 기능을 탐색하였다. 선발된 band 분석 결과 serine-threonine kinase domain과 연관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선충 관련 저항성 후보 유전자와 관련된 단백질 구조를 가지고 있어 콩 선충 저항성 유전자로 기대된다.
        72.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닭의 7번 염색체에 위치하고 있는 NRAMP-1(Natural Resistance Associated Macrophage Protein1) 유전자는 면역 반응에서 작용하는 유전자로서 대식세포의 초기 활성화 과정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유전자의 변이에 따라 살모넬라균에 감염되었을 시에 비장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어져 있다. 본 연구는 3개의 품종(로드아일랜드 레드, 코니쉬, 재래닭)을 대상으로 유전자 변이 지역 중 하나인 C3229T 지역의 유전자형을 확인하고, 경제형질간의 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C3229T 지역은 변이에 의해 Serine에서 phenyl-alanine으로 변하는 missence mutation으로 확인 되었으며, 로드아일랜드 레드에서 변이지역과 경제형질간의 연관성 분석 결과 150일령 체중에서 유의적인 연관성이 확인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확인된 C3229T 지역의 SNP를 활용하여 추후 닭의 선발 및 육종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73.
        201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돼지의 체장, 체폭, 체중 등의 연속적인 변이를 가지는 양적형질에 속하는 형질인 성장형질은 양돈업에 있어서 생산성과 수익성에 직결된 중요한 경제 형질이다. 성장형질로는 일당증체량, 등지방두께, 등심단면적 및 도체품질 등이 있으며, 그중에서 등심단면적과 관련이 있는 후보 유전자를 Genome-wide 수준에서 선발하기 위하여 Illumina 사의 Porcine SNP 60K chip을 이용하여 순종 Landrace 집단(수컷 : 50두, 암컷 : 440두)을 분석하였다. Plink program을 이용하여 filtering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31,960개의 SNP marker를 선별하였으며, Genome-wide 임계수준을 bonferroni correction (i.e.1/31957=3.12×10-5)을 이용해서 결정했을 때, SSC16에서 유의성 있는 4개의 SNP marker들을 발견하였다. 이 중 가장 유의성 있는 SNP marker인 DRGA0016148(P=1.38×10-5)와 근접한 후보유전자로 PDE4D를 선정하였고, PDE4D에서 2개(g.9870 T>C, g3976 C>T)의 SNP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GWAS)를 이용하여 등심단면적과 관련성이 있는 SNP를 선발하여, 등심단면적과 후보유전자 PDE4D와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연구를 실시하였으나, PDE4D g.9870 T>C 에서는 Hardy-weinberg equilibrium P-value 0.7581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PDE4D g.3976 C>T에서는 모두 호모타입이 확인되었다.
        4,000원
        74.
        201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내 일반 사양환경에서 ROSS 육용계의 성장능력을 조사․분석하고, 사료효율을 고려한 도계의 적정시기를 산출하며, 도체성적을 분석하여 ROSS종 육계의 국내 활용 가능성을 검증하고, 성장관련 유용유전자를 발굴하여 조기선발을 위한 육종 전략을 수립하는데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ROSS308 육계는 부분육 생산에 탁월한 능력을 지닌 품종으로 국외에서는 일반적으로 42일령에 도계를 실시하지만 국내에서는 55일령까지는 도계시기를 연장해도 좋지만 그 이후에는 사료효율이 저하되기 때문에 55일령을 도계시기로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성장능력은 일당증체량이 83.4±10.4g, 사료섭취량은 4.5±1.4g, 출하체중은 4,833.2±570.7g, 정강이 길이는 9.36±5.4㎜, 가슴중량은 1,088.6± 125.0g, 넓적다리 중량은 864.8±86.9g으로 조사되었다. 초기 성장에서 능력이 저하되는 개체들은 조기 도태를 유도하여 계군 전체의 성장 능력 및 도체 성적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이를 위하여 4개의 후보유전자인 TGFBR1, TGFBR1, IGF2, POUF1 등을 활용하여 조기선발을 유도하는 것이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4,200원
        75.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분의 사용원료를 확인하는 방법은 전분입자의 크기 또는 형태 등으로 분류하는 이화학적인 방법이 연구되었으나 원료별 또는 동일한 원료라도 품종에 따른 차이점으로 인하여 명확하게 확인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어 유전자분석법을 시도하였다. 시료는 고구마 전분, 감자 전분, 옥수수 전분 및 타피오카 전분 등 총 11종을 사용하였으며, 유전자추출은 DNeasy plant mini 키트, magnetic DNA purification system 및 CTAB 방법으로 하였으며 추출유전자의 증폭을 위하여 WGA 키트로 처리하였다. 그리고 고구마, 감자, 옥수수 및 타피오카 검출을 위한 유전자 부위는 SSR (simple sequence repeat, ib-286-F/ib-286-R), 자당합성효소 (potato sucrose synthase, Pss 01n-5'/Pss 01n-3'), 전분합성효소(starch synthase, SSllb 3-5'/SSllb 3-3') 및 SSR (SSRY26- F/SSRY26-R)를 각각 사용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경우 WGA를 처리한 경우에는 사용원료의 확인이 가능하였다.
        4,000원
        76.
        201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일반적으로 돼지는 어떤 종류의 모색을 가지든 피부는 연분홍색을 띄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경 남 김해 H 육가공회사로 출하된 개체 중 흑모색에 검은색 피부를 가진 돼지가 발견되었다. 그 원인 을 규명하고자, 모색과 연관되어 있다고 알려진 MC1R, KIT 유전자와 피부색과 연관되어 있다고 알 려진 ASIP 유전자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MC1R의 sequencing 분석 결과, 아미노산 67, 68번째 자 리의 6개 염기 C(CCC CCC)는 Hampshire와 동일한 ED2/ED2 유전자형인 것으로 밝혀졌고, KIT의 경우 qOLA_CNV, Pyro_Splice 및 sequencing 분석한 결과, Duroc의 i/i 유전자형과 같은 유전자형 으로 밝혀졌다. ASIP의 경우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모든 종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유연관계 분석을 위해 Phase software와 network 분석을 실시한 결과, MC1R은 Hap22와 Hap23 이, KIT는 Hap22, Hap43과 유색종과 유연관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에 ASIP는 Hap04, Hap09이 야생멧돼지와 중국재래돼지를 제외한 품종들과의 유연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더 나아가 각 품종 간 유사성 분석을 위해 PCA를 실시한 결과, MC1R은 Berkshire, KIT는 Berkshire와 Hampshire가 유사성을 가지는 것으로 밝혀졌고, ASIP는 Berkshire 와 Duroc의 유사 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4,500원
        77.
        201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돼지의 육질과 관련하여 지방침착의 중요도가 높아짐에 따라 지방대사 또는 지방축적과 관련한 후보유전자 발굴 을 위해 등지방 조직 유래의 cDNA microarray를 이용하여 품종별 지방함량관련 조직의 유전자 발현 양상을 분석하 였다. 그 결과 재래돼지의 등지방 조직에서 SCD (stearoyl-CoA desaturase)와 ELOVL6 (elongation of very long chain fatty acid 6)가 높은 발현을 보였고, 간에서 FMO1 (hepatic flavin-containing mono oxygenase)이 높은 발현을 보였으며, 요크셔는 간에서 FGG (fibrinogen gamma polypeptide)와 C3d (com- plement component c3d), 등지방에서 COL3A1 (type Ⅲ collagen alpha 1)이 높은 발현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Real-time PCR을 통해 microarray data의 validation과 품종간 유전자 발현량을 비교하여, 위의 유전자들 중 지방함량에 따른 차등발현 유전자로 SCD, ELOVL6 그리고 FGG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유전자 SCD, ELOVL6, FGG는 지방대사에 관여하며 근내지방 함량에도 영향을 미쳐 향후 육질개선에 유용한 후보유전자로 서 활용가능성을 제시하였다.
        4,300원
        78.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야생종인 새머루로부터 내병성 포도품종 육성에 필요한 육종소재와 유용정보를 획득하고자, 포도 새눈무늬병균과 줄기혹병균에 감염된 새머루에서 식물 방어관련유전자의 발현양상을 분석하였다. Thaumatin (TLP), glutathione peroxidase (GPX), glutathione-S-transferase (GST), chalcone synthesis (CHS), protein kinase regulator (14-3-3) 및 β-glucanase (Glu) 등의 방어관련유전자, leucine reach-repeat (LRR)와 lipoxygenase (LOX) 등의 신호전달관련유전자, polygalacturonase-inhibiting protein (PGIP)과 같은 세포벽관련 유전자의 발현이 포도 새눈무늬병균 접종에 의해 유도되었다. 포도새눈무늬병균의 포자접종 및 배양여액처리에 의해 WRKYtranscription factor 10 (WRKY), fatty acid elongase (FAE)의 발현이 유도되었으며 proline-rich protein (PRP) 유전자의발현은 억제되었다. 발현이 증가한 15개 유전자 중에서 LRR, LOX, TLP, GST 등은 포도새눈무늬병균 포자현탁액 접종에 의해 발현이 크게 증가하였으나, CHS와 tonoplast intrinsicprotein (TIP)는 배양여액처리에 의해 증가하였다. 포도 줄기혹병균의 접종에 의해 LRR, CLP, LOX, TLP, GPX, 14-3-3,GST, PGIP, FAE, TIP, Glu, WRKY 등은 발현이 증가하였고, CHS와 PRPs는 발현이 억제되었다. 포도 줄기혹병균 접종에 의해 활성산소의 축적 및 분해와 관련된 GPX와 GST는 발현이 크게 증가하였다.
        4,000원
        79.
        2012.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버섯 재배기술이 발전하여 느타리와 큰느타리의 전체 생산 및 소비가 버섯전체생산의 약 50%를 차지하여 재배품종의 주류를 형성하고 있다. 하지만 UPOV 및 FTA 등의 문호개방에 따라 로열티 지불 등에 대응할 수 있는 품종육성이나 자체 고유품종 육성을 위한 신기술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품종육성의 기초기반 연구로 느타리버섯의 12,342 ESTs 분석을 통하여 세포막의 구성물질인 ergosterol 생합성관련 유전자 동정을 한 결과 12개의 유전자 중에서 9개가 동정되어 이에 대한 발현 분석 중이며, 느타리버섯의 부가가치에 가장 중요한 멜라닌 색소 유전자가 아직까지 동정되지 않아 집중적으로 분석한 결과 Tyrosine 생합성대사관련 유전자인 DOPA 4,5-dioxygenase가, 그리고 Acetate 생합성대사 관련유전자 THR1 (1,3,8-Trihydroxynaphthalene reductase)이 동정되어 느타리버섯의 멜라닌 생합성에는 하나의 대사기작이 아닌 복합기작에 의해 색소를 생성함을 유추할 수 있었다.
        80.
        201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dental infections have been increased due to the widespread overuse and exposure to antibiotics. One of the well-known pathogens is S. aureus The pathogenic properties of S. aureus is associated with the virulence gen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virulence gene of S. aureus which may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bacterial infections. 54 strains of S. aureus were separated from saliva taken from 129 outpatients diagnosed with periodontitis from Jun. to Dec., 2010 in Seoul. 44 (46.6%) and 13 (31.7%) strains of them were obtained from 88 and 41 outpatients from the S and E dental clinics, respectively. Then, the distribution of virulence gene and genetic diversity were analyzed with the PCR technique. The result of the S. aureus isolates possessed coagulase gene and showed six polymorphism types 390~470 bp (1.8%), 550~633 bp (3.7%), 630~714 bp (9.3%), 715~795 bp (20.4%), 796~876 bp (40.7%) and 877~957 bp(22.2%) due to variable numbers of tandem repeats present within the gene. In this study it will be anticipated that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establish efficiently the countermeasure about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ntibiotic bacterial infections.
        4,000원
        1 2 3 4 5